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루 카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드루 카니는 언어학자이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언어학 및 켈트학 문학사 학위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을 연구하며, 특히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같은 켈트어파 언어를 주로 연구한다. 주요 저서로는 "구문론: 생성적 입문", "구성 구조" 등이 있으며, 이 중 일부는 한국어로 번역되어 한국 언어학 연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언어학자 - 스티븐 핑커
스티븐 핑커는 캐나다 출신의 인지심리학자, 언어학자, 과학 저술가로서 언어 본능, 마음의 작동 방식, 폭력의 감소 등 다양한 저서를 통해 과학적 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하고 인간 본성과 사회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이성, 과학, 휴머니즘, 진보라는 계몽주의 이념을 옹호하는 인물이다. - 캐나다의 언어학자 - 로스 킹
로스 킹은 한국 역사언어학, 한국 방언학, 한자 문화권 문학 연구에 기여하고 한국어 국제 언어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어 교육에 헌신한 미국의 학자이다. - 켈트학자 - 더글러스 하이드
아일랜드의 학자이자 언어학자, 작가, 정치인인 더글러스 하이드는 게일어 부흥 운동에 헌신하고 게일어 연맹을 공동 설립하여 아일랜드 문화와 언어 보존에 기여했으며, 아일랜드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 켈트학자 -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고대 노르드, 게르만, 켈트 신화 연구에 기여한 영국의 학자로, 케임브리지와 런던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민속학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북유럽의 신과 신화', '이교도 스칸디나비아' 등 영향력 있는 저서를 출판했다. - 통사론자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통사론자 - 오토 예스페르센
오토 예스페르센은 언어 교육 개혁과 음성학 연구에 기여하고, 통사론과 언어 발달 연구로 명성을 얻었으며, 이도와 노비알 국제어 창안에 참여한 덴마크의 언어학자이다.
앤드루 카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앤드루 카니 |
원어 이름 | Andrew Carnie |
출생일 | 1969년 4월 19일 |
출생지 | 캘거리, 앨버타 주, 캐나다 |
분야 | 언어학 |
소속 | 토론토 대학교 세인트 미첼 칼리지 (석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박사) |
지도교수 | 케네스 헤일 |
경력 | |
직업 | 애리조나 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
2. 학문적 배경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룸)
2. 1. 학력
- 1991년 토론토 대학교 세인트마이클 대학에서 언어학 및 켈트학으로 문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 1995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3. 연구 분야
앤드루 카니의 저서 중 일부는 한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 카니, 앤드루 (안동환 옮김) (2007). ''통사론: 생성문법 이론의 소개'' (제2판). 서울: 한국문화사. [https://web.archive.org/web/20100720162001/http://dingo.sbs.arizona.edu/~carnie/publications/Korean2E-2.html 관련 정보]
- 카니, 앤드루 (김영롱 옮김) (2003). ''통사론: 생성문법 개론''. 서울: 한국문화사. [https://web.archive.org/web/20100720171803/http://dingo.sbs.arizona.edu/~carnie/publications/KoreanEd.html 관련 정보]
3. 1. 주요 연구 분야
카니의 연구는 주로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그는 특히 켈트어파 언어, 그중에서도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3] 세부적인 연구 주제로는 구 구조, 문법 상하구조, 격 등이 있다.4. 주요 저서
앤드루 카니는 언어학, 특히 구문론 분야에서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그의 저술 활동은 단독 저서와 여러 학자들과 함께 작업한 공동 저서 및 편집 저서로 나눌 수 있다. 주요 저서에 대한 상세한 목록과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단독 저서
- ''구문론: 생성적 입문'' Syntax: A Generative Introductioneng, Blackwell Publishers, 2002[7]
- * 제2판: Wiley-Blackwell, 2006
- * 제3판: Wiley-Blackwell, 2013[12]
- * 제4판: Wiley-Blackwell, 2021[13]
- * 한국어 번역본:
- ** ''통사론 (생성문법 개론)'', 김영룡 옮김, 한국문화사, 2003. (1판 번역) [https://web.archive.org/web/20100720171803/http://dingo.sbs.arizona.edu/~carnie/publications/KoreanEd.html (웹 아카이브 링크)]
- ** ''통사론 생성문법 이론의 소개'', 안동환 옮김, 한국문화사, 2007. (2판 번역) [https://web.archive.org/web/20100720162001/http://dingo.sbs.arizona.edu/~carnie/publications/Korean2E-2.html (웹 아카이브 링크)]
- ''구 구조'' Constituent Structuree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8[10]
- * 제2판: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 ''아일랜드 명사'' Irish Noune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8[11]
- ''현대 구문론: 교재'' Modern Syntax: A textbooke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 ''켈트어학에 대한 형식적 접근'' Formal Approaches to Celtic Linguisticseng, Cambridge Scholars Press, 2011
4. 2. 공동 저서 및 편집
- 제18회 서부 해안 형식 언어학 회의 논문집, Cascadilla Press, 1999 (with 소냐 버드, 제이슨 하우겐, 그리고 피터 노퀘스트)[4]
- 동사 첫머리 언어의 구문론,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with 에이느 길포일)[5]
- 켄 헤일을 기리는 논문집 (MITELF1), MITWPL, 2000 (with 엘로이즈 젤리넥과 메리앤 윌리)[6]
- 기능에 대한 형식적 접근: 엘로이즈 젤리넥을 기리며, John Benjamins Publishers, 2003 (with 하이디 할리와 메리앤 윌리)[8]
- 동사 첫머리: 동사 첫머리 언어의 구문론에 관하여, John Benjamins Publishers, 2005 (with 하이디 할리와 쉴라 돌리)[9]
- 켈트 언어학에 대한 형식적 접근. Cambridge Scholars Press, 2011
- 라우틀리지 구문론 핸드북 (편집), Routledge, 2014[12]
5. 한국과의 관계
앤드루 카니의 주요 저서 중 일부는 한국어로 번역되어 한국 언어학계에 소개되었다.
2003년에는 통사론 분야의 대표적인 입문서인 "통사론 (생성문법 개론)" (원제: ''Syntax: A Generative Introduction'')이 김영룡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출판되었다. 이후 2007년에는 해당 저서의 제2판이 "통사론 생성문법 이론의 소개"라는 제목으로 안동환에 의해 번역되어 같은 출판사에서 나왔다.
이 번역서들은 한국의 언어학 연구자 및 학생들에게 생성 문법 이론을 소개하고 학습하는 데 중요한 교재로 널리 활용되었다. 특히 여러 판본이 번역되면서 한국 통사론 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뉴스
Outstanding UA faculty members are recognized
http://nl.newsbank.c[...]
2012-07-08
[2]
웹사이트
Andrew Carnie, University of Arizona
https://linguistlist[...]
2017-11-27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03-23
[4]
웹사이트
WCCFL 18 Proceedings
http://www.cascadill[...]
2017-11-27
[5]
웹사이트
Oxford University Press: The Syntax of Verb Initial Languages: Eithne Guilfoyle
https://web.archive.[...]
2006-03-07
[6]
웹사이트
MITWPL - MIT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http://web.mit.edu/m[...]
2017-11-27
[7]
웹사이트
Welcome to SYNTAX
http://www.blackwell[...]
2017-11-27
[8]
서적
Formal Approaches to Function in Grammar: In honor of Eloise Jelinek - Edited by Andrew Carnie, Heidi Harley and MaryAnn Willie [LA 62]
https://web.archiv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7-11-27
[9]
서적
Verb First: On the syntax of verb-initial languages - Edited by Andrew Carnie, Heidi Harley and Sheila Ann Dooley [LA 73]
https://web.archiv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7-11-27
[10]
웹사이트
Oxford University Press: Constituent Structure: Andrew Carnie
http://www.us.oup.co[...]
2017-11-27
[11]
웹사이트
Oxford University Press: Irish Nouns: Andrew Carnie
https://web.archive.[...]
2009-05-01
[12]
웹사이트
Publications {{!}} Carnie
https://carnie.sbs.a[...]
2020-09-14
[13]
웹사이트
Carnie, Andrew (2021a) Syntax: A Generative Introduction. 4E. Wiley-Blackwell
https://www.andrewca[...]
2023-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