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로 강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트로 강가는 1972년 일본에서 방영된 최초의 컬러 슈퍼 로봇 애니메이션으로, 마징가 Z보다 먼저 방영되었다. 지구인과 칸타로스 별인의 혼혈인 소년 칸타로가 어머니가 남긴 '살아있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거대 로봇 간가와 융합하여 지구를 침략하는 블래스터 성인에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간가는 자아를 가지고 있으며, 칸타로와 합체하여 능력을 발휘한다. 1978년 대한민국에서 "짱가의 우주전쟁"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어 큰 인기를 얻었으며, 한국 로봇 애니메이션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독수리 오형제
《독수리 오형제》는 지구 정복을 노리는 비밀 결사 개랙터에 맞서는 5명의 소년 소녀 혼성 특공대의 활약을 그린 1970년대 TV 애니메이션으로, 혁신적인 시도와 사회 문제 반영, 그리고 시대를 초월하는 주제로 주목받으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다. - 1972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데빌맨
인간의 마음을 가진 악마 데빌맨의 이야기를 그린 나가이 고의 만화 시리즈는 평범한 소년 후도 아키라가 악마 아몬과 합체하여 지구를 침략하려는 악마에 맞서 싸우는 내용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1972년 애니메이션 - 오바케의 Q 타로
《오바케의 Q 타로》는 후지코 F. 후지오의 만화로, 개를 무서워하는 귀신 Q타로와 인간 친구 쇼타의 코믹한 일상을 그린 작품이며, 애니메이션 방영으로 큰 인기를 얻고 후대 작품에 영향을 주는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지속적인 인기를 누리다 절판 후 복간되었다. - 1972년 애니메이션 - 사자에상
하세가와 마치코가 1946년부터 1974년까지 연재한 만화 사자에상은 전후 일본 사회를 배경으로 이소노 가족의 일상을 그린 작품이자, 장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최장수 애니메이션 TV 시리즈"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될 정도로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973년 애니메이션 - 사자에상
하세가와 마치코가 1946년부터 1974년까지 연재한 만화 사자에상은 전후 일본 사회를 배경으로 이소노 가족의 일상을 그린 작품이자, 장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최장수 애니메이션 TV 시리즈"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될 정도로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973년 애니메이션 - 신조인간 캐산
1973년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제작된 TV 애니메이션 신조인간 캐산은 공해 처리 로봇이 자아를 얻어 인류에 반기를 들자, 아즈마 코타로 박사의 아들 테츠야가 신조인간 캐산으로 변신하여 로봇 군단에 맞서 싸우는 내용으로, 공해 문제를 반영한 스토리가 특징이며 이후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아스트로 강가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원제 (일본어) | アストロガンガー (Asutorogangā) |
장르 | 메카 |
애니메이션 정보 | |
종류 | TV 시리즈 |
감독 | 요시카타 닛타 |
프로듀서 | 사이조 가츠마로 후지 켄스케 (NTV) |
각본 | 다무라 타츠오 |
음악 | 고모리 아키히로 |
제작사 | 나크 프로덕션 |
라이선스 | 디스코텍 미디어 (북미) |
방송사 | NNS (NTV) |
방송 기간 | 1972년 10월 4일 ~ 1973년 3월 28일 |
회차 | 26화 |
추가 정보 | |
원작 | 스즈카와 테츠히사 |
시리즈 구성 | 다무라 타츠오 |
각본가 | 다무라 타츠오 마시마 미츠루 곤노 레이코 안도 도요히로 모가키 히로미치 |
캐릭터 디자인 | 다나카 에이지 |
음악 | 고모리 아키히로 |
애니메이션 제작 | 나크 |
제작 | 센코샤、나크 |
방송국 | 일본 TV 계열 |
2. 제작 배경
1970년대 초, 일본 애니메이션 계는 거대 로봇 장르가 막 시작되던 시기였다. 아스트로 강가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탄생한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 초기 기획은 소년이 헬리콥터를 통해 거대 로봇과 합체하는 방식이었다.[4] 그러나 "메카닉적인 취급은 안 된다, 로봇은 살아있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생물로 하라"는 요구에 따라, 소년이 하늘을 날아가 로봇에 녹아드는 변신물과 같은 형태로 설정이 변경되었다.[4]
마징가 Z보다 2개월 먼저 방영을 시작하여, 사람이 거대 로봇에 들어가 적과 싸우는 SF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마징가 Z 이후의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처럼 주인공이 로봇에 탑승하여 조종하는 형태가 아니라, "살아있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의지를 가진 로봇 짱가(간가)에 주인공 칸타로가 융합하여 능력을 발휘하는 설정이다. 의지를 가진 거대 로봇, 주인공과 육체적으로 융합하는 거대 로봇은 각각 다른 작품에도 있었지만, 두 가지 설정을 모두 갖춘 작품은 본작뿐이어서,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 계보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2. 1. 제작진
성우는 일본판 기준이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3. 2. 블래스터 성인
4. 줄거리
생물이 사는 행성의 산소와 녹지를 노리고 환경을 파괴하는 블래스터 성인의 공격으로 우주에서는 평화로운 행성이 잇따라 멸망하고 있었다.[1]
블래스터 성인에게 멸망한 칸타로스성의 여성 과학자 마야는 '살아있는 금속'을 가지고 지구로 탈출했다.[1] 마야는 지구인인 호시 박사를 만나 두 사람 사이에 아들 칸타로가 태어난다.[1] 블래스터 성인이 지구를 노릴 것을 예견한 마야는 '살아있는 금속'을 해저 화산의 에너지로 성장시켜 거대 로봇 강가를 탄생시켰다.[1] 그러나 탈출할 때 맞은 블래스터 성인의 광선에 의한 후유증으로 마야는 호시 박사에게 칸타로의 미래와 강가를 맡기고 숨을 거둔다.[1]
칸타로스성 괴멸로부터 10년 후, 블래스터 성인은 지구를 다음 목표로 정하고 행동을 개시했지만, 괴사건의 배후가 블래스터 성인임을 주장하는 호시 박사의 주장은 세상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 칸타로는 강가와 일체화하여 지구를 지키기 위한 싸움을 시작한다.[1]
최종화에서는 주인공 칸타로와 칸타로의 여자친구 하야카와 리에를 가슴에 있는 펜던트 모양의 원반에 태워 지구로 탈출시키고 자폭으로 블래스터 성인을 멸망시킨다.[2]
5. 특징
마징가 Z보다 2개월 먼저 방영된 작품으로, 인간이 거대 로봇에 들어가 적과 싸운다는 점에서 마징가 Z와 함께 SF 애니메이션 방송의 시초로 여겨진다. 그러나 마징가 Z 이후의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들이 주인공이 로봇에 탑승해 조종하는 형식을 취하는 반면, 아스트로 강가는 의지를 가진 로봇 짱가에 주인공 호시노 칸타로가 '융합'하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한다는 독특한 설정을 가지고 있다.[1]
짱가는 "살아있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의지를 가진 로봇으로, 인간과 교감하고 고통을 느끼는 등 감정적인 면모를 보인다. 짱가는 단순한 로봇이 아니라, 인간과 교감하고 함께 성장하는 존재임을 보여준다.
짱가는 특별한 능력은 없으며, 격투전을 주된 전투 방식으로 사용한다.[1] 짱가는 단순한 전투 기계가 아니라 정의를 위해 싸우는 영웅적인 존재임을 나타내며, 자신의 힘과 격투 기술을 활용하여 적과 싸운다.
원래는 "소년이 헬리콥터 같은 탈것으로 거대 로봇과 합체하여 조종한다"는 설정이었으나, "메카닉적인 취급은 안 된다, 로봇은 살아있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생물로 하라, 합체도 메카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소년이 하늘을 날아가 녹아들도록 하라"는 요구에 따라 당시 유행하던 변신물로 변경되어, 여러 메커니즘이 폐기되었다.[4]
6. 용어
- '''살아있는 금속''' : 칸타로스 별에서 채취되는 의지를 가진 생체 금속으로, 열로 성장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4]
- '''칸타로스 별''' : 마야의 고향으로, 지구보다 뛰어난 과학력을 가진 별이었지만 블래스터 성인에 의해 멸망한다.[4]
- '''블래스터 성인''' : 생명 유지를 위해 대량의 산소와 엽록소가 필요하여, 그것을 찾아 수많은 별을 멸망시켜 온 본작의 적대 세력이다. 이마에 숫자가 적혀 있으며, 숫자가 작을수록 상위 존재이다.[4] 우주 정거장을 본거지로 지구를 공격해 오며, 블래스터 별을 버리고 부대마다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듯하다.[4] 이들은 혼자 또는 수 명으로 합체하거나, 우주선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로봇으로 변신하거나, 그대로 거대화하거나, 갑옷과 같은 것을 착용하고 강가와 싸우거나, 로봇을 제조하여 블래스터 성인 중 누군가가 융합하여 싸우기도 했다. 그 외 우주 생물을 붙잡아 개조한 괴수를 사용하기도 했다.[4] 그 외 전력으로는 번개 모양의 광선을 발사하는 소형 원반이 양산되고 있다.[4]
- '''국제 과학 경찰''' : 지구 방위 조직으로, 통칭은 "ISP"이다. 전투기, 전투함, 전차, 핵 미사일 등 무장은 풍부하지만, 블래스터에게는 거의 속수무책이었다.[4]
7. 한국에서의 방영 및 영향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전 대한민국에서는 1978년 8월 26일부터 10월 14일까지 동양방송(TBC)에서 '쨩가의 우주전쟁'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일본에서의 존재감은 희미하지만, 한국에서는 태권V, 마징가 Z와 함께 인지도가 매우 높은 작품으로, 이후 여러 번 재방송되었다.
한국 드라마 '메리 & 대구, 공방전', '별을 쏘다', '싱글 파파는 열애중' 등에서 현지어 버전 주제가가 사용되었고, 소녀시대가 신한은행 신용카드 광고에서 개사하여 커버했다.
이 애니메이션은 황금박쥐, 요괴인간 벰과 달리 순수한 일본 작품으로, 동양방송은 한국어로 더빙하여 방송만 했다.[1]
7. 1. 한국 방영
1978년 8월 26일부터 10월 14일까지 동양방송(TBC)에서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55분에 '짱가의 우주전쟁'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미즈키 이치로의 원곡을 번안하여 별셋이 주제가를 불렀다. 적은 화수에도 불구하고 큰 인기를 얻어, 후속 프로그램으로 방송된 일본의 '그레이트 마징가'는 원작과 아무런 관계가 없었음에도 캐릭터의 이름을 동일하게 하여 속편임을 암시할 정도였다.[1] 이는 당시 MBC에서 방영되던 원래 전작인 '마징가 Z'와의 차별화를 강조하기 위해서였다.[1]이 애니메이션은 '황금박쥐'나 '요괴인간 벰'과 달리 순수한 일본 작품으로, 동양방송은 한국어로 더빙하여 방송만 했다.[1]
7. 2.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짱가는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마징가 Z, 태권 V와 함께 한국 로봇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후속 프로그램으로 방영된 그레이트 마징가는 원작과 관계없이 '짱가'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짱가의 인기를 이용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당시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야당에서 제기한 문제로,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애니메이션의 설정을 무분별하게 차용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이다. 여러 한국 드라마와 광고에서 짱가의 주제가가 사용되는 등 대중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동제약에서 짱가 방영 시 제공 시보를 맡았다.8. 평가
جونكرar는 중동에서 ''아스트로 강가''라는 이름으로 매우 인기가 있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아스트로간가, 스페인에서는 아스트로 군가로 방영되었다.[2] 같은 제작진은 악명 높은 ''차지맨 켄!''을 제작하기도 했다. ''아스트로 강가''는 때때로 "너무 못 만들어서 재밌다"는 평을 듣기도 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Astroganga (in Italian)
http://www.encirobot[...]
2014-02-19
[2]
웹사이트
Get the Knack, ''Let's Anime: Classic Japanese Animation 1960-1990''
http://letsanime.blo[...]
2014-02-19
[3]
DVD
宣弘社フォトニクル
디지털울트라프로젝트
2015-09-18
[4]
서적
青春アニメ・グラフィティ テレビ編
集英社文庫
1981
[5]
Youtube
"#アストロガンガー 第1話「行くぞ ガンガー」〈リマスター版〉全26話配信中"
https://www.youtube.[...]
[6]
서적
53年度版全怪獣怪人大百科
케이ブン샤
1978
[7]
문서
第24話「あの胸のペンダントを狙え!」
[8]
문서
DVDパッケージ裏に記載あり。
[9]
뉴스
毎日新聞テレビ欄
1973-01-03
[10]
뉴스
北海道新聞テレビ欄
1973-03
[11]
뉴스
河北新報テレビ欄
1973-07-29
[12]
뉴스
河北新報テレビ欄
1972-10-04
[13]
뉴스
河北新報テレビ欄
1973-07-11
[14]
뉴스
河北新報テレビ欄
1973-07-05
[15]
뉴스
福島民報テレビ欄
1974-02-18
[16]
뉴스
新潟日報テレビ欄
1973-07
[17]
뉴스
信濃毎日新聞テレビ欄
1973-02
[18]
뉴스
静岡新聞テレビ欄
1973-02
[19]
뉴스
熊本日日新聞テレビ欄
1973-02
[20]
뉴스
大分合同新聞テレビ欄
1973-02
[21]
뉴스
熊本日日新聞テレビ欄
1973-07
[22]
Youtube
2020年12月23日発売「アストロガンガー 」Blu-ray
https://www.youtube.[...]
[23]
웹사이트
知っていますか?最終回でシリア国民を号泣させた日本のアニメ
https://jbpress.isme[...]
jbpress
2022-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