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펄스 부호 변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펄스 부호 변조(PCM)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1937년 알렉 리브스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SIGSALY 암호화 장비에서 음성 전송에 사용되었으며, 트랜지스터와 반도체 기술 발전에 힘입어 상용화되었다. PCM은 샘플링, 양자화, 부호화 과정을 거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선형 PCM, ADPCM, DPCM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통신, 오디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디지털 전화, CD, 게임 콘솔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PCM은 잡음에 강하고 전송 품질이 우수하지만, 표본화 노이즈, 양자화 왜곡, 클리핑 노이즈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디오 변조 모드 - 주파수 변조
    주파수 변조(FM)는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으로, 잡음에 강하고 고음질 전송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라디오 변조 모드 - 진폭 변조
    진폭 변조(AM)는 정보 신호를 반송파의 진폭 변화로 전송하는 통신 변조 방식으로, 잡음에 약하고 전력 효율이 낮지만 포락선 검파가 가능하여 중파 및 단파 방송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디지털 방송에 밀려 사용이 줄었으나 재난 방송 및 사물 인터넷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오디오 코덱 - NICAM
    NICAM은 1970년대 BBC에서 개발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 32kHz 샘플링 주파수와 14비트 PCM을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인코딩하고 스테레오 음향, 이중 언어 방송, 데이터 채널 전송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아날로그 방송의 음성 전송 방식으로 사용되었으나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으로 사용이 줄어들었다.
  • 오디오 코덱 - G.711
    G.711은 8 kHz 표본 추출 주파수와 64 kbit/s의 비트 전송률을 갖는 파형 음성 코더로, μ-law와 A-law라는 두 가지 컴팬딩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부록 I, II 및 확장 표준을 통해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효율성과 음질을 높인다.
  • 파일 포맷 - 바로 가기
    바로 가기는 운영체제에서 파일, 폴더, 프로그램, 웹 페이지에 대한 참조를 제공하는 기능 및 파일로, 사용자들이 원본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GUI 환경의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 파일 포맷 - EXE
    EXE 파일 형식은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는 실행 파일의 한 형태로, DOS MZ 실행 파일에서 PE, PE32+까지 발전해 왔으며, 코드, 데이터, 스택을 별도 관리하고 재배치 항목을 통해 실행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특징을 가진다.
펄스 부호 변조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유형비압축 오디오
컨테이너오디오 CD
AES3
WAV
AIFF
AU
M2TS
VOB
기타 다수
확장.L16, .WAV, .AIFF, .AU, .PCM
MIME 유형audio/L16, audio/L8, audio/L20, audio/L24
유형 코드L16의 경우 "AIFF", 없음
개방형
기술
정의표본화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표현
변조 방식
관련 변조 방식PWM
PAM
PDM
PPM
ΔΣM

2. 역사

PCM의 원리는 1937년 프랑스에서 영국인 알렉 리브스(Alec Reeves)가 발명했다.[12] 음성 전류를 펄스로 변환하여 부호화하는 방식이었으나, 당시에는 진공관밖에 없는 전자기술 수준으로는 실용화가 어려웠다.[12]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이다의 발명으로 펄스 기술이 크게 발달하였고, 1940년대에 이르러 미국의 벨 연구소에서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트랜지스터 및 기타 반도체 부품의 출현에 따라 미국이 제일 먼저 실용화에 성공하였다.[12]

초기 전기 통신은 여러 전신 소스의 샘플을 다중화하고 단일 전신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신호를 샘플링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1853년경 미국의 발명가 모세스 G. 파머는 전신 시분할 다중화(TDM)를 고안했다. 1903년에는 전기 기술자 W. M. 마이너가 여러 전신 신호의 시분할 다중화를 위해 전기 기계식 정류자를 사용했으며, 이 기술을 전화에도 적용했다. 그는 3500~4300Hz 이상의 속도로 샘플링된 채널에서 이해 가능한 음성을 얻었으며, 더 낮은 속도는 만족스럽지 않았다.

1920년에는 바트레인 케이블 사진 전송 시스템이 5단계로 양자화된 이미지 샘플을 전송하기 위해 종이 테이프에 천공된 문자의 전신 신호를 사용했다.[9] 1926년, 웨스턴 일렉트릭의 폴 M. 레이니는 광학 기계식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인코딩된 5비트 PCM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팩시밀리 기계를 특허받았다.[10] 그러나 이 기계는 생산되지 않았다.[11]

알렉 리브스는 1938년에 프랑스 특허를 출원했고, 1943년에는 미국 특허를 받았다.[12] 이 무렵 리브스는 통신 연구소에서 일하기 시작했다.[11]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고위급 연합국 통신을 전송하는 데 사용된 SIGSALY 암호화 장비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한 최초의 음성 전송이었다. 1943년, SIGSALY 시스템을 설계한 벨 연구소 연구원들은 리브스가 이미 제안한 PCM 바이너리 코딩의 사용을 알게 되었다.

1949년, 캐나다 해군의 DATAR 시스템을 위해 페란티 캐나다는 디지털화된 레이더 데이터를 장거리로 전송할 수 있는 작동하는 PCM 라디오 시스템을 구축했다.[13]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반의 PCM은 음극선관 코딩 튜브를 사용했는데, 이 튜브에는 인코딩 구멍이 있는 플레이트 전극이 있었다.[14] 오실로스코프와 마찬가지로, 빔은 샘플링 속도로 수평으로 스윕되었고, 수직 편향은 입력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빔이 천공된 플레이트의 더 높거나 낮은 부분을 통과하도록 했다. 플레이트는 빔을 수집하거나 통과시켜 한 번에 한 비트씩 바이너리 코드의 전류 변화를 생성했다. Goodall의 튜브 그리드는 결함 없는 그레이 코드를 생성하도록 천공되었고, 스캐닝 빔 대신 팬 빔을 사용하여 모든 비트를 동시에 생성했다.[15]

미국 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은 버나드 M. 올리버[16]클로드 섀넌[17]을 PCM의 발명가로 기렸다.[18] 이들은 1948년에 "PCM의 철학"을 발표했다.[19]

1961년에 도입된 T-캐리어 시스템은 8kHz 및 8비트 해상도로 샘플링된 24개의 PCM 전화 통화를 전송하기 위해 두 개의 꼬인 쌍 전송 라인을 사용했다. 이 개발은 이전의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비해 용량과 통화 품질을 향상시켰다.

1967년, 일본 NHK 연구 시설에서 최초의 PCM 녹음기가 개발되었다.[21] 30kHz 12비트 장치는 컴팬더(DBX 노이즈 감소와 유사)를 사용하여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장했으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신호를 저장했다. 1969년, NHK는 시스템의 기능을 2채널 스테레오 및 32kHz 13비트 해상도로 확장했다. 1971년 1월, NHK의 PCM 녹음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논의 엔지니어들이 최초의 상업용 디지털 녹음을 기록했다.[21][22]

1972년, 데논은 최초의 8채널 디지털 레코더인 DN-023R을 공개했는데, 이 장치는 47.25kHz, 13비트 PCM 오디오로 녹음하기 위해 4-헤드 오픈 릴 방송용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했다.[23] 1977년, 데논은 휴대용 PCM 녹음 시스템인 DN-034R을 개발했다. DN-023R과 마찬가지로 47.25kHz에서 8채널을 녹음했지만, 이엠퍼시스를 사용하여 14비트(15.5비트 상당)로 녹음했다.[21]

1979년, 최초의 디지털 팝 앨범인 Bop till You Drop이 녹음되었다. 이 앨범은 3M 디지털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50kHz, 16비트 선형 PCM으로 녹음되었다.[24]

컴팩트 디스크 (CD)는 1982년에 출시되면서 PCM을 소비자 오디오 응용 분야에 도입했다. CD는 44,100 Hz의 샘플링 주파수와 16비트 해상도를 사용하며, 디스크당 최대 80분 분량의 스테레오 오디오를 저장한다.

PCM 디지털 전화의 급속한 발전과 광범위한 채택은 1970년대 초에 개발된 금속 산화물 반도체 (MOS) 스위치드 커패시터 (SC) 회로 기술에 의해 가능해졌다.[25] 이로 인해 1970년대 후반에 PCM 코덱-필터 칩이 개발되었다.[25][26] 1980년에 데이비드 A. 호지스(David A. Hodges)와 W.C. 블랙이 개발한 실리콘 게이트 CMOS (상보형 MOS) PCM 코덱-필터 칩[25]은 이후 디지털 전화의 산업 표준이 되었다.[25][26] 1990년대에 이르러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통신망은 초고집적 회로 (VLSI) CMOS PCM 코덱-필터로 대폭 디지털화되었으며, 전화 교환기, 사용자 단말 모뎀 및 통합 서비스 디지털 통신망(ISDN), 무선 전화기, 휴대 전화와 같은 광범위한 디지털 전송 응용 분야의 전자 교환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었다.[26]

PCM 프로세서(PCMプロセッサー)는 아날로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결합하여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기록하는 장치이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를 갖추고 있다. 업무용 및 가정용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기존의 테이프 레코더를 능가하는 고음질 기록이 가능한 기기로 활용되었다. 컴팩트 카세트가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에, 가정으로의 도입은 오디오 마니아 등 극히 일부 사례에 그쳤으며, 업무용 레코딩의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도입되었다.

3. 종류


  • 리니어 PCM (선형 PCM): 선형 양자화를 사용한 방식이다. CD-DA, DVD-Audio, 일부 DVD-Video, BD-Video, PlayStation 3용 게임 소프트웨어 등에서 채용되고 있다.[5]
  • ADPCM(적응 차분 PCM): 차분 부호화와 양자화 폭의 적응적 제어를 통해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지 않고 데이터량을 압축하는 PCM이다. 1990년대아케이드 게임 등에서 채용되었다.
  • DPCM(차분 PCM): 차분 부호화만을 사용하여 데이터량을 압축하는 PCM이다. 패밀리 컴퓨터의 음원 칩의 한 기능으로 채용되었다.
  • 절선 양자화를 사용한 PCM: 초기 PCM 프로세서(1977년 출시된 소니 PCM-1 등)나 NT에서 채용된 다이내믹 레인지 압축을 위한 양자화 방식이다. 3절선, 5절선 등 제품마다 고려하는 절선의 수에 차이가 있으며, 다이내믹 레인지 확장 후 상당 비트 수도 다르다(고려하는 절선의 수가 많을수록 다이내믹 레인지는 개선되지만, 절선이 많은 만큼 비용도 많이 든다).
  • 대수 양자화를 사용한 PCM: 전화망(μ-law나 A-law)과 DAT의 LP 모드 등에서 채용되고 있다. 디지털 버전의 컴팬딩이다.
  • 부동 소수점을 사용한 PCM: 부동 소수점을 사용한 PCM이다. 가청 영역을 -1.0에서 1.0으로 정하고 있지만, 외부 영역인 -∞에서 -1.0과 1.0에서 ∞의 파형도 찌그러뜨리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곳에서 사용하면 음 깨짐에 의한 클리핑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비정규화수라는 예외를 제외하고 유효 숫자가 항상 일정하므로, 음량의 크기에 따라 양자화 왜곡에 의한 찌그러짐이 변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의 내부 처리나, DAW의 내부 처리와 작업 중인 프로젝트 파일에서 본 형식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4. 변환 과정

특정 주파수에서 시간 영역에 걸쳐 4비트 LPCM에 대한 신호(빨간색)의 샘플링 및 양자화


다이어그램에서 사인파(빨간색 곡선)는 PCM에 대해 표본화 및 양자화된다. 사인파는 수직선으로 표시된 규칙적인 간격으로 샘플링된다. 각 샘플에 대해 사용 가능한 값 중 하나(y축)가 선택된다. PCM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라고 하는 단일 집적 회로에서 구현된다. 이는 저장 또는 조작을 위해 디지털 데이터로 쉽게 인코딩될 수 있는 입력 신호(파란색 점)의 완전히 이산적인 표현을 생성한다. 여러 PCM 스트림을 더 큰 집계 데이터 스트림으로 다중화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단일 물리적 링크를 통해 여러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 가지 기술은 시분할 다중화(TDM)라고 하며 특히 현대 공중 전화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산 데이터로부터 정확한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데 관련된 전자 장치는 디지털 신호 생성에 사용되는 전자 장치와 유사하다. 이러한 장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이다. 이들은 디지털 입력에 제시된 값을 나타내는 전압 또는 전류(유형에 따라 다름)를 생성한다. 이 출력은 일반적으로 사용을 위해 필터링되고 증폭된다.

샘플링된 데이터로부터 원래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복조기''는 변조 절차를 역으로 적용할 수 있다. 각 샘플링 기간 후에 복조기는 다음 값을 읽고 출력 신호를 새 값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전환의 결과로 신호는 이미징 효과로 인해 상당한 양의 고주파 에너지를 유지한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주파수를 제거하기 위해 복조기는 예상 주파수 범위 밖(나이퀴스트 주파수 f_s / 2 보다 큼)의 에너지를 억제하는 재구성 필터를 통해 신호를 통과시킨다.[35]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표본화 및 양자화를 수행하여 수열로 출력한다. 표본화 주파수가 높고 양자화 비트 수가 많을수록 변환 전과 가까운 고품질의 데이터가 되지만, 데이터 크기가 방대해지는 문제가 있다.

5. 기술적 특징

PCM 방식은 종래의 아날로그 전송과 달리 디지털 전송이므로, 중계기에서 펄스의 유무를 판별하여 신호를 재생할 수 있어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최소화하고, 잡음에 강하며 전송 품질이 우수하다.[19] 주파수 분할 방식에 비해 단국 장치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며,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을 통해 하나의 전송로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19]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 및 양자화하여 수열로 출력한다. 표본화 주파수가 높고 양자화 비트 수가 많을수록 원음에 가까운 고품질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지만, 데이터 용량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6. 노이즈 및 왜곡



위: 원 신호(파랑)와 양자화된 신호(빨강). 아래: 양자화 오차(두 신호의 차이).


PCM 변조는 신호 처리 과정에서 잡음과 왜곡을 발생시킨다.

  • 표본화 잡음 (접힘 잡음): 표본화 정리에 따르면, 입력 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2배 이상으로 표본화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고주파 신호가 나이퀴스트 주파수 아래에서 앨리어싱되어 저주파 신호로 잘못 인식된다.[40] 오버샘플링디지털 필터로 원 신호를 더 높은 표본화 주파수로 변환하여 접힘 잡음을 고주파 대역으로 이동시킨 후, 아날로그 변환과 로패스 필터로 제거하는 방식이다.
  • 양자화 왜곡: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할 때 반올림으로 인해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며, 이를 양자화 잡음이라고 한다.[40] 양자화 비트 수를 늘리면 오차를 줄일 수 있다.
  • 클리핑 노이즈: 입력 신호가 가청 영역(최대 음량)을 초과하면 파형이 잘려나가면서 발생하는 노이즈이다. 녹음 시 적절한 음량을 유지해야 한다.

7. 응용 분야

PCM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CD)는 1982년에 출시되면서 PCM을 소비자 오디오 응용 분야에 도입했다.[21] CD는 44.1kHz의 샘플링 주파수와 16비트 해상도를 사용하며, 디스크당 최대 80분 분량의 스테레오 오디오를 저장한다.
  • '''DVD블루레이:''' 1995년 이후 DVD, 2006년 이후 블루레이 표준의 일부로 LPCM이 정의되었다.[29][30][31]


매체샘플링 주파수 (kHz)양자화 비트수 (bit)채널 수최대 전송률 (Mbps)비고
CD-DA44.1162-
DVD-Video48/9616/20/2421.5돌비 디지털로 5.1채널 지원
DVD-Audio최대 192242-생산 중단
BD-Video (BDMV)48/96/19224최대 7.1 (192kHz는 5.1)27.4


  • '''게임:''' 게임 콘솔(플레이스테이션, 엑스박스 등) 및 PC 게임에서는 효과음, 배경 음악 등에 PCM 또는 압축된 PCM을 사용한다.

7. 1. 통신

PCM은 유선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PCM 방식은 음성전류를 펄스 상태로 단속(斷續)시키고 그 끊긴 시간에 다른 가입자의 음성전류의 단속 펄스를 끼워 넣는 방식이다. 즉, 시간을 분할해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동일 시간 내에 여러 사람의 통화가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을 통해 여러 통화 채널을 하나의 전송로로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13]

전화 통신에서 단일 통화에 대한 표준 오디오 신호는 각각 8비트인 8,000 초당 샘플로 인코딩되어 DS0로 알려진 64kbit/s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초기 전기 통신은 여러 전신 소스의 샘플을 다중화하고 단일 전신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신호를 샘플링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미국의 발명가 모세스 G. 파머는 1853년경에 전신 시분할 다중화(TDM)를 고안했다.

1961년에 도입된 T-캐리어 시스템은 8kHz 및 8비트 해상도로 샘플링된 24개의 PCM 전화 통화를 전송하기 위해 두 개의 꼬인 쌍 전송 라인을 사용한다. 이 개발은 이전의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비해 용량과 통화 품질을 향상시켰다.

IP 전화(VoIP)에서는 PCM 또는 압축된 PCM (G.711, G.729 등)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전송한다.

7. 2.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CD)는 1982년에 출시되면서 PCM을 소비자 오디오 응용 분야에 도입했다.[21] CD는 44,100 Hz의 샘플링 주파수와 16비트 해상도를 사용하며, 디스크당 최대 80분 분량의 스테레오 오디오를 저장한다. CD-DA(음악 CD)는 샘플링 주파수 44.1kHz, 양자화 비트수 16bit, 2채널 스테레오 형식을 사용한다.

DVD (1995년 이후) 및 블루레이 (2006년 이후) 표준의 일부로 LPCM이 정의되었다.[29][30][31] DVD-Video는 양자화 비트수 16/20/24bit, 샘플링 주파수는 48/96kHz까지 지원하며, 최대 1.5Mbps의 전송률과 2채널 스테레오를 지원한다. 많은 DVD 비디오 소프트웨어는 돌비 디지털을 사용하여 5.1채널 서라운드를 지원한다. DVD-Audio는 샘플링 주파수 최대 192kHz, 양자화 24bit를 지원하며, 2채널 스테레오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DVD-Audio는 음악 전송의 보급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BD-Video (BDMV)는 샘플링 주파수 48/96/192kHz, 양자화 비트수 24bit, 최대 7.1채널 서라운드를 지원한다(192kHz일 때는 5.1채널 서라운드).[43][44]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5.1채널 서라운드이며, 최고 전송률은 27.4Mbps이다. 리니어 PCM으로 서라운드 출력을 지원하는 BD 플레이어와 AV 앰프를 HDMI 단자 케이블로 연결해야 재생 가능하다. 광 디지털 음성 단자 케이블을 통한 리니어 PCM 음성 출력은 2채널 스테레오까지만 가능하다.

PC에서 PCM 및 LPCM은 종종 WAV (1991년에 정의됨) 및 AIFF 오디오 컨테이너 형식 (1988년에 정의됨)에서 사용되는 형식을 지칭한다.[27] LPCM 데이터는 AU, 원시 오디오 형식 (헤더가 없는 파일)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형식으로도 저장될 수 있다.

다음은 오디오 매체별 PCM 방식의 세부 사양을 비교한 표이다.

매체샘플링 주파수 (kHz)양자화 비트수 (bit)채널 수최대 전송률 (Mbps)비고
CD-DA44.1162-
DVD-Video48/9616/20/2421.5돌비 디지털로 5.1채널 지원
DVD-Audio최대 192242-생산 중단
BD-Video (BDMV)48/96/19224최대 7.1 (192kHz는 5.1)27.4


7. 3. 게임

게임 콘솔(플레이스테이션, 엑스박스 등) 및 PC 게임에서는 PCM 또는 압축된 PCM을 사용하여 효과음, 배경 음악 등을 재생한다.

  • 플레이스테이션 3용 게임 소프트웨어: 최대 7.1채널(48kHz/16bit)까지 지원한다. 최근의 PS3용 소프트웨어는 리니어 PCM 5.1채널과 돌비 디지털 5.1채널 사운드를 수록한 경우가 많으며, 규격상 멀티 채널 서라운드는 돌비 디지털 5.1채널만 지원하는 Xbox 360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장점이 되고 있다. 7.1채널을 수록한 것은 특히 사운드에 신경 쓴 소프트웨어인 경우가 많으며, 그 대부분은 SCE 제품인 경우가 많다.
  • Xbox 360용 게임 소프트웨어: 최대 2채널 스테레오까지 지원한다. 돌비 디지털 5.1채널로 게임 사운드를 수록하지 않은 Xbox 360용 소프트웨어는 모두 리니어 PCM 2채널로 사운드를 수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돌비 디지털 2채널일 가능성은 낮다.


PCM 음원을 갖추지 않은 게임기는 CPU로 샘플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DAC에 전송하여 PCM을 재생하는 경우가 있다. 네오지오 포켓이나 광속선 등이 단독으로 DAC를 탑재했으며, 메가 드라이브PC 엔진은 음원의 일부를 DAC로 사용하여 PCM을 재생했다.

하드웨어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발성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DAC로 간주하고 음성을 재생하는 기법도 존재한다. 삐 소리용 하드웨어로 펄스 폭 변조를 하거나, 구형파 출력을 DAC로 간주하여 PSG에 의한 PCM 재생을 시도[45][46]하거나, 마찬가지로 X68000에서는 OPM에 음색으로서 구형파를 정의하고, 8채널의 출력 포트를 이용하여, 최대 모노럴에서는 50kHz 전후, 스테레오에서는 25kHz 전후의 샘플링 주파수 재생을 가능하게 한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DAC로서는 비선형 지수적인 특징을 가지는 등, 원래 상정하지 않은 하드웨어이므로, 재생 음질은 상정한 설계의 것과 비교해 낮아지기 쉽다.[47]

또한, 파형 메모리 음원에서는, 제어하는 측에서 1주기마다 파형을 갱신하여 PCM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8. 소프트웨어 기술

소프트웨어 믹서는 여러 개의 가상 PCM 음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작동시켜 믹싱하여 출력하는 기술이다. 최근 반도체 소자의 처리 속도 향상으로 더욱 풍부한 표현이 가능해졌다. DirectX에서 음성 데이터에 음계를 부여하는 기능, 소프트웨어 MIDI 음원 등이 이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45] 가정용 게임기 중에서는 게임보이 어드밴스가 이 기술을 사용하며, 플레이스테이션 2 등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PCM 음원이 없는 하드웨어에서는 CPU 제어를 통해 PCM 데이터를 재생하기도 한다. 네오지오 포켓, 광속선 등은 단독 DAC를 탑재했고, 메가 드라이브PC 엔진은 음원 일부를 DAC로 사용했다.

하드웨어를 정밀 제어하여 발성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DAC로 간주하고 음성을 재생하는 기법도 있다. 삐 소리용 하드웨어로 펄스 폭 변조를 하거나, 구형파 출력을 DAC로 간주하여 PSG에 의한 PCM 재생을 시도하기도 한다.[46] X68000에서는 OPM에 구형파를 정의하고, 8채널 출력 포트를 이용하여 최대 모노럴 50kHz, 스테레오 25kHz 전후의 샘플링 주파수 재생을 가능하게 한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47] DAC로서는 비선형 지수적 특징을 가지는 등, 원래 상정하지 않은 하드웨어이므로 재생 음질은 낮아지기 쉽다.

파형 메모리 음원에서 1주기마다 파형을 갱신하여 PCM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참조

[1] 간행물 RFC 2586 – The Audio/L16 MIME content type http://tools.ietf.or[...] The Internet Society 1999-05
[2] 간행물 RFC 4856 – Media Type Registration of Payload Formats in the RTP Profile for Audio and Video Conferences – Registration of Media Type audio/L8 http://tools.ietf.or[...] The IETF Trust 2007-03
[3] 간행물 RFC 3190 – RTP Payload Format for 12-bit DAT Audio and 20- and 24-bit Linear Sampled Audio http://tools.ietf.or[...] The Internet Society 2002-01
[4] 웹사이트 Audio Media Types https://www.ian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2010-03-16
[5] 웹사이트 Linear Pulse Code Modulated Audio (LPCM)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2-04-19
[6] 서적 Highway of Dreams: A Critical View Along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https://books.google[...] Erlbaum 1997
[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Single-Chip DSP, Part I https://www.eejourna[...] 2021-09-07
[8] 서적 Experimenting the Human: Art, Music, and the Contemporary Posthuman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웹사이트 The Bartlane Transmission System http://www.digicamhi[...] DigicamHistory.com
[10] 문서 U.S. patent number 1,608,527; also see p. 8, Data conversion handbook, Walter Allan Kester, ed., Newnes, 2005, {{ISBN|0-7506-7841-0}}.
[11] 간행물 Pulse Code Modulation: It all Started 75 Years Ago with Alec Reeves https://insight.ieee[...] IEEE 2013-06
[12] 특허
[13] 서적 So Many Hills to Climb Beckham Publications Group 2004
[14] 서적 Electron Beam Deflection Tube for Pulse Code Modulation https://archive.org/[...] Bell Labs 1948-01
[15] 서적 Television by Pulse Code Modulation https://archive.org/[...] Bell Labs 1951-01
[16] 웹사이트 Bernard Oliver http://www.invent.or[...] 2011-02-06
[17] 웹사이트 Claude Shannon http://www.invent.or[...] 2011-02-06
[18] 웹사이트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announces 2004 class of inventors http://www.sciencebl[...] 2004-02-11
[19] 간행물 The Philosophy of PCM 1948-11
[20] 문서 P. Cummiskey, N. S. Jayant, and J. L. Flanagan, "Adaptive quantization in differential PCM coding of speech," Bell Syst. Tech. J., vol. 52, pp. 1105–1118, Sept. 1973.
[21] 간행물 The dawn of commercial digital recording http://www.aes.org/a[...]
[22] 문서 Among the first recordings was Uzu: The World Of Stomu Yamash'ta 2 by [[Stomu Yamashta]].
[23] 문서 The first recording with this new system was recorded in [[Tokyo]] during April 24–26, 1972.
[24] 웹사이트 I Can't Keep Up With All The Formats II http://rogernichols.[...]
[25] 서적 A Short History of Circuits and Systems: From Green, Mobile, Pervasive Networking to Big Data Computing IEEE Circuits and Systems Society 2016
[26] 서적 The Communications Handbook CRC Press 2018-10-08
[27] 문서 Other methods exist such as [[pulse-density modulation]] used also on [[Super Audio CD]].
[28] 서적 Global Networks: Engineering, Operations and Design John Wiley & Sons 2012-10-17
[29] 간행물 White paper Blu-ray Disc Format – 2.B Audio Visual Application Format Specifications for BD-ROM http://www.blu-raydi[...] 2005-03
[30] 웹사이트 DVD Technical Notes (DVD Video – "Book B") – Audio data specifications http://www.mpeg.org/[...] 1996-07-21
[31] 웹사이트 DVD Frequently Asked Questions (and Answers) – Audio details of DVD-Video http://dvddemystifie[...]
[32] 웹사이트 How DV works http://seaspray.trin[...]
[33] 웹사이트 AVCHD Information Website – AVCHD format specification overview http://www.avchd-inf[...]
[34] 간행물 EBU Tech 3306 – MBWF / RF64: An Extended File Format for Audio http://tech.ebu.ch/d[...] 2009-07
[35] 문서 Some systems use [[digital filter]]ing to remove some of the aliasing, converting the signal from digital to analog at a higher sample rate such that the analog [[anti-aliasing filter]] is much simpler. In some systems, no explicit filtering is done at all; as it is impossible for any system to reproduce a signal with infinite bandwidth, inherent losses in the system compensate for the artifacts — or the system simply does not require much precision.
[36] 논문 RFC 3108 – Conventions for the use of the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for ATM Bearer Connections http://tools.ietf.or[...] 2010-03-16
[37] 웹사이트 PCM, Pulse Code Modulated Audio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2-09-05
[38] 웹사이트 24/192 Music Downloads, and why they do not make sense http://people.xiph.o[...] Chris "Monty" Montgomery 2013-03-16
[39] 웹사이트 https://www.its.bldr[...] 2020-08
[40] 문서 Quantization error swings between -q/2 and q/2. In the ideal case (with a fully linear ADC and signal level >> q) it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is interval, with zero mean and variance of q2/12.
[41] 문서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encoding and decoding clock frequencies is not generally a major concern; a small constant error is not noticeable. Clock error does become a major issue if the clock contains significant jitter, however.
[42] 간행물 Digital Signaling Techniques https://ieeexplore.i[...]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1984-12
[43] 웹사이트 HDサラウンドサウンド向けのロスレスオーディオ、ドルビーTrueHD http://www.dolby.co.[...] ドルビーラボラトリーズ 2021-06-20
[44] 뉴스 次世代サラウンド規格に完全対応。オンキョーのAVセンターTX-SA805に注目! http://www.stereosou[...] ステレオサウンド 2021-06-20
[45] 문서 Oh!FM 1990年4月号「しゃべるんどすえ」 2021-06
[46] 문서 Oh!X 1995年12月号 BREEZE 2021-06
[47] 문서 Oh!X 1999年夏号「内蔵音源を駆使した高品位ステレオ PCM 再生」 2021-06
[48] 웹인용 RFC 2586 – The Audio/L16 MIME content type http://tools.ietf.or[...] The Internet Society 2010-03-16
[49] 웹인용 RFC 4856 – Media Type Registration of Payload Formats in the RTP Profile for Audio and Video Conferences – Registration of Media Type audio/L8 http://tools.ietf.or[...] The IETF Trust 2010-03-16
[50] 웹인용 RFC 3190 – RTP Payload Format for 12-bit DAT Audio and 20- and 24-bit Linear Sampled Audio http://tools.ietf.or[...] The Internet Society 2010-03-16
[51] 웹인용 Audio Media Types http://www.ian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2010-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