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AH3)은 러시아, 몽골, 중국, 라오스, 태국, 미얀마를 연결하는 국제 고속도로이다. 러시아 울란우데에서 시작하여 몽골, 중국을 거쳐 라오스, 태국을 지나 미얀마 껠통까지 이어진다. 중국 내 구간은 총 3,926km로, 베이징, 톈진, 상하이, 쿤밍 등을 경유한다. 라오스 구간은 244km, 태국 구간은 117km이며, 미얀마 구간은 AH2와 겹치는 93km이다. 1993년부터 아시아 개발 은행(ADB) 주도로 추진된 남북 회랑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라오스 북서부를 통과하여 중국과 태국을 연결하는 데 9,580만 달러가 투입되었다. 그러나 제4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 건설 지연, 중국산 제품 유입에 따른 태국 북부 지역의 빈곤 심화, 이주민 문제, 환경 문제 등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4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4호선은 러시아에서 시작하여 몽골, 중국을 거쳐 파키스탄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험준한 지형을 통과하며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활로를 제공하고 한국도 협력하고 있다.
  • 몽골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32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32호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몽골을 통과하며, 라선시에서 시작하여 몽골 허브드까지 총 3,651km 구간을 연결하는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이다.
  • 미얀마의 도로 - 마하반둘라 가든 거리
  • 미얀마의 도로 - 마하반둘라 도로
  • 라오스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12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2호선은 라오스와 태국을 잇는 총 684km의 간선 도로망으로, 라오스 구간은 국도 13호선을 따라 나투이에서 비엔티안까지, 태국 구간은 국도 2호선과 1호선을 따라 농카이에서 사라부리까지 연결되어 두 나라 주요 도시를 잇고 아시안 하이웨이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라오스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은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잇는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으로, 라오스에서는 비엔티안에서 시작하여 붕캄 국경 검문소까지, 캄보디아에서는 동 깔로르에서 시하누크빌까지 연결한다.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종류아시아 하이웨이
노선 번호AH3
총 길이7,331 km
노선도
아시아 하이웨이 3호선 노선도
아시아 하이웨이 3호선 노선도
노선 정보
기점러시아부랴트 공화국울란우데 (AH6과 연결)
종점태국치앙라이 주치앙라이
미얀마샨 주켕퉁
(두 곳 모두 AH2와 연결)
주요 경유 국가
연결 노선
이전 노선AH2
다음 노선AH4

2. 경유지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은 러시아를 시점으로, 몽골, 중화인민공화국, 라오스, 태국, 미얀마를 경유한다.


  • 러시아 - A165 고속도로를 통해 울란우데에서 캬흐타를 거쳐 몽골 국경까지 이어진다.
  • 몽골 - 알탄불라그에서 자멘우드까지 이어진다.
  • 중화인민공화국 - 얼광 고속도로(G55), 징짱 고속도로(G6), 징후 고속도로(G2) 등을 경유하여 베이징 시에서 상하이 시를 거쳐 모한 통상구까지 이어진다. 톈진에서 상하이 사이 구간은 육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 라오스 - 13번 국도와 3번 국도를 이용하여 보텐에서 반후아이사이를 거쳐 제4 라오스-태국 우호의 다리까지 이어진다.
  • 태국 - 제4 태국-라오스 우정의 다리를 건너 치앙콩에서 시작하여 치앙라이에서 끝난다.
  • 미얀마 - 쩌이퉁까지 이어지며, 해당 지점에서 AH2과 연결된다.

2. 1. 러시아

러시아에서는 A165 고속도로를 통해 울란우데에서 캬흐타까지 이어지며, 총 연장은 219km이다.[6] 이 도로는 몽골 국경까지 연결된다.

2. 2. 몽골

알탄불라그 - 수흐바타르 - 다르항 - 울란바토르 - 날라이흐 - 초이르 - 사인샨드 - 자멘우드 구간으로 총 연장은 1,041km이다.[6]

2. 3. 중국

중국 관통 구간은 총 3926km이다.[6] 톈진에서 상하이 사이 구간은 육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G2 및 AH3 표지판


징진탕 고속도로

  • 얼광 고속도로와 G208 국도의 중복 구간(G55, G208): 에렌호트 통상구 - 에렌호트 시 - 소니트우이 기
  • 얼광 고속도로(G55): 소니트우이 기 - 우란차부 시
  • 징짱 고속도로(G6): 우란차부 시 - 장자커우 시 - 베이징 시
  • 징후 고속도로와 징진탕 고속도로의 중복 구간(G2, S40): 베이징 시 - 랑팡 시 - 톈진 시우칭 구
  • 징진탕 고속도로(S40): 톈진 시 우칭 구 - 톈진 시 탕구 구
  • 沪昆高速公路|후쿤 고속도로중국어(G60): 상하이 시 - 항저우 시 - 난창 시 - 창사 시 - 구이양 시 - 쿤밍 시
  • 昆磨高速公路|쿤모 고속도로중국어(G8511): 쿤밍 시 - 징훙 시 - 멍라 현 - 모한 통상구
  • G214 국도(G214): 징훙 시 - 멍하이 현 - 머우혼 진
  • S320 성도(S320): 머우혼 진 - 다뤄 통상구

2. 4. 라오스

13번 국도: 보텐 – 나테이 (20km)

3번 국도: 나테이 – 루앙남타 – 반후아이사이 (242km)

제4 라오스-태국 우호의 다리 (0.48km)

13번 국도


총 연장 244km[6]

13번 국도 (라오스)|13번 국도영어 : 루앙남타 주 보텐 - 나테우 - 루앙남타

  • - 3번 국도 (라오스)|3번 국도영어 : 루앙남타 - 보케오 주 후아이사이 - 제4 라오스-태국 우호의 다리

2. 5. 태국

제4 태국-라오스 우정의 다리를 건너 치앙콩에서 시작하여 치앙라이에서 끝나는 구간이다.

구간도로 번호 및 명칭구간 거리비고
제4 태국-라오스 우정의 다리 – 치앙콩태국 1152번 국도, 국도 1356호선5.2km
치앙콩 – 치앙라이태국 1020번 국도, 국도 1020호선113km태국 1번 국도에서 종료,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과 연결



총 연장은 117km이다.[6]

2. 6. 미얀마

미얀마를 경유하는 구간은 총 93km이며[6], 다뤄커우안에서 샨 주의 몽라를 거쳐 쩌이퉁에 이른다. 쩌이퉁에서는 AH2과 연결된다. 몽라에서 껠통까지의 구간은 AH2의 대안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3. 노선 특징

AH3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시작하여 중국, 라오스, 태국, 미얀마를 경유하는 노선이다.

중국 관통 구간 중 톈진항과 상하이시를 잇는 육로 구간은 아직 개설 계획이 없는 상태이다.[6]

3. 1. 러시아 구간

A340 (울란우데 - 캬흐타 - Алтанбулаг|알탄불라그mn (몽골 국경) 235 km[6])

A165 국도 (울란우데 - 캬흐타)

3. 2. 몽골 구간

알탄불라그 - 수흐바타르 - 다르항 - 울란바토르 - 날라이흐 - 초이르 - 사인샨드 - 자멘우드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연장은 1,041km이다.[6]

3. 3. 중국 구간

중국 구간은 총 3,926km이다.[6] 특이하게도 톈진항과 상하이시를 이어주는 육로 구간은 개설 계획이 아직 없는 상태이다.

구간설명
얼광 고속도로(G55) 및 G208 국도(G208) 중복 구간에렌호트 통상구 - 에렌호트시 - 쑤니터우 기
얼광 고속도로(G55)쑤니터우 기 - 우란차부시
징짱 고속도로(G6)우란차부시 - 장자커우시 - 베이징시
징후 고속도로(G2) 및 징진탕 고속도로(S40) 중복 구간베이징시 - 랑팡시 - 톈진시 우칭구
징진탕 고속도로(S40)톈진시 우칭구 - 톈진시 탕구구
(톈진~상하이 간은 육로 설정 없음)
沪昆高速公路|후쿤 고속도로중국어(G60)상하이시 - 항저우시 - 난창시 - 창사시 - 구이양시 - 쿤밍시
昆磨高速公路|쿤모 고속도로중국어(G8511)쿤밍시 - 징훙시 - 멍라현 - 모한 통상구
G214 국도(G214)징훙시 - 멍하이현 - 머우혼 진
S320 성도(S320)머우혼 진 - 다뤄 통상구



3. 4. 라오스 구간

13번 국도: 보텐 – 나테이 (20km)

3번 국도: 나테이 – 루앙남타 – 반후아이사이 (242km)

제4 라오스-태국 우호의 다리 (0.48km)

총 연장 244km[6]

13번 국도 (라오스)|13번 국도영어 : 루앙남타 주 보텐 - 나테우 - 루앙남타

  • - 3번 국도 (라오스)|3번 국도영어 : 루앙남타 - 보케오 주 후아이사이 - 제4 라오스-태국 우호의 다리

3. 5. 태국 구간

태국 1152번 국도: 제4 태국-라오스 우정의 다리 – 치앙콩 (5.2km)

태국 1020번 국도: 치앙콩 – 치앙라이 (113km, 태국 1번 국도에서 종료)

국도 1356호선: 제4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 - 치앙라이주치앙콩

국도 1020호선: 치앙콩 – 치앙라이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과 연결)

총 연장은 117km이다.[6]

3. 6. 미얀마 구간

미얀마 구간은 총 93km[6]로, AH2와 공유하는 구간이 있다. 몽라-껠통을 잇는 대안 노선(AH2)과 다뤄커우안-샨 주-Mong La|몽 라영어-쩌이퉁(AH2에 연결) 구간으로 구성된다.

4. 동남아시아 구간 문제점 및 개발 현황

아시아 개발 은행(ADB)이 지원한 남북 회랑 프로젝트는 중화인민공화국,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의 경제 연결 개선을 목표로 했다.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라오스 북서부를 통과하여 중국과 태국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3호선 건설이 추진되었으나, 여러 문제점과 개발 과정에서의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메콩강을 가로지르는 제4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 건설 지연은 이 구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4. 1. 미완성 구간 문제: 제4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

2008년 중반까지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AH-3)의 남북 회랑 구간은 대부분 포장되었지만, 몇 킬로미터는 미완성 상태였다.[4] 1993년부터 아시아 개발 은행(ADB)의 지원을 받은 남북 회랑 프로젝트는 중국,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의 경제 연결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라오스 북서부를 통과하여 중국과 태국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3호선(AH-3)은 9580만달러의 비용이 예상되었으며, ADB의 대출과 중국, 태국, 라오스 정부의 자금으로 건설되었다.[4]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흙길이었던 도로는 콘크리트 갓길, 배수 시설, 콘크리트 다리가 갖춰진 2차선 도로로 바뀌었다. 라오스 국경 마을 후아이사이에서 중국 윈난성의 모한 국경 마을까지의 이동 시간은 이전에는 날씨에 따라 최대 이틀이 걸렸지만, 새로운 도로 덕분에 5~6시간으로 단축되었다.[4]

당초 2007년 완공 예정이었던 이 도로는 2006년 우기 홍수로 인한 손상으로 인해 2008년으로 완공이 연기되었다. 2008년 기준으로 여전히 몇 킬로미터 길이의 미완성 구간이 남아 있었지만, 도로는 일 년 내내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다.[4] 일부 관찰자들은 태국 구간의 건설이 중국 구간보다 늦어진 이유가 "훨씬 더 잘 건설"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중국 측이 도로 구간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공학적 편법 때문에 더 빨리 건설되었다고 지적했다.[4]

이 회랑의 가장 큰 문제는 메콩강을 가로질러 태국의 치앙콩과 라오스의 반후아이사이를 연결하는 제4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 건설의 진척 부족이었다. 중국과 태국 정부는 이전에 다리를 건설하고 약 3300만달러로 추산되는 비용을 분담하기로 합의했었다.[4] 그러나 라오스와의 태국 국경 분쟁, 1997-98년 아시아 금융 위기, 방콕의 정치적 무관심, 태국인들의 소극적인 태도 등으로 인해 이 프로젝트는 정치적으로 뒷전에 머물렀다. 중국은 태국의 항구 접근을 포함하여 동남아시아와의 무역 연결을 통해 내륙 지역인 윈난성을 개발하려는 열망을 가지고 있었다. 태국이 중국과의 새로운 도로 연결로 혜택을 볼 수 있지만, 저렴한 중국산 제품의 유입으로 북부 태국인들이 빈곤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다.[4]

이러한 우려는 중국-태국 자유 무역 협정의 일부 조항의 조기 시행으로 현실화되었으며, 이는 저렴한 중국 농산물의 홍수를 초래했다. 2008년 현재, 라오스로 가는 마지막 미완성 연결은 양국 간의 효율적인 무역에 큰 장벽이었으며, 일부에서는 다리 완공에 대한 태국의 지연 이유가 바로 그것이라고 언급했다. 방콕은 또한 중국이 이 노선의 완성을 중요하게 여기면서 베이징과의 무역 협상에서 다리를 협상 카드로 사용했을 수도 있다.[4]

2013년 12월 다리가 완공될 때까지 AH-3 남북 회랑의 해당 구간은 미완성 상태로 비효율적이었다. 2008년 현재 태국으로 가는 중국 상품은 치앙콩과 후아이 사이 사이의 메콩강을 건너 운반해야 했고, 많은 선적업자들은 페리 비용과 라오스 관세가 너무 비싸다고 우려했으며, 상인들은 라오스 세관 절차 및 검사에 필요한 긴 시간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4] 다리는 2013년 12월 11일에 개통되었다.[2][3]

라오스는 통과세를 폐지하라는 압력을 받았지만, 현금이 부족한 정부는 부분적으로 중국과 태국이 완공된 도로에서 불균형적으로 혜택을 받는 것으로 간주하여 주저했다. 2008년 현재 거의 모든 중국-태국 무역은 메콩강을 따라 선적하여 이루어지며, 상품이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 10~15일이 걸린다.[4]

2008년 현재 수로 운송은 대형 화물 바지선을 띄우기에 부적절한 수위 문제로 자주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향후 강 상류에 건설될 중국의 계획된 댐이 더 많이 가동될 때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라오스에 대한 도로의 경제적 이점은 여전히 불확실하다.[4]

4. 2. 사회경제적 영향

2008년 중반까지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AH-3)의 남북 회랑 구간은 거의 대부분 포장되었으며, 단지 몇 킬로미터만 미완성 상태였다.[4] 1993년부터 아시아 개발 은행(ADB)의 주요 의제였던 남북 회랑 프로젝트는 중국,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간의 경제적 연결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 라오스 북서부를 거쳐 중국과 태국을 잇는 고속도로 3호선, 즉 남북 회랑의 일부는 9580만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ADB 대출, 중국, 태국, 라오스 정부의 자금으로 충당되었다.[4]

몇 년 전만 해도 흙길이었던 도로는 콘크리트 갓길, 배수 시설, 콘크리트 다리를 갖춘 2차선 도로로 탈바꿈했다. 이로 인해 라오스 국경 마을 후아이사이에서 중국 윈난 성의 모한 국경 마을까지의 이동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이전에는 날씨에 따라 최대 이틀이 걸리던 흙길과 달리, 새로운 도로는 5~6시간 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4]

당초 2007년 완공 예정이었던 이 도로는 2006년 우기 홍수로 인한 피해로 인해 2008년으로 완공이 연기되었다. 2008년 기준으로 여전히 몇 킬로미터 구간이 미완성 상태였지만, 이제 도로는 일 년 내내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다.[4] 태국 측 도로 구간은 중국 측보다 건설이 더뎠는데, 일부에서는 태국 측 도로가 "훨씬 더 잘 건설"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중국 측은 도로 구간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공학적 편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더 빨리 건설되었다는 지적도 있다.[4]

이 회랑의 가장 큰 문제점은 메콩 강을 가로질러 태국의 치앙콩과 라오스의 반후아이사이를 연결하는 제4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 건설의 지연이었다. 중국과 태국 정부는 이 다리 건설에 합의하고 약 3300만달러로 추산되는 비용을 분담하기로 했었다.[4] 그러나 이 다리는 2013년 12월 11일에야 개통되었다.

태국의 국경 분쟁, 1997-98년 아시아 금융 위기, 정치적 무관심, 그리고 소극적인 태도는 이 프로젝트를 정치적 '뒷전'으로 밀려나게 했다. 반면 중국은 내륙국윈난성을 개발하기 위해 동남아시아와의 무역 연결, 특히 태국 항구로의 접근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태국은 중국과의 새로운 도로 연결로 큰 혜택을 볼 수 있지만, 저렴한 중국산 제품의 유입으로 북부 태국인들이 빈곤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4]

이러한 우려는 중국-태국 자유 무역 협정의 일부 조항이 조기에 시행되면서 현실화되었는데, 이는 저렴한 중국 농업 제품의 홍수를 야기했다. 2008년 당시, 라오스로 가는 마지막 미완성 연결은 양국 간 효율적인 무역에 큰 장애물이었으며, 일각에서는 태국이 다리 완공을 지연시킨 이유가 바로 이것이라고 주장했다. 방콕은 중국이 이 노선의 완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상황에서 베이징과의 무역 협상에서 다리를 협상 카드로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4]

2013년 12월 다리가 완공될 때까지 AH-3 남북 회랑의 해당 구간은 미완성 상태로 비효율적이었다. 2008년 당시 태국으로 향하는 중국 상품은 치앙콩과 후아이 사이 사이의 메콩 강을 건너야 했고, 많은 선적업자들은 페리 비용과 라오스 관세가 지나치게 비싸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한 상인들은 라오스 세관 절차 및 검사에 필요한 긴 시간에 대해서도 불만을 제기했다.[4] 다리는 2013년 12월 11일에 개통되었다.[2][3]

라오스는 통과세 폐지 압력을 받았지만, 현금이 부족한 정부는 중국과 태국이 완공된 도로에서 불균형적으로 이익을 얻는다는 인식 때문에 주저했다. 현재 거의 모든 중국-태국 무역은 메콩강을 따라 선박으로 이루어지며, 상품이 목적지에 도착하는 데 10~15일이 소요된다.[4]

2008년 당시 수로 운송은 낮은 수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는 중국이 강 상류에 댐을 건설하면서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라오스에 대한 도로의 경제적 이점은 여전히 불확실했다.[4]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은 중국과 태국으로의 시장 접근성을 높여 라오스 농업 및 관광 산업을 포함한 비즈니스와 무역을 증진시킬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라오스 정부는 국경에 도착하는 상품에 대한 통행료와 세금 징수를 통해 국가 수입을 늘리는 데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으로부터 이미 낮은 역내 무역에 새로운 비용을 추가하라는 압력을 받았다.[4]

라오스 북서부 관광업 종사자들에 따르면, 서구 관광객은 증가했지만, 인접한 태국과 중국 관광객은 중국 국경의 보텐으로 가는 길에 라오스를 통과하는 경우가 많았다. 보텐에는 대규모 카지노와 시장이 있었다.[4]

이 프로젝트를 감시하는 사람들은 라오스가 경제적 이익을 덜 얻는 것 외에도 불균형한 사회적, 환경적 비용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적절한 통제 메커니즘이 없다면, 이 지역의 개방은 정부와 관련된 사업 그룹에 불균형적으로 이익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현재 이 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비(非) 라오족 집단을 쫓아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4]

2002년 ADB 보고서에 따르면 도로 프로젝트로 인해 약 2,500명(500가구)이 이주해야 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일부 감시 단체는 실제 숫자가 훨씬 더 높다고 본다. ADB는 주택, 토지, 쌀 창고 및 상실에 대한 보상을 위한 재정착 계획을 수립했지만, 자금이 가장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실제로 전달되었는지 여부는 불분명했다.[4]

관련 문제 중에는 중국 국경 근처 보텐 마을의 원래 라오스 주민들의 강제 이주가 있었다. 이들은 새로운 중국 소유 카지노, 호텔 및 기타 상업 시설 건설을 위해 도로에서 1km 이상 떨어진 곳으로 이주해야 했다. 재정착된 보텐 사람들은 새로운 부지에 서비스가 부족하고, 그들을 위해 마련된 토지가 원래 토지보다 작고 비옥하지 않다고 불만을 제기했다.[4] 또한 다른 사람들은 정부와 관련된 상인과 사업가들이 새로운 도로에 인접한 토지를 무자비하게 빼앗아 새로운 주요 부동산에 상점과 기타 사업체를 설립했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공식적인 토지 소유권이나 적절한 법원 시스템이 없다는 것은 이주민들에게 거의 정의가 제공되지 않았음을 의미했다.[4]

법적 공백은 또한 중국 이주민의 증가를 야기했으며, 그들 중 많은 수는 처음에는 도로 공사를 위해 왔다가 도로를 따라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머물렀고, 이전보다 비옥하지 않은 토지로 재정착된 사람들을 더욱 악화시키는 새로운 마을 전체를 건설했다.[4]

인권 단체는 또한 이 외딴 지역의 급속한 개발로 인해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인신매매, 주변 삼림 및 야생 동물 자원의 착취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했다.[4]

ADB는 이 노선이 차량, 상품 및 사람의 이동 비용을 절감하고 더 빠른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2008년에 남북 회랑이 완공됨에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 주민들에게 이 프로젝트의 실제 비용과 이점은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었다.[4][5]

참조

[1] 웹사이트 Asian Highway Handbook http://www.unescap.o[...] UNESCAP 2017-04-16
[2] 뉴스 4th Friendship bridge opens http://www.ttrweekly[...] TTR Weekly 2013-12-12
[3] 뉴스 New Thai-Lao Friendship Bridge across the Mekong http://asiapacific.a[...] Des Ball and Jessada Burinsuchat 2013-08-21
[4] 웹사이트 Roadblocks on the Great Asian Highway https://web.archive.[...] Brian McCartan, Asia Times website 2008-01-23
[5] 웹사이트 The Great Asian Highway http://www.projectsm[...] Rahul Kamat, Project Monitor website 2005-01-31
[6] 웹사이트 Asian Highway Handbook http://www.unescap.o[...] [[国連]][[アジア太平洋経済社会委員会]] 2003-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