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립 (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드립은 라발 대학교의 음악 교수가 설립한 회사로, IBM PC용 사운드 카드를 개발했다. 1987년 FM 칩을 사용한 "애드립" 카드를 출시하여 PC 게임 오디오 시장에 진출했으나, 경쟁사 크리에이티브 랩스의 사운드 블라스터에 밀려 1992년 파산했다. 이후 회사는 여러 차례 인수 및 사명 변경을 거쳐 애드립 골드 사운드 카드 등을 재출시했으나,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해체된 기업 - SK (기업)
SK 주식회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 에너지, 화학, 정보통신, 반도체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대한민국 재계 서열 3위의 대기업 집단이다. - 1992년 해체된 기업 - 한솔제지
한솔제지는 1965년 새한제지공업으로 설립되어 전주제지를 거쳐 199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제지 회사로, 삼성그룹 인수 후 분리, 사업 다각화와 구조조정을 거쳐 제지 사업에 집중하다 2015년 지주회사인 한솔홀딩스 체제로 전환, 2022년 한솔이엠이와 합병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 컴퓨팅 하드웨어의 역사 - 무어의 법칙
무어의 법칙은 집적회로의 성능이 일정 기간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는 경험적 관찰로, 반도체 산업 발전을 이끄는 지표였으나, 최근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성능 향상이 지속되며 기술 혁신 과정 자체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 컴퓨팅 하드웨어의 역사 - 아날로그 컴퓨터
아날로그 컴퓨터는 물리량을 사용하여 수학적 연산을 수행하는 계산 기계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나 디지털 컴퓨터의 발전으로 쇠퇴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에너지 효율적인 계산 등의 분야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 사운드 카드 -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는 1981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되어 사운드 블라스터를 통해 PC 오디오 시장의 표준을 정립하고 MP3 플레이어 시장에도 진출한 음향 및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제품 기업이다. - 사운드 카드 - 헤드셋
헤드셋은 머리에 착용하여 양손을 자유롭게 음성을 듣고 말할 수 있는 장치로, 다양한 형태와 연결 방식을 가지며 콜센터, 항공 교통 관제, 스포츠, 군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애드립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회사 이름 | Ad Lib, Inc. |
![]() | |
| 산업 분야 | 소비자 전자 제품 |
| 설립 | 1987년, 퀘벡 시, 캐나다 |
| 설립자 | 마틴 프레벨 |
| 해체 | 1992년 |
| 본사 위치 | 캐나다 |
| 주요 인물 | 마틴 프레벨 (CEO) |
| 제품 | 오디오, 컴퓨터 관련 제품 |
| 역사 | |
| 파산 | 파산; 자산은 1994년 Binnenalster GmbH에 인수되어 Softworld Taiwan에 재판매됨 |
2. 역사
애드립은 라발 대학교[11]의 음악 교수였던 마르틴 프리벨이 설립했으며, 1987년 FM 칩(야마하 YM3812 칩)을 사용한 최초의 컴퓨터용 사운드 카드인 "애드립" 카드를 공개하면서 시작되었다.[3]
애드립은 소프트웨어 개발 커뮤니티의 참여를 유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 결과, 게임 개발자에게 품질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뉴저지 회사의 Top Star Computer Services, Inc.와 제휴했다. 시에라 온라인의 ''킹스 퀘스트 IV''가 애드립을 지원하는 최초의 게임이 되었으며[4], 이 게임의 성공은 애드립 카드가 주류 미디어의 주목을 받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애드립 뮤직 카드의 성공은 곧 경쟁을 불러왔다. 크리에이티브 랩스는 사운드 블라스터 카드를 출시하여 경쟁에 뛰어들었다. 사운드 블라스터는 애드립에는 없었던 PCM 오디오 채널과 게임 포트를 제공하여 인기를 얻었다. 결국 1992년 애드립은 파산 신청을 했고, 이후 독일의 Binnenalster GmbH를 거쳐 1994년 소프트월드 타이완에 매각되었다.[4]
2. 1. 설립과 초기 성공
애드립은 라발 대학교[11]의 음악 교수였던 마르틴 프리벨이 설립했다. 마르틴은 1년 넘게 IBM PC 개발 커뮤니티에 자신이 만든 새로운 제품을 지원하도록 설득했지만, 업계 경험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여러 컴퓨터 쇼에 참가하여 사운드 기판, 개발 도구, 기술 정보가 포함된 개발 키트를 제공하였으나, 대부분 마케팅, 판매, 언론 담당자들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무시당했다.
이후 마르틴은 탑 스타 컴퓨터 서비시즈 사(TSCS)라는 뉴저지 회사를 통해 게임 개발사들에게 음질 보장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마르틴은 탑 스타 사의 회장 리치 헤이믈리치에게 제품 홍보의 어려움을 이야기했고, 리치는 1987/1988년 겨울 퀘벡으로 가서 제품을 직접 확인하고 마르틴의 열정을 공유했다. 리치는 주요 고객들에게 이 신제품에 대한 믿음을 전달했고, 몇 주 후 개발자들이 애드립 카드를 지원하는 코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시에라 온 라인은 애드립 사운드 지원을 자사의 인기 게임(《킹스 퀘스트》 등)에 추가한 첫 게임 개발사였다.[4] 게임 지원은 애드립에게 판매 통로를 열어주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90-1991년에는 소매 업체 체인점과 도매상 대부분이 애드립 사운드 카드를 판매하고 있었다.
애드립은 1987년 FM 칩 (야마하 YM3812 칩)을 사용한 최초의 컴퓨터용 사운드 카드인 "애드립" 카드를 공개했다.[3] 1988년에는 애드립 지원을 제공한 최초의 게임(시에라 온 라인 게임)이 등장하였다.
2. 2. 경쟁 심화와 몰락
애드립 사운드 카드는 IC 부품을 사용했기 때문에 경쟁사들이 쉽게 복제할 수 있었다. 가장 উল্লেখযোগ্য 경쟁자는 크리에이티브 랩스로, 이 회사의 사운드 블라스터 v1.0은 애드립 사운드 카드에 단일 음성 디지털 효과(PCM) 채널과 조이스틱 또는 미디 커넥터 연결용 게임 포트를 추가하여 기능을 확장했다.[3] PCM 채널의 추가는 사운드 블라스터가 PC 사운드 시장을 지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애드립은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시장 점유율을 잃었다. 첫째, 크리에이티브 랩스는 더 저렴한 가격에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호환 제품을 출시했다. 둘째, 크리에이티브 랩스는 애드립보다 시장을 더 잘 이해하고 있었다. 당시 개인용 컴퓨터에는 게임 포트가 없는 경우가 많았고, 별도의 게임 포트 카드는 슬롯을 차지하고 추가 비용(약 50USD)이 발생했다. 사운드 블라스터의 게임 포트 통합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었다.[3]
애드립 뮤직 카드의 성공은 곧 경쟁을 불러왔다. 출시 직후, 크리에이티브 랩스는 사운드 블라스터 카드를 출시하여 경쟁에 뛰어들었다. 사운드 블라스터는 애드립의 하드웨어와 완벽하게 호환되었을 뿐만 아니라, 애드립에는 없었던 PCM 오디오 채널과 게임 포트라는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제공했다. 이러한 추가 기능과 공격적인 마케팅 덕분에 사운드 블라스터는 PC 게임 오디오 분야에서 사실상의 표준으로 빠르게 자리 잡았다. 애드립이 뒤늦게 내놓은 애드립 골드는 회사를 유지할 만큼 충분한 판매량을 기록하지 못했다.[4]
1992년, 애드립은 파산 신청을 했고, 사운드 블라스터 제품군은 PC 게임 업계를 계속 지배했다. 같은 해, 독일의 Binnenalster GmbH가 회사의 자산을 인수했다. 애드립은 애드립 멀티미디어로 이름을 바꾸고 애드립 골드 사운드 카드와 다른 여러 제품을 다시 출시했다. 1994년 Binnenalster는 애드립 멀티미디어를 소프트월드 타이완에 매각했다.[4]
2. 3. 파산과 이후
1992년에 애드립은 파산했다. 크리에이티브 랩스의 사운드 블라스터 계열 제품이 개인용 컴퓨터 게이밍 산업을 1990년대까지 지배했기 때문이다.[3]같은 해, 독일 베니날스터 GmbH는 크리에이티브 랩스가 애드립 사를 인수하려는 것을 막고 있던 퀘벡 주 정부로부터 애드립 자산을 사들였다. 이 회사는 애드립 멀티미디어로 이름을 바꿨으며 애드립 골드 사운드 카드와 다른 많은 제품들을 생산해 내었다.[3]
1994년, GmbH는 애드립 멀티미디어를 대만의 소프트월드 타이완에 매각했다.[3]
3. 제품
애드립은 야마하의 야마하 YM3812 사운드 칩을 사용하여 FM 소리를 만드는 제품을 생산했다. 1987년, 고음량을 낼 수 있는 최초의 컴퓨터용 사운드 카드인 "애드립" 카드가 FM 칩(야마하 YM3812 칩)을 사용하여 공개되었고, 1988년에는 애드립을 지원하는 최초의 게임이 등장했다.
애드립은 경쟁사의 빠른 움직임에 비해, 업데이트된 8 비트 사운드 블라스터 규격을 모방하는 대신, 완전히 새로운 12비트 스테레오 사운드 카드인 '애드립 골드'를 개발하는데 시간과 자원을 투자했다. 1992년에 출시된 애드립 골드는 야마하 YMF262(OPL3)와 12비트 디지털 PCM 기능을 갖추고 있었지만, 기존 애드립과의 하위 호환성도 유지했다. 그러나 애드립 골드를 지원하는 PC 게임은 많지 않았고, 결국 애드립은 1992년 5월 1일 파산했다.
3. 1. AdLib Music Synthesizer Card (1987)
애드립은 FM을 통해 소리를 만들어 내는 야마하사의 야마하 YM3812 사운드 칩을 사용했다. 애드립 카드는 표준 PC 호환 ISA 8비트 슬롯에 장착하기 위한 출하 대기의 외부 글루 로직(glue logic)을 사용하는 YM3812 칩이었다. 가청 음질이 뚜렷하게 합성되긴 했지만, 애드립 카드를 사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는 멀티미디어 음악과 음향 효과를 만들어 내었다.[5][6]1987년에는 고음량을 낼 수 있는 최초의 컴퓨터용 사운드 카드인 "애드립" 카드가 FM 칩 (야마하 YM3812 칩)을 사용하여 공개되었다. 오리지널 애드립 사운드 카드는 작곡가와 음악가를 위해 설계된 ¼인치 잭을 통해 모노 출력을 제공했지만, 1990년에 나온 두 번째 디자인은 컴퓨터 및 게임 업계에서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던 3.5mm 소형 모노 출력을 사용했다.


3. 2. AdLib Gold 1000 (1992)
애드립은 경쟁사보다 뒤늦게 8 비트 사운드 블라스터 규격을 모방하는 대신, 12비트 스테레오 사운드 카드인 애드립 골드를 개발하는 데 투자했다. 이 카드는 야마하 YMF262(OPL3)와 12비트 디지털 PCM 기능을 탑재했지만, 기존 애드립과의 하위 호환성은 유지했다.하지만 애드립은 기술 회사가 아니었기 때문에 골드 카드 설계에 필요한 기술 인력이 부족했다. 설계는 부품 제공업체인 야마하에게 맡겨졌는데, 당시 야마하의 가장 큰 고객은 애드립이 아닌 크리에이티브 랩스였다. 이러한 상황은 골드 개발 과정에서 잦은 지연과 문제를 야기했다.
새로운 골드 카드는 일부 게임에서만 지원되었고, 기존의 사운드 블라스터 카드가 더 저렴하고 이미 업계 표준이었기 때문에 부진했다.
이 카드의 실패에는 크리에이티브의 반경쟁적 행위가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10] 야마하는 크리에이티브와 애드립 모두에게 부품을 제공했는데, 당시 크리에이티브는 야마하의 가장 큰 고객이었다. 야마하가 애드립 카드용으로 만든 칩은 지속적으로 테스트에 실패했지만, 크리에이티브의 칩은 통과했다. 이로 인해 크리에이티브가 먼저 시장에 출시되었고, 애드립의 칩이 테스트를 통과했을 때는 이미 회사가 존속하기에는 너무 늦었다.
결국 애드립은 골드 1000의 시장 실패와 크리에이티브 랩스 사운드 블래스터 16과 같은 저렴한 대안의 등장으로 인해 파산했다. 애드립은 골드 1000을 자체적으로 설계했기 때문에, 레이아웃은 많은 개별 회로와 그리드 배열의 표면 실장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면 크리에이티브 랩스는 사운드 카드를 더 긴밀하게 통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3. 2. 1. AdLib Gold MC2000
애드립은 애드립 골드(AdLib Gold)라는 12비트 스테레오 사운드 카드를 출시하기 전에 새로운 독점 표준을 계획했다. 골드 1000은 차세대 야마하 YMF262(OPL3)와 12비트 디지털 PCM 기능을 사용하면서도 OPL3 칩을 통해 OPL2와의 하위 호환성을 유지했다. 온보드 야마하 YMZ263-F는 또한 2배 오버샘플링을 수행하여 OPL3 출력에 약간 영향을 미친다.[8] OPL3 출력에 코러스 서라운드 효과를 활성화할 수 있는 서라운드 사운드 모듈이 옵션 부착물로 개발되었지만, 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다. 한 가지 독특한 점은 특정 사운드에 대해 초기화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전체 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SCSI 지원 및 모뎀 지원과 같은 다른 옵션 부착물도 개발 중이었다.[9]

애드립은 골드 1000의 후속 제품인 골드 MC2000을 계획했는데, 이 카드는 마이크로채널 버스를 지원했을 것이다. 그러나 애드립은 이 카드를 생산하기 전에 파산했다.
4. 기술적 특징
애드립은 야마하의 YM3812 사운드 칩을 사용하여 FM 합성 방식으로 소리를 만들었다. 애드립 카드는 표준 PC 호환 ISA 8비트 슬롯에 연결되었으며, PC 소프트웨어를 통해 멀티팀버럴 음악과 음향 효과를 생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음질은 뚜렷하게 합성된 티가 났다.[5][6]
애드립 사운드 카드는 초기에는 ¼인치 잭을 사용한 모노 출력 버전을, 이후에는 3.5mm 소형 모노 출력 버전을 출시했다. 또한 IBM 마이크로 채널 아키텍처용 애드립 MCA도 출시했는데, 이 버전은 볼륨 휠을 사용했다.[7]
이후 애드립은 야마하 YMF262(OPL3) 칩과 12비트 디지털 PCM 기능을 갖춘 애드립 골드(AdLib Gold)를 출시하여 OPL2와의 하위 호환성을 유지했다. 서라운드 사운드 모듈, SCSI 지원, 모뎀 지원 등 다양한 옵션 부착물도 개발되었으나,[8][9] 애드립 골드는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크리에이티브의 사운드 블래스터 16과 같은 저렴한 제품에 밀려 결국 회사는 파산했다.[10]
4. 1. FM 음원 방식
애드립은 FM을 통한 소리를 만들어 내는 야마하사의 YM3812 사운드 칩을 사용했다. 애드립 카드는 표준 PC 호환 ISA 8 비트 슬롯에 장착하기 위한 출하 대기의 외부 글루 로직(glue logic)을 사용하는 YM3812 칩이었다. 가청 음질이 뚜렷하게 합성되긴 했지만, 애드립 카드를 사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는 멀티미디어 음악과 음향 효과를 만들어 내었다.애드립은 야마하의 YM3812 사운드 칩을 사용했는데, 이 칩은 FM 합성 방식을 통해 소리를 생성한다. 애드립 카드는 표준 PC 호환 ISA 8비트 슬롯에 연결하기 위한 기성품 외부 접착 논리와 함께 YM3812 칩으로 구성되었다.
PC 소프트웨어는 애드립 카드를 통해 멀티팀버럴 음악과 음향 효과를 생성했지만, 음향 품질은 뚜렷하게 합성된 방식이었다. 디지털 오디오(PCM)는 지원되지 않았는데, 이는 경쟁사인 크리에이티브 랩스가 사운드 블래스터 카드에 이를 구현했을 때 핵심적인 누락 기능이 되었다. 하지만 오디오 속도로 재생 볼륨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PCM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은 여전히 가능했는데,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즈 게임 ''F-15 스트라이크 이글 II''[5]와 MS-DOS용 멀티 채널 음악 편집기 사운드 클럽에서 이러한 방식이 사용되었다.[6]
오리지널 애드립 사운드 카드의 두 가지 개정판이 있다. 1987년의 오리지널 디자인은 작곡가와 음악가를 위해 설계된 ¼인치 잭을 통해 모노 출력을 제공했지만, 1990년의 두 번째 디자인은 컴퓨터 및 게임 업계에서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던 3.5mm 소형 모노 출력을 사용했다.
애드립은 또한 IBM의 마이크로 채널 아키텍처용 애드립 사운드 카드 버전인 애드립 MCA를 출시했는데, 이는 MCA P82C611 인터페이스 IC를 사용했다.[7] 이 MCA 버전의 주목할 만한 업데이트는 볼륨 휠의 사용이었는데, 기존의 전위차계는 MCA 표준에 비해 카드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4. 2. PCM 지원의 부재와 한계
애드립 카드는 PCM를 지원하지 않았다. 이는 경쟁사 크리에이티브 랩스의 사운드 블래스터가 PCM을 지원하면서 애드립 카드의 핵심적인 누락 기능이 되었다. 하지만 오디오 속도로 재생 볼륨을 조절해 PCM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은 가능했다. 마이크로프로즈의 게임 ''F-15 스트라이크 이글 II''[5]와 MS-DOS용 멀티 채널 음악 편집기 사운드 클럽에서 이 방식을 사용했다.[6]5. 경쟁 환경
애드립 뮤직 신시사이저 카드는 라발 대학교의 음악 교수였던 마르틴 프리벨이 설립했다. 그러나 마르틴은 IT 산업 경험이 부족하여 제품 홍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Top Star Computer Services, Inc.라는 뉴저지 회사와 제휴하여 게임 개발자들에게 품질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품을 알렸다. Top Star의 사장 리치 하임리히는 1987년 퀘벡에서 열린 제품 시연에 깊은 인상을 받아 주요 고객에게 제품을 추천했다.[3] 시에라 온라인의 ''킹스 퀘스트 IV''가 애드립을 지원하는 최초의 게임이 되었다.[4] 이 게임의 성공으로 애드립 카드는 주류 미디어의 주목을 받았고, 많은 게임 개발자들이 애드립 지원을 추가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애드립 사운드 카드는 IC 부품을 사용했기 때문에 경쟁사들이 쉽게 복제할 수 있었다.
5. 1. 크리에이티브 랩스와의 경쟁
애드립 사운드 카드는 IC 부품을 사용했기 때문에 경쟁사들이 쉽게 복제할 수 있었다.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크리에이티브 랩스였으며, 이 회사는 사운드 블라스터 v1.0을 출시하여 애드립 사운드 카드의 기능을 확장했다. 사운드 블라스터는 단일 음성 디지털 효과(PCM) 채널과 조이스틱 또는 미디 커넥터 상자와 연결할 수 있는 게임 포트를 추가했다. PCM 채널의 추가는 사운드 블라스터가 PC 사운드 시장을 지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3]애드립은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시장 점유율을 잃었다. 첫째, 크리에이티브 랩스는 더 저렴한 가격에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호환 제품을 출시했다. 둘째, 크리에이티브 랩스는 애드립보다 시장을 더 잘 이해하고 있었다. 특히 게임 포트 기능은 당시 PC에 게임 포트가 없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들이 추가 비용을 절약하고 슬롯을 확보할 수 있게 해주었다.[4]
애드립 뮤직 카드의 성공 이후, 크리에이티브 랩스는 사운드 블라스터 카드를 출시하며 경쟁에 뛰어들었다. 사운드 블라스터는 애드립의 하드웨어와 완벽하게 호환되었을 뿐만 아니라, PCM 오디오 채널과 게임 포트라는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추가로 구현했다. 이러한 추가 기능과 더 나은 마케팅 전략으로 사운드 블라스터는 PC 게임 오디오 분야에서 사실상의 표준으로 빠르게 애드립을 대체했다. 애드립의 후속 제품인 애드립 골드는 회사를 유지할 만큼 충분히 판매되지 못했다.[8]
애드립은 12비트 스테레오 사운드 카드인 애드립 골드(AdLib Gold)를 출시하기 전에 새로운 독점 표준을 계획했다. 골드 1000은 차세대 야마하 YMF262(OPL3)와 12비트 디지털 PCM 기능을 사용하면서도 OPL2와의 하위 호환성을 유지했다. 선택 사양인 서라운드 사운드 모듈은 OPL3 출력에 코러스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했지만, 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다.[9]
이 카드의 실패에는 크리에이티브의 반경쟁적 행위가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10] 야마하는 크리에이티브와 애드립 모두에게 부품을 공급했는데, 크리에이티브는 야마하의 가장 큰 고객이었다. 야마하가 애드립 카드용으로 만든 칩은 지속적으로 테스트에 실패했지만, 크리에이티브의 칩은 통과했다. 이로 인해 크리에이티브가 먼저 시장에 출시되었고, 애드립의 칩이 테스트를 통과했을 때는 이미 회사가 존속하기에는 너무 늦은 시점이었다.
애드립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골드 1000은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결국 크리에이티브 랩스 사운드 블래스터 16과 같은 저렴한 대안으로 인해 회사는 파산했다. 애드립은 골드 1000을 주로 자체적으로 설계했기 때문에, 레이아웃은 많은 개별 회로와 표면 실장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면 크리에이티브 랩스는 사운드 카드를 더 통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애드립은 골드 1000의 두 번째 버전인 골드 MC2000을 계획했지만, 이 카드를 생산하기 전에 파산했다.
5. 2. 반경쟁적 행위 의혹
크리에이티브의 반경쟁적 행위에 대한 증거가 있다.[10] 야마하는 크리에이티브와 애드립 양쪽을 위해 부품을 제작했는데, 당시 크리에이티브는 야마하의 가장 큰 고객이었다. 야마하가 애드립 카드를 위해 만든 칩은 지속적으로 테스트에 실패했지만, 크리에이티브의 야마하 칩은 통과되었다. 이 때문에 크리에이티브가 먼저 시장에 출시될 수 있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애드립의 칩도 테스트를 통과했지만 회사가 존속하기에는 너무 늦었다.참조
[1]
웹사이트
Retro Thing
http://www.retrothin[...]
Retrothing.com
2015-01-01
[2]
웹사이트
The Ad Lib Legacy
http://queststudios.[...]
Queststudios.com
2015-01-01
[3]
웹사이트
Author of Sound Blaster: The Official Book talks about the early days of PC audio
http://www.pcgamer.c[...]
2015-11-04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C GAME MIDI
http://www.queststud[...]
Quest Studios
2015-01-01
[5]
웹사이트
F-15 Strike Eagle II : DOS - 1989
http://www.homeofthe[...]
Home of the Underdogs
2015-01-01
[6]
웹사이트
Sound Club is a good example of what can happen to a product when the developer is under no pressure
http://www.bluemoon.[...]
Bluemoon.ee
2015-01-01
[7]
웹사이트
AdLib MCA
http://ps-2.kev009.c[...]
Ps-2.kev009.com
2015-01-01
[8]
웹사이트
YMZ263B-F Datasheet(PDF) – YAMAHA CORPORATION
http://www.alldatash[...]
Alldatashett.com
2015-01-01
[9]
웹사이트
Specs of the Ad Lib Gold 1000
http://archive.cs.uu[...]
Archive.cs.uu.nl
2015-01-01
[10]
뉴스
Author of Sound Blaster: The Official Book talks about the early days of PC audio
https://www.pcgamer.[...]
PCGamer
2021-02-05
[11]
웹인용
Retro Thing
http://www.retrothin[...]
Retrothing.com
201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