FC 아라라트 예레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아라라트 예레반은 1935년 스파르타크 예레반으로 창단된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소련 시절에는 1973년 소련 톱 리그와 소련 컵에서 우승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1974-75 시즌 유러피언컵 8강에 진출했다. 소련 해체 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동하며 1993년 리그 우승을 포함해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현재 조라흐뷰르 훈련 센터에서 유소년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 축구에 관한 - FC 퓨니크
FC 퓨니크는 1992년 호메네트멘 예레반으로 창단되어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서 16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3라운드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둔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 아르메니아 축구에 관한 - FC 우라르투
1992년 "바난츠"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예레반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FC 우라르투는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2회, 아르메니아 컵 4회, 아르메니아 슈퍼컵 1회 우승을 차지한 아르메니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퓨니크
FC 퓨니크는 1992년 호메네트멘 예레반으로 창단되어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서 16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3라운드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둔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미카
FC 미카는 1985년에 창단되어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7년 예레반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가 재정 문제로 은퇴 후 2022년에 프로 리그에 복귀한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 1935년 설립된 축구단 - 상파울루 FC
상파울루 FC는 1930년 창단된 브라질 상파울루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다수 우승을 차지한 명문 클럽이며, 특히 1990년대 텔레 산타나 감독 체제 하에 전성기를 누렸다. - 1935년 설립된 축구단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1935년 아르헨티나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는 꾸준한 승격 끝에 2014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진출, 2020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와 2021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으로 국제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홈 경기장은 노르베르토 "티토" 토마젤로 스타디움이다.
FC 아라라트 예레반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축구 클럽 아라라트 |
원어 명칭 | Ֆուտբոլային Ակումբ Արարատ Երևան (아르메니아어) |
별칭 | 하얀 독수리 |
창단 | 1935년 5월 10일 |
소속 리그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
홈 구장 | 바즈겐 사르그샨 공화국 경기장 |
수용 인원 | 14,403명 |
구단주 | 바르탄 시르마케스, 흐라치 카프리엘리안 |
회장 | 흐라치 카프리엘리안 |
감독 | 티그란 예사얀 |
시즌 | 2023–24 |
리그 순위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6위 (10개 팀 중)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FC 아라라트 예레반은 1935년 예레반에서 '스파르타크'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3] 1940년 아르메니아 SSR 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며 이름을 알렸으나,[5][6]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잠시 활동이 중단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1949년 소련 톱 리그에 참가하면서 본격적으로 경쟁에 뛰어들었다. 1973년 소련 톱 리그와 소련 컵을 동시에 석권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1974-75 시즌에는 유러피언컵 8강에 진출하여 바이에른 뮌헨과 접전을 벌이기도 했다.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동하며, 1993년 리그와 컵에서 모두 우승하였다.
2. 1. 소련 리그 (1935-1991)
1935년, 예레반의 스파르타크 스포츠 협회에서 축구팀을 창단했다.[3][4] 1940년 아르메니아 SSR 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5][6]1949년, 소련 톱 리그에 처음 참가하여 12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비록 부진한 성적이었지만, 리그에서 17위와 18위를 차지한 두 팀이 강등되면서 다음 시즌에도 1부 리그에 잔류할 수 있었다.[9][10][11]
1960년부터 1963년, 그리고 1966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톱 리그에 참가했다. 1973년에는 톱 리그와 소련 컵에서 모두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7][8] 1971년과 1976년 (봄) 시즌에는 톱 리그 준우승을, 1975년에는 소련 컵에서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했다.
총 33번의 소련 톱 리그 시즌에 참가하여 1,026경기를 치렀으며, 352승 280무 394패, 1,150골 득점, 1,306골 실점을 기록했다. 1975년까지 세 번의 유러피언 컵에 참가했으며, 1991년 마지막 소련 선수권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1974-75 시즌에는 유러피언컵 8강에 진출했으나, 전년도 우승팀이자 최종 우승팀인 바이에른 뮌헨에게 합계 2-1로 패했다. (뮌헨에서 0-2, 예레반에서 1-0) 1972년 유럽 대회 데뷔 이후 36경기에서 16승 4무를 기록했다.
2. 2. 아르메니아 리그 (1992-현재)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아라라트 예레반은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1993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와 아르메니아 컵에서 모두 우승하며 독립 이후 첫 더블을 달성했다.[3] 이후에도 꾸준히 리그 상위권을 유지하며 아르메니아의 명문 클럽으로 자리매김했다.시즌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아르메니아 컵 | 최고 득점자 | 감독 | |
---|---|---|---|---|---|---|---|---|---|---|---|---|---|
1992 | 1부 | 4위 | 22 | 15 | 4 | 3 | 78 | 15 | 34 | 2라운드 | 바헤 야흐무랸 | 38 | A. 사르키시안 |
1993 | 1부 | 1위 | 28 | 23 | 5 | 0 | 92 | 9 | 51 | 우승 | 바헤 야흐무랸 | 20 | A. 사르키시안 |
1994 | 1부 | 3위 | 28 | 21 | 5 | 2 | 109 | 21 | 47 | 우승 | 바헤 야흐무랸 | 18 | A. 사르키시안 |
1995 | 1부 | 1위1 | 10 | 6 | 2 | 2 | 34 | 11 | 20 | 우승 | 아르멘 샤흐겔댄, 레본 스테파냔 | 7 | S. 다르비냔 |
1995–96 | 1부 | 4위 | 22 | 12 | 3 | 7 | 58 | 28 | 39 | 준결승 | S. 다르비냔 / A. 안드레아시안 | ||
1996–97 | 1부 | 2위 | 22 | 17 | 1 | 4 | 54 | 18 | 52 | 우승 | A. 안드레아시안 | ||
1997 | 1부 | 6위 | 18 | 7 | 6 | 5 | 32 | 21 | 27 | A. 안드레아시안 | |||
1998 | 1부 | 4위 | 26 | 10 | 5 | 11 | 40 | 40 | 35 | 8강 | A. 안드레아시안 | ||
1999 | 1부 | 2위 | 32 | 22 | 6 | 4 | 63 | 21 | 72 | 8강 | A. 안드레아시안 | ||
2000 | 1부 | 2위 | 28 | 18 | 5 | 5 | 50 | 23 | 59 | 준결승 | 티그란 예사얀 | 17 | A. 안드레아시안 |
2001 | 1부 | 5위 | 22 | 13 | 3 | 6 | 42 | 22 | 42 | 준우승 | A. 안드레아시안 | ||
2002 | 1부 | 5위 | 22 | 9 | 6 | 7 | 39 | 22 | 33 | 8강 | A. 안드레아시안 | ||
20032 | 1부 | - | A. 안드레아시안 | ||||||||||
2004 | 2부 | 7위 | 30 | 16 | 1 | 13 | 83 | 50 | 49 | 8강 | S. 아르주마냔 | ||
2005 | 2부 | 2위 | 24 | 18 | 2 | 4 | 72 | 18 | 56 | 8강 | A. 카슈마냔 | ||
2006 | 1부 | 4위 | 28 | 15 | 4 | 9 | 48 | 35 | 49 | 8강 | A. 카슈마냔 / V. 수키아시안 | ||
2007 | 1부 | 4위 | 28 | 15 | 4 | 9 | 49 | 42 | 49 | 준우승 | 마르코스 피젤리 | 22 | V. 수키아시안 / D. 미지치 |
2008 | 1부 | 2위 | 28 | 18 | 5 | 5 | 48 | 23 | 59 | 우승 | 마르코스 피젤리 | 17 | D. 미지치 / V. 수키아시안 |
2009 | 1부 | 8위 | 28 | 2 | 8 | 18 | 20 | 54 | 14 | 8강 | A. 키라코시안 / A. 안드레아시안 | ||
2010 | 2부 | 1위 | 24 | 17 | 4 | 3 | 50 | 19 | 55 | T. 예사얀 | |||
2011 | 1부 | 8위 | 28 | 2 | 4 | 22 | 14 | 57 | 10 | 8강 | 코렌 베라냔, 아라 하코뱐 | 3 | A. 안드레아시안 |
2011-12 | 컵 대회만 개최 | 8강 | colspan="3" | | ||||||||||
2012–13 | 1부 | 7위 | 42 | 9 | 6 | 27 | 27 | 70 | 33 | 8강 | 티그란 보스카냔 | 5 | A. 사파랸 / A. 카슈마냔 |
2013–14 | 1부 | 4위 | 28 | 12 | 8 | 8 | 30 | 23 | 44 | 8강 | 알렉산다르 라키치 | 10 | A. 카슈마냔 |
2014–15 | 1부 | 8위 | 28 | 3 | 4 | 21 | 28 | 69 | 13 | 8강 | 알렉산다르 라키치 | 10 | D. 미지치 / S. 다르비냔 / S. 차칼랸 / A. 미나샨 & V. 수키아시안 |
2015–16 | 1부 | 5위 | 28 | 9 | 10 | 9 | 28 | 31 | 37 | 8강 | 게보르그 냐라냔, 브라이언 데 라 푸엔테 | 5 | V. 수키아시안 |
2016–17 | 1부 | 6위 | 30 | 3 | 3 | 24 | 17 | 53 | 12 | 8강 | 게감 툼바랸 | 3 | A. 안드레아시안 |
2017–18 | 1부 | 6위 | 30 | 5 | 6 | 19 | 33 | 55 | 21 | 8강 | 안드라니크 코차랸 | 9 | A. 사파랸 |
2018–19 | 1부 | 9위 | 32 | 5 | 7 | 20 | 24 | 60 | 22 | 8강 | 아르템 시모냔 | 6 | A. 스테파냔 / A. 카슈마냔 / T. 예사얀 |
2019–20 | 1부 | 6위 | 28 | 10 | 6 | 12 | 34 | 36 | 36 | 2라운드 | 데니스 데데치코 | 6 | S. 보이코 / G. 시모냔 |
2020–21 | 1부 | 4위 | 28 | 11 | 7 | 6 | 34 | 18 | 40 | 우승 | 모리 코네 우로스 네나도비치 | 7 | V. 비차크치얀 |
2021–22 | 1부 | 4위 | 32 | 13 | 7 | 12 | 47 | 36 | 46 | 준결승 | 세르지 데블레 | 13 | V. 비차크치얀 E. 토로샨 |
2022–23 | 1부 | 6위 | 36 | 10 | 8 | 18 | 29 | 42 | 38 | 1라운드 | 라즈미크 하코뱐 | 7 | E. 토로샨 |
2023–24 | 1부 | 6위 | 36 | 13 | 6 | 17 | 39 | 50 | 45 | 2라운드 | 카심 하지 | 7 | G. 시모냔 R. 나자리안 T. 예사얀 |
- 1 1995년 시즌은 과도기적인 시즌이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우승팀은 없었다.
- 2 아라라트 예레반은 시즌 시작 전에 퇴출되었다.
아라라트 예레반은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서 1회(1993), 아르메니아 컵에서 6회(1993, 1994, 1995, 1997, 2008, 2020-21), 아르메니아 슈퍼컵에서 1회(2009) 우승을 차지했다.
2. 3. 유럽 대항전
FC 아라라트 예레반은 소련 시절부터 유럽 대항전에 참가하여 아르메니아 축구의 위상을 높였다. 1974-75 시즌 유러피언컵 8강에 진출한 것이 유럽 대항전 최고 성적이다.[22]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UEFA 챔피언스 리그 | 6 | 5 | 0 | 1 | 14 | 5 |
UEFA 컵 | 14 | 5 | 2 | 7 | 15 | 21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6 | 1 | 3 | 2 | 10 | 12 |
UEFA 컵 위너스 컵 | 12 | 3 | 2 | 7 | 18 | 18 |
UEFA 인터토토컵 | 6 | 3 | 0 | 3 | 6 | 9 |
총계 | 44 | 17 | 7 | 20 | 66 | 65 |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팀 | 홈 | 원정 | 합계 |
---|---|---|---|---|---|---|
1972–73 | UEFA 컵 | 32강 | EPA 라르나카 | 1–0 | 1–0 | 2–0 |
16강 | 그라스호퍼 취리히 | 4–2 | 3–1 | 7–3 | ||
8강 | 카이저슬라우테른 | 2–0 | 0–2 | 2–2 (4–5 p) | ||
1974–75 | UEFA 유러피언컵 | 32강 | 비킹 스타방에르 | 4–2 | 2–0 | 6–2 |
16강 | 코크 셀틱 | 5–0 | 2–1 | 7–1 | ||
8강 | 바이에른 뮌헨 | 1–0 | 0–2 | 1–2 | ||
1975–76 | UEFA 컵 위너스 컵 | 32강 |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 9–0 | 1–1 | 10–1 |
16강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 1–1 | 1–3 | 2–4 | ||
1994–95 | UEFA 컵 | 16강 | CSKA 소피아 | 0–0 | 0–3 | 0–3 |
1995–96 | UEFA 컵 위너스 컵 | 32강 | GKS 카토비체 | 2–0 | 0–2 | 2–2 (5–4 p) |
16강 | 디나모 모스크바 | 0–1 | 1–3 | 1–4 | ||
1997–98 | UEFA 컵 위너스 컵 | 32강 | 디나모 바투미 | 0–2 | 3–0 | 3–2 |
16강 | 코펜하겐 | 0–2 | 0–3 | 0–5 | ||
1999 | UEFA 인터토토컵 | 32강 | 바커우 | 1–0 | 1–0 | 2–0 |
16강 | 신트트라위덴 | 0–2 | 1–3 | 1–5 | ||
2000–01 | UEFA 컵 | Q | 코시체 | 2–3 | 1–1 | 3–4 |
2001–02 | UEFA 컵 | Q | 하포엘 텔아비브 | 0–2 | 0–3 | 0–5 |
2007 | UEFA 인터토토컵 | 1R | 샤흐트요르 솔리고르스크 | 2–0 | 1–4 | 3–4 |
2008–09 | UEFA 컵 | 1Q | 벨린초나 | 0–1 | 1–3 | 1–4 |
2021–22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1Q | 페헤르바르 | 2–0 | 1–1 | 3–1 |
2Q | 실롱스크 브로츠와프 | 2–4 | 3–3 | 5–7 | ||
2022–23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1Q | KF 슈켄디야 | 2–2 | 0–2 | 2–4 |
- '''UEFA 대회 최고 승리:''' 1975년 9월 17일, 아라라트 9–0 아노르토시스, 예레반에서
- '''UEFA 대회 최고 패배:''' 2007년 6월 23일, 샤흐트요르 4–1 아라라트, 솔리고르스크에서
- '''UEFA 대회 클럽 출전 횟수:''' 12
- '''UEFA 최다 출전 선수:''' 알렉세이 아브라미안, 노리크 메스로피안 – 16경기
- '''UEFA 클럽 대회 최다 득점 선수:''' 에두아르드 마카로프 – 12골
3. 경기장
아라라트 예레반은 1971년부터 2015년까지 흐라즈단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현재는 예레반 동쪽 외곽에 있는 조라흐뷰르 훈련 센터 내 인조 잔디 구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조라흐뷰르 훈련 센터는 2007년에 개장되었으며, 48000m2 부지에 실내 훈련 센터, 천연 잔디 및 인조 잔디 훈련 구장을 갖추고 있다.[7]
4. 선수단
FC 아라라트 예레반은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선수 명단은 하위 섹션을 통해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 클린턴 돔빌라
- 맬릭 아지즈 버트
- 칼리팔라 마마두 둠비아
- 네마냐 레마지치
- 티아고 고메스
- 알라산 페이
- 하지 이사 무스타파
- 라야네 음조기
- 클레망 르노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9일 기준)
2024년 9월 9일 기준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
3 | DF | 알베르트 하추먄 | |
4 | DF | 볼로디아 삼소냔 | |
5 | MF | 라야네 므조우기 | |
6 | MF | 알라산 파예 | |
9 | MF | 고르 룰루캰 | |
10 | MF | 아르투르 그리고랸 | |
11 | MF | 아르멘 나하페탼 | |
12 | DF | 클린턴 돔빌라 | |
13 | GK | 포고스 아이바잰 | |
15 | FW | 칼리팔라 마마두 둠비아 | |
18 | DF | 말리크 아지즈 베르테 | |
20 | MF | 무사 칸테 | |
21 | MF | 세롭 갈스탼 | |
23 | MF | 고르 말라캰 (주장) | |
27 | MF | 알렌 바르다냰 | |
33 | MF | 고르 구카샨 | |
34 | DF | 산드로 트레물레 | |
38 | MF | 무사 칸테 | |
45 | FW | 비 크리스트 힐라리온 고레 | |
54 | DF | 마르셀루 게스테이라 데 소우자 | |
55 | DF | 나레크 함바르줌얀 | |
70 | MF | 알렌 므크르트챤 | |
73 | DF | 다비드 가자랸 | |
77 | MF | 알렉산드르 알렉산냰 | |
81 | MF | 카심 하지 | |
82 | GK | 치아고 고메스 | |
91 | MF | 수렌 키라코샨 |
4. 2. 유명 선수
브라질한국어 출신 아르메니아hy 귀화 선수 마르코스 피젤리 (2006-2008)[1]는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 술레이만 코네 (2015-2016)[1]
- 미우라 카즈마 (2016-2017)[1]
- 야쿠바 실라 (2021-2022)[1]
5. 역대 감독
FC 아라라트 예레반에는 창단 이후 많은 감독들이 거쳐갔다. 특히, 1973년 팀의 더블(리그와 컵 대회 우승)을 이끈 니키타 시모니안 감독은 아라라트 예레반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아르카디 안드레아시안은 선수와 감독으로 모두 아라라트 예레반에서 활약하며 팀의 레전드로 존경받는다.
- ISR영어 란 벤 시몬 2020-
6. 성적
그룹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