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로비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로비우스는 2024년에 명명된 화석 완보동물로, '아이로비우스 닥틸루스' (Aerobius dactylus)가 유일한 종이다. 1940년 캐나다 매니토바 주에서 발견되었으나, 2024년 새로운 영상 기술을 통해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속명 '아이로비우스'는 고대 그리스어로 '공기'를 뜻하며, 종소명 '닥틸루스'는 라틴어로 '손가락'을 의미한다. 아이로비우스는 베오른과 함께 힙시비우스과에 속하며, 힙시비우스상과 내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이로비우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아이로비우스 정보 | |
![]() | |
화석 범위 | 83–72 백악기 후기 캄파니아절 |
생물 분류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완보동물문 |
강 | 진완보강 |
목 | 파라켈라목(Parachela) |
상과 | 힙시비우스상과 (Hypsibioidea) |
속 | †아이로비우스속 |
속 명명 | Mapalo, Wolfe & Ortega-Hernández, 2024 |
종 | †아이로비우스 |
학명 | †Aerobius dactylus |
학명 명명 | Mapalo, Wolfe & Ortega-Hernández, 2024 |
학명 |
2. 발견사와 이름
1940년, 윌리엄 M. 레그가 캐나다 매니토바 주에서 호박 조각을 채집하였고, 이 호박 안에서 베오른과 함께 아이로비우스가 발견되었다.[4][1] 모식지는 서스캐처원 강이 시더 호로 흘러 들어가는 부근에 있다. 당시 기술로는 아이로비우스의 상세한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워 정식으로 기재되지 못했다. 1964년 베오른을 기재한 논문에서 케네스 W. 쿠퍼는 보존되기 힘들어 보일 정도로 매우 작은 물곰류의 존재는 동일한 호박 모체에서 베오른과 구별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해부학적 세부 사항을 안정적으로 결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표본을 기재하는 것을 꺼려했다.[4][1]
2024년, Mapalo, Wolfe & Ortega-Hernández의 논문에서는 새로운 영상 기술을 통해 아이로비우스의 상세한 연구가 가능해졌고, 베오른과 함께 호박 안에서 보존된 더 작은 개체 표본에 새로운 속과 종을 부여해 '아이로비우스 닥틸루스' (''Aerobius dactylus'')로 기재했다.[4] 속명인 '아이로비우스' (''Aerobius'')는 고대 그리스어의 변형된 접두사인 aero-(공기)에서 왔으며, 호박 안에 있는 모식표본의 명백히 떠 있는 부유물과 관련이 있다. 종소명 '닥틸루스' (''dactylus'')는 라틴어로 '손가락'을 뜻하며, 모식표본의 특징적인 발톱과 관련이 있다.[4]
아이로비우스는 유이한 화석 완보동물로, 보다 먼저 명명된 완보동물은 1964년에 발견되었던 베른이다.[1] 그 뒤를 이어 2000년, 백악기 후기(투로니아절)에 살았던 밀네시움 스월렌스키(''Milnesium swolenskyi''. 밀네시움속은 현존 속이다.)가 뉴저지주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완보동물로 알려져 있다.[2] 파라도리포리비우스 (''Paradoryphoribius)''는 2021년에 명명된 화석 완보동물로, 마이오세에 출현해 화석 완보동물 중에서는 가장 젊은 축에 속하며,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발견되었다.[3][4]
2. 1. 발견 경위
1940년, 윌리엄 M. 레그가 캐나다 매니토바 주에서 호박 조각을 채집하였고, 이 호박 안에서 베오른과 함께 아이로비우스가 발견되었다.[4][1] 모식지는 서스캐처원 강이 시더 호로 흘러 들어가는 부근에 있다. 당시 기술로는 아이로비우스의 상세한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워 정식으로 기재되지 못했다. 1964년 베오른을 기재한 논문에서 케네스 W. 쿠퍼는 보존되기 힘들어 보일 정도로 매우 작은 물곰류의 존재는 동일한 호박 모체에서 베오른과 구별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해부학적 세부 사항을 안정적으로 결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표본을 기재하는 것을 꺼려했다.[4][1]2024년, Mapalo, Wolfe & Ortega-Hernández의 논문에서는 새로운 영상 기술을 통해 아이로비우스의 상세한 연구가 가능해졌고, 베오른과 함께 호박 안에서 보존된 더 작은 개체 표본에 새로운 속과 종을 부여해 '아이로비우스 닥틸루스' (''Aerobius dactylus'')로 기재했다. 속명인 '아이로비우스' (''Aerobius'')는 고대 그리스어의 변형된 접두사인 aero-(공기)에서 왔으며, 호박 안에 있는 모식표본의 명백히 떠 있는 부유물과 관련이 있다. 종소명 '닥틸루스' (''dactylus'')는 라틴어로 '손가락'을 뜻하며, 모식표본의 특징적인 발톱과 관련이 있다.[4]
아이로비우스는 유이한 화석 완보동물로, 보다 먼저 명명된 완보동물은 1964년에 발견되었던 베른이다.[1] 그 뒤를 이어 2000년, 백악기 후기(투로니아절)에 살았던 밀네시움 스월렌스키(''Milnesium swolenskyi''. 밀네시움속은 현존 속이다.)가 뉴저지주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완보동물로 알려져 있다.[2] 파라도리포리비우스 (''Paradoryphoribius)''는 2021년에 명명된 화석 완보동물로, 마이오세에 출현해 화석 완보동물 중에서는 가장 젊은 축에 속하며,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발견되었다.[3][4]
2. 2. 이름의 유래
속명 '아이로비우스(''Aerobius'')'는 고대 그리스어의 변형된 접두사인 'aero-'(공기)에서 유래되었으며, 호박 안에 있는 모식표본의 명백히 떠 있는 부유물과 관련이 있다.[4] 종소명 '닥틸루스(''dactylus'')'는 라틴어로 '손가락'을 뜻하며, 모식표본의 특징적인 발톱과 관련이 있다.[4]아이로비우스는 1964년에 발견되었던 베른에 이어 두번째로 발견된 화석 완보동물이다.[1] 2000년에는 백악기 후기(투로니아절)에 살았던 밀네시움 스월렌스키(''Milnesium swolenskyi'')가 뉴저지주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완보동물로 알려져 있다.[2] 2021년에 명명된 파라도리포리비우스(''Paradoryphoribius'')는 마이오세에 출현했으며,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발견되었다.[3][4]
3. 특징
아이로비우스의 체형은 탄탄한 통 모양이며, 끝에 발톱이 달린 엽족성의 짧은 다리가 네 쌍이 있다. 1~3번째 다리의 발톱들은 크기가 엇비슷하지만, 네 번째 다리의 발톱은 크기와 모양이 크게 다르다.
쪼그라들은 상태에서의 몸길이는 약 0.1mm 정도이다. 큐티클 위에 뚜렷한 융기는 없다. 안점은 보이지 않는다. 타원형 장기가 머리 옆에서 희미하게 보이고, 머리 앞의 입구멍은 매끄럽다.
4. 계통 분류
Mapalo, Wolfe & Ortega-Hernández (2024)는 아이로비우스의 계통학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형태적 특징 및 rRNA 시퀀스 조합을 계통학적으로 분석했다.[4] 그 결과, 아이로비우스와 베오른이 힙시비우스과(Hypsibiidae)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4] 분기도를 통해 아이로비우스가 힙시비우스, 베오른과 함께 힙시비우스상과 내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
4. 1. 계통학적 위치
Mapalo, Wolfe & Ortega-Hernández (2024)는 아이로비우스의 계통학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형태적 특징 및 rRNA 시퀀스 조합을 계통학적으로 분석했다.[4] 그 결과, 아이로비우스와 베오른이 힙시비우스과(Hypsibiidae)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4] 분기도를 통해 아이로비우스가 힙시비우스, 베오른과 함께 힙시비우스상과 내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5.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The first fossil tardigrade: ''Beorn leggi'' Cooper, from Cretaceous amber
https://www.research[...]
1964-01-01
[2]
서적
Studies on Fossils in Amber,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Cretaceous of New Jersey
Backhuys Publishers
[3]
논문
A tardigrade in Dominican amber
2021-10-13
[4]
논문
Cretaceous amber inclusions illuminate the evolutionary origin of tardigrades
2024-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