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미리스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리스아과는 운향과에 속하는 아과 중 하나이다. 2012년, 2014년, 2021년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분류가 이루어졌으며, 2021년 Appelhans 등의 연구를 통해 여섯 개의 아과로 나뉘었다. 주요 속으로는 백선속, 초피나무속, 황벽나무속 등이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속들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1년 기재된 식물 - 석곡아과
    석곡아과는 난초과의 아과로 착생식물이며, 고등 석곡아과와 하등 석곡아과로 나뉘고, 열대 및 아열대 우림에서 주로 발견되며 CAM 대사 방식을 활용한다.
  • 1831년 기재된 식물 - 사스래나무
    사스래나무는 일본, 쿠릴 열도, 한반도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얇게 벗겨지는 껍질이 특징이며 과거 껍질에 글씨를 쓸 수 있어 '소우시칸바'라고도 불렸고 불쏘시개나 야구 배트 재료로도 활용된다.
  • 운향과 - 리모니아
    리모니아(우드애플)는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가 원산지인 높이 9m까지 자라는 큰 나무로, 감귤 향이 나는 잎과 단단한 껍질을 가진 열매를 맺으며, 열매는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주스, 잼 등으로 가공된다.
  • 운향과 - 황벽나무
    황벽나무는 아시아 북동부 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짙은 노란색 내피와 한약재 및 염료 사용, 특히 수피를 건조한 황백의 약용 효과, 그리고 목재 및 건강 보조 식품 활용이 특징이다.
아미리스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열매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열매
학명Amyridoideae
명명자Link, 1831
본문 참조
하위 분류
아미리스속 (Amyris)
아우게아속 (Augia)
바라이속 (Balsamodendrum)
보우세아속 (Bossea)
부르세라속 (Bursera)
세라티오라속 (Cneorum)
코미포라속 (Commiphora)
드테륨속 (Dheterium)
가르시아속 (Garcia)
이오니디움속 (Ionidium)
이룰레아속 (Irulea)
키르키아속 (Kirkia)
오케오데스속 (Ochiodes)
프로티움속 (Protium)
산톨리나속 (Santolina)
슈멜치아속 (Schmeltzia)
스테가노타에니아속 (Steganotaenia)
트리파시아속 (Triphasia)
위리아속 (Urias)
산톡실룸속 (Zanthoxylum)

2. 분류

운향과의 분류는 분자계통학적 방법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2012년 Groppo 등은 운향과를 작은 Cneoroideae 아과와 나머지 모든 속을 포함하는 매우 큰 Rutoideae ''s.l.'' 아과, 두 개의 아과로 나누었다. 이후 2014년 Morton과 Telmer는 Aurantioideae 아과를 새로 인정하고, 기존의 Rutoideae ''s.l.''을 더 작은 Rutoideae 아과와 Amyridoideae ''s.l.'' 아과로 분리했다. Amyridoideae ''s.l.'' 아과는 1896년 Engler가 Rutoideae 아과에 포함시켰던 대부분의 속을 포함하는 훨씬 큰 규모였다.

하지만 2021년까지 이루어진 분자계통학 연구들은 운향과 전체 속의 20%에서 40% 정도만을 표본으로 삼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2021년 Appelhans 등이 발표한 연구에서는 운향과 속의 거의 90%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분석했다. 이 연구는 2012년 Groppo 등이 제시했던 두 개의 주요 분기도는 대체로 유지했지만, Morton과 Telmer가 정의했던 Amyridoideae는 실제로는 여러 계통이 섞인 다계통군이고 기준 속인 아미리스( ''Amyris'')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Appelhans 등은 운향과를 총 6개의 아과로 나누었으며, 이 과정에서 아미리스아과(Amyridoideae)는 아미리스를 포함한 단 세 개의 속만을 포함하는 작은 아과로 새롭게 정의되었다.

2. 1. 하위 분류

아미리스아과에 포함되는 속은 다음과 같다. 한국 자생종을 포함한 상세 분류 및 설명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 백선속(''Dictamnus'' L.)
  • 초피나무속(''Zanthoxylum'' L.)
  • 황벽나무속(''Phellodendron'' Rupr.)
  • ''Adenandra'' Willd.
  • ''Amyris'' P.Browne
  • ''Calodendrum'' Thunb.
  • ''Casimiroa'' La Llave
  • ''Choisya'' Kunth
  • ''Chorilaena'' Endl.
  • ''Diplolaena'' R.Br.
  • ''Eriostemon'' Sm.
  • ''Flindersia'' R.Br.
  • ''Lunasia'' Blanco
  • ''Melicope'' J.R.Forst. & G.Forst.
  • ''Phebalium'' Vent.
  • ''Pilocarpus'' Vahl
  • ''Ravenia'' Vell.
  • ''Sarcomelicope'' Engl.
  • ''Skimmia'' Thunb.
  • ''Toddalia'' Juss.

2. 1. 1. 주요 속 (한국에 자생하는 속)


  • 백선속(''Dictamnus'' L.)
  • 초피나무속(''Zanthoxylum'' L.)
  • 황벽나무속(''Phellodendron'' Rupr.)

2. 1. 2. 기타 속


  • ''Adenandra'' Willd.
  • 아미리스(''Amyris'' P.Browne)
  • ''Calodendrum'' Thunb.
  • ''Casimiroa'' La Llave
  • ''Choisya'' Kunth
  • ''Chorilaena'' Endl.
  • 크네오리디움(''Cneoridium'' Hook.f.)
  • ''Diplolaena'' R.Br.
  • ''Eriostemon'' Sm.
  • ''Flindersia'' R.Br.
  • ''Lunasia'' Blanco
  • ''Melicope'' J.R.Forst. & G.Forst.
  • ''Phebalium'' Vent.
  • ''Pilocarpus'' Vahl
  • ''Ravenia'' Vell.
  • ''Sarcomelicope'' Engl.
  • ''Skimmia'' Thunb.
  • 스타우란투스(''Stauranthus'' Liebm.)
  • ''Toddalia'' Juss.


2021년 운향과를 아과로 분류한 연구 결과에서는 이 중 아미리스( ''Amyris'' P.Browne), 크네오리디움( ''Cneoridium'' Hook.f.), 스타우란투스( ''Stauranthus'' Liebm.) 속이 인정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