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키노돈하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키노돈하목은 프로키노수쿠스, 갈레사우루스, 트리낙소돈, 플라티크라니엘루스, 진키노돈트 등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진키노돈트는 키노그나티아와 프로베이노그나티아로 나뉜다. 프로베이노그나티아에는 룸쿠이아, 치니쿠오돈, 프로베이노그나투스과 등이 포함되며, 프로조스트로돈티아는 프로조스트로돈과, 테리오헤르페톤, 이라자테리움, 리오그란디아 등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진키노돈하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1열: 트리라코돈 베리에, 프로바이노그나투스 옌세니 2열: 브라질리아테리움 리오그란덴시스, 카스토로카우다 루트라시밀리스 3열: 오르니토린쿠스 아나티누스 (오리너구리), 로소돈타 아프리카나 (아프리카코끼리). | |
학명 | Eucynodontia |
명명자 | Kemp, 1982 |
분류군 계층 | 하목 |
하위 그룹 | 카타이기도돈 키노그나투스류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화석 범위 | 트라이아스기 전기 - 홀로세, |
2. 계통 발생
스테파넬로 등(2023)의 연구에 따른 키노돈트의 분기도는 아래 하위 문단들에서 설명하는 분류군들의 계통 발생 관계를 보여준다.[5] 각 분류군의 구체적인 위치와 상호 관계는 해당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프로키노수쿠스 (Procynosuchus)
스테파넬로 등(2023)의 연구에 따른 키노돈트의 분기도에서, 프로시노수쿠스(''Procynosuchus'')는 다른 주요 키노돈트 그룹들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5] 이는 프로시노수쿠스가 해당 분기도에 포함된 갈레사우루스(''Galesaurus''), 트리낙소돈(''Thrinaxodon''), 그리고 더 분화된 진키노돈트(Eucynodontia) 그룹보다 더 일찍 분기한 초기 키노돈트임을 시사한다.[5]2. 2. 갈레사우루스 (Galesaurus)
Galesaurus|갈레사우루스la는 초기 키노돈트 중 하나로, 프로시노수쿠스(`Procynosuchus|프로키노수쿠스la`)보다는 더 진화한 형태에 속한다. 스테파넬로 등(2023)의 연구에 따른 분기도를 보면, Galesaurus|갈레사우루스la는 Procynosuchus|프로키노수쿠스la가 가장 먼저 분기된 이후에 나타나는 그룹이다.[5] 구체적으로, Galesaurus|갈레사우루스la는 트리낙소돈(`Thrinaxodon|트리낙소돈la`) 및 나머지 진키노돈트(`Eucynodontia|에우키노돈티아la`) 그룹 전체와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며, 이들보다 먼저 분기된 것으로 나타난다.[5] 이는 Galesaurus|갈레사우루스la가 후대의 다양한 키노돈트 그룹으로 이어지는 계통에서 비교적 초기에 위치함을 보여준다.2. 3. 트리낙소돈 (Thrinaxodon)
스테파넬로 등(2023)의 연구에 따른 키노돈트의 분기도에 의하면, 트리낙소돈(''Thrinaxodon'')은 갈레사우루스(''Galesaurus'')보다는 더 분화된 위치에 있으며, 진키노돈트(Eucynodontia) 그룹의 자매 그룹으로 분류된다.[5] 이는 트리낙소돈이 갈레사우루스보다 더 진화된 특징을 가진 키노돈트임을 시사한다.2. 4. 플라티크라니엘루스 (Platycraniellus)
플라티크라니엘루스(la)는 진키노돈하목에 속하는 키노돈트의 한 속이다. 스테파넬로 등(2023)의 분기도 분석에 따르면, 플라티크라니엘루스는 트리낙소돈(Thrinaxodon)보다는 분화되었지만, 키노그나투스(Cynognathus)나 프로베이노그나투스(Probainognathus) 등을 포함하는 나머지 모든 진키노돈트(Eucynodontia) 그룹보다는 더 원시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5] 이는 플라티크라니엘루스가 진키노돈트 진화의 초기 단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분류군임을 시사한다.2. 5. 진키노돈트 (Eucynodontia)
진키노돈트(Eucynodontia영어)는 키노그나티아와 프로베이노그나티아를 포함하는 분기군이다.[5] 이 분기군은 크게 키노그나티아와 프로베이노그나티아의 두 주요 그룹으로 나뉘며, 각각의 그룹은 다양한 하위 분류군을 포함한다.[5] 각 그룹의 상세한 분류는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2. 5. 1. 키노그나티아 (Cynognathia)
스테파넬로 등(2023)의 연구에 따른 분기도에 의하면, 키노그나티아(Cynognathia)는 진키노돈트(Eucynodontia)의 주요 분기 중 하나로 분류된다.[5] 키노그나티아는 크게 ''키노그나투스''( ''Cynognathus'') 속과 곰포돈티아(Gomphodontia) 그룹으로 나뉜다.[5]곰포돈티아는 여러 하위 그룹을 포함하는데, 분기도 상에서 ''디아데모돈''( ''Diademodon'')이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나타난다.[5] 그 다음으로는 ''랑베르기아''( ''Langbergia''), ''트리라코돈''( ''Trirachodon''), ''시노그나투스''( ''Sinognathus'') 순서로 분기하며, 마지막으로 트라베르소돈과(Traversodontidae)가 위치한다.[5] 트라베르소돈과 내에서는 ''파스쿠알그나투스''( ''Pascualgnathus''), ''루앙과''( ''Luangwa''), ''스칼레노돈''( ''Scalenodon''), ''만다고포돈''( ''Mandagomphodon'') 등이 포함되며, ''마세토그나투스''( ''Massetognathus'')와 ''엑사에레토돈''( ''Exaeretodon'')은 서로 가장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5]
2. 5. 2. 프로베이노그나티아 (Probainognathia)
스테파넬로 등(2023)의 연구에 따른 프로베이노그나티아의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5] 프로베이노그나티아 내에서 가장 먼저 룸쿠이아(Lumkuia)가 분기된다. 나머지 그룹은 치니쿠오돈(Chiniquodon)과 그 자매 그룹으로 나뉘며, 이 자매 그룹은 다시 프로베이노그나투스과(Probainognathidae)와 더 분화된 분류군으로 구성된다. 프로베이노그나투스과에는 프로베이노그나투스(Probainognathus)와 보나키노돈(Bonacynodon)이 속한다.더 분화된 분류군은 에크테니니과(Ecteniniidae)와 그 자매 그룹으로 나뉜다. 에크테니니과에는 트루키도키노돈(Trucidocynodon), 에크테니온(Ectenion), 디에고카니스(Diegocanis)가 포함된다. 에크테니니과의 자매 그룹은 프로테리오돈(Protheriodon)과 프로조스트로돈티아로 구성된다.
프로조스트로돈티아는 프로조스트로돈과(Prozostrodontidae)와 그 자매 그룹으로 나뉜다. 프로조스트로돈과에는 프로조스트로돈(Prozostrodon)과 슈도테리움(Pseudotherium)이 속한다. 프로조스트로돈과의 자매 그룹은 테리오헤르페톤(Therioherpeton)과 그 자매 그룹으로 나뉘고, 이는 다시 이라자테리움(Irajatherium)과 그 자매 그룹으로 분기된다. 이 그룹은 리오그란디아(Riograndia)와 최종 분화 그룹으로 나뉜다.
최종 분화 그룹은 디아르트로그나투스(Diarthrognathus)와 파키게넬루스(Pachygenelus)를 포함하는 그룹과, 트리티로돈과(Tritylodontidae) 및 그 자매 그룹으로 나뉜다. 트리티로돈과의 자매 그룹은 보투카라이테리움(Botucaraitherium)과, 브라실로돈(Brasilodon) 및 포유류형류(Mammaliaformes)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구성된다.
참조
[1]
논문
Evolutionary patterns among Permo-Triassic therapsids
http://www11.cac.was[...]
[2]
서적
Mammal-like Reptiles and the Origin of Mammals
[3]
논문
A new non-mammaliaform eucynodont from the Carnian-Norian Ischigualasto Formation, Northwestern Argentina
[4]
간행물
A Probainognathian Cynodont from South Africa and the Phylogeny of Nonmammalian Cynodonts
[5]
논문
A complete skull of a stem mammal from the Late Triassic of Brazil illuminates the early evolution of prozostrodontian cynodonts
2023
[6]
저널
Evolutionary Patterns Among Permo-Triassic Therapsids
https://www.annualre[...]
20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