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은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연결하는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이다. 라오스에서는 비엔티안에서 시작하여 붕캄 국경 검문소까지 823km 구간을 지나며, 국도 제13호선을 따른다. 캄보디아에서는 770km 구간으로, 동 깔로르에서 스쿤, 스쿤에서 프놈펜, 프놈펜에서 시하누크빌을 연결하며, 7번, 6번, 4번 국도를 지난다. 주요 분기점으로는 비엔티안에서 아시안 하이웨이 12호선, 타케크에서 아시안 하이웨이 15호선, 세노에서 아시안 하이웨이 16호선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은 아시아 국가 간 도로망 연결을 통해 국제 교류와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국제 프로젝트로, 러시아, 몽골, 중국, 라오스, 태국, 미얀마를 잇는 국제 도로망이며, 동남아시아 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환경 문제, 사회적 불평등 심화, 중국의 영향력 확대 등 쟁점도 존재한다.
  • 라오스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12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2호선은 라오스와 태국을 잇는 총 684km의 간선 도로망으로, 라오스 구간은 국도 13호선을 따라 나투이에서 비엔티안까지, 태국 구간은 국도 2호선과 1호선을 따라 농카이에서 사라부리까지 연결되어 두 나라 주요 도시를 잇고 아시안 하이웨이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캄보디아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은 아시아를 동서로 연결하는 총 연장 20,577km의 국제 간선도로망으로, 여러 국가를 거치며 경제 발전과 국제 교류에 기여하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캄보디아의 도로 - 국도 제142호선 (캄보디아)
  • 아시안 하이웨이 -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AH6)은 부산에서 크라스닌스키군까지 이어지는 아시아 고속도로망의 일부로, 남북 관계 단절로 한국과 북한 구간은 연결되지 않았으며,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을 거쳐 1만km가 넘는 경로를 포함하지만, 여러 문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다.
  • 아시안 하이웨이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은 아시아를 동서로 연결하는 총 연장 20,577km의 국제 간선도로망으로, 여러 국가를 거치며 경제 발전과 국제 교류에 기여하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종류아시아 하이웨이
노선 번호11호선
총 연장1567km
주요 경유 국가라오스
캄보디아
노선 정보
기점라오스 비엔티안 (AH12와 접속)
종점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주요 경유지 (라오스)
주요 경유지 (캄보디아)
연결 노선
기타
관련 정보(대 메콩 권 경제 회랑)
AH11 노선 상의 메콩 강을 가로지르는 키즈나 다리 항공 사진
키즈나 다리: 메콩강 횡단.

2. 주요 경유지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은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경유한다. 라오스 구간은 비엔티안에서 비엥캄까지 아시안 하이웨이 15호선과 겹치며, 타켁에서 분기하여 세노 (아시안 하이웨이 16호선과 교차)를 거쳐 분캄까지 이어진다. 캄보디아 구간은 7번 국도를 따라 동 깔로르에서 스쿤까지, 6번 국도를 따라 스쿤에서 프놈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과 교차)까지, 4번 국도를 따라 프놈펜에서 시하누크빌까지 이어진다.[3][4][5]

2. 1. 라오스

국도 제13호선비엔티안에서 비엥 캄까지는 아시안 하이웨이 15호선과 구간이 동일하며, 타케크부터는 구간이 달라진다. 이후 세노에서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과 3km 구간을 병행한다.[3][4]

총 연장은 823km이다.[6]

2. 2. 캄보디아

3. 노선 구성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은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경유한다. 라오스 구간은 국도 제13호선의 일부로, 비엔티안에서 비엥캄까지 아시안 하이웨이 15호선과 겹치고, 타켁을 거쳐 세노에서 아시안 하이웨이 16호선과 3km 겹친 후 분캄까지 이어진다.[3][4] 캄보디아 구간은 동 깔로르에서 스쿤까지 7번 국도, 스쿤에서 프놈펜까지 6번 국도, 프놈펜에서 시하누크빌까지 4번 국도로 구성된다.[5]

3. 1. 라오스

국도 제13호선 : 비엔티안 ~ 비엥캄(아시안 하이웨이 15호선과 구간 동일) ~ 타케크(아시안 하이웨이 15호선과 구간 동일하지 않음) ~ 세노(아시안 하이웨이 16호선과 3km 병행)[3][4]

구간 연장 823km[6]

3. 2. 캄보디아

4. 분기점

13번 국도비엔티안에서 비엥캄(AH15와 중복 구간 시작), 타켁(AH15와 중복 구간 종료)을 거쳐 세노(AH11과 3km 중복 구간)을 지나 분캄까지 이어진다.[3][4]

4. 1. 라오스

4. 2. 캄보디아

7번 국도: 동 깔로르 - 스쿤[5]

6번 국도: 스쿤 - 프놈펜 (AH1)

4번 국도: 프놈펜 - 시하누크빌

참조

[1] 웹사이트 Asian Highway Handbook https://www.unescap.[...] 2014-12-21
[2] 웹사이트 Asian Highway Route Map https://www.unescap.[...] 2018-12-21
[3] 웹사이트 Asian Highway Database - Country wise https://www.unescap.[...] 2018-12-21
[4] 웹사이트 Asian Highway route map in Laos https://web.archive.[...] 2018-12-21
[5] 웹사이트 Asian Highway route map in Cambodia https://web.archive.[...] 2018-12-21
[6] 웹사이트 Asian Highway Databas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http://www.unescap.o[...] 国連アジア太平洋経済社会委員会 2010-01-01
[7] 웹사이트 Asian Highway Database (Cambodia) http://www.unescap.o[...] 国連アジア太平洋経済社会委員会 2017-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