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명은 어린 시절에 불리는 이름으로, 애칭이라고도 한다.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 사이에서 주로 사용되며, 아이의 출생 연월일시와 오행 사상에 따라 짓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서는 세대와 친밀도에 따라 이름 사용 방식이 다르며, 사회적 지위 향상 또는 개인적인 이유로 아명에서 정명으로 개명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명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 인명 - 호 (이름)
호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본명이나 자 외에 사용하는 별칭으로, 아호나 당호 등으로 나뉘며, 문인, 예술가, 정치인 등이 자신의 철학, 출신, 거주지 등을 반영하여 지었고 현대에는 필명이나 종교적인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 언어학에 관한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아명 | |
---|---|
이름 | |
한국어 | 아명 |
영어 | Milk name |
독일어 | Milchname |
중국어 | 奶 (nǎi) |
정의 및 특징 | |
설명 | 주로 가족 구성원이나 친척 내부에서 사용하는 아이의 이름 소명, 아자, 유명이라고도 함 아이가 어릴 때 부르는 이름 |
문화적 의미 | 인생의례의 중요한 관습 중 하나 |
사용 시기 | 유아기 |
기타 | |
사용 예시 | 어린 시절 별명 아이가 자란 후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음 |
2. 이름의 종류
중국 이름은 성을 제외하고 크게 '이름(名)', '자(字)', '경칭(敬称)', '시호(諡)', '호(号)'의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이 중 '이름(名)'에는 애칭(乳名)과 '정명(正名)'(대명·학명·서명·관명·족명)이 있으며, 정명은 공적으로 등록된 공식 이름[2]과 거의 같다.
애칭(乳名)은 아이가 태어난 연월일시를 바탕으로 점술가에게 오행(五行)이 갖춰져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한 요소를 보완하기 위해 짓기도 했다.[3] 예를 들어 루쉰의 소설 『고향(故郷)』에 나오는 등장인물 룬투는 오행 중 '토(土)'가 부족하여 아명에 '토(土)' 자를 넣었다. 또한, 신체적으로 약한 아이에게는 '석(石)', '구(狗)', '천(賤)' 등의 한자를 사용하여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기도 했다. 마오쩌둥의 어머니는 마오쩌둥에게 '스싼샤이즈(石三冴子)'(돌의 셋째 아이)라는 애칭을 지어 주었다.[4]
2. 1. 아명(兒名)
아명(兒名)은 애칭(乳名)이라고도 하며, 어린 시절에 불리는 이름이다. 주로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 사이에서 불렸다.아이의 출생 연월일시를 바탕으로 점술가에게 오행(五行)이 갖춰져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한 요소를 보완하기 위해 아명을 짓기도 했다.[3] 예를 들어, 루쉰(魯迅)의 소설 『고향(故郷)』에 나오는 등장인물 '룬투(閏土)'는 오행 중 '토(土)'가 부족하여 아명에 '토(土)' 자를 넣었다.[3]
또한, 신체적으로 약하거나 운이 나쁘다고 여겨지는 아이에게는 '석(石)', '구(狗)', '천(賤)' 등의 한자를 사용하여 '손이 많이 가지 않아도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아명을 짓기도 했다. 마오쩌둥(毛澤東)의 어머니는 마오쩌둥이 태어났을 때 근처 사찰에서 큰 돌을 '간냥(幹娘)'(의붓어머니)으로 받들고 '스싼샤이즈(石三冴子)'(돌의 셋째 아이)라는 아명을 지어주었다.[4]
같은 세대 사이에서는 어린 사람은 나이 많은 사람의 이름을 부르지 않고 친족 호칭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나이 많은 사람은 어린 사람을 이름이나 아명으로 불렀으며, 친족 호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농촌 지역에서는 아명과 정식 이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성장 후에도 아명이 정식 이름처럼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다.[5]
2. 2. 정명(正名)
정명(正名)은 호적에 등재되는 공식적인 이름으로, 사회생활에서 사용되는 이름이다.[2] 정명에는 대명, 학명, 서명, 관명, 족명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사회적 지위가 높아짐에 따라 어린 시절의 이름(유명)을 계속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4] 이런 경우 개명을 할 수 있는데, 18세 미만은 부모 또는 보호자가, 18세 이상은 본인이 호적 등기 기관에서 절차를 밟아 개명할 수 있다.[5]
개명 횟수에는 제한이 없지만, 첫 번째 개명은 비교적 쉽게 허가되지만, 두 번째 개명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호구등기조례 제18조에 규정된 법적 근거에 따라 신중하게 검토된다.[6]
3. 이름 사용 방식
중국에서는 세대와 친밀도에 따라 이름을 부르는 방식이 다르다. 같은 세대에서 나이가 어린 사람이 나이가 많은 사람의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고, 언니나 누나와 같은 친족 호칭을 사용한다. 나이가 많은 사람은 어린 사람의 이름이나 아명을 부르거나, 여동생과 같은 친족 호칭을 사용하기도 한다.[5]
4. 개명(改名)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거나 개인적인 이유로 아명에서 정식 이름으로 개명하는 경우가 있다. 중국에서는 18세 미만은 부모 또는 보호자가, 18세 이상은 본인이 직접 개명 절차를 밟을 수 있다.[6] 개명 횟수에 제한은 없지만, 두 번째 개명부터는 법적 근거에 따라 신중하게 검토된다.[6] 현대 중국에서는 개명 절차가 간소화되고 있으며, 개인의 자유로운 의사를 존중하는 추세이다.
참조
[1]
서적
文化語言学
遼寧教育出版社
[2]
텍스트
[3]
서적
魯迅選集
人民文学出版社
[4]
텍스트
[5]
서적
緯号
遼寧人民出版社
[6]
웹사이트
改名回数制限?
https://archive.is/2[...]
信州大学人文学部
2019-07-05
[7]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