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제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일동제약은 1939년 삼양공사로 설립되어 194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제약 회사이다. 유아용 유산균 영양제 비오비타, 활성지속성 비타민 아로나민 등을 개발, 판매하며, 1970년대부터 전문의약품 개발을 시작했다. 2016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었으며,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의약외품, 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6년 해체된 기업 -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은 2015년 삼성탈레스가 한화그룹에 인수된 후 2018년 한화S&C와 합병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방위산업 및 IT 서비스 기업으로, 레이다, 지휘 통제 체계, 위성 통신 체계 등 방산 기술 개발 및 관련 장비 개발과 IT 서비스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 2016년 해체된 기업 - SPC삼립
SPC삼립은 1945년 상미당으로 시작하여 1968년 삼립식품공업주식회사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호빵 출시, 파리크라상 인수 등을 거쳐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6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고 포켓몬빵을 재출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 1941년 설립된 기업 - 종근당
종근당은 1941년 이종근이 설립하여 1968년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한국 제약 회사로, 2013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후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힘쓰고 있다. - 1941년 설립된 기업 -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는 1860년 시작되어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회사이며, 금융 위기 당시 비판을 받았고 국가 신용등급 평가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제약 기업 -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및 위탁개발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제약회사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며 자체 기술 플랫폼 구축과 ESG 경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제약 기업 - 종근당
종근당은 1941년 이종근이 설립하여 1968년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한국 제약 회사로, 2013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후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힘쓰고 있다.
일동제약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일동제약㈜ |
원어 | Ildong Pharmacautical Co.,LTD.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최초 설립일) |
창립자 | 일동 윤호근 |
이전 회사 | 1939년 (삼양공사(三陽公司) 설립년도)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27길 2 (양재동) |
대표자 | 윤웅섭 (대표) |
산업 | 제약회사 |
대표 제품 |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
모기업 | 일동홀딩스 |
슬로건 | 국민건강연구소 |
웹사이트 | 일동제약 홈페이지 |
자회사 |
2. 연혁
- 1939년 '''삼양공사'''(三陽公司)로 설립[1]
- 1941년 3월 14일 '''극동제약'''으로 설립[1]
- 1942년 5월 1일 상호명을 '''극동제약'''에서 '''일동제약'''으로 변경
- 1959년 8월 유아용 유산균 영양제 비오비타 발매
- 1963년 7월 활성지속성 비타민 '아로나민' 생산 및 발매
- 1966년 일동제약 사가 제정
- 1969년 일동제약 도봉공장 준공
- 1970년 아로나민골드 발매[1]
- 1971년 기술제휴를 통한 본격적인 전문의약품 개발 시작[1]
- 1972년 미국 와이어스제약과 기술제휴, 아로나민 국내최초 캠페인 광고 '의지의 한국인' 시리즈[1]
- 1973년 미국 와이어스제약이 개발한 암포젤엠 발매, 치료제 전문메이커 발판 구축[1]
- 1975년 고단위 종합영양제 바이팍스 발매, 자본금 10억 원으로 기업 공개[1]
- 1976년 미국 화이트홀사와 사업제휴, 총판계약 체결, 푸레파레숀H 수입발매, 충청북도 청주시에 원료생산공장 준공[1]
- 1979년 신경통 치료제 인도펜 발매[1]
- 1981년 일본 시오노기사와 사업제휴
- 1982년 중앙연구소 설립, 시오마린 제조 및 발매[1]
- 1986년 큐란(라니티딘염산염) 발매, 라니티딘염산염 3년간 보호지정[1]
- 1987년 생산시설을 도봉공장에서 경기도 안성시 GMP공장 완공 및 이전[1]
- 1988년 안성 KGMP 적격업소 지정[1]
- 1991년 말초혈액순환 개선 치료제 헬파 발매[1]
- 1993년 3종 유산균 정장제 락토메드정 발매, 큐란300 발매[1]
- 1994년 아로나민골드 미국 수출[1]
- 1996년 현재의 CI 사용[1]
- 2009년 비오비타 탄생 50주년[1]
- 2011년 창립 70주년[1]
- 2013년 독일 바이엘와 일반의약품 전제품 판매계약 체결
- 2016년 지주회사 분할 (일동홀딩스:존속분할 및 일동제약:신설법인)[1]
- 2018년 카카오프렌즈와 협력, '푸레파인' 출시[1]
- 2019년 창립 78주년 기념
- 2020년 비오비타 재출시[1]
- 2021년 창립 81주년 기념
- 2023년 유노피아 분할[1]
2. 1. 회사 설립 및 초기 성장 (1939년 ~ 1960년대)
1939년 '''삼양공사'''(三陽公司)로 설립되었으며, 1941년 3월 14일 '''극동제약'''으로 다시 설립되었다.[1] 1942년 5월 1일 상호명을 '''극동제약'''에서 '''일동제약'''으로 변경하였다. 1959년 8월 유아용 유산균 영양제 비오비타를 발매하였고, 1963년 7월 활성지속성 비타민 '아로나민'을 생산 및 발매하였다. 1966년 일동제약 사가가 제정되었고, 1969년 일동제약 도봉공장이 준공되었다.2. 2. 제품 개발 및 사업 확장 (1970년대 ~ 1990년대)
1970년 활성비타민 아로나민골드를 발매했다.[1] 1971년에는 기술 제휴를 통해 본격적으로 전문의약품 개발을 시작했다.[1] 1972년에는 미국 와이어스제약과 기술 제휴를 맺고, 아로나민 국내 최초 캠페인 광고인 '의지의 한국인' 시리즈를 시작했다.[1]1973년에는 미국 와이어스제약이 개발한 위장약 암포젤엠을 비롯해 아티반, 오부라 0.25, 옥사인 엠 등을 생산 판매하며 치료제 전문 메이커로서의 발판을 구축했다.[1] 1975년에는 고단위 종합영양제 바이팍스를 발매하고, 자본금 10억 원으로 기업을 공개했다.[1]
1976년에는 미국 화이트홀사와 사업 제휴 및 총판 계약을 체결하고, 화이트홀사가 개발한 치질 치료제 푸레파레숀H를 수입 발매했다.[1] 같은 해 충청북도 청주시에 원료 생산 공장을 준공했다.[1] 1979년에는 신경통 치료제 인도펜을 발매했다.[1]
1982년에는 중앙연구소를 설립하고, 옥사세펨계 항생물질제제인 시오마린을 제조, 발매했다.[1] 1986년에는 소화성 궤양 치료제 큐란(라니티딘염산염)을 발매하고, 궤양 치료제 원료인 라니티딘염산염은 3년간 보호 지정되었다.[1]
1987년에는 기존의 생산 시설을 도봉공장에서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GMP 공장으로 완공 및 이전했다.[1] 1988년에는 안성 GMP 공장이 적격 업소로 지정되었다.[1] 1991년에는 말초혈액순환 개선 치료제 헬파를 발매했다.[1]
1993년에는 3종 유산균 정장제 락토메드정을 발매하고, 위궤양 1일 1회 요법 치료제 큐란300을 발매했다.[1] 1994년에는 아로나민골드를 미국에 수출했다.[1]
2. 3. CI 변경 및 지주회사 전환 (2000년대 ~ 현재)
일동제약은 1996년부터 현재의 CI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 2009년에는 대표적인 유아용 유산균 영양제인 비오비타가 탄생 50주년을 맞았고,[1] 2011년에는 창립 70주년을 맞이했다.[1]2016년, 일동제약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며 일동홀딩스 (존속 법인)와 일동제약 (신설 법인)으로 분할되었다.[1] 2018년에는 카카오프렌즈와 협력하여 제품을 출시하고,[1] 새로운 치질 치료제 '푸레파인'을 출시했다.[1] 2020년에는 비오비타를 재출시하며[1] 유산균 제품군을 강화했다. 2023년에는 유노피아를 분할했다.[1]
3. 제품
일동제약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제품명 |
---|---|
일반의약품 | 아로나민 시리즈 (아로나민골드, 씨플러스, 씨플러스미니, 실버프리미엄, 아이, 이엑스, 케어디엠, 케어싸이, 케어콤플렉스), 아로민, 큐란정75mg, 암포젤정, 푸레파인 (연고, 좌제), 푸레파베인캡슐, 캐롤 시리즈 (캐롤시럽, 캐롤디, 캐롤에프, 캐롤엔), 케노펜겔, 프로디펜, 엑세라민, 일동폴산정, 다온정 |
전문의약품 | 판토메드주사, 히알큐점안액 (1회용, 다회용), 에펙신 (안연고, 점안액), 모티리톤 |
의약외품 | 메디터치, 케어리브, 잡스 (제조사: ㈜팜클) |
식품 | 비오비타, 마이니 콜라겐 구미, 생생톡톡 비타C, 아로골드 (아로골드D, 아로골드D플러스, 아로골드Mg, 아로골드KIDS) |
건강기능식품 | 지큐랩 콜라겐 유산균C, 지큐랩시리즈 (베베, 키즈, 비피도플러스, 데일리, 키즈츄어블정), 마이니 지큐랩 알에이치티/마이니 지큐랩 알에이치티 키즈, 하이락토시리즈 (하이락토, 키즈, 키즈츄어블정) |
3. 1. 일반의약품
- 아로나민 시리즈 (아로나민골드, 씨플러스, 씨플러스미니, 실버프리미엄, 아이, 이엑스, 케어디엠, 케어싸이, 케어콤플렉스)
- 아로민
- 큐란정75mg
- 암포젤정
- 푸레파인 (연고, 좌제)
- 푸레파베인캡슐
- 캐롤 시리즈 (캐롤시럽, 캐롤디, 캐롤에프, 캐롤엔)
- 케노펜겔
- 프로디펜
- 엑세라민
- 일동폴산정
- 다온정
3. 2. 전문의약품
- 판토메드주사
- 히알큐점안액 (1회용, 다회용)
- 에펙신 (안연고, 점안액)
- 모티리톤
3. 3. 기타 제품
구분 | 제품명 |
---|---|
의약외품 | 메디터치, 케어리브, 잡스 (제조사: ㈜팜클) |
식품 | 비오비타, 마이니 콜라겐 구미, 생생톡톡 비타C, 아로골드 (아로골드D, 아로골드D플러스, 아로골드Mg, 아로골드KIDS) |
건강기능식품 | 지큐랩 콜라겐 유산균C, 지큐랩시리즈 (베베, 키즈, 비피도플러스, 데일리, 키즈츄어블정), 마이니 지큐랩 알에이치티/마이니 지큐랩 알에이치티 키즈, 하이락토시리즈 (하이락토, 키즈, 키즈츄어블정) |
4. 본사 및 사업장
5. 단종 제품
- 나나콜
- 후라베린
- 펜타민
- 세라본
- 크로비탈
- 트랑키
- 탄보닝
- 네오탄보닝
- 비오티스
- 시메코
- 펜타인
- 오부라0.25
- 암포젤.엠
- 인도펜
- 푸레파레숀H
- 일동데노렉스액
- 암포젤엠현탁액
- 헬파
- 락토메드
- 락토큐 (과립, 정)
- 캐롤에프 시럽
- 지큐랩에스
- 관절엔
- 나트라케어 (바디와이즈아시아로 판매이관)
- 가스피스더블액션
- 엣센비타골드
- 화이투벤 (셀트리온제약으로 판매이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