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수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수길은 1911년 서울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에는 학생운동 참여와 유학 생활을 거쳤으며, 만주와 한국을 배경으로 소설 작품 활동을 펼친 작가이다. 1935년 문단에 데뷔하여, 만주 이민자들의 삶을 다룬 작품과 한국 전쟁 전후의 사회상을 그린 작품들을 발표했다. 대표작으로는 가족 서사시 《북간도》가 있으며, 아시아 자유 문학상, 서울시 문화상, 삼일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197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 소령 - 이진우 (1934년)
    이진우는 1934년에 출생하여 2010년에 사망한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 국회의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했으며 변호사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 해군 소령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경성경신고등보통학교 동문 - 방우영
    방우영은 조선일보의 회장으로서 조선일보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밤의 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컸고, 언론 사업 확장과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한 언론인이다.
  • 경성경신고등보통학교 동문 - 안창호
    안창호는 평안남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상가로서, 서양식 교육과 기독교 입교 후 독립협회 활동, 대한국민회 설립 등 해외 독립운동, 신민회 조직, 흥사단 재건 등 국내외 민족 교육과 계몽 운동에 헌신하며 민족 개조를 주창하고 이상촌 건설을 추진하다 일제의 탄압으로 옥중에서 병사하였다.
안수길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안수길
한글 이름안수길
한자 이름安壽吉
로마자 표기An Sugil
일본어 표기안 쥬키치
출생일1911년 11월 3일
출생지일제강점기 함경남도 함흥
사망일1977년 4월 18일 (향년 65세)
직업소설가, 대학 교수
필명남석(南石)
학력
학력와세다 대학 영어영문학과 중퇴 (1932년)
학력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1956년)
경력
데뷔1935년
데뷔작「적십자 병원장」
기타 경력한국독립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기타 경력서라벌예술초급대학 교수
기타 경력중앙대학교 겸임교수
기타 경력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병역
복무대한민국 해군
복무 기간1950년 12월 16일 ~ 1953년 12월 16일
최종 계급예비역 대한민국 해군 소령
근무해군본부 정훈국
지휘정훈장교
주요 참전 전투/전쟁한국 전쟁
기타
종교유교(성리학) → 개신교
정당무소속
본관평안(平安)
관련 자료대한민국 예술원 데이터 관련 자료

2. 생애

안수길은 1935년 『조선문단』에 단편 「적십자병원장」과 콩트 「붉은 목도리」를 발표하며 문단에 나왔다. 같은 해 박영준, 이주복, 김국진 등과 함께 동인지 『북향(北郷)』을 발간했다. 1936년부터 『간도일보』 기자로 일했고, 『간도일보』가 『만몽일보』와 합병하여 『만선일보』가 되자 신경(新京)으로 가서 근무했다. 『만선일보』에서는 염상섭, 신영철, 송지영, 이석훈 등과 교류했다.

1945년 6월 건강이 나빠져 『만선일보』를 퇴사하고 고향 함흥에서 3년간 요양했다.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대구와 부산으로 피난하면서 이선구(李璇求)와 함께 해군정훈감실 문관으로 근무했다. 전쟁이 잠잠해지자 서라벌예술대학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해방 후에도 왕성한 창작 활동을 했고, 1960년 5월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중앙위원, 1962년 한국문인협회 이사를 역임했다. 1970년 6월 타이완에서 열린 아시아작가대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여 한 달 동안 타이완과 일본을 여행했다. 1977년 4월 18일 사망했다.

연도사건
1911년 11월 3일함경남도 함흥시에서 태어남.
1926년 3월함흥고등보통학교 입학.
1928년 3월경신학교 3학년 편입.
1930년 3월일본 교토 양양중학교 입학.
1931년 3월와세다대학 입학.
1935년김현숙과 결혼, 『조선문단』에 단편 「적십자병원장」과 콩트 「붉은 목도리」로 등단.
1936년『간도일보』(후에 『만선일보』) 근무.
1936년 12월 20일장남 안병섭 출생.
1940년 11월 31일차남 안병환 출생.
1945년 4월 16일장녀 안순희 출생.
1948년경향신문』 근무.
1948년 3월 4일차녀 안순원 출생.
1950년 10월 5일삼남 안병찬 출생.
1952년부산 용산고등학교 교사.
1954년서라벌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과장.
1955년제2회 아시아자유문학상 수상.
1958년서울특별시문화상 수상.
1959년이화여자대학교 국문과 교수.
1960년 5월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중앙위원.
1962년한국문인협회 이사.
1973년3·1문화상 수상.
1977년 4월 18일사망.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안수길은 1911년 11월 3일 함경남도 함흥시에서 아버지 안용호(安鎔浩)와 어머니 김숙경(金淑卿) 사이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간도 용정(龍井)에 있는 광명고등여학교 교감을 지냈다.[2] 안수길은 5세 때 함흥시 서호리로 이사하여 호적을 등록했고, 함흥시의 초등학교를 다녔다. 13세에 가족과 함께 간도로 이주하여 간도중앙학교를 졸업한 후 다시 함흥으로 돌아와 1926년 3월 함흥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2]

함흥고등보통학교 2학년 때 동맹휴학을 주도하여 자퇴하고, 1928년 3월 서울 경신학교에 3학년으로 편입했다.[2]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운동이 발생하자 경신학교 학생 시위를 주도하다 체포되어 5일간 구금된 후 퇴학당했다.[2]

1930년 일본으로 건너가 교토의 양양중학교(京都両洋高等学校)에 입학했다.[2] 양양중학교 졸업 후 1931년 도쿄의 와세다대학 고등사범부 영어과에 입학했으나, 학비 문제로 귀국하여 간도의 초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2]

2. 2. 문단 데뷔 및 작품 활동

1935년 『조선문단』에 단편 「적십자병원장」과 콩트 「붉은 목도리」가 실리면서 문단에 데뷔했다.[3] 같은 해 박영준, 이주복, 김국진 등과 함께 동인지 『북향(北郷)』을 발간했다.[3] 1936년부터 『간도일보』 기자로 근무했고, 『간도일보』가 『만몽일보』와 합병하여 『만선일보』가 되자 신경(新京)으로 가서 근무했다.[3]만선일보』에서는 염상섭, 신영철, 송지영, 이석훈 등과 교류했다.[3] 이후 1945년 6월 건강이 악화되어 『만선일보』를 퇴사할 때까지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3]

단편소설 『벼』에서 처음 등장한 만주는 그의 문학 세계에서 개척지로서 자리한다.[3] 일본 제국주의의 압제로 고향을 떠나온 한국 농민들은 만주에서도 빈곤과 불평등에 직면하고, 낯선 환경과 적대적인 현지인들로 인한 새로운 어려움까지 겪는다.[3] 그러나 그들의 고난은 개척 정신, 농토와 노동에 대한 사랑, 그리고 잃어버린 조국에 대한 그리움에 뿌리내린 강렬한 민족주의로 숭고하게 승화된다.[3] 그의 첫 단편소설집인 『북원』(1943)에서는 이민 생활의 갈등 요소로서 현지인들과의 마찰보다는 한국 학교 설립과 관련된 문제가 더욱 부각된다.[3] 만주는 그의 대표작인 5권짜리 가족 서사시 『북간도』(1959~1967)의 배경이기도 하다.[3] 조선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 말까지 약 80년에 걸친 이야기를 다룬 이 작품은 저자의 날카로운 역사 의식의 산물로, 이민 가족의 고난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근대 초기 한국 민중의 경험을 반영한다.[3] 이 작품은 대하소설 장르의 획을 긋는 것으로 평가받는다.[3]

『제삼 인간형』(1954)을 발표하면서 안수길은 이민자 이야기에서 벗어나 한국 전쟁 전후의 사회적, 개인적 도덕성의 타락을 탐구하기 시작했다.[4] 이 소설집에는 표제작 외에도 「여수」와 「취국」 등이 수록되어 있다.[4] 『초연 필담』(1955)에서는 도시 노동 계급의 현실을 다룬다.[4]

2. 3. 해방 이후

1945년 6월 건강 악화로 『만선일보』를 퇴사하고 고향인 함흥시 후농리에서 3년간 요양했다.[1]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안수길은 대구와 부산으로 피난하면서 이선구(李璇求)와 함께 해군정훈감실 문관으로 근무했다.[1] 전황이 진정되자 서라벌예술대학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1] 해방 후에도 왕성한 창작 활동을 했고, 1960년 5월에는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중앙위원을 역임했으며,[1] 1962년에는 한국문인협회 이사를 역임했다.[1] 1970년 6월에는 타이완에서 열린 아시아작가대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여 한 달 동안 타이완과 일본을 여행했다.[1]

3. 작품 세계

안수길은 초기에는 만주를 배경으로 한 이민 문학을 주로 다루었으며, 대표작으로 5권짜리 가족 서사시 『북간도』(1959~1967)가 있다. 이후 『제삼 인간형』(1954)을 발표하면서 한국 전쟁 전후의 사회, 개인의 도덕성 타락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1935년부터 1944년까지 발표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발표년도작품 제목
1935년赤十字病院長일본어, 赤いマフラー일본어
1940년일본어, 四号室일본어, 暁일본어
1942년円覚村일본어
1943년牧畜記일본어
1944년北卿譜일본어


3. 1. 만주 이민 문학

안수길의 단편소설 『벼』에서 처음 등장한 만주는 그의 문학 세계에서 개척지로서 자리한다.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주의의 압제로 고향을 떠나온 한국 농민들은 만주에서도 빈곤과 불평등에 직면하고, 낯선 환경과 적대적인 현지인들로 인한 새로운 어려움까지 겪는다. 그러나 그들의 고난은 개척 정신, 농토와 노동에 대한 사랑, 그리고 잃어버린 조국에 대한 그리움에 뿌리내린 강렬한 민족주의로 숭고하게 승화된다. 이러한 특징은 최서해의 『홍염』이나 이태준의 『농군』과 같은 다른 만주 이민 소설들과 안수길의 작품을 구분짓는다. 안수길의 첫 단편소설집인 『북원』(1943)에서는 이민 생활의 갈등 요소로서 현지인들과의 마찰보다는 한국 학교 설립과 관련된 문제가 더욱 부각된다.[3]

만주는 그의 대표작인 5권짜리 가족 서사시 『북간도』(1959~1967)의 배경이기도 하다.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 말까지 약 80년에 걸친 이야기를 다룬 이 작품은 저자의 날카로운 역사 의식의 산물로, 이민 가족의 고난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근대 초기 한국 민중의 경험을 반영한다. 이 작품은 대하소설 장르의 획을 긋는 것으로 평가받는다.[3]

3. 2. 《북간도》

『北間島중국어』(1959~1967)는 안수길의 대표작으로, 5권으로 이루어진 가족 서사시이다. 조선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 말까지 약 80년에 걸친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작가의 날카로운 역사 의식을 바탕으로 이민 가족의 고난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근대 초기 한국 민중의 경험을 반영한다. 이 작품은 대하소설 장르의 획을 긋는 것으로 평가받는다.[3]

3. 3. 해방 이후의 작품

안수길은 1954년 『제삼 인간형』을 발표하면서 만주 이민자 이야기에서 벗어나 한국 전쟁 전후의 사회적, 개인적 도덕성 타락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이 소설집에는 표제작 외에도 「여수」, 「취국」 등이 수록되었다.[4] 1955년 『초연 필담』에서는 도시 노동 계급의 현실을 다루었다.[4]

발표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발표년도작품 제목
1949년여수(旅愁), 범속(凡俗), 밀회(密会), 초련필담(初恋筆談), 가면(仮面), 상매기(商売気)
1951년나루터의 탈주(渡し場の脱走)
1952년명암(明暗), 제비(ツバメ)
1953년역의 처세철학(易の処世哲学), 제삼인간형(第三人間型)
1963년북간도(北間島)
1969년통로(通路)
1971년성천강(城川江)
1977년망명시인(亡命詩人)


4. 주요 작품 목록

발표 연도작품 제목
1935년적십자병원장, 붉은 목도리
1940년벼, 사호실, 새벽
1942년원각촌
1943년목축기
1944년북향보
1949년여수, 범속, 밀회, 초련필담, 가면, 상매기
1951년나루터의 탈주
1952년명암, 제비
1953년역의 처세철학, 제삼인간형
1955년화환
1958년제2의 청춘
1959년북간도
1963년북간도
1969년통로
1971년성천강
1977년황진이, 망명시인
1978년이화에 월백하고
1985년통로
1987년북황보
불가능한 사랑 (안수길 소설선한국어)


5.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
1955년아시아 자유 문학상
1968년서울시 문화상
1973년삼일문화상[7]


참조

[1] 웹아카이브 안수길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아카이브 An Sugil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3] 웹아카이브 An Sugil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4] 웹아카이브 An Sugil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5] 웹아카이브 An Sugil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6]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7]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8] 웹사이트 안수길 (アン・スギル) http://srchuci.chosu[...] 2011-08-29
[9]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1-08-29
[10] 웹사이트 자료검색(標準) http://catalog.libra[...] 2011-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