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마비르 (아르메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마비르는 아르메니아 아라라트 평원에 위치한 도시로, 아르마비르 주의 주도이다. 기원전 6천년기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아르메니아의 고대 수도로 기록된 도시이자, 우라르투 왕국 시대의 요새가 있던 곳이다. 셀레우코스 제국, 파르티아 제국, 로마 제국, 사산 왕조, 비잔틴 제국 등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991년 아르메니아 독립 이후 아르마비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식품 가공, 건축 자재 생산을 중심으로 산업이 발달했으며, 예레반과 귬리를 연결하는 철도 교통의 요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의 옛 수도 - 카르스
    카르스는 터키 북동부의 도시이자 카르스 주의 주도로,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아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아르메니아 왕국의 수도로서 번성했고, 현재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주변국과 연결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 아르메니아의 옛 수도 - 에치미아진
    에치미아진은 아르마비르 주에 위치한 도시로, 바가르샤파트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성당 중 하나인 아르메니아 정교회의 총본산 에치미아진 대성당이 위치한 곳으로, 301년 아르메니아가 기독교를 국교로 지정한 후 건설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아르메니아의 도시 - 흐라즈단
    흐라즈단은 아르메니아 코타이크 주의 도시로, 흐라즈단강을 따라 위치하며 고대 아르메니아 왕국의 일부였고, 소련 시대 주요 산업 중심지로 발전하여 현재는 코타이크 주의 중심지로서 문화 시설과 교회 유적을 보유한 교통 요충지이다.
  • 아르메니아의 도시 - 가바르
    가바르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아르메니아 게가르쿠니크 주의 도시로, 고대 우라르투 왕국의 요새 유적과 중세 시대의 유물을 보유하며, 1830년 재건 이후 1995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되어 게가르쿠니크 주의 주도로 기능한다.
아르마비르 (아르메니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아르마비르
아르마비르
공식 명칭아르마비르
로마자 표기Armavir
다른 이름"" (호크템베르얀)
행정 구역
국가아르메니아
마르즈아르마비르 주
지리 정보
면적8.51 km²
해발 고도870 m
인구 통계
인구 (2022년)27470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역사
설립1931년
시 승격1947년
정치 및 행정
시장다비트 후다탼
기타 정보
시간대AMT
UTC 오프셋+4
우편 번호0901-0918
지역 번호(+374) 237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아르마비르는 기원전 6천년기부터 사람이 살았던 유서 깊은 지역이다. 1931년 사르다라파트(Sardarapat)로 설립되었으며, 1935년부터 1995년까지는 10월 혁명을 기념하여 호크템베랸(Hoktemberyan, "10월의 도시"라는 뜻)으로 불렸다. 1992년, 아르메니아 독립 정부는 기원전 8세기에 우라르투의 왕 아르기쉬티 1세가 세운 인근 고대 도시 아르마비르의 이름을 따서 도시 이름을 다시 아르마비르로 명명했다.

1501년, 사파비 왕조의 시조인 이스마일 1세가 이 지역을 정복했다. 오스만 제국1514년, 1534년, 1548년, 1553년에 걸쳐 4차례 일시 점령했다. 1585년 아르마비르는 완전히 오스만 제국에 넘어갔다. 1603년 사파비 왕조아바스 1세가 탈환했지만, 1635년부터 1636년, 1724년부터 1736년까지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된 이후, 이 지역은 잠시 러시아 임시 정부와 자카프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 1918년 5월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이 성립되었으나, 곧 오스만 제국의 침입을 받았다. 아르메니아는 사르다라파트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결국 바투미 조약을 통해 예레반 현의 대부분을 오스만 제국에 넘겨주어야 했다. 무드로스 휴전 협정 이후 오스만 군이 철수하면서 아르메니아 공화국으로 복귀했다.

1920년 11월, 소련의 적군이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공산화되었다. 1931년, 고대 아르마비르에서 북쪽으로 8km 떨어진 곳에 사르다라바트라는 새로운 정착지가 설립되었고, 이곳은 예레반과 귬리를 연결하는 철도역으로 발전했다. 1935년, 이 정착지는 10월 혁명을 기념하여 호크템베랸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초기에는 자바케티, 시라크, 장게주르 등지에서 이주한 아르메니아인들이 거주했으며, 1940년대에는 야지디족과 쿠르드족도 정착했다. 호크템베랸은 빠르게 산업 중심지로 성장하여 1947년 도시 지위를 얻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이란, 시리아, 레바논 등지에서 귀환한 아르메니아인들이 유입되면서 도시 인구가 더욱 증가했다. 1966년에는 예레반 브랜디 회사의 아르마비르 지사가 문을 열었다. 1991년 아르메니아가 독립한 후, 1995년 행정 개혁에 따라 호크템베랸은 다시 아르마비르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아르마비르 주의 주도가 되었다.

2. 1. 고대

고대 아르마비르 지역은 기원전 6천년기부터 사람이 살았다. 그 시대의 다양한 흑요석 도구, 청동 물체 및 도자기가 발견되었다. 아르메니아 기록에 따르면 이 도시는 기원전 1980년경 하이크의 손자인 아르마이스 왕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한다.

기원전 8세기 전반, 우라르투의 아르기쉬티 1세 왕은 이 지역에 요새를 건설하고 이름을 고대 아르기쉬티히닐리로 지었다. 기원전 331년, 오론티드 왕조 치하의 아르메니아가 아케메네스 제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아르마비르를 수도로 선택했다. 길가메시 서사시의 에피소드를 다룬 엘람어로 쓰여진 아케메네스 시대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3세기경에 새겨진 다양한 헬레니즘 그리스어 비문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헤시오도스의 시, 에 ವಿರು피데스의 구절, 마케도니아 달력 목록, 오론티드 왕들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

5세기 아르메니아 역사가 모브세스 호레나치에 따르면, 아르마비르는 아르메니아 왕국의 첫 번째 수도였다 (비록 지리적 관점에서 아르메니아의 첫 번째 수도는 반이었다)[19]. 모브세스는 파르티아의 발라르사케 왕이 아르마비르에 정착했을 때 (기원전 149년경) 그곳에 신전을 짓고 바그라투니 왕조의 스므바트 왕자에게 자신의 종교를 버리고 우상을 숭배하라고 요청했으나, 스므바트는 이에 따르기를 거부했다고 전한다. 또한 티그라네스 2세 왕 (재위 기간 기원전 90년에서 36년)이 이집트클레오파트라 여왕에게 복수하기 위해 팔레스타인으로 원정을 보냈을 때 많은 수의 유대인들을 포로로 잡아 아르마비르와 바르데게스에 정착시켰다고도 전한다.[20] 그는 유대인들이 나중에 아르마비르에서 예르반다샤트로 이주했으며, 아르타셰스 1세 왕 치하에서 다시 새로운 수도 아르타샤트로 이주했다고 말한다. 페르시아샤푸르 2세 왕이 아르메니아를 침공했을 때 (360–370), 그는 아르타샤트에서 30,000명의 아르메니아인과 9,000명의 유대인 가족들을 데려갔는데,[21] 후자는 티그라네스 2세 왕이 유대에서 데려온 사람들이었으며, 그 후 도시를 완전히 파괴했다.[22]

591년 마우리키우스 황제 통치 기간 동안, 아르마비르 (당시에는 "아르마우이라"라고 불림)와 아르메니아의 상당 부분이 로마가 사산 페르시아 제국을 블라라톤 전투에서 격파한 후 로마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고대 시대에 아르마비르는 셀레우코스 제국, 파르티아 제국, 로마 제국, 사산 왕조,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645년에는 아랍인에게 점령되었다.

2. 2. 중세

아랍의 지배는 800년부터 825년경까지 이어졌다. 9세기에는 사지 왕조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바그라투니 왕조가 통치했다. 1045년에는 비잔틴 제국이 이 지역을 탈환했지만, 1064년에 셀주크 제국에 할양되었고, 지명도 '''세르다라바드'''로 바뀌었다. 셀주크 왕조가 쇠퇴하면서 그루지야, 아제르바이잔아타베그, 호라즘 제국에 할양되었다. 1239년에는 몽골 제국이 점령했고, 1256년에는 일 칸국의 관할이 되었다. 그 후 1353년에는 초반 왕조, 1357년에는 잘라일 왕조, 1388년에는 흑양 왕조로 지배 세력이 바뀌었고, 1400년에는 티무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하지만 7년 후 흑양 왕조의 카라 유수프가 탈환했다. 티무르의 통치자 샤 루흐는 1421년과 1429년 두 차례에 걸쳐 이 지역을 공략했지만, 1447년에는 다시 흑양 왕조의 자한 샤가 점령했다.

2. 3. 오스만과 페르시아의 영토 분쟁

1501년, 사파비 왕조의 시조인 이스마일 1세가 이 지역을 정복했다. 오스만 제국1514년, 1534년, 1548년, 1553년에 걸쳐 4차례 일시 점령했다. 1585년 아르마비르는 완전히 오스만 제국에 넘어갔다. 1603년 사파비 왕조아바스 1세가 탈환했지만, 1635년부터 1636년, 1724년부터 1736년까지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2. 4. 러시아 제국 지배

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으로 이 지역의 지배권은 페르시아에서 러시아 제국으로 넘어갔다.[5] 1840년에 아르메니아주의 세라다라바드 구에서 예레반 현으로 행정 구획이 변경되었다.

2. 5. 1917년 혁명과 아르메니아-오스만 제국 전쟁

2월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되자, 이 지역은 러시아 임시 정부 특별 자카프카스 위원회, 나아가 자카프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TDFR)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이들은 모두 단명으로 끝났다. 1918년 5월 TDFR이 붕괴되자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이 성립했다. 그 직후, 오스만 제국이 쳐들어와 이 지역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아르메니아 측이 신승을 거두었지만, 오스만 제국은 당시 발발했던 코카서스 전역을 앞두고 예레반을 점령, 한 달 후 아르메니아 측에 바투미 조약 서명을 강요하여 예레반 현의 대부분을 획득했다. 무드로스 휴전 협정에 의해 오스만 제국 육군이 이 지역에서 물러나자, 1918년 11월 이 지역은 아르메니아 공화국으로 복귀했다.

2. 6. 소비에트 연방 지배

1920년 11월 29일, 적군 제11군이 아르메니아 공화국으로 진격했고, 12월 4일에는 알렉산드로폴리 조약에 따라 아르메니아가 공산화되었다. 이 조약은 1921년 10월 13일 카르스 조약으로 이어졌다.[5] 1931년 7월 26일, 소비에트 정부의 결정에 따라 고대 아르마비르에서 북쪽으로 8km 떨어진 곳에 '''사르다라바트'''라는 아르마비르 정착지가 설립되었다. 이곳은 1930년에 설립된 "호크템베르얀" 라욘(1935년까지는 "구르두굴리" 라욘)의 지역 중심지가 되었다. 원래는 예레반과 레니나칸 (귬리)을 연결하는 철도역으로 설립되었으며, 도시의 첫 번째 주요 도시 계획은 건축가 알렉산더 타마니안이 맡았다.

1935년, 정착지의 이름은 1917년 10월 혁명을 기리기 위해 사르다라바트에서 '''호크템베르얀'''(Հոկտեմբեր|Hoktemberhy)으로 변경되었다.[5] 처음에는 자바케티, 시라크 및 장게주르에서 이주한 아르메니아 가족들이 거주했다. 1940년대에는 인근 마을에서 많은 야지디족과 쿠르드족도 호크템베르얀에 정착했다. 호크템베르얀은 산업 중심지로 빠르게 발전하여 1947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이란, 시리아 및 레바논에서 귀환한 아르메니아 가족들이 도착하면서 도시 인구가 더욱 증가했다. 1966년에는 예레반 브랜디 회사의 아르마비르 지사가 문을 열었다. 1967년, 호크베르얀은 공화국 관할 도시가 되었다.

2. 7. 독립 이후

1991년 아르메니아 독립 이후, 호크템베랴는 1995년 아르메니아의 행정 개혁에 따라 1995년 11월 7일 아르마비르로 이름이 변경되어 새로 형성된 아르마비르 주의 주도 도시가 되었다.[5]

3. 지리

아르마비르는 비옥한 아라라트 평원 내에 위치하며, 수도 예레반에서 서쪽으로 47km 떨어진 도로변에 있다. 면적은 8.51km2이다.

주변 지역은 고대 아르메니아 왕국의 아라가초튼 칸톤에 해당하며, 고대 도시 아르기쉬티키닐리에서 북동쪽으로 6km, 역사적인 아르마비르에서 북쪽으로 8km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다.

이 도시는 사르다라팟, 노라팟, 므르가샤트, 마이시시안, 노라반을 포함한 많은 대형 마을에 둘러싸여 있다.

3. 1. 기후

아르마비르는 춥고 반건조 기후(쾨펜 기후 구분 ''BSk'')로,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덥다.[23]

아르마비르의 기후(1991-2020년 평균 및 극한값) [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54.211.319.024.028.432.632.128.220.312.34.8-
평균 최저 기온 (°C)-7.9-5.6-0.16.010.313.717.516.812.05.90.9-3.8-
월 강수량 (mm)192224355235171315312418-
평균 최고 기온 (°C)15.021.028.533.035.038.541.540.537.535.024.519.6-
평균 기온 (°C)-3.30.06.812.717.422.325.925.820.513.75.8-0.7-
평균 최저 기온 (°C)-28.0-24.0-12.2-9.60.35.57.39.5-2.0-4.0-10.6-28.0-
월 강수량 (mm)18.217.623.140.544.522.013.18.011.022.919.818.4-
평균 강수일수 (≥ 1.0 mm)4.23.85.37.39.15.32.71.92.34.94.24.8-
평균 상대 습도 (%)72.768.260.857.857.149.545.645.950.75864.471.8-
평균 일조 시간70.9111.6162.2177232.8309.8328.3313.6262178.9134.167.2-


4. 인구

1931년 마을이 처음 건설되었을 때, 자바헤티, 시라크, 잔게주르에서 온 아르메니아인들이 거주했다. 이후 인근 마을의 야지디족, 쿠르드족, 아시리아인들도 아르마비르에 정착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아르메니아 귀환 과정의 일환으로 이란, 시리아, 레바논 출신의 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이 아르마비르로 재정착했다.

마을의 인구는 소련 말기에 약 47,0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아르메니아 독립과 그에 따른 경제 위기로 인해 인구는 급격히 감소하여 2001년 인구 조사에서 32,034명, 2011년 인구 조사에서 29,319명, 2016년 공식 추정치에서 약 28,900명을 기록했다.

5. 문화

오늘날 아르마비르 지역은 고대 아르메니아 문명의 주요 중심지로 여겨지는 많은 고고학 유적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여기에는 인근 정착지인 메차모르, 고대 아르마비르, 고대 아르기쉬티힐리가 포함된다.

현재 아르마비르는 일반적으로 "레드 클럽"으로 알려진 문화 센터가 있다. 또한 음악 학교, 예술 학교, 5개의 공공 도서관 및 극단이 있다. 도시 북동쪽에는 사립 동물원/식물원이 있다.

2016년에는 도시 설립 85주년을 기념했으며, 러시아아르마비르샤흐티에서 온 대표단이 참석했다.[9]

6. 교통

아르마비르시는 1927년부터 운영된 기차역을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예레반과 레닌칸/귬리를 잇는 철도 분기점 역할을 한다. 기차역은 2000년대에 재건축되었다. 2009년 11월, 아르마비르와 아라가차반역, 그리고 아르메니아 북서부를 연결하는 전기 기관차가 기차역에 도입되었다.[10]

이 도시는 또한 M-5 고속도로를 통해 예레반과 아르메니아 중부 지역과 연결된다. H-17 지방도로는 아르마비르를 귬리 및 아르메니아 북부의 다른 지역과 연결한다.

아르마비르 기차역

7. 경제

아르마비르는 도시 건설 이후 산업과 서비스의 중요한 중심지로 점차 발전해 왔다. 이 도시의 산업은 주로 식품 가공 및 건축 자재 생산에 기반을 두고 있다.

1928년에 문을 연 아르마비르 면 방적 공장은 이 도시의 최초 산업 시설이었다. 1943년에 문을 연 혹템베리안 통조림 공장은 소련에서 가장 큰 식품 가공 공장 중 하나였다. 예레반 브랜디 컴퍼니의 아르마비르 지점은 1966년부터 운영되어 왔다. 아르마비르 유리 공장은 공화국 전체를 위한 주요 유리 용기 생산업체이다. 도시 동부 교외에는 정수 시설이 있다.

아르마비르는 지방 중심지로서 현재 아르메니아에서 운영되는 여러 주요 은행의 지점이 있다.

아르마비르 공군 기지는 20세기 초에 도시 근처에 건설되었으며 소련 공군의 가장 큰 제트 조종사 훈련 센터 중 하나가 되었다.

8. 교육

2015년 기준으로, 아르마비르에는 공립 학교 10곳, 유치원 12곳, 중등 전문대학 2곳, 스포츠 학교 3곳, 특수 교육을 위한 학교 1곳이 있다. 아르마비르에는 또한 티그란 메츠 스포츠 및 군사 대학도 있다.[1]

아르마비르주 의료 센터도 이 도시에 위치해 있다.[1]

9. 스포츠

FC 아르마비르는 소련 시절 도시를 대표했던 축구 클럽이었다. 1965년 ''FC 세반 혹템베랸''으로 창단되었다. 소련 붕괴 후, FC 아르마비르는 주로 1990년대에 아르메니아 리그에 참가했다. 이 클럽은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2003년에 해체되었다. 이 클럽은 10,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주빌리 스타디움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1985년, 이 경기장은 소련이 주최한 FIFA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의 조별 리그 경기를 한 차례 개최했다. 현재는 아르마비르 축구 학교의 유소년 팀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2017년 2월, 아르메니아 축구 연맹은 아르마비르에 축구 아카데미 건설을 시작했다. 약 300만달러의 비용으로, 이 건설은 FFA, UEFA, 그리고 FIFA가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11] 2019년 10월까지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도, 무에타이, 삼보 그리고 태권도를 포함한 무술 또한 이 도시에서 인기가 있다.[12] 유도 시장 컵 토너먼트는 매년 아르마비르에서 개최된다.[13] 이 도시의 스포츠 학교는 2007년에 완전히 개조되었다.[14] 축구 클럽 아락스 아르마비르가 본거지로 삼고 있다.

10. 자매 도시

아르마비르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5][16][17]

국가도시
프랑스알로
러시아아르마비르
우크라이나페오도시야
러시아샤흐티
이란케르만


참조

[1] 웹사이트 The Main Results of RA Census 2022, trilingual / Armenian Statistical Service of Republic of Armenia https://www.armstat.[...] 2024-11-07
[2] 문서 2011 Armenia census, Armavir Province http://armstat.am/fi[...]
[3] 웹사이트 Արմավիրի մարզպետարան http://armavir.mtad.[...] 2020-07-21
[4] 지도 Caucasus Caucasus 1906 map https://collections.[...] Ordnance Survey Office, Great Britain
[5] 웹사이트 Armavir town http://www.officespa[...] 2016-02-06
[6] 웹사이트 WMO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Armavir-37787 https://www.nodc.noa[...] NOAA 2024-03-03
[7] 라디오 The church of Saint Gregory of Armavir was consecrated http://www.armradio.[...]
[8] 웹사이트 Արմավիրի թեմ http://armaviritem.a[...] Diocese of Armavir
[9] 라디오 Armavir is celebrating its 85th anniversary http://www.armradio.[...]
[10] 웹사이트 Նոյեմբերի 1-ին շահագործման կհանձնվի Արմավիր-Արագած ուղղությամբ երթեւեկող էլեկտրագնացքը https://armenpress.a[...] 2009-10-27
[11] 웹사이트 Working visit of President Serzh Sargsyan to Armavir marz - Domestic visits - Updates -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Armenia https://www.presiden[...]
[12] 웹사이트 ԱՄԵՆԱՀԻՆ ՍՊՈՐՏԱՁԵՎԵՐԻՑ ՄԵԿԸ ԶԱՐԳԱՆՈՒՄ Է ՆԱԵՎ ԱՐՄԱՎԻՐՈՒՄ https://alttv.am/%d5[...]
[13] 웹사이트 ԱՐՄԱՎԻՐԻ ՔԱՂԱՔԱՊԵՏԻ ԳԱՎԱԹ https://alttv.am/%d5[...]
[14] 웹사이트 Արմավիրի թիվ 1 մարզադպրոցի վերանորոգման աշխատանքներն ավարտման փուլում են https://armenpress.a[...] 2007-07-18
[15] 웹사이트 Կրկնակի տոն' մարզկենտրոն Արմավիրում http://armavir.mtad.[...] Ministry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Republic of Armenia 2020-07-02
[16] 웹사이트 Jumelage avec Armavir https://www.allauch.[...] Allauch 2020-07-02
[17] 웹사이트 О городе: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https://feogorod.ru/[...] Feodosia 2020-07-02
[18] 서적 Հայաստանի Պատմական Աշխարհագրություն (Historical Geography of Armenia) Yerevan State University Press
[19] 논문 Armawir http://poj.peeters-l[...] Revue des Études Arméniennes
[20] 서적 History of Armenia
[21] 서적 History of Armenia
[22] 백과사전 Jewish Encyclopedia
[23] 웹인용 Climate: Armavir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