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린코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린코사우루스는 린코사우루스과에 속하는 파충류의 일종이다. 린코사우루스과의 계통 발생은 Ezcurra 외 (2016)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며, 노테오수쿠스, 메소수쿠스, 하우에시아, 에오히오사우루스 등을 포함한다. 린코사우루스과는 스테노로린키나이와 하이페로다페돈아과로 나뉘며, 스테노로린키나이에는 마리안테 린코사우루스, 스테노로린쿠스, 랑게로닉스, 벤토닉스, 포도닉스가, 하이페로다페돈아과에는 이사로린쿠스, 테윰바이타, 하이페로다페돈이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라이아스기 중기 유럽의 파충류 - 믹소사우루스
    믹소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몸길이 73cm에서 2m의 비교적 작은 어룡으로, 좁은 턱과 날카로운 이빨, 노와 비슷한 지느러미, 긴 꼬리를 가지고 있어 얕은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Mixosaurus cornalianus, Mixosaurus panxianesis, Mixosaurus kuhnschnyderi 등이 유효한 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 트라이아스기 중기 유럽의 파충류 - 킴보스폰딜루스
    킴보스폰딜루스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중후기에 서식했던 거대한 어룡으로, 6~17m에 달하며 어룡류의 가장 오래된 대표자 중 하나이다.
  • 184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밀로돈
    스밀로돈은 플라이스토세 시대 아메리카 대륙에 살았던 멸종된 검치호 속으로, 긴 송곳니와 강력한 앞다리, 튼튼한 체격을 지녔으며 대형 초식동물을 사냥했던 최상위 포식자였으나 약 1만 년 전 멸종했다.
  • 184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공룡
    공룡은 중생대에 번성한 지배파충류의 일종으로, 트리케라톱스와 현생 조류의 공통 조상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며, 조류는 유일하게 생존한 공룡으로 여겨지고 화석 연구를 통해 생태, 진화, 멸종 원인 등이 밝혀지고 있다.
  • 리처드 오언이 명명한 분류군 - 극어류
    극어류는 멸종된 어류의 한 무리로, 가시 상어라고도 불리며 실루리아기부터 페름기까지 번성했고, 비늘 장식으로 퇴적암 연대 추정에 사용되었으며, 연골어류에 속한다.
  • 리처드 오언이 명명한 분류군 - 악어
    악어는 넓고 납작한 몸, 긴 주둥이, 짧은 목, 납작한 꼬리를 가진 파충류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강력한 턱과 이빨로 다양한 먹이를 포식하고 인간과 연관이 깊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린코사우루스
린코사우루스과
Rhynchosaurus articeps 두개골
Rhynchosaurus articeps 두개골
린코사우루스 아르티켑스 복원도
생태 복원도
학명Rhynchosaurus
명명자오언, 1842년
하위 분류군 계급
하위 분류군*†R. articeps Owen, 1842 (모식종)
시대
화석 발견 시기중기 트라이아스기 (아니시아기)
생존 시기~

2. 계통 발생

분기도는 Ezcurra 외 (2016)의 연구를 바탕으로 제시되었다.[4] 린코사우루스과는 크게 스테노로린키나이와 하이페로다페돈아과로 나뉘며, 노테오수쿠스, 메소수쿠스, 하우에시아, 에오히오사우루스는 린코사우루스과에 속하지 않는 근연 분류군이다.

린코사우루스과 분기도
린코사우루스과


2. 1. 린코사우루스과 내의 계통

린코사우루스과는 크게 스테노로린키나이와 하이페로다페돈아과로 나뉜다.[4] 이들은 각각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린코사우루스과 분기도
린코사우루스과


2. 1. 1. 스테노로린키나이 (Stenaulorhynchinae)

마리안테린코사우루스, 스테노로린쿠스, 랑게로닉스, 벤토닉스, 포도닉스가 이에 속한다.[4]

2. 1. 2. 하이페로다페돈아과 (Hyperodapedontinae)

에즈쿠라(Ezcurra) 외 (2016)의 연구에 따르면 하이페로다페돈아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4]

  • ''이사로린쿠스''
  • ''테윰바이타''
  • ''하이페로다페돈''

2. 2. 린코사우루스과 근연 분류군

다음은 에즈쿠라(Ezcurra) 외 (2016)에 근거한 분기도이다.[4]

린코사우루스과 근연 분류군


참조

[1] 논문 A new genus of rhynchosaur from the Middle Triassic of south-west England
[2] 간행물 The Early Evolution of Rhynchosaurs
[3] 웹사이트 Rhynchosaurus https://paleobiodb.o[...]
[4] 논문 The Early Evolution of Rhynchosaurs
[5] 저널 A new genus of rhynchosaur from the Middle Triassic of south-west England
[6] 간행물 The Early Evolution of Rhynchosau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