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쪽무릎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쪽무릎핵(MGN)은 배쪽(VMGN), 등쪽(DMGN), 안쪽(MMGN)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시상에 위치하여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VMGN은 청각 정보 처리에 특화되어 청각 피질로 정보를 전달하며, DMGN과 MMGN은 비청각 경로의 정보도 수용한다. VMGN은 릴레이 세포와 시상 내 사이신경세포로 구성되며, 주파수, 강도, 양이 정보를 피질로 전달한다. DMGN은 다양한 세포 유형과 반응을 보이며, 청각 및 체감각 자극에 반응한다. MMGN은 소리의 강도와 지속 시간을 감지하며, 청각 자극에 광범위하게 반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안쪽무릎핵 | |
---|---|
개요 | |
![]() | |
식별 | |
라틴어 | corpus geniculatum mediale |
일부 | 시상 |
계통 | 청각 시스템 |
동맥 | 선조체 동맥 |
약어 | MG |
세부 정보 | |
구성 요소 | 해당 없음 |
2. 구성 부분
안쪽무릎핵(MGN)은 배쪽(VMGN), 등쪽(DMGN) 및 안쪽(MMGN)의 세 가지 주요 구성 부분으로 나뉜다. VMGN은 청각 정보 처리에만 특화된 반면, DMGN 및 MMGN은 비청각 경로에서도 정보를 받는다.
부서 | 입력 | 출력 |
---|---|---|
VMGN | * 아래둔덕 ICC(같은쪽) ICP(반대쪽) * 시상 그물핵(같은쪽) * 청각 피질 | 청각 피질 * 전방(AAF) * 일차(AI) * 후방(PAF) |
DMGN | * IC 중심핵 외부 핵 * 청각 피질 * 기타 시상 핵 | 청각 피질 |
MMGN | * ICC(같은쪽) * LLN(같은쪽 및 반대쪽) * 위둔덕 * 주위올리브핵 * 청각 피질 ** 이차성(AII) * 시상의 망상핵 * 체성감각 및 전정 영향도 존재함 | 청각 피질 * AII(동측) * AAF(동측) * AI(동측) * PAF(동측) |
2. 1. 배쪽 소핵 (Ventral subnucleus, VMGN)
안쪽무릎핵(MGN)에는 배쪽(VMGN), 등쪽(DMGN) 및 안쪽(MMGN)의 세 가지 주요 구성 부분이 있다. VMGN은 청각 정보 처리에만 특화된 반면, DMGN 및 MMGN은 비청각 경로에서도 정보를 받는다.부서 | 입력 | 출력 |
---|---|---|
VMGN | * 아래둔덕 ICC(같은쪽) ICP(반대쪽) * 시상 그물핵(같은쪽) * 청각 피질 | 청각 피질 * 전방(AAF) * 일차(AI) * 후방(PAF) |
DMGN | * IC 중심핵 외부 핵 * 청각 피질 * 기타 시상 핵 | 청각 피질 |
MMGN | * ICC(같은쪽) * LLN(같은쪽 및 반대쪽) * 위둔덕 * 주위올리브핵 * 청각 피질 ** 이차성(AII) * 시상의 망상핵 * 체성감각 및 전정 영향도 존재함 | 청각 피질 * AII(동측) * AAF(동측) * AI(동측) * PAF(동측) |
== 세포 유형 ==
안쪽무릎핵의 복측 핵(VMGN)에는 두 가지 주요 세포 유형이 있다.
- '''시상피질 릴레이 세포''' (또는 주 뉴런): 이 세포로의 가지돌기 입력은 세포의 반대쪽에 위치한 두 세트의 가지돌기 나무에서 온다. 릴레이 세포의 긴 축은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뻗어 있으며, 동일한 등주파수 대역 내의 세포 가지돌기 나무가 겹쳐진다. 이는 하구의 가지돌기 조직과 유사하지만 방향이 다르다. 릴레이 세포의 가지돌기는 하구와 시상 내 사이신경세포에서 올라오는 축삭과 시냅스 둥지를 형성한다. 이 시냅스에서 릴레이 세포는 하구 축삭의 입력을 통해 흥분한다. 동시에, VMGB의 사이신경세포의 가지돌기 시냅스에 의해 억제된다. 이러한 유형의 시냅스 둥지는 시상의 다른 영역에서도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 '''시상 내 사이신경세포:''' 이 사이신경세포는 시냅스 둥지에서 릴레이 세포에 억제성 (GABA) 입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축삭의 표적은 명확하지 않다. 일부 사이신경세포는 릴레이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른 세포는 다른 사이신경세포를 표적으로 한다. 또한 시냅스 둥지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사이신경세포 유형도 최소 하나 이상 존재한다.
== 기능 ==
안쪽무릎핵(VMGN)은 주파수, 강도 및 양이 정보를 피질로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VMGN의 반응은 음조지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하위 시상구에서 구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주요 차이점은 등주파수 대역이 측면 영역이 저주파수에 가장 잘 반응하고 내측 영역이 고주파수에 반응하도록 배열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IC와 같은 공간 지도 및 모듈 지도는 포유류 연구에서 잘 뒷받침되지 않았다. 단청 세포(10%)와 양이 세포(90%)가 모두 MGN에 존재한다. 단청 세포는 주로 반대쪽 반구의 소리에 반응한다. 양이 세포는 일반적으로 IC에서 발견되는 EE 또는 EI 유형과 유사하다.
EE (흥분성 흥분성) 유형의 뉴런은 양쪽 귀의 단청 자극에 대한 흥분성 반응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반응은 단청 반응보다 높거나(EE– 촉진) 낮을 수 있다(EE– 폐색).
EI (흥분성 억제성) 유형의 뉴런은 단청 흥분(보통 반대쪽 귀에서)을 특징으로 한다. 동측 뉴런은 반대쪽 귀가 동시에 자극될 때 억제된다.
2. 1. 1. 세포 유형
안쪽무릎핵(내측 슬상체)의 복측 핵(VMGN)에는 두 가지 주요 세포 유형이 있다.- '''시상피질 릴레이 세포''' (또는 주 뉴런): 이 세포로의 가지돌기 입력은 세포의 반대쪽에 위치한 두 세트의 가지돌기 나무에서 온다. 릴레이 세포의 긴 축은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뻗어 있으며, 동일한 등주파수 대역 내의 세포 가지돌기 나무가 겹쳐진다. 이는 하구의 가지돌기 조직과 유사하지만 방향이 다르다. 릴레이 세포의 가지돌기는 하구와 시상 내 사이신경세포에서 올라오는 축삭과 시냅스 둥지를 형성한다. 이 시냅스에서 릴레이 세포는 하구 축삭의 입력을 통해 흥분한다. 동시에, VMGB의 사이신경세포의 가지돌기 시냅스에 의해 억제된다. 이러한 유형의 시냅스 둥지는 시상의 다른 영역에서도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 '''시상 내 사이신경세포:''' 이 사이신경세포는 시냅스 둥지에서 릴레이 세포에 억제성 (GABA) 입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축삭의 표적은 명확하지 않다. 일부 사이신경세포는 릴레이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른 세포는 다른 사이신경세포를 표적으로 한다. 또한 시냅스 둥지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사이신경세포 유형도 최소 하나 이상 존재한다.
2. 1. 2. 기능
내측 슬상핵(VMGN)은 주파수, 강도 및 양이 정보를 피질로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VMGN의 반응은 음조지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하위 시상구에서 구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주요 차이점은 등주파수 대역이 측면 영역이 저주파수에 가장 잘 반응하고 내측 영역이 고주파수에 반응하도록 배열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IC와 같은 공간 지도 및 모듈 지도는 포유류 연구에서 잘 뒷받침되지 않았다. 단청 세포(10%)와 양이 세포(90%)가 모두 MGN에 존재한다. 단청 세포는 주로 반대쪽 반구의 소리에 반응한다. 양이 세포는 일반적으로 IC에서 발견되는 EE 또는 EI 유형과 유사하다.EE (흥분성 흥분성) 유형의 뉴런은 양쪽 귀의 단청 자극에 대한 흥분성 반응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반응은 단청 반응보다 높거나(EE– 촉진) 낮을 수 있다(EE– 폐색).
EI (흥분성 억제성) 유형의 뉴런은 단청 흥분(보통 반대쪽 귀에서)을 특징으로 한다. 동측 뉴런은 반대쪽 귀가 동시에 자극될 때 억제된다.
2. 2. 등쪽 소핵 (Dorsal subnucleus, DMGN)
안쪽무릎핵(MGN)에는 배쪽(VMGN), 등쪽(DMGN) 및 안쪽(MMGN)의 세 가지 주요 구성 부분이 있다. VMGN은 청각 정보 처리에만 특화된 반면, DMGN 및 MMGN은 비청각 경로에서도 정보를 받는다.부서 | 입력 | 출력 |
---|---|---|
DMGN | * IC 중심핵 외부 핵 * 청각 피질 * 기타 시상 핵 | 청각 피질 |
== 세포 유형 ==
안쪽무릎핵 등쪽부핵(DMGN)에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가 존재한다.
최소 두 가지 주요 세포 유형과 두 가지 뚜렷한 유형의 사이신경세포가 발견되었다. 형태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여러 개의 세부 핵이 확인되었다. DMGN에서는 주파수 특이적 층상 구조는 발견되지 않았다.
== 기능 ==
DMGB에는 여러 유형의 반응이 존재하며, 이는 하위 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반응의 범위는 넓지만, 일부 세포는 복잡한 자극에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세포는 다중 감각 반응을 보이며, 청각 자극뿐만 아니라 체감각 자극에도 반응하는 경우가 많다.
2. 2. 1. 세포 유형
안쪽무릎핵 등쪽부핵(DMGN)에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가 존재한다.최소 두 가지 주요 세포 유형과 두 가지 뚜렷한 유형의 사이신경세포가 발견되었다. 형태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여러 개의 세부 핵이 확인되었다. DMGN에서는 주파수 특이적 층상 구조는 발견되지 않았다.
2. 2. 2. 기능
DMGB에는 여러 유형의 반응이 존재하며, 이는 하위 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반응의 범위는 넓지만, 일부 세포는 복잡한 자극에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세포는 다중 감각 반응을 보이며, 청각 자극뿐만 아니라 체감각 자극에도 반응하는 경우가 많다.2. 3. 안쪽 소핵 (Medial subnucleus, MMGN)
안쪽무릎핵(MMGN)은 배쪽(VMGN), 등쪽(DMGN) 및 안쪽(MMGN)의 세 가지 주요 구성 부분으로 나뉜다. VMGN은 청각 정보 처리에만 특화된 반면, DMGN 및 MMGN은 비청각 경로에서도 정보를 받는다.부서 | 입력 | 출력 |
---|---|---|
MMGN | 청각 피질 |
세포 유형안쪽무릎핵의 안쪽 소핵(MMGN) 세포는 크고 불규칙한 모양의 수상돌기 나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입력 소스에 따른 명확한 분리는 없다.
기능안쪽무릎핵(MMGN)은 소리의 상대적인 강도와 지속 시간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청각 자극에 광범위한 반응을 보인다. MMGN에서 발견되는 양이 상호작용은 EE, EI, IE 유형을 포함한다. 광범위하게 튜닝된 세포와 좁게 튜닝된 세포가 모두 관찰되었다. 강도 튜닝의 한 유형도 관찰되었는데, 이 유형의 세포에서는 소리 강도가 특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반응이 실제로 감소한다. MMGN의 거의 모든 세포는 자극의 지속 시간 동안 반응하는 것으로 보이며 적응이 거의 없다. 개별 세포는 여전히 특정 주파수에 우선적으로 튜닝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종종 두 개 이상을 가지며 이러한 세포 주파수 내에서 광범위하게 튜닝된다. MMGN에 하나의 톤 조직 맵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없는지, 여러 개가 존재하는지는 불분명하다. 마취제는 MMGN 내의 세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어 반응을 연구하기 어렵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MMGN 세포의 행동은 다른 감각 양식으로부터의 감각 자극이 MMGN의 많은 세포(모든 세포는 아니지만) 반응성을 수정한다는 사실에 의해 복잡해진다.
2. 3. 1. 세포 유형
안쪽무릎핵의 안쪽 부핵(MMGN) 세포는 크고 불규칙한 모양의 수상돌기 나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입력 소스에 따른 명확한 분리는 없다.2. 3. 2. 기능
안쪽무릎핵(MMGN)은 소리의 상대적인 강도와 지속 시간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청각 자극에 광범위한 반응을 보인다. MMGN에서 발견되는 양이 상호작용은 EE, EI, IE 유형을 포함한다. 광범위하게 튜닝된 세포와 좁게 튜닝된 세포가 모두 관찰되었다. 강도 튜닝의 한 유형도 관찰되었는데, 이 유형의 세포에서는 소리 강도가 특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반응이 실제로 감소한다. MMGN의 거의 모든 세포는 자극의 지속 시간 동안 반응하는 것으로 보이며 적응이 거의 없다. 개별 세포는 여전히 특정 주파수에 우선적으로 튜닝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종종 두 개 이상을 가지며 이러한 세포 주파수 내에서 광범위하게 튜닝된다. MMGN에 하나의 톤 조직 맵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없는지, 여러 개가 존재하는지는 불분명하다. 마취제는 MMGN 내의 세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어 반응을 연구하기 어렵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MMGN 세포의 행동은 다른 감각 양식으로부터의 감각 자극이 MMGN의 많은 세포(모든 세포는 아니지만) 반응성을 수정한다는 사실에 의해 복잡해진다.참조
[1]
서적
Essential Neuroscienc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2]
논문
The human medial geniculate body
https://linkinghub.e[...]
1984-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