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슈리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슈리네는 리투아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별의 여신이다. 16세기 폴란드 역사가 얀 라시츠키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으며, 태양의 길을 준비하는 역할로 묘사된다. 민간 전승에 따르면, 아침에는 아우슈리네와 그녀의 하인 타르나이티스가, 저녁에는 바카리네가 사울레(태양)의 침대를 준비한다. 아우슈리네는 사울레와 복잡한 관계를 가지며, 하늘의 여왕으로 불리기도 한다. 신화에서는 달인 메눌리스가 아우슈리네를 훔치려다 벌을 받거나, 사울레가 아우슈리네의 아름다움을 질투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요셉이 두 번째 태양을 찾아 떠나는 이야기에서 아우슈리네는 하늘의 별, 땅의 처녀, 바다의 암말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리투아니아 민속 천문학에서는 샛별을 아우슈리네 즈바이지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별의 여신 - 이슈타르
    이슈타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숭배받던 강력한 여신으로, 수메르 문명에서는 이난나로 불렸으며 사랑, 풍요, 전쟁, 정의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고 금성과 동일시되었으며, 여덟 개의 뾰족한 별, 로제트 매듭, 사자 등으로 상징된다.
  • 별의 여신 - 치치미메
    치치미메는 마른 체형에 키가 크고 좁은 어깨, 평평한 가슴, 창백한 피부 등의 외형적 특징을 가진 존재로 다양한 매체에서 적으로 등장하거나 특정 인물, 소환 가능한 악마 등으로 묘사되며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 하우소스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하우소스 - 아우로라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의 여신 아우로라는 태양의 도래를 알리는 역할을 하며, 트로이 왕자 티토노스와의 사랑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묘사되어 새벽, 희망, 새로운 시작 등을 상징한다.
  • 새벽의 여신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새벽의 여신 - 아우로라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의 여신 아우로라는 태양의 도래를 알리는 역할을 하며, 트로이 왕자 티토노스와의 사랑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묘사되어 새벽, 희망, 새로운 시작 등을 상징한다.
아우슈리네
신화 정보
분류발트 신화
이름아우슈리네 (Aušrinė)
다른 이름아우슈라 (Aušra)
아우스미예나 (Ausmiņa)
그룹여신
역할샛별
행성베누스
그리스 동등신에오스
로마 동등신아우로라
인도 동등신우샤스
발트 동등신아우세클리스
원시 인도유럽 동등신하우소스
슬라브 동등신조랴
지역리투아니아
민족발트족

2. 역사적 기록

얀 라시츠키는 16세기 폴란드 역사가로, 아우슈리네를 '아우스카'라고 처음 언급했다. 그는 아우슈리네를 "지평선 위로 솟아오르고 내려가는 태양 광선의 여신"으로 묘사했다.[3]

3. 민속 신앙에서의 역할

민속 신앙에서 아우슈리네는 여러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메눌리스(달)가 아름다운 아우슈리네와 사랑에 빠져 아내 사울레를 속이고, 페르쿠나스(천둥의 신)에게 벌을 받았다는 신화가 있다.[3]

3. 1. 사울레와의 관계

민속에 따르면, 매일 아침 아우슈리네와 그녀의 하인 타르나이티스(수성)[4]는 사울레(태양)를 위한 길을 준비한다. 저녁에는 바카리네가 사울레의 침대를 준비한다.[2] 사울레와 아우슈리네의 관계는 복잡하다. 때로는 사울레가 아우슈리네, 바카리네 및 다른 행성들, 즉 인드라야(목성), 셀리야(토성), 지에즈드레(화성), 바이보라(수성) 그리고 심지어 제미나(지구)의 어머니로 묘사되기도 한다.[5]

어떤 이야기에서는 "카라리우네"와 "당가우스 카리우네"("하늘의 여왕")가 아우슈리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라트비아 민속 수수께끼에서 그녀의 이름은 이슬에 대한 수수께끼의 답이다. 이 수수께끼에서 소녀가 열쇠를 잃어버리거나 진주 목걸이를 펼치고, 달이 그것을 보지만, 태양이 그것을 가져간다.[6]

3. 2. 천상의 결혼 신화

인기 있는 신화에서는 메눌리스(달)가 아름다운 아우슈리네와 사랑에 빠져 아내 사울레를 속이고, 페르쿠나스(천둥의 신)로부터 벌을 받았다고 묘사한다.[3] 또 다른 신화에서는 사울레가 아우슈리네의 아름다움과 밝음을 질투하여 사울레와 아우슈리네 사이의 경쟁을 묘사한다(금성은 태양과 달 다음으로 하늘에서 세 번째로 밝은 천체이다).[3][5] 간통이나 경쟁에도 불구하고 아우슈리네는 충실함을 유지하며 아침에 사울레를 계속 섬긴다.[5]

3. 3. 기타 역할

알기르다스 쥘리엥 그레마스가 자세히 분석한 또 다른 신화 ''사울레 이르 베유 모티나''("태양과 바람의 어머니")는 하늘에 나타난 아우슈리네에게 매료된 요셉이 "두 번째 태양"을 찾기 위한 여정을 떠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8] 많은 모험 끝에 그는 그것이 두 번째 태양이 아니라 바다의 섬에 살며 태양과 같은 머리카락을 가진 처녀라는 것을 알게 된다. 북풍의 조언을 받아 요셉은 섬에 도착하여 수호 황소를 피하고 처녀의 하인이 되어 그녀의 가축을 돌본다.[8] 이야기 속에서 아우슈리네는 하늘의 별, 땅의 처녀, 바다의 암말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몇 년 후, 요셉은 처녀의 머리카락 한 가닥을 빈 껍질에 넣고 바다에 던진다. 바다에서 뿜어져 나온 빛줄기가 하늘에 가장 큰 별로 반사된다. 그레마스는 이 이야기가 기원 신화의 이중적인 형태를 띤다고 결론짓는다. 이 이야기는 타르나이티스의 기원과 아우슈리네 자신이 하늘로 승천하는 과정을 묘사한다.[8]

4. 대중문화 속 아우슈리네

요나스 바이슈쿠나스에 따르면, 아우슈리네는 리투아니아 민속 천문학에서 샛별을 지칭하는 이름이기도 하다. 아우슈리네 즈바이지데, 아우슈로스 즈바이지데, 아우슈라즈바이지데, 아우슈리누케 등으로도 불린다.[9]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 백과사전 Aušrinė Vyriausioji enciklopedijų redakcija
[3] 서적 Of Gods and Men. Studies in Lithuanian Myth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3. Star Names in the Folklore and Ethnographic Compendiums https://web.archive.[...] 2010-01-04
[5] 서적 Wonders of the Sky https://books.google[...] Libraries Unlimited
[6] 서적 The Power of Words: Studies on Charms and Charming in Europe http://www.jstor.org[...]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3-00-00
[7] 학술지 Unikalus stebuklinės pasakos užrašymas. Saulė ir vėjų motina (AT 516B) https://www.lituanis[...] 2003-00-00
[8] 서적 Of Gods and Men. Studies in Lithuanian Myth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9] 학술지 Žinios apie dangaus šviesulius Griškabūdžio apylinkėse https://www.lituanis[...] 2009-00-00
[10] 백과사전 Aušrinė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