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오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오돈은 1933년 탄자니아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명명된 멸종된 키노돈트의 속이다. 처음에는 곰포돈트 키노돈트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키니쿠돈티다에로 재분류되었고, 현재는 키니쿠돈의 자매 분류군으로 여겨진다. 알레오돈은 독특한 치열과 두개골 형태를 가지며, 탄자니아의 만다 지층, 나미비아의 오밍곤데 지층, 브라질의 히우그란지두술주 등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타르보사우루스
타르보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몽골과 중국에서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의 몸길이 10~12m의 대형 육식 공룡으로, 1946년 소련-몽골 공동 탐사대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고비 사막 인근에서 30개 이상의 표본이 발견되었으며, 도굴된 표본이 해외로 밀반출되기도 했다. - 195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케일노돈
스케일노돈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살았던 멸종된 키노돈트의 한 속으로, 1946년 잠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화석을 통해 알려졌으며, 현재 유효한 종으로는 스케일노돈 앙구스티프론스와 스케일노돈 보레우스가 있다.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아구도테리움
아구도테리움은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 주의 아구두 지역명과 "짐승"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속명이다.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치니쿠오돈
치니쿠오돈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등지에서 살았던 키노돈류의 한 속으로, 강력한 턱과 긴 송곳니를 가진 육식성 수궁류이며, 치골과 측두창이 발달했고, 현재까지 5개의 유효한 종이 알려져 있다.
알레오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Aleodon |
명명자 | Crompton, 1955 |
모식종 | Aleodon brachyrhamphus |
모식종 명명자 | Crompton, 1955 |
기타 종 | A. cromptoni Martinelli et al., 2017 |
속 | †알레오돈속 |
생물학적 분류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단궁강 |
목 | 수궁목 |
아목 | 키노돈아목 |
분류 | 상키노돈트류 |
하목 | 진키노돈하목 |
분류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과 | †치니쿠오돈과 |
시간 척도 | |
화석 범위 | 트라이아스기 중-후기 |
시기 | 라딘기-초기 카르니아기 |
이미지 | |
![]() |
2. 발견 및 분류
1933년 탄자니아에서 발견된 부분적인 두개골과 하악 화석을 바탕으로, 1955년 ''알레오돈''은 곰포돈트 키노돈트로 처음 분류되었다.[2] 이 분류는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와 유사한, 화석에서 확인된 세 종류의 송곳니 후방 치아의 존재에 근거했다.[2]
이후 2001년, 홉슨과 키칭은 미공개 표본의 덜 마모된 치아를 근거로 ''알레오돈''을 키니쿠돈티다에에 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이 분류는 많은 자료에서 받아들여졌다.[1] 그러나 이듬해 압달라와 지안니가 나미비아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 ''알레오돈''(및 ''크롬프토돈'') 모두 송곳니 후방 치아에 잘 발달된 설측 링구알 플랫폼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키니쿠돈티다에가 가지지 않은 특징이었다.[4]
현재까지 ''알레오돈''의 계통 발생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분석은 많지 않지만, 수행된 분석들은 ''알레오돈''을 ''키니쿠돈''의 자매 분류군으로 묘사하고 있다.[5]
2. 1. 초기 분류
2. 2. 재분류 논쟁
2. 3. 현재의 분류
1955년, ''알레오돈''은 1933년 탄자니아에서 발견된 부분적인 두개골과 하악 화석을 바탕으로 곰포돈트 키노돈트로 처음 분류되었다. 이는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와 유사한, 세 종류의 송곳니 후방 치아의 존재에 근거했다.[2]2001년, 홉슨과 키칭은 미공개 표본의 덜 마모된 치아를 근거로 ''알레오돈''을 키니쿠돈티다에에 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이 분류는 많은 자료에서 받아들여졌다.[1] 그러나 이듬해 압달라와 지안니는 나미비아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 ''알레오돈''(크롬프토돈'' 포함)의 송곳니 후방 치아에 잘 발달된 설측 링구알 플랫폼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키니쿠돈티다에에는 없는 특징이다.[4]
현재까지 ''알레오돈''의 계통 발생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분석은 많지 않지만, 수행된 분석들은 ''알레오돈''을 ''키니쿠돈''의 자매 분류군으로 묘사하고 있다.[5]
3. 특징
3. 1. 치열
알레오돈(Aleodon)의 치열은 다른 속들과 구별하는 가장 중요한 형태학적 특징이다. 크롬톤(Crompton)은 송곳니 후열의 세 가지 뚜렷한 영역, 즉 앞쪽의 원형, 가로로 확장된 타원형, 그리고 부채꼴 모양의 뒤쪽 치아(크롬톤은 이를 "절단"으로 묘사)를 지적했다. 이 세 가지 영역의 송곳니 후열은 잘 알려진 곰포돈트인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와 매우 유사했으며(이로 인해 크롬톤은 알레오돈이 곰포돈타의 일부라고 믿게 되었다), 또한 알레오돈이 하악에 두 개의 앞니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는데, 이는 원래 네 개의 앞니를 가진 대부분의 키노돈트와 다르다.[2]
더 많은 화석을 바탕으로 알레오돈은 긴 이차 구개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단계통군인 치니쿠오돈과(Chiniquodontidae)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특징이며, 이로 인해 알레오돈은 곰포돈타에서 프로바노그나티아로 재분류되었다.[3] 그 직후, 알레오돈 표본에서 송곳니 후열에 잘 발달된 설측 치경 플랫폼(lingual cingular platforms)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발견으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이 그룹이 잘 발달된 설측 치경 플랫폼을 특징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알레오돈을 치니쿠오돈과(Chiniquodontidae)에서 제외했다.[4] 치관의 순측 부분에 비해 순설측 및 근원심 측면 모두에서 확장된 설측 치경 플랫폼은 모든 트라이아스기 프로바노그나티아 중 가장 잘 발달되어 있다.[6] 이러한 관찰을 통해 일부 연구자들은 알레오돈(및 칸델라리오돈(Candelariodon))이 치경 플랫폼의 점진적인 발달을 보여주는 표본일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7]

3. 1. 1. 설측 치경 플랫폼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text
3. 2. 두개골
브라질에서 발견된 표본을 바탕으로, ''알레오돈''은 키니쿠돈티다과와 동일한 두개골 형태를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키니쿠돈티다과의 진단 특징은 옆으로 넓게 퍼진 관골궁, 상악 관골 돌기의 복부 가장자리와 협골의 앞쪽 아래쪽 가장자리 사이의 각도, 얇은 돌기로 끝나는 길쭉한 익상 돌기, 그리고 긴 이차 구개이다.[4] 크롬톤이 처음 ''알레오돈''을 특징지을 때, 그는 솔방울 구멍의 존재를 언급했지만, 이후 표본에서는 ''알레오돈''의 두개골에 솔방울 구멍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았다.[8] ''알레오돈''은 또한 상대적으로 짧은 주둥이로 특징지어진다.[2]4. 고생물지리학적 정보
4. 1. 만다 지층 (탄자니아)
1930년대에 패링턴(Parrington)은 탄자니아의 트라이아스기 만다 층에서 처음으로 ''알레오돈'' 표본을 발굴했다.[2] 만다 층은 1930년 6월부터 10월까지 고든 M. 스톡리(Gordon M. Stockley)에 의해 처음 조사되었다.[9] 1930년대에 패링턴과 노왁(Nowack)이 추가로 수집했으며, 이후 크롬튼(Crompton)에 의해 ''알레오돈 브라키람푸스''가 기술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만다 층에는 테코돈트, 키노돈트, 디키노돈트의 동물군뿐만 아니라 대형 양서류와 린코사우루스가 존재했다. 이 지층은 두께가 2000m이며, 자주색에서 갈색의 이암과 회색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묘사되었다. 지층 상단에서 60~150m 아래에서 파충류 뼈가 발견되었으며, 표본의 대부분(65%)은 지표면 아래 1180m와 1310m에서 발견되었다.[10]4. 2. 오밍곤데 지층 (나미비아)

나미비아의 오밍곤데 지층에서 화석 척추동물이 처음 발견되어 1973년 키저에 의해 발표되었다.[8] 그가 기술한 화석 중에는 양서류, 키노돈트, 그리고 디키노돈트가 있었다. 키노돈트는 처음에는 키노그나투스와 초식성 곰포돈트로 대표되었다. 2009년 ''키니쿠돈'', ''루앙와'' 그리고 미확인 트라베르소돈티드와 같은 다른 키노돈트 표본들과 함께 알레오돈의 발견 이후, 나미비아의 오밍곤데 지층은 세계에서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키노돈트의 가장 다양한 동물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8] 이 발견은 또한 연구자들에게 남아메리카와 동아프리카의 두 동물군 사이의 확실한 연결 고리를 제공했다. 이로부터 오밍곤데 지층은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동안 남부 곤드와나의 생물지리를 재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8]
4. 3. 히우그란지두술 (브라질)
가장 최근에는 새로운 종의 ''알레오돈''(A. cromptoni)이 브라질 남부 히우그란지두술주에서 발견되었다. 이 표본들은 1988년 다니엘과 아브라오 카르그닌에 의해 처음 수집되었다.[1]5. 한국과의 관련성 (별도 연구 필요)
참조
[1]
간행물
The African cynodont ''Aleodon'' (Cynodontia, Probainognathia) in the Triassic of southern Brazil and its biostratigraphic significance
[2]
간행물
On some Triassic Cynodonts from Tanganyika
1955
[3]
간행물
A Probainognathian Cynodont from South Africa and the Phylogeny of Nonmammalian Cynodonts
2001
[4]
간행물
Chiniquodontid Cynodonts: Systematic and Morphometric Considerations
2002
[5]
간행물
The Radiation of Cynodonts and the Ground Plan of Mammalian Morphological Diversity
2013
[6]
간행물
The Triassic Eucynodont Candelariodon barberenai Revisited and the Early Diversity of Stem Prozostrodontians
2017
[7]
간행물
A New Carnivorous Cynodont (Synaspida, Therapsida) from the Brazilian Middle Triassic (Santa Maria Formation): Candelariodon barberenai gen. et sp. nov
2011
[8]
간행물
A Middle Triassic Cynodont Fauna from Namibi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BioGeography of Gondwana
2009
[9]
간행물
The Geology of the Ruhuhu Coalfields Tanganyika Territory
1932
[10]
간행물
The Pangea Dicynodont Rechnisaurus and the Comparative Biostratigraphy of Triassic Dicynodont Faunas
1991
[11]
저널
The African cynodont Aleodon (Cynodontia, Probainognathia) in the Triassic of southern Brazil and its biostratigraphic significance
https://journals.plo[...]
2017-06-14
[12]
저널
On some Triassic cynodonts from Tanganyika
https://zslpublicati[...]
195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