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 리베르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베르 리베르타드는 프랑스의 아나키스트로, 어린 시절 다리 장애를 겪었지만 이를 활용하여 활동했다. 그는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을 지지하며, 신문 《라나르시》를 창간하고 드레퓌스 사건 당시 반군국주의 연맹을 창립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또한, 삶의 기쁨을 강조하며 권위주의와 수동적 니힐리즘을 비판하며, 개인의 반란이 사회 혁명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 - 윌리엄 고드윈
윌리엄 고드윈은 영국의 정치 철학자, 소설가, 저널리스트로서 무정부주의와 공리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대표작 『정치적 정의에 관한 탐구』를 통해 근대 무정부주의 사상의 초석을 놓았고, 이성과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며 정부와 강제적 권력을 비판했으며, 소설 『캘럽 윌리엄스』로 사회 제도와 권력의 부조리를 고발했고, 작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남편이자 메리 셸리의 아버지이다. -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 - 막스 슈티르너
막스 슈티르너는 1806년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이며,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 개인의 절대적 자유와 이기심을 강조하며 모든 외부 권위에 대한 비판을 펼쳐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장애인 정치인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는 브라질의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으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그리고 2023년부터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회복지 프로그램으로 빈곤 감소에 기여하고, 부패 스캔들과 아마존 열대우림 벌채 문제 등의 논란을 겪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하여 현재 브라질 대통령으로서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 - 장애인 정치인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프랑스의 아나키스트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아나키스트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무정부주의자로,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하고 노동자 협동조합에 기반한 자유로운 사회를 옹호했으며, 반유대주의와 여성 차별적인 견해로 비판받았다.
알베르 리베르타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조제프 알베르 레탕 (Joseph Albert Letailleur) |
출생 | 1875년 11월 24일, 센에마른주 |
사망 | 1908년 11월 12일 (향년 32세), 파리 |
국적 | 프랑스 |
직업 | 작가, 저널리스트, 연설가, 활동가 |
사상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
경력 | |
활동 | "레 아날 드 랭디비주알리스므" ("L'Anarchie individuelle") 설립 "르 리베르테르" ("Le Libertaire") 편집 "레 카이에 드 랭디비주알리스므" ("Les Cahiers de l'Individualisme") 기고 |
추가 정보 | |
영향 받은 인물 | 막스 슈티르너 프리드리히 니체 에밀 아르망 |
2. 삶과 활동
알베르 리베르타드는 1905년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 신문인 라나르시(L’Anarchie)를 창간하여 앙드레 로륄로, 에밀 아르망, 빅토르 세르주 등과 협력했다.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의 라울 바네겜은 리베르타드가 시민들에게 신분증을 불태울 것을 촉구하며, "노예 목록의 통계"로 전락시키는 것에 저항할 것을 주장했다고 전한다.[11] 그는 아리스티드 브리앙의 교정자로 일하며 La Lanterne의 리뷰를 편집하고, 세바스티앙 포르와 함께 활동했다. 또한 자유연애 운동가로서 조 다샤가 창간한 랑-데오르(L'En-Dehors)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2. 1. 어린 시절과 파리 생활
알베르 리베르타드는 보르도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죽었다. 그는 아기였을 때 부모에게 버려졌고 보르도에서 공적 부조로 생활했다. 어린 시절 질병으로 다리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목발을 이용해야 했지만, 목발을 경찰을 상대로 무기로 이용하기도 하면서 이 핸디캡을 유용하게 사용하기도 했다.[9] 21살에 파리로 가서 아나키스트 서클에서 활동했으며, “레 리베르테르(Le Libertaire)”의 사무실에서 살기도 했다. 그는 다양한 아나키스트 그룹의 멤버였고 “행위의 프로파간다(propaganda by the deed)”의 지지자였지만, 1902년과 1904년에 파리 11번구의 기권주의자 후보였다. 이는 자리를 차지할 의지를 가지지 않은 채 선거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아나키스트 사상을 전파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했다. 드레퓌스 사건이 일어났을 때 “반군국주의 연맹(Anti-Militarist League, 1902)”을 창립했고, 파라프 자발(Paraf-Javal)과 함께 “대중의 한담(Causeries populaires)”을 창립했다. 이 공개 토론은 전국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파리의 여러 지역에서 서점과 다양한 클럽 개설에 기여했다.[10]2. 2. 아나키스트 활동
알베르 리베르타드는 보르도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사망했다. 유아기에 부모에게 버려져 보르도 공공 지원을 받으며 생활했다. 어린 시절 질병으로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지만, 목발을 경찰에 대항하는 무기로 사용하는 등 자신의 장애를 십분 활용했다.[9] 21세에 파리로 이주하여 아나키스트 서클에서 활동했으며, "레 리베르테르(Le Libertaire)" 사무실에서 생활하기도 했다. 다양한 아나키스트 그룹의 일원이었고 "행위의 프로파간다(propaganda by the deed)"를 지지했지만, 1902년과 1904년 파리 11번구에서 기권주의자 후보로 출마했다. 이는 자리를 차지할 의지를 갖지 않은 채 선거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리베르타드는 이를 아나키스트 사상을 전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했다. 드레퓌스 사건 당시, 그는 "반군국주의 연맹(Anti-Militarist League, 1902)"을 창립했고, 파라프 자발(Paraf-Javal)과 함께 "대중의 한담(Causeries populaires)"을 창립했다. 이 공개 토론은 전국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파리의 여러 지역에서 서점과 다양한 클럽 개설에 기여했다.[10]1905년, 리베르타드는 가장 영향력 있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 신문인 라나르시(L’Anarchie)를 창립했다. 이 신문의 협력자로는 앙드레 로륄로(André Lorulot), 에밀 아르망(Emile Armand), 빅토르 세르주와 그의 동반자 리레트 메트레장(Rirette Maitrejean) 등이 있었다. 프랑스의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이론가인 라울 바네겜(Raoul Vaneigem)은 리베르타드가 "시민들에게 신분증을 불태우고, 노예 목록의 통계 상태로 전락하게 만드는 숫자를 거부함으로써 다시 인간이 될 것을 요구했다"고 언급했다.[11] 그는 아리스티드 브리앙의 교정자로 일하기도 했으며, La Lanterne의 리뷰를 편집했고, 세바스티앙 포르(Sébastien Faure)와 함께 일했다. 자유연애 활동가였던 리베르타드는 조 다샤(Zo d'Axa)가 창간한 아나키스트 신문인 "랑두어(L'En-Dehors)"에 글을 쓰기도 했다.
2. 3. 언론 활동과 자유연애
보르도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사망한 그는 21세에 파리로 가서 아나키스트 서클에서 활동했으며 레 리베르테르(Le Libertaire)의 사무실에서 살기도 했다. 그는 다양한 아나키스트 그룹의 멤버였고 “행위의 프로파간다(propaganda by the deed)”의 지지자였지만, 1902년과 1904년에 파리 11번구의 기권주의자 후보였다. 이는 자리를 차지할 의지를 가지지 않은 채 선거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아나키스트 사상을 전파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했다.[9] 드레퓌스 사건이 일어났을 때 그는 “반군국주의 연맹(Anti-Militarist League, 1902)”을 창립했고, 파라프 자발(Paraf-Javal)과 함께 “대중의 한담(Causeries populaires)”을 창립했다. 이 공개 토론은 전국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파리의 여러 지역에서 서점과 다양한 클럽 개설에 기여했다.[10]1905년에 리베르타드는 가장 영향력 있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 신문인 라나르시(L’Anarchie)를 창립했고, 이 신문의 협력자 중에는 앙드레 로륄로(André Lorulot), 에밀 아르망(Emile Armand), 빅토르 세르주와 그의 동반자인 리레트 메트르장(Rirette Maitrejean) 같은 이들이 있었다.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의 프랑스 이론가인 라울 바네겜은 “그는 시민들에게 신분증을 불태우도록 청했다. 그들을 노예 목록의 통계 상태로 전락하게 만드는 숫자들을 거부 함으로써 그렇게 다시 인간이 될 것을 요구했다."라고 언급했다.[11] 그는 아리스티드 브리앙의 교정자로 일하기도 했으며, La Lanterne의 리뷰를 편집했고, 세바스티앙 포르와 일하기도 했다. 자유연애 활동가로써 조 다샤에 의해 창립된 아나키스트 신문인 랑-데오르(L'En-Dehors)에 글을 쓰기도 했다.
3. 리베르타드의 아나키즘
리베르타드는 7월 14일 기념일에 맞춰 ''라나르시''(L'Anarchie)라는 "권위의 바스티유" 선언문을 10만 부 인쇄하여 배포했다. 그는 사회 질서에 대한 열정적인 활동과 함께 "삶의 기쁨"으로서의 아나키즘에 대한 자신의 비전에 따라 축제, 춤, 소풍 등을 조직했다. 이는 투쟁적인 희생과 죽음 본능이 아닌, 개인의 요구(자율성에 대한 필요성)와 권위주의적 사회를 파괴할 필요성을 조화시키려는 것이었다. 리베르타드는 개인의 반항과 사회 혁명 사이의 허위 이분법을 극복하여, 전자가 후자의 한 순간일 뿐 부정하는 것이 아님을 강조했다.[12]
리베르타드는 삶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의 결핍으로 삶을 부정하며 죽음을 최종적인 해방이라고 여기는 수동적 니힐리즘의 형태를 비판했다. 그는 삶을 제어할 능력을 잃어버린 상태를 일종의 죽음이라고 표현했으며, 그 상황에 체념한 것을 일종의 자살이라고 표현했다.[12] 그는 "삶의 기쁨"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13]
매일 우리는 부분적으로 자살을 한다. 내가 햇빛이 결코 들어오지 않을 집에 살길 동의하고, 환기가 되지 않아 내가 깨어날 때마다 질식케하는 집에 살길 동의할 때 나는 자살을 한다. 내가 결코 다시 회복할 수 없는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는 노동에 종사해야 하거나, 내가 쓸모없다고 알고 있는 활동에 참여할 때 나는 자살을 한다. 인간을 복종시키고 나를 억압하는 병영에 들어갈 때마다 나는 자살을 한다. 투표를 통해 다른 자가 나를 4년간 지배할 권리를 부여할 때마다 나는 자살을 한다. 내가 판사나 사제에게 사랑의 허가를 요청할 때마다 나는 자살을 한다. 사랑이 과거가 되고, 내가 연인으로서의 나의 자유를 되찾지 않을 때 나는 자살을 한다. 완전한 자살은 환경에 반발하는 총체적 무능력의 최종 행동일 뿐이다. 내가 부분적 자살이라 부른 이런 행동들은, 진정한 자살보다 결코 덜한 것이아니다.|삶의 기쁨(The Joy of Life)프랑스어
내 모든 욕망 중에서 가장 위대한 것은, 당신의 삶에 대한 강렬한 각성 속에서 당신의 체념을 떨쳐내 버리는 것을 보는 것이다. 우린 살아있다! 살아가자! 체념은 죽음이며, 반란은 삶이다.|체념한 자에게(To the Resigned)프랑스어[14]
사람은 살아가야 하며, 반드시 더욱 풍성한 삶을 살고자 갈망해야한다. 그러니 부분적인 자살조차 받아들이지 말자. 우리가 모든 경험, 모든 행복, 모든 감각을 알게되길 열망하자. 우리가 “나”의 감소라는 체념에 만족하게 방치하지 말자. 우리의 삶의 용사가 되자. 그렇게 우리의 비열함과 약함으로부터 이 욕망을 일깨우자. 지구를 우리 자신의 아름다움에 동화 시키자. 이렇게 우리의 소망은 장대하게 결합되며, 마침내 완전함 안에서 우리는 삶의 기쁨을 알게 될것이다. 삶을 사랑하자.|삶의 기쁨(The Joy of Life)프랑스어[15]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빼앗기는 상황을 거부하고, 자신의 삶의 완전한 통제권을 되찾고, 그들의 삶을 풍족하게 하고자 투쟁할 때, 사회는 그에 따라 변화해 나갈 것이다. 자유롭길 욕망하는 개인의 반란이 서로 교류하고 단결하며, 개인의 자유를 위한 이 투쟁은 결과적으로 자유로운 사회를 향한 투쟁으로 나아갈 것이다. 리베르타드에게 사회혁명이란 이런 의미인 것이다.
3. 1. 권위주의 비판과 개인의 자유
레낙시는 7월 14일 기념일에 “권위의 바스티유(The Bastille of Authority)”라는 선언문 수천 부를 인쇄하여 배포했다. 그는 사회 질서에 대한 맹렬한 반항과 함께 파티를 열어 춤을 추기도 하고 여행을 다니기도 했다. 아나키즘에 대한 그의 시각은 “삶의 기쁨(Joie de vivre)”이라는 형태였다. 그는 전투적인 희생과 죽음을 향한 본능이 아닌, 권위주의적인 사회를 파괴하기 위한 개인의 필요성(혹은 그의 자율성에 대한 필요)을 이 목적과 화해시키려 시도했다. 리베르타드는 개인의 반란과 사회혁명 사이의 그릇된 이분법을 극복했으며, 개인의 반란이 사회혁명의 순간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반란은 개인의 특정한 긴장에서만 나타나며, 그 자체로 확대되면서 사회 해방의 프로젝트로 이어질 수 있다. 리베르타드에게 아나키즘은 어떠한 사회적 상황과도 분리된 냉담한 상아탑에서의 삶이 아니며, 공동체주의적 섬에서의 행복도 아니고, 사회적 역할에 복종하면서 사상을 실천에 옮기는 순간을 무한히 연기하는 것도 아니며, 지금 이 순간에 어떠한 양보도 없이 아나키스트로서 살아가는 것이었다. 그에게 있어 이것이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은 반역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이 개인의 반란과 사회혁명이 서로를 배제하지 않고, 오히려 서로를 보완하는 이유였다.[12]리베르타드는 자신의 삶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의 결핍으로 삶을 부정하며 죽음을 최종적인 해방이라고 여기는 수동적 니힐리즘의 형태를 비판했다. 그는 삶을 제어할 능력을 잃어버린 상태를 일종의 죽음이라고 표현했으며, 그 상황에 체념한 것을 일종의 자살이라고 표현했다.
매일 우리는 부분적으로 자살을 한다. 내가 햇빛이 결코 들어오지 않을 집에 살길 동의하고, 환기가 되지 않아 내가 깨어날 때마다 질식케하는 집에 살길 동의할 때 나는 자살을 한다. 내가 결코 다시 회복할 수 없는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는 노동에 종사해야 하거나, 내가 쓸모없다고 알고 있는 활동에 참여할 때 나는 자살을 한다. 인간을 복종시키고 나를 억압하는 병영에 들어갈 때마다 나는 자살을 한다. 투표를 통해 다른 자가 나를 4년간 지배할 권리를 부여할 때마다 나는 자살을 한다. 내가 판사나 사제에게 사랑의 허가를 요청할 때마다 나는 자살한다. 사랑이 과거가 되고, 내가 연인으로서의 나의 자유를 되찾지 않을 때 나는 자살을 한다. 완전한 자살은 환경에 반발하는 총체적 무능력의 최종 행동일 뿐이다. 내가 부분적 자살이라 부른 이런 행동들은, 진정한 자살보다 결코 덜한 것이아니다.|삶의 기쁨(The Joy of Life)[13]프랑스어
내 모든 욕망 중에서 가장 위대한 것은, 당신의 삶에 대한 강렬한 각성 속에서 당신의 체념을 떨쳐내 버리는 것을 보는 것이다. 우린 살아있다! 살아가자! 체념은 죽음이며, 반란은 삶이다.|체념한 자에게(To the Resigned)[14]프랑스어
사람은 살아가야 하며, 반드시 더욱 풍성한 삶을 살고자 갈망해야한다. 그러니 부분적인 자살조차 받아들이지 말자. 우리가 모든 경험, 모든 행복, 모든 감각을 알게되길 열망하자. 우리가 “나”의 감소라는 체념에 만족하게 방치하지 말자. 우리의 삶의 용사가 되자. 그렇게 우리의 비열함과 약함으로부터 이 욕망을 일깨우자. 지구를 우리 자신의 아름다움에 동화 시키자. 이렇게 우리의 소망은 장대하게 결합되며, 마침내 완전함 안에서 우리는 삶의 기쁨을 알게 될것이다. 삶을 사랑하자.|삶의 기쁨(The Joy of Life)[15]프랑스어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빼앗기는 상황을 거부하고, 자신의 삶의 완전한 통제권을 되찾고, 그들의 삶을 풍족하게 하고자 투쟁할 때, 사회는 그에 따라 변화해 나갈 것이다. 자유롭길 욕망하는 개인의 반란이 서로 교류하고 단결하며, 개인의 자유를 위한 이 투쟁은 결과적으로 자유로운 사회를 향한 투쟁으로 나아갈 것이다. 리베르타드에게 사회혁명이란 이런 의미인 것이다.
3. 2. 삶의 기쁨과 반란
레낙시의 7월 14일 기념일에 “권위의 바스티유(The Bastille of Authority)”라는 선언문 수천 부가 인쇄되어 배포되었다. 사회 질서에 대한 맹렬한 반항과 함께 그는 파티를 열어 춤을 추기도 했으며 여행을 다니기도 했다. 아나키즘에 대한 그의 시각은 “삶의 기쁨(Joie de vivre)”이라는 형태였다. 전투적인 희생과 죽음을 향한 본능이 아닌, 권위주의적인 사회를 파괴하기 위한 개인의 필요성(혹은 그의 자율성에 대한 필요)을 이 목적과 화해시키려 시도했다. 사실 리베르타드는 개인의 반란과 사회혁명 사이의 그릇된 이분법을 극복했으며, 개인의 반란이 사회혁명의 순간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반란은 개인의 특정한 긴장으로부터만 나타나며, 그 자체로 확대되면서 사회 해방의 프로젝트로 이어질 수 있다. 리베르타드에게 아나키즘은 어떠한 사회적 상황과도 분리된 냉담한 상아탑에서의 삶이 아니며, 공동체주의적 섬에서의 행복도 아니고, 사회적 역할에 복종하면서 사상을 실천에 옮기는 순간을 무한히 연기하는 것도 아니며, 지금 이 순간에 어떠한 양보도 없이 아나키스트로서 살아가는 것이었다. 그에게 있어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은 반역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이 개인의 반란과 사회혁명이 서로를 배제하지 않고, 오히려 서로를 보완하는 이유였다.[12]리베르타드는 자신의 삶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의 결핍으로 삶을 부정하며 죽음을 최종적인 해방이라고 여기는 수동적 니힐리즘의 형태를 비판했다. 그는 삶을 제어할 능력을 잃어버린 상태를 일종의 죽음이라고 표현했으며, 그 상황에 체념한 것을 일종의 자살이라고 표현했다.
매일 우리는 부분적으로 자살을 한다. 내가 햇빛이 결코 들어오지 않을 집에 살길 동의하고, 환기가 되지 않아 내가 깨어날 때마다 질식케 하는 집에 살길 동의할 때 나는 자살을 한다.|매일 우리는 부분적으로 자살을 한다. 내가 햇빛이 결코 들어오지 않을 집에 사는 것에 동의하고, 환기가 되지 않아 내가 깨어날 때마다 질식하게 하는 집에 사는 것에 동의할 때 나는 자살을 한다.프랑스어
내가 결코 다시 회복할 수 없는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는 노동에 종사해야 하거나, 내가 쓸모없다고 알고 있는 활동에 참여할 때 나는 자살을 한다.|내가 결코 다시 회복할 수 없는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는 노동에 종사해야 하거나, 내가 쓸모없다고 알고 있는 활동에 참여할 때 나는 자살을 한다.프랑스어
인간을 복종시키고 나를 억압하는 병영에 들어갈 때마다 나는 자살을 한다.|인간을 복종시키고 나를 억압하는 병영에 들어갈 때마다 나는 자살을 한다.프랑스어
투표를 통해 다른 자가 나를 4년간 지배할 권리를 부여할 때마다 나는 자살을 한다.|투표를 통해 다른 자가 나를 4년간 지배할 권리를 부여할 때마다 나는 자살을 한다.프랑스어
내가 판사나 사제에게 사랑의 허가를 요청할 때마다 나는 자살한다.|내가 판사나 사제에게 사랑의 허가를 요청할 때마다 나는 자살한다.프랑스어
사랑이 과거가 되고, 내가 연인으로서의 나의 자유를 되찾지 않을 때 나는 자살을 한다.|사랑이 과거가 되고, 내가 연인으로서의 나의 자유를 되찾지 않을 때 나는 자살을 한다.프랑스어
완전한 자살은 환경에 반발하는 총체적 무능력의 최종 행동일 뿐이다.|완전한 자살은 환경에 반발하는 총체적 무능력의 최종 행동일 뿐이다.프랑스어
내가 부분적 자살이라 부른 이런 행동들은, 진정한 자살보다 결코 덜한 것이 아니다.|내가 부분적 자살이라 부른 이런 행동들은, 진정한 자살보다 결코 덜한 것이 아니다.프랑스어 [13]
내 모든 욕망 중에서 가장 위대한 것은, 당신의 삶에 대한 강렬한 각성 속에서 당신의 체념을 떨쳐내 버리는 것을 보는 것이다.|내 모든 욕망 중에서 가장 위대한 것은, 당신의 삶에 대한 강렬한 각성 속에서 당신의 체념을 떨쳐내 버리는 것을 보는 것이다.프랑스어
우린 살아있다! 살아가자! 체념은 죽음이며, 반란은 삶이다.|우린 살아있다! 살아가자! 체념은 죽음이며, 반란은 삶이다.프랑스어 [14]
사람은 살아가야 하며, 반드시 더욱 풍성한 삶을 살고자 갈망해야 한다. 그러니 부분적인 자살조차 받아들이지 말자.|사람은 살아가야 하며, 반드시 더욱 풍성한 삶을 살고자 갈망해야 한다. 그러니 부분적인 자살조차 받아들이지 말자.프랑스어
우리가 모든 경험, 모든 행복, 모든 감각을 알게 되길 열망하자. 우리가 “나”의 감소라는 체념에 만족하게 방치하지 말자. 우리의 삶의 용사가 되자. 그렇게 우리의 비열함과 약함으로부터 이 욕망을 일깨우자. 지구를 우리 자신의 아름다움에 동화시키자.|우리가 모든 경험, 모든 행복, 모든 감각을 알게 되길 열망하자. 우리가 “나”의 감소라는 체념에 만족하게 방치하지 말자. 우리의 삶의 용사가 되자. 그렇게 우리의 비열함과 약함으로부터 이 욕망을 일깨우자. 지구를 우리 자신의 아름다움에 동화시키자.프랑스어
이렇게 우리의 소망은 장대하게 결합되며, 마침내 완전함 안에서 우리는 삶의 기쁨을 알게 될 것이다.|이렇게 우리의 소망은 장대하게 결합되며, 마침내 완전함 안에서 우리는 삶의 기쁨을 알게 될 것이다.프랑스어
삶을 사랑하자.|삶을 사랑하자.프랑스어 [15]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빼앗기는 상황을 거부하고, 자신의 삶의 완전한 통제권을 되찾고, 그들의 삶을 풍족하게 하고자 투쟁할 때, 사회는 그에 따라 변화해 나갈 것이다. 자유롭길 욕망하는 개인의 반란이 서로 교류하고 단결하며, 개인의 자유를 위한 이 투쟁은 결과적으로 자유로운 사회를 향한 투쟁으로 나아갈 것이다. 리베르타드에게 사회혁명이란 이런 의미인 것이다.
3. 3. 수동적 니힐리즘 비판
리베르타드는 삶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의 결핍으로 삶을 부정하며 죽음을 최종적인 해방이라고 여기는 수동적 니힐리즘 형태를 비판했다. 그는 삶을 제어할 능력을 잃어버린 상태를 일종의 죽음이라고 표현했으며, 그 상황에 체념한 것을 일종의 자살이라고 표현했다.[12]그는 The Joy of Life영어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13]
To the Resigned영어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14]
The Joy of Life영어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15]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빼앗기는 상황을 거부하고, 자신의 삶의 완전한 통제권을 되찾고, 그들의 삶을 풍족하게 하고자 투쟁할 때, 사회는 그에 따라 변화해 나갈 것이다. 자유롭길 욕망하는 개인의 반란이 서로 교류하고 단결하며, 개인의 자유를 위한 이 투쟁은 결과적으로 자유로운 사회를 향한 투쟁으로 나아갈 것이다. 리베르타드에게 사회혁명이란 이런 의미인 것이다.
참조
[1]
서적
Libertad, Le Culte de la charogne. Anarchisme, un état de révolution permanente (1897–1908)
http://atheles.org/a[...]
Éditions Agone
2006
[2]
웹사이트
Libertad (1875–1908)
http://www.marxists.[...]
[3]
웹사이트
Libertad (1875–1908)
http://www.marxists.[...]
[4]
웹사이트
"Machete" #1. "Bonnot and the Evangelists"
https://web.archive.[...]
2011-08-26
[5]
웹사이트
"No borders no papers" by Raoul Vaneigem
http://www.noborderb[...]
[6]
웹사이트
"Machete" #1. "Bonnot and the Evangelists"
https://web.archive.[...]
2011-08-26
[7]
서적
Libertad, Le Culte de la charogne. Anarchisme, un état de révolution permanente (1897–1908)
http://atheles.org/a[...]
Éditions Agone
2006
[8]
웹사이트
Libertad (1875–1908)
http://www.marxists.[...]
[9]
웹사이트
Libertad (1875–1908)
http://www.marxists.[...]
[10]
웹인용
“Machete” #1. "Bonnot and the Evangelists"
https://web.archive.[...]
2017-11-23
[11]
웹사이트
"No borders no papers" by Raoul Vaneigem
http://www.noborderb[...]
[12]
웹인용
“Machete” #1. "Bonnot and the Evangelists"
https://web.archive.[...]
2017-11-23
[13]
웹사이트
http://theanarchistl[...]
[14]
웹사이트
https://sites.google[...]
[15]
웹사이트
The Joy of Life
http://theanarchist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