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코틀랜드 게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5세기경 아일랜드에서 스코트족이 스코틀랜드에 정착하면서 시작된 켈트어 계열 언어이다. 18세기 잉글랜드의 켈트족 문화 탄압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스코틀랜드 서부 지역과 섬 지역에서 일부 사용되며, 2005년 스코틀랜드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아일랜드 게일어와 유사하며, 2020년 연구에서는 향후 10년 이내 소멸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 역사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5세기경 아일랜드섬에서 건너온 스코트족의 정착과 함께 시작되었다. 스코트족이 아일랜드에 거주했었기 때문에 웨일스어와 같은 다른 켈트어에 비해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아일랜드 게일어는 유사성이 크다. 그러나 스코트족 정착 이전의 원주민인 픽트족이 쓰던 픽트어켈트어 계통일 개연성이 있다.[25]

18세기부터 잉글랜드켈트족 문화 탄압으로 킬트, 백파이프 등 켈트족 전통과 함께 스코틀랜드 게일어 사용이 금지되면서 점차 쇠퇴하였다. 현재는 스코틀랜드 하일랜드를 중심으로 서해안의 도서 지역에서 일부 사용될 뿐이며, 롤런드 지방에서는 스코틀랜드 영어(또는 스코트어)가 주로 사용된다.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지역에 따라 방언 차이가 심한 편이었으나, 화자 감소에 따라 대부분 사멸하고 문헌이나 녹음으로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각종 미디어와 학교 교육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게일어 보급으로 지역 차이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영어 단어를 혼용하거나 영어식 표현을 도입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2005년에는 스코틀랜드의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게일어를 장려하는 단체가 여러 개 있다. BBC는 게일어 전문 방송국(Radio nan Gaidheal)을 운영하고 TV 방송 시간 일부를 할애하여 게일어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스코틀랜드 의회2005년부터 게일어를 공문서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스카이섬의 게일어 대학교 사발 모르 오스테이그(Sabhal Mòr Ostaig)에서는 모든 수업을 게일어로 진행하고 있다.

2020년 7월 2일, 영국의 한 연구 그룹은 1980년대부터 계속되는 화자 급감과 고령화, 고립화로 인해 향후 10년 이내에 스코틀랜드 게일어가 소멸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119]

2. 1. 기원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5세기경 아일랜드섬에서 건너온 스코트족의 스코틀랜드 정착에서 시작된다.[25] 그러나 스코트족 정착 이전의 원주민인 픽트족이 쓰던 픽트어켈트어 계통일 개연성이 있다. 스코트족의 원거주지가 아일랜드인 까닭에 웨일스어와 같은 다른 켈트어에 비해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아일랜드 게일어는 유사성이 크다.

중세 전통 기록과 언어 지리학의 명백한 증거를 바탕으로, 게일어는 기원후 4~5세기에 아일랜드 이주민들에 의해 스코틀랜드로 전파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이주민들은 오늘날 아가일의 스코틀랜드 서해안에 달리아타|달 리아타gd라는 게일 왕국을 세웠다.[19] 고고학자인 이완 캠벨은 이러한 이주 또는 점령이 고고학적 또는 지명 데이터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대안적인 견해를 제시했다(레스리 알콕이 이전에 지적한 바와 같이). 캠벨은 또한 정복에 대해 언급하는 중세 역사 자료의 시대와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대신, 그는 아가일이 철기 시대 이후 바다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연결된 아일랜드와 공통의 Q-켈트어 사용 지역의 일부를 형성했다고 추론했다.[19] 이러한 주장은 전통적 기록의 초기 연대를 옹호하고 고고학적 증거에 대한 다른 해석을 주장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반박되었다.[20]

이 지역에서 게일어가 어떻게 사용되게 되었든, 스코틀랜드의 게일어는 8세기까지 대부분 달리아타|달 리아타gd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 후 포스 만과 클라이드 만 북쪽의 픽트족 지역으로 확장되기 시작했다. 카우스탄틴 맥 아이다(콘스탄틴 2세, 900-943) 통치 기간 동안 외부인들은 이 지역을 픽트족의 왕국이 아닌 알바 왕국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그러나 픽트어가 갑자기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카우스탄틴|카우스탄틴gd과 그의 후계자들의 통치 기간 동안 게일어화(수 세대 전에 시작되었을 수도 있음) 과정이 분명히 진행되고 있었다. 아마도 11세기 동안, 알바의 모든 주민들은 완전히 게일어화된 스코틀랜드인이 되었고, 픽트족 정체성은 잊혀졌다.[21] 픽트어와 게일어의 이중 언어 사용은, 전자가 멸종되기 전에 게일어에 픽트어 차용어[22]와 통사적 영향[23]을 남겼고, 이는 픽트어 기층으로 간주될 수 있다.[24]

2. 2. 전성기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5세기경 아일랜드섬에서 건너온 스코트족의 스코틀랜드 정착과 함께 시작되었다. 스코트족이 아일랜드에 거주했었기 때문에 웨일스어와 같은 다른 켈트어에 비해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아일랜드 게일어는 유사성이 크다.

2. 3. 쇠퇴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사용은 5세기경 아일랜드섬에서 건너온 스코트족의 스코틀랜드 정착에서 시작된다. 스코트족의 원거주지가 아일랜드인 까닭에 웨일스어와 같은 다른 켈트어에 비해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아일랜드 게일어는 유사성이 크다.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사용은 18세기부터 잉글랜드켈트족 문화에 대한 탄압으로 킬트, 백파이프 등 켈트족 전통물과 함께 금지되어 점차 쇠퇴, 현재는 스코틀랜드 하일랜드를 중심으로 서해안의 도서 지역에서 일부 사용될 뿐이다. 롤런드 지방에서는 스코틀랜드 영어(또는 스코트어)가 주로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방언차가 심한 편으로, 통일화가 추진되고 있다. 2005년에는 스코틀랜드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많은 역사가들은 1058년부터 1093년까지의 말콤 3세 왕의 통치 기간을 스코틀랜드에서 게일어가 쇠퇴하기 시작한 시점으로 본다. 그의 아내인 웨섹스의 마가렛은 게일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자녀들에게 게일어가 아닌 앵글로색슨 이름을 지어주었으며, 많은 영국의 주교, 사제, 수도승들을 스코틀랜드로 데려왔다. 1093년 말콤과 마가렛이 사망하자, 게일어 귀족들은 그들의 영국식 이름을 가진 아들들을 배척하고 대신 말콤의 형제인 도널드 3세를 지지했다. 도널드는 17년 동안 게일어 사용 지역인 아일랜드에 머물렀고, 그의 권력 기반은 스코틀랜드의 게일어 사용 지역인 서부 Gàidhealtachd에 있었다. 그는 게일어를 사용하는 Dàl Riadagd 왕국과 알바 왕국의 전통적인 매장지인 아이오나 섬에 매장된 마지막 스코틀랜드 국왕이었다. 그러나 에드가, 알렉산더 1세, 데이비드 1세의 통치 기간(1097~1153년) 동안, 포스-클라이드 선 남쪽과 북동부 해안 평원을 따라 모레이까지 앵글로-노르만인의 이름과 관습이 스코틀랜드 전역에 퍼져나갔다. 궁정에서는 노르만 프랑스어가 게일어를 완전히 대체했다. 특히 데이비드 1세 치하에서 같은 지역 전역에 왕립 자치시가 설립되면서 고대 영어를 사용하는 많은 외국인들이 유입되었다. 이것은 게일어가 스코틀랜드에서 주로 시골 언어로서의 지위를 갖게 된 시작이었다.

스코틀랜드 북부와 서부 지역의 씨족장들은 게일어를 사용하는 음유시인들을 계속해서 지원했고, 그들은 그곳 궁정 생활의 중심적인 부분으로 남아 있었다. 헤브리디스 제도와 서부 해안 본토에 있는 반독립적인 아일 오브 아일스의 영지는 12세기에 게일어가 부활한 이후로 완전히 게일어 사용 지역으로 남아 있었으며, 15세기 말까지 문화적 명성을 위한 정치적 기반을 제공했다.

1400년대 Loch 기준 분포도
1500년대 Nicholson 기준 분포도
중세 시대의 언어 분포 (Withers, 1984 재인용).



14세기 중반까지 결국 스코츠(당시에는 Inglis라고 불림)로 불리게 된 언어가 정부와 법률의 공식 언어로 등장했다.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종식 후 시대에 나타난 스코틀랜드의 떠오르는 민족주의는 스코츠어를 사용하여 조직되었다. 예를 들어, 존 바버의 ''브러스''(1375년)와 블라인드 해리의 ''월리스''(1488년 이전)를 포함한 국가의 위대한 애국적인 문학은 게일어가 아닌 스코츠어로 쓰여졌다. 15세기 말이 되자, 영어/스코츠어 화자들은 게일어를 'Yrisch' 또는 'Erse', 즉 아일랜드어라고 부르고, 그들 자신의 언어를 'Scottis'라고 불렀다.

2020년 7월 2일, 영국의 연구 그룹은 향후 10년 이내에 언어가 소멸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원인은 1980년대부터 계속되는 화자의 급감과 화자의 고령화·고립화라고 한다.[119]

2. 4. 현대

근대에 들어서도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정부나 다른 기관의 정책 결정과 사회 변화로 인해 꾸준히 사용이 감소했다. 20세기 마지막 4분기에 이르러서야 게일어 사용을 장려하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1609년 제임스 6세가 제정한 아이오나 법령(Statutes of Iona)은 게일어를 포함한 여러 사항을 다룬 법 중 하나였다. 이 법령은 씨족장의 상속자들이 저지대의 영어 사용 개신교 학교에서 교육받도록 요구했다. 제임스 6세는 하이랜드와 섬 지역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이와 같은 조치를 여러 차례 취했다. 1616년 스코틀랜드 비밀원(Privy Council of Scotland)은 영어로 교육하는 학교를 설립해야 한다고 선포했다. 당시 게일어는 이 지역의 불안정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가톨릭과도 연관되어 있었다.[27]

1709년 스코틀랜드 기독교 지식 보급 협회(Society in Scotland for the Propagation of Christian Knowledge, SSPCK)가 설립되었다. 1715년 자코바이트 봉기 실패 직후인 1716년, 협회는 영어와 개신교를 가르침으로써 하이랜드의 개혁과 문명화를 달성하고자 하이랜드 개혁을 논의했다. 초기에는 영어로만 교육했지만, 게일어를 사용하는 아이들을 이런 방식으로 교육하는 것이 비현실적이라는 점을 깨닫고 소폭 양보했다. 1723년 교사들은 성경 이해를 돕기 위해 영어 단어를 게일어로 번역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지만, 그 이상의 게일어 사용은 허용되지 않았다. 같은 시기에 하이랜드에서는 다른 덜 알려진 학교들도 영어로 교육했다. 사람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종교 서적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 복음 전도사들이 하이랜드에 도착하면서 이러한 영어화 과정은 일시 중단되었다.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번역된 최초의 잘 알려진 성경은 1767년 킬린의 제임스 스튜어트(James Stuart of Killin)와 라녹(Rannoch)의 더갈드 부캐넌(Dugald Buchanan)이 신약을 번역하면서 이루어졌다. 1798년, 국내 복음 전파 협회(Society for Propagating the Gospel at Home)는 게일어로 된 4개의 소책자를 각각 5,000부씩 인쇄하여 출판했다. 그 후 다른 출판물들이 뒤따랐고, 1801년에는 완전한 게일어 성경이 출판되었다. 영향력 있고 효과적인 게일어 학교 협회(Gaelic Schools Society)는 1811년에 설립되었다. 그들의 목적은 게일어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었다. 19세기 초반, SSPCK(이전에는 게일어에 반대하는 태도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와 영국 및 외국 성경 협회(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는 6만 권의 게일어 성경과 8만 권의 신약을 배포했다.[28] 이러한 전반적인 교육 및 출판 노력으로 하이랜드 약 30만 명에게 기본적인 읽기 능력이 제공된 것으로 추산된다.[29] 초기 근대 시대에 성경 번역 없이 현대 문학 언어로 전환한 유럽 언어는 거의 없다. 잘 알려진 번역의 부재가 스코틀랜드 게일어 쇠퇴에 기여했을 수 있다.[30]

1891년 스코틀랜드의 영어(스코틀랜드어 포함)와 게일어 분포


반직관적으로 게일어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 영어 실력 향상으로 이어졌다. 1829년 게일어 학교 협회는 부모들이 자녀의 게일어 학습에는 무관심하지만 영어 교육에는 열의를 보인다고 보고했다. SSPCK 또한 하이랜드 사람들이 게일어에 대한 상당한 편견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T. M. 데바인(T. M. Devine)은 이를 영어와 고용의 번영 사이의 연관성 때문으로 설명한다. 하이랜드 경제는 Gàidhealtachdgd 외부로 이동하는 계절적 이주 노동자들에게 크게 의존했다. 1863년 게일어에 동정적인 한 관찰자는 "영어 지식은 고향 섬 밖에서 일자리나 생계를 구하려는 가난한 섬 주민에게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게일어 화자라기보다는 도시의 켈트 사회와 대학의 켈트어 교수들이 언어 보존을 추구했다.[31]

1872년 스코틀랜드 교육법(Education (Scotland) Act 1872)은 스코틀랜드에 보편적 교육을 제공했지만, 게일어는 계획에서 완전히 무시되었다. 스코틀랜드 교육부가 발표한 교육 규정을 통해 게일어를 지원하는 메커니즘은 이러한 누락을 극복하기 위해 꾸준히 사용되었으며, 1918년까지 많은 양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하이랜드 학교 이사회 구성원들은 게일어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고,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게일어 교육의 장애물이 되었다.[32]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사망자와 1919년 아이올레어호 침몰, 그리고 이민은 1910년대 스코틀랜드 게일어 사용에 전례 없는 피해를 입혔다. 1911년과 1921년 인구 조사 사이에 단일 언어 사용자는 46%, 이중 언어 사용자는 19% 감소했다.[28] 애버딘 대학교(Aberdeen University)의 미셸 맥클로드(Michelle MacLeod)는 단일 언어 게일어 사용자 수가 이처럼 크게 감소한 다른 시기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때부터 게일어 사용자는 점점 예외가 되었고, 이중 언어 사용이 단일 언어 사용을 대체하여 게일어 사용자의 표준이 되었다."[28]

스코틀랜드 언어 조사(Linguistic Survey of Scotland)(1949~1997)는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과 하이랜드 및 섬 지역에서 영어와 게일어의 혼용 사용을 조사했다.[29]

현재, 게일어를 장려하는 단체가 여러 개 있으며, BBC에서도 게일어 전문 방송국(Radio nan Gaidheal)과 TV 방송 시간의 일부를 할애하여 다수의 게일어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또한, 스코틀랜드 의회는 2005년부터 게일어를 공문서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또한, 지역에 따라 학교 수업에 게일어를 도입하고 있는 학교도 많으며, 스카이섬의 게일어 대학교 사발 모르 오스테이그(Sabhal Mòr Ostaig)에서는 모든 수업을 게일어로 진행하고 있다.

2020년 7월 2일, 영국의 연구 그룹은 향후 10년 이내에 언어가 소멸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원인은 1980년대부터 계속되는 화자의 급감과 화자의 고령화·고립화라고 한다.[119]

3. 명칭

"스코틀랜드 게일어" 외에도 이 언어는 간단히 "게일어"라고도 불리는데, 영어로는 Gaelic|갤릭영어과 같이 발음된다. 그러나 "게일어"(Gaelic|게일릭영어)는 아일랜드어(Gaeilgega)[15]와 맨섬어(Gaelggv)[15]도 가리킨다.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스코틀랜드어와 구별되는데, 스코틀랜드어는 중세 영어에서 유래한 언어로, 초기 근세까지 스코틀랜드 저지대의 대부분에서 사용되었다. 15세기 이전에는 이 언어를 사용자들은 Inglissco("영어")[16]로 불렀고, 게일어는 Scottissco("스코틀랜드어")[17]로 불렀다. 15세기 후반부터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Ersesco("아일랜드어")[17]로, 저지대 방언을 Scottissco[17]로 부르는 것이 점점 일반화되었다. 오늘날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아일랜드어와 별개의 언어로 인정되므로,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가리키는 Ersesco라는 단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8]

4. 현황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아일랜드섬에서 건너온 스코트족이 스코틀랜드에 정착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스코트족의 원래 거주지가 아일랜드였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웨일스어와 같은 다른 켈트어보다 아일랜드 게일어와 유사성이 크다.[31][32] 유네스코는 게일어를 "명백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한다.[33]

18세기부터 잉글랜드켈트족 문화를 탄압하면서 킬트, 백파이프 등과 함께 게일어 사용을 금지했다.[27] 이로 인해 게일어는 점차 쇠퇴하여 현재는 스코틀랜드 하일랜드를 중심으로 서해안 도서 지역에서 일부 사용될 뿐이다. 롤런드 지방에서는 스코틀랜드 영어(또는 스코트어)가 주로 사용된다.

1609년 제임스 6세는 아이오나 법령을 제정하여 씨족장 상속자들이 저지대 영어 사용 개신교 학교에서 교육받도록 강제했다. 1616년 스코틀랜드 추밀원은 영어로 교육하는 학교를 설립해야 한다고 선포했는데, 당시 게일어는 이 지역 불안정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가톨릭과도 연관되어 있었다.[27]

1709년 스코틀랜드 기독교 지식 보급 협회(SSPCK)가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영어로만 교육했지만, 1767년에는 게일어 성경이 출판되었다. 1811년에는 게일어 학교 협회가 설립되었고, 19세기 초반에는 약 30만 명에게 기본적인 읽기 능력이 제공된 것으로 추산된다.[27]

1872년 스코틀랜드 교육법은 게일어를 완전히 무시했지만, 이후 교육 규정을 통해 게일어를 지원하는 메커니즘이 꾸준히 사용되었고, 1918년까지 많은 양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하이랜드 학교 이사회 구성원들은 게일어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27]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사망자와 1919년 아이올레어호(HMY Iolaire, 그리고 이민은 1910년대 스코틀랜드 게일어 사용에 큰 피해를 입혔다. 1911년과 1921년 인구 조사 사이에 단일 언어 사용자는 46%, 이중 언어 사용자는 19% 감소했다.[28]

1949년부터 1997년까지 진행된 스코틀랜드 언어 조사는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과 하이랜드 및 섬 지역에서 영어와 게일어의 혼용 사용을 조사했다.[29]

현재는 게일어를 장려하는 단체가 여럿 있으며, BBC에서도 게일어 전문 방송국(Radio nan Gaidheal)과 TV 방송 시간 일부를 할애하여 게일어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스코틀랜드 의회는 2005년부터 게일어를 공문서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스카이 섬의 게일어 대학교 사발 모르 오스타이그에서는 모든 수업을 게일어로 진행하고 있다.[44]

게일어 교육은 스코틀랜드 정부가 게일어의 언어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이다.

2005년,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스코틀랜드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4. 1. 사용자 수

스코틀랜드의 게일어 사용자 수 (1755–2022)
연도스코틀랜드 인구게일어 모국어 사용자게일어와 영어 이중언어 사용자게일어 사용자 총계
17551,265,380알 수 없음알 수 없음289,79822.9%
18001,608,420알 수 없음알 수 없음297,82318.5%
18813,735,573알 수 없음알 수 없음231,5946.1%
18914,025,64743,7381.1%210,6775.2%254,4156.3%
19014,472,10328,1060.6%202,7004.5%230,8065.1%
19114,760,9048,4000.2%183,9983.9%192,3984.2%
19214,573,4719,8290.2%148,9503.3%158,7793.5%
19314,588,9096,7160.2%129,4192.8%136,1353.0%
19515,096,4152,1780.1%93,2691.8%95,4471.9%
19615,179,344974<0.1%80,0041.5%80,9781.5%
19715,228,965477<0.1%88,4151.7%88,8921.7%
19815,035,31582,6201.6%82,6201.6%
19915,083,00065,9781.4%65,9781.4%
20015,062,01158,6521.2%58,6521.2%
20115,295,40357,6021.1%57,6021.1%
20225,447,70069,7011.3%69,7011.3%



1755년부터 2001년까지의 수치는 MacAulay가 인용한 인구조사 자료이다.[34][35] 2011년 게일어 사용자 수치는 2011년 인구조사의 표 KS206SC에서 가져왔다. 2011년 총 인구 수치는 표 KS101SC에서 가져왔다. 게일어 사용자 수는 3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하며, 백분율은 3세 이상 인구의 총 수를 기준으로 계산되었다.

2011년 스코틀랜드 인구조사에 따르면, 스코틀랜드 전역에서 25,000명(인구의 0.49%)이 가정에서 게일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63.3%는 게일어 말하기,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 완전한 언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답했다. 스코틀랜드 게일어 사용자의 40.2%는 가정에서 게일어를 사용한다고 답했다. 참고로, 스코틀랜드에서 영어와 스코틀랜드어 다음으로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폴란드어이며, 인구의 약 1.1% 또는 54,000명이 사용한다.

스코틀랜드에서 녹음된 스코틀랜드 게일어 화자


2011년 영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코틀랜드에는 총 57,375명의 게일어 사용자(3세 이상 인구의 1.1%)가 있으며, 그중 32,400명만이 읽고 쓸 수 있었다.[36] 2001년 인구 조사와 비교했을 때 약 1,300명이 감소했는데,[37] 이는 1881년 게일어 질문이 처음 제기된 이후 인구 조사 간 가장 작은 감소폭이다. 스코틀랜드 정부의 언어 장관과 Bòrd na Gàidhliggd는 이를 게일어의 오랜 쇠퇴가 둔화되었다는 증거로 받아들였다.[38]

게일어의 주요 거점은 여전히 아우터 헤브리디스 제도(Na h-Eileanan Siargd)이며, 전체 사용자 비율은 52.2%이다. 게일어 사용자의 중요한 집단은 하이랜드(5.4%), 아가일 앤드 뷰트(4.0%), 인버네스(4.9%)에도 있다. 절대적인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글래스고이며 5,878명으로 스코틀랜드 게일어 사용자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전통적인 중심지에서 게일어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2001년부터 2011년 사이에 서부 제도(-1,745명), 아가일 앤드 뷰트(-694명), 하이랜드(-634명)에서 게일어 사용자의 절대적인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서부 제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교구인 스토노웨이에서의 감소는 특히 심각하여 1991년 인구의 57.5%에서 2011년 43.4%로 감소했다.[39] 서부 제도를 제외하고 게일어 사용자가 40%를 넘는 유일한 교구는 북부 스카이 섬의 킬뮤어(46%)이다. 인너 헤브리디스 제도 중 게일어 사용자 비율이 높은 섬은 티리(38.3%), 라세이(30.4%), 스카이 섬(29.4%), 리스모어(26.9%), 콜론세이(20.2%), 아이슬레이(19.0%)이다.

오늘날 스코틀랜드의 어떤 시민 교구도 게일어 사용자 비율이 65%를 넘지 않는다 (가장 높은 비율은 루이스 섬의 바르바스(64.1%)이다). 또한 스코틀랜드 본토의 어떤 시민 교구도 게일어 사용자 비율이 20%를 넘지 않는다 (가장 높은 비율은 하이랜드의 아드너머칸(19.3%)이다). 스코틀랜드의 총 871개 시민 교구 중 게일어 사용자 비율이 50%를 넘는 교구는 7개, 25%를 넘는 교구는 14개, 10%를 넘는 교구는 35개이다.

전통 지역의 감소는 최근 스코틀랜드 저지대의 증가로 상쇄되었다. 2001년과 2011년 인구 조사 사이에 스코틀랜드 32개 행정구 중 19개 행정구에서 게일어 사용자 수가 증가했다. 절대적인 증가가 가장 큰 곳은 애버딘셔(+526명), 노스래너크셔(+305명), 애버딘(+216명), 이스트에어셔(+208명)이다. 상대적인 증가가 가장 큰 곳은 애버딘셔(+0.19%), 이스트에어셔(+0.18%), 모레이(+0.16%), 오크니 제도(+0.13%)이다.

2018년 스코틀랜드 학생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공립학교 학생 중 520명이 집에서 게일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4년 497명보다 5% 증가한 수치이다. 같은 기간 동안 스코틀랜드의 게일어 교육은 성장하여 2018년에는 4,343명의 학생(1,000명당 6.3명)이 게일어 몰입 환경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이는 2014년 3,583명(1,000명당 5.3명)보다 증가한 수치이다.[40] 2007~2008년에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게일어 교육 학교에 등록된 학생들 중에서도 초등학생의 81%와 중학생의 74%가 어머니와 이야기할 때 게일어보다 영어를 더 자주 사용한다고 보고했다.[41] 그 이후 게일어 교육 학생 수의 상당한 증가가 이에 미친 영향은 알 수 없다.

4. 2. 스코틀랜드 내 분포

2011년 영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코틀랜드에는 3세 이상 인구의 1.1%인 총 57,375명의 게일어 사용자가 있으며, 그중 32,400명만이 읽고 쓸 수 있었다.[36] 2001년 인구 조사와 비교했을 때 약 1,300명이 감소했지만,[37] 이는 1881년 게일어 질문이 처음 제기된 이후 인구 조사 간 가장 작은 감소폭이다. 스코틀랜드 정부의 언어 장관과 Bòrd na Gàidhlig|보르드 나 가이리그gd는 이를 게일어의 오랜 쇠퇴가 둔화되었다는 증거로 받아들였다.[38]

게일어의 주요 거점은 여전히 아우터 헤브리디스 제도(Na h-Eileanan Siar|나 헬레나 시아르gd)이며, 전체 사용자 비율은 52.2%이다. 게일어 사용자의 중요한 집단은 하이랜드(5.4%), 아가일 앤드 뷰트(4.0%), 인버네스(4.9%)에도 있다. 절대적인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글래스고이며 5,878명으로 스코틀랜드 게일어 사용자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전통적인 중심지에서 게일어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2001년부터 2011년 사이에 서부 제도(-1,745명), 아가일 앤드 뷰트(-694명), 하이랜드(-634명)에서 게일어 사용자의 절대적인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서부 제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교구인 스토노웨이에서의 감소는 특히 심각하여 1991년 인구의 57.5%에서 2011년 43.4%로 감소했다.[39] 서부 제도를 제외하고 게일어 사용자가 40%를 넘는 유일한 교구는 북부 스카이섬의 킬뮤어(46%)이다. 인너 헤브리디스 제도 중 게일어 사용자 비율이 높은 섬은 티리(38.3%), 라세이(30.4%), 스카이(29.4%), 리스모어(26.9%), 콜론세이(20.2%), 아일레이(19.0%)이다.

오늘날 스코틀랜드의 어떤 시민 교구도 게일어 사용자 비율이 65%를 넘지 않는다 (가장 높은 비율은 루이스섬의 바르바스(64.1%)이다). 또한 스코틀랜드 본토의 어떤 시민 교구도 게일어 사용자 비율이 20%를 넘지 않는다 (가장 높은 비율은 하이랜드의 아드너머칸(19.3%)이다). 스코틀랜드의 총 871개 시민 교구 중 게일어 사용자 비율이 50%를 넘는 교구는 7개, 25%를 넘는 교구는 14개, 10%를 넘는 교구는 35개이다.

전통 지역의 감소는 최근 스코틀랜드 저지대의 증가로 상쇄되었다. 2001년과 2011년 인구 조사 사이에 스코틀랜드 32개 행정구 중 19개 행정구에서 게일어 사용자 수가 증가했다. 절대적인 증가가 가장 큰 곳은 애버딘셔(+526명), 노스래너크셔(+305명), 애버딘 시의회 지역(+216명), 이스트에어셔(+208명)이다. 상대적인 증가가 가장 큰 곳은 애버딘셔(+0.19%), 이스트에어셔(+0.18%), 모레이(+0.16%), 오크니(+0.13%)이다.

2018년 스코틀랜드 학생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공립학교 학생 중 520명이 집에서 게일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4년 497명보다 5% 증가한 수치이다. 같은 기간 동안 스코틀랜드의 게일어 교육은 성장하여 2018년에는 4,343명의 학생(1,000명당 6.3명)이 게일어 몰입 환경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이는 2014년 3,583명(1,000명당 5.3명)보다 증가한 수치이다.[40] 2007~2008년에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게일어 교육 학교에 등록된 학생들 중에서도 초등학생의 81%와 중학생의 74%가 어머니와 이야기할 때 게일어보다 영어를 더 자주 사용한다고 보고했다.[41]

4. 3. 보존 및 활성화 노력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18세기부터 잉글랜드켈트족 문화 탄압으로 킬트, 백파이프 등과 함께 금지되어 점차 쇠퇴했다.[27] 근대에 들어서도 꾸준히 사용이 감소했는데, 이는 정부나 다른 기관의 정책 결정, 그리고 사회 변화에 의해 야기되었다. 20세기 마지막 4분기에 이르러서야 게일어 사용을 장려하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1609년 제임스 6세(James VI and I)가 제정한 아이오나 법령(Statutes of Iona)은 씨족장의 상속자들이 저지대의 영어 사용 개신교 학교에서 교육받도록 강제했다. 1616년 스코틀랜드 비밀원(Privy Council of Scotland)은 영어로 교육하는 학교를 설립해야 한다고 선포했는데, 당시 게일어는 이 지역의 불안정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가톨릭과도 연관되어 있었다.[27]

1709년 스코틀랜드 기독교 지식 보급 협회(Society in Scotland for the Propagation of Christian Knowledge, SSPCK)가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영어로만 교육했지만, 1723년 교사들은 성경 이해를 돕기 위해 영어 단어를 게일어로 번역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1767년에는 킬린의 제임스 스튜어트(James Stuart of Killin)와 라녹(Rannoch)의 더갈드 부캐넌(Dugald Buchanan)이 신약을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번역했다. 1801년에는 완전한 게일어 성경이 출판되었고, 1811년에는 영향력 있는 게일어 학교 협회(Gaelic Schools Society)가 설립되었다. 19세기 초반, SSPCK와 영국 및 외국 성경 협회(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는 6만 권의 게일어 성경과 8만 권의 신약을 배포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하이랜드 약 30만 명에게 기본적인 읽기 능력이 제공된 것으로 추산된다.[27]

  • 게일어 75~80%, 영어
  • 게일어 25~75%, 영어 (50% 등어선(isogloss) '''━''')
  • 게일어 5~25%, 영어
  • 게일어 0~5%, 영어
  • 순수 영어


1829년 게일어 학교 협회는 부모들이 자녀의 게일어 학습에는 무관심하지만 영어 교육에는 열의를 보인다고 보고했다. SSPCK 또한 하이랜드 사람들이 게일어에 대한 상당한 편견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영어와 고용의 번영 사이의 연관성 때문으로, 하이랜드 경제는 Gàidhealtachd|가이델타흐트gd 외부로 이동하는 계절적 이주 노동자들에게 크게 의존했다. 1863년 한 관찰자는 "영어 지식은 고향 섬 밖에서 일자리나 생계를 구하려는 가난한 섬 주민에게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27]

1872년 스코틀랜드 교육법(Education (Scotland) Act 1872)은 게일어를 완전히 무시했지만, 이후 교육 규정을 통해 게일어를 지원하는 메커니즘이 꾸준히 사용되었고, 1918년까지 많은 양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하이랜드 학교 이사회 구성원들은 게일어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27]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사망자와 1919년 아이올레어(HMY Iolaire, HMY Iolaire|이올레르gd)호 침몰, 그리고 이민은 1910년대 스코틀랜드 게일어 사용에 큰 피해를 입혔다. 1911년과 1921년 인구 조사 사이에 단일 언어 사용자는 46%, 이중 언어 사용자는 19% 감소했다.[28]

스코틀랜드 언어 조사(Linguistic Survey of Scotland)(1949~1997)는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과 하이랜드 및 섬 지역에서 영어와 게일어의 혼용 사용을 조사했다.[29]

게일어 중심 교육은 스코틀랜드 정부가 게일어의 언어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이다. 사발 모르 오스타이그(Sabhal Mòr Ostaig)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로만 수업이 진행되는 유일한 고등 교육 기관이다.[44]

외부 헤브리디스 제도에서는 원주민 게일어 사용자들 사이에 언어적 배려 윤리가 존재하는데, 이는 게일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 앞에서는 영어로 말하는 사회적 관행이다.[45]

2005년에는 스코틀랜드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5. 사용 현황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현재 스코틀랜드와 캐나다 등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2022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스코틀랜드에서 3,551명이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주 언어'로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주로 서부 제도(1,761명), 하이랜드(682명), 글래스고 시(369명), 에든버러 시(120명)에 거주하고 있다.[50] 19세기 캐나다에서는 캐나다 게일어가 영국 북아메리카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유럽 언어였으며,[1] 게일어 사용 공동체가 캐나다 전역에 존재했다.[2]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게일어 사용자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4]

미디어 분야에서는 BBC가 게일어 라디오 채널인 Radio nan Gàidheal과 텔레비전 채널인 BBC 알바를 운영하고 있다.[77] STV 센트럴도 게일어 프로그램을 제작한 바 있다.[78]

교육 분야에서는 게일어 중심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글래스고 게일어 학교(Sgoil Ghàidhlig Ghlaschu)와 같은 게일어 교육 기관이 있으며, 게일어 교육 초등학교 등록 학생 수는 2008-09년 2,092명으로 1985년 24명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93] Duolingo에서도 게일어 학습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94][95][96]

종교 분야에서는 스코틀랜드 교회(Eaglais na h-Alba),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스코틀랜드 자유장로교회 등 장로교와 가톨릭에서 게일어가 사용된다. 글래스고의 세인트 콜럼바 교회와 에든버러의 그레이프라이어스 톨부스 & 하이랜드 교회에서는 게일어로 예배를 드린다.

5. 1. 공식

원본 소스에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공식적인 지위에 대한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1. 1. 스코틀랜드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3,551명이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주 언어'로 사용한다고 밝혔다. 이 중 서부 제도(Na h-Eileanan Siar)에 1,761명(49.6%), 하이랜드에 682명(19.2%), 글래스고 시에 369명, 에든버러 시에 12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다른 어떤 지역 자치구에서도 80명 이상이 게일어를 주 언어로 사용한다고 응답하지 않았다.[50]

5. 1. 2. 캐나다

19세기, 캐나다 게일어는 영국 북아메리카에서 세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유럽 언어였으며[1], 게일어를 사용하는 이민자 공동체는 오늘날 캐나다 전역에 걸쳐 존재했다.[2] 캐나다의 게일어 시인들은 중요한 문학적 전통을 만들어냈다.[3]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게일어 사용자와 공동체의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4]

5. 2. 미디어

BBC는 게일어 방송 라디오 채널 Radio nan Gàidheal과 텔레비전 채널 BBC 알바를 운영하고 있다. 2008년 9월 19일에 개국한 BBC 알바는 영국 내(프리뷰, 프리스탯, 스카이, 버진 미디어)를 통해 널리 시청 가능하다. 또한 아스트라 2 위성을 통해 유럽 전역에서도 방송된다.[77] 이 채널은 BBC 스코틀랜드와 게일어 방송을 홍보하기 위해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을 받는 기관인 MG 알바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78] 스코틀랜드 중부 지역의 ITV 프랜차이즈인 STV 센트럴은 과거 BBC 알바와 자체 주요 채널 모두에 게일어 프로그램을 여러 편 제작한 바 있다.[78]

BBC 알바가 프리뷰를 통해 방송되기 전에는 매일 저녁 1시간 동안 방송되는 TeleG 채널을 시청할 수 있었다. BBC 알바가 프리뷰에서 방송을 시작하면서 이전에 TeleG에 할당되었던 채널 번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다른 BBC 채널과 독립 상업 채널에서도 보통 영어 자막이 제공되는 게일어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스코틀랜드 북부 지역의 ITV 프랜차이즈인 STV 노스(구 ''그램피언 텔레비전'')는 뉴스가 아닌 일부 프로그램을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제작한다.

5. 3. 교육

게일어 중심 교육은 스코틀랜드 정부가 게일어의 언어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이다. 보드 나 가이들리그(Bòrd na Gàidhlig) 정책과 함께 외헤브리디스 제도의 유아원과 보육 시설 환경을 이용하여 세대 간 언어 전승 기회를 더 많이 창출하고 있다.[42] 그러나 스코틀랜드나 캐나다 노바스코샤에서는 활성화 노력이 통합되지 않았다.[43]

많은 사람들은 게일어 사용 공동체 내부에서 언어 활성화 계획이 시작되어야 하고, 게일어 사용자가 주도해야 하며, 게일어에서 영어로의 완전한 언어 변화에 대한 최초이자 가장 실행 가능한 저항으로서 구어 사용 공동체 내의 유창성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생각한다.[43][45] 현재 언어 정책은 기존 게일어 사용 공동체 내에서 세대 간 전승을 강화하는 대신 교육을 통해 새로운 언어 사용자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43]

5. 3. 1. 스코틀랜드

근대에 들어서도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꾸준히 사용이 줄어들었다. 이는 정부나 다른 기관의 정책, 그리고 사회 변화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었다. 20세기 마지막 25년이 되어서야 게일어 사용을 장려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1609년 제임스 6세가 제정한 아이오나 법령(Statutes of Iona)은 게일어를 포함한 여러 사항을 다룬 법 중 하나였다. 이 법령은 씨족장의 상속자들이 저지대의 영어 사용 개신교 학교에서 교육받도록 강제했다. 제임스 6세는 하이랜드와 섬 지역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이와 같은 조치를 여러 번 시행했다. 1616년 스코틀랜드 추밀원(Privy Council of Scotland)은 영어로 교육하는 학교를 설립해야 한다고 선포했다. 당시 게일어는 이 지역의 불안정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졌고, 가톨릭과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었다.[27]

1709년 스코틀랜드 기독교 지식 보급 협회(Society in Scotland for the Propagation of Christian Knowledge, SSPCK)가 설립되었다. 1716년, 1715년 자코바이트 봉기 실패 직후, 협회는 영어와 개신교를 가르침으로써 하이랜드를 개혁하고 문명화하려 했다. 초기에는 영어로만 교육했지만, 게일어를 사용하는 아이들을 이런 방식으로 가르치는 것이 비현실적이라는 것을 깨닫고 조금 양보했다. 1723년 교사들은 성경 이해를 돕기 위해 영어 단어를 게일어로 번역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 이상의 게일어 사용은 허용되지 않았다. 같은 시기에 하이랜드에서는 다른 덜 알려진 학교들도 영어로 가르쳤다. 사람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종교 서적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 복음 전도사들이 하이랜드에 오면서 이러한 영어화 과정은 잠시 중단되었다.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번역된 최초의 잘 알려진 성경은 1767년 킬린의 제임스 스튜어트(James Stuart of Killin)와 라녹(Rannoch)의 더갈드 부캐넌(Dugald Buchanan)이 신약을 번역하면서 만들어졌다. 1798년, 국내 복음 전파 협회(Society for Propagating the Gospel at Home)는 게일어로 된 4개의 소책자를 각각 5,000부씩 인쇄하여 출판했다. 그 후 다른 출판물들이 나왔고, 1801년에는 완전한 게일어 성경이 출판되었다. 영향력 있고 효과적인 게일어 학교 협회(Gaelic Schools Society)는 1811년에 설립되었다. 그들의 목적은 게일어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었다. 19세기 초반, SSPCK(이전에는 게일어에 반대하는 태도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와 영국 및 외국 성경 협회(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는 6만 권의 게일어 성경과 8만 권의 신약을 배포했다. 이러한 교육 및 출판 노력으로 하이랜드 약 30만 명에게 기본적인 읽기 능력이 제공된 것으로 추산된다. 초기 근대 시대에 성경 번역 없이 현대 문학 언어로 전환한 유럽 언어는 거의 없다. 잘 알려진 번역이 없었다는 점이 스코틀랜드 게일어 쇠퇴에 영향을 줬을 수도 있다.

  • 범례
  • * 게일어 75~80%, 영어
  • * 게일어 25~75%, 영어, 50% 등어선(isogloss)은 '''━''' 로 표시
  • * 게일어 5~25%, 영어
  • * 게일어 0~5%, 영어
  • * 순수 영어


신기하게도 게일어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 영어 실력 향상으로 이어졌다. 1829년 게일어 학교 협회는 부모들이 자녀의 게일어 학습에는 관심이 없지만 영어 교육에는 열의를 보인다고 보고했다. SSPCK 또한 하이랜드 사람들이 게일어에 대한 상당한 편견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T. M. 데바인(T. M. Devine)은 이를 영어와 고용, 번영 사이의 연관성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하이랜드 경제는 Gàidhealtachd|가이델타흐트gd 외부로 이동하는 계절적 이주 노동자들에게 크게 의존했다. 1863년 게일어에 호의적인 한 관찰자는 "영어 지식은 고향 섬 밖에서 일자리나 생계를 구하려는 가난한 섬 주민에게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게일어 화자가 아닌 도시의 켈트 사회와 대학의 켈트어 교수들이 언어 보존을 추구했다.

1872년 스코틀랜드 교육법(Education (Scotland) Act 1872)은 스코틀랜드에 보편적 교육을 제공했지만, 게일어는 계획에서 완전히 무시되었다. 스코틀랜드 교육부가 발표한 교육 규정을 통해 게일어를 지원하는 방법이 꾸준히 사용되었고, 1918년까지 많은 양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하이랜드 학교 이사회 구성원들은 게일어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고,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게일어 교육의 장애물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사망자와 1919년 아이올레어(HMY Iolaire, HMY Iolaire, 그리고 이민은 1910년대 스코틀랜드 게일어 사용에 큰 피해를 입혔다. 1911년 1911년 인구 조사와 1921년 인구 조사 사이에 단일 언어 사용자는 46%, 이중 언어 사용자는 19% 감소했다.[28] 애버딘 대학교(Aberdeen University)의 미셸 맥클로드(Michelle MacLeod)는 단일 언어 게일어 사용자 수가 이처럼 크게 감소한 다른 시기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때부터 게일어 사용자는 점점 예외가 되었고, 이중 언어 사용이 단일 언어 사용을 대체하여 게일어 사용자의 표준이 되었다."[28]

스코틀랜드 언어 조사(Linguistic Survey of Scotland)(1949~1997)는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과 하이랜드 및 섬 지역에서 영어와 게일어의 혼용 사용을 조사했다.[29]

글래스고 게일어 학교()


연도게일어 교육 학생 수스코틀랜드 전체 학생 중 비율
20052,4800.35%
20062,5350.36%[79]
20072,6010.38%
20082,7660.40%[80]
20092,6380.39%[81]
20102,6470.39%[82]
20112,9290.44%[83]
20122,8710.43%[84]
20132,9530.44%[85]
20143,5830.53%[86]
20153,6600.54%[87]
20163,8920.57%[88]
20173,9650.58%[89]
20184,3430.63%[90]
20194,6310.66%
20204,8490.69%



1872년 스코틀랜드 교육법(The Education (Scotland) Act 1872)은 게일어를 완전히 무시하여 여러 세대에 걸쳐 게일족이 교실에서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이는 게일어에 큰 타격을 입힌 것으로 현재 인식되고 있다. 2001년에도 살아 있던 사람들은 학교에서 게일어를 사용했다가 매를 맞았던 기억을 떠올릴 수 있었다.[91] 이러한 태도가 바뀐 후에도 스코틀랜드 학교에서 게일어 교육에 대한 지원은 거의 없었다. 1958년 후반까지도 하이랜드 지역 학교에서조차 초등학생의 20%만 게일어를 과목으로 배우고, 5%만 게일어로 다른 과목을 배웠다.[41]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어린아이들을 위한 게일어 놀이학교가 스코틀랜드에 생겨나기 시작했다. 학부모들의 열의가 "1985년 글래스고와 인버네스에 최초의 게일어 교육 초등학교 부설학교가 설립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92]

최초의 현대식 순수 게일어 교육 중등학교인 Sgoil Ghàidhlig Ghlaschu|스구을 가이릭 가스구gd(글래스고 게일어 학교)가 2006년 글래스고 우드사이드에 개교했다 (부분적으로 게일어 교육을 실시하는 61개의 초등학교와 약 12개의 게일어 교육 중등학교도 존재한다). Bòrd na Gàidhlig|보르드 나 가이릭gd에 따르면, 2008-09년 게일어 교육 초등학교에 등록된 학생 수는 2,092명이었는데, 이는 1985년 24명과 대조적이다.[93]

콜럼바 이니셔티브(Columba Initiative)는 colmcille|콜름킬레gd (이전에는 Iomairt Cholm Cille|이오마르트 콜름 킬레gd)로도 알려져 있으며,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아일랜드어 사용자 간의 연계를 증진시키려는 단체이다.

2019년 11월, 언어 학습 앱인 Duolingo는 게일어 베타 과정을 개설했다.[94][95][96]

2020년 여름부터, 웨스턴 아일즈에서 학교에 입학하는 어린이는 부모가 요청하지 않는 한 게일어 교육(GME, Gaelic-medium education)에 등록된다. 어린이들은 P1부터 P4까지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배우고, 그 후 영어를 도입하여 이중 언어 교육을 받는다.[97]

5. 3. 2. 캐나다

2004년 5월, 노바스코샤 주 정부는 주 내에서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그 문화를 지원하기 위한 계획에 자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노바스코샤 주 북동부와 케이프브르턴의 여러 공립학교에서는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일환으로 게일어 수업을 제공한다.[98]

온타리오 주 글렌가리 카운티 맥스빌에 있는 맥스빌 공립학교(Maxville Public School)에서는 매주 스코틀랜드 게일어 수업을 제공한다.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에서는 콜로넬 그레이 고등학교(Colonel Gray High School)에서 스코틀랜드 게일어 입문 및 심화 과정을 제공한다.[99]

5. 3. 3. 고등 교육

게일어 중심 교육은 스코틀랜드 정부가 게일어의 언어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이다. 사발 모르 오스타이그(Sabhal Mòr Ostaig)는 스카이 섬(Isle of Skye) 슬리트(Sleat)에 있는 게일어 언어 및 문화의 국가 중심지로, 스코틀랜드 게일어로만 수업이 진행되는 유일한 고등 교육 기관이다.[44] 이 기관은 초급부터 유창한 수준까지 게일어 학습자를 위한 과정을 제공하며, 게일어로만 진행되는 정규 학사 및 대학원 과정도 제공한다.

스코틀랜드와 일부 아일랜드 대학교에서는 게일어 요소를 포함하는 정규 학위 과정(주로 켈트학 전공)을 제공한다.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에서는 세인트 프랜시스 크사비에르 대학교, 켈트 예술 공예 게일어 대학, 케이프 브레턴 대학교가 켈트학 학위 및/또는 게일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러시아에서는 모스크바 주립 대학교가 게일어, 역사, 문화 강좌를 제공한다.

하이랜드 및 아일랜드 대학교는 국가 자격증, 고등 국가 졸업장, 예술학사(일반), 예술학사(우등), 석사 수준에서 다양한 게일어, 역사, 문화 강좌를 제공하며, 게일어를 통한 대학원 연구 기회도 제공한다. 사발 모르 오스타이에서 진행되는 거주형 강좌는 성인들에게 1년 만에 게일어 유창성을 갖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르위스 성 대학의 벤베큘라 캠퍼스는 게일어와 전통 음악에 대한 독립적인 1년 과정(FE, SQF 레벨 5/6)을 제공한다.

5. 4. 종교

게일어와 영어로 예배 안내가 적힌 표지판.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소속, 네스( 루이스 섬) 지역 교회


서부 제도에서는 루이스 섬, 해리스 섬, 노스 유이스트 섬에 장로교(대부분 스코틀랜드 교회 – 게일어로 Eaglais na h-Alba|에갈라스 나 할바gd,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스코틀랜드 자유장로교회)가 주를 이룬다. 사우스 유이스트 섬과 바라 섬에는 가톨릭이 주를 이룬다. 이 모든 교회는 서부 제도 전역에서 게일어를 사용하는 신도들을 두고 있다. 게일어로 정기적인 예배를 드리는 도시 교회로는 글래스고의 세인트 콜럼바 교회와 에든버러의 그레이프라이어스 톨부스 & 하이랜드 교회가 있다. 스코틀랜드 교회는 1996년에 영어 공동 예배서의 축약된 게일어판인 Leabhar Sheirbheisean|레아바르 헤르비샨gd을 출판했다.

예배에서 영어의 광범위한 사용은 종종 게일어 쇠퇴의 역사적 이유 중 하나로 제시되어 왔다. 스코틀랜드 교회는 오늘날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지만, 게일어를 사용하는 목사가 부족하다. 자유교회 또한 최근 목사 부족과 성찬식 시간에 모든 신도가 함께하기 위한 희망을 이유로 게일어 성찬 예배를 폐지할 계획을 발표했다.[100]

6. 문자

고이델어 오감 문자를 새긴 기오가 석비


오감(Ogham) 문자 체계는 아일랜드에서 원시 아일랜드어(Primitive Irish)와 고대 아일랜드어(Old Irish)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5세기 공원(Common Era, CE)에 라틴 문자(Latin script)에 의해 대체되었다.[111] 스코틀랜드에서는 오감 비문의 대부분이 피크트어(Pictish language)로 되어 있지만, 고이델어(Goidelic)로 된 오감 비문도 여러 개 존재한다. 그 예로, '비쿨라, 콤기누스의 아들'이라는 비문이 새겨진 지오가 돌(Giogha Stone)이 있다.[112] 이 비문에는 브리토닉어(Brythonic)의 MAB(현대 웨일스어 mab '아들'과 비교)가 아닌 고이델어 MAQ(현대어 mac '아들')가 사용되었다.

(Uilleam MacDhunléibhe, 19세기)


아일랜드스코틀랜드에서 모두 사용되었던 아이솔라 문자는 16세기까지 스코틀랜드에서는 대부분 사라졌다. 이 문자는 오늘날에도 사용되는 18개의 문자(a, b, c, d, e, f, g, h, i, l, m, n, o, p, r, s, t, u)로 구성되었으며,[113][114] 일반적으로 j, k, q, v, w, x, y, z는 포함하지 않았다.

기본 문자 외에도, 아이솔라 문자의 모음은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악센트(예각 악센트)(á, é, í, ó, ú)를 붙일 수 있었다. 점은 ḟ, ṡ의 연화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뒤에 오는 h는 ch, ph, th에 사용되었다. 다른 문자의 연화는 처음에는 일반적으로 표시되지 않았지만, 결국 두 가지 방법이 병행하여 모든 자음의 연화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서로 경쟁하다가 표준 관행은 아이솔라 문자에서는 점을, 로마자에서는 h를 사용하는 것이 되었다. 즉, ḃ, ċ, ḋ, ḟ, ġ, ṁ, ṗ, ṡ, ṫ는 bh, ch, dh, fh, gh, mh, ph, sh, th와 같다. 오늘날 게일어 타이포그래피와 점의 사용은 장식적인 용도로 제한된다.

1891년 오번에서 코문 게일레아흐(Comunn Gaidhealach) 창립자들을 기리는 기념패. 장식용으로 아이솔라 문자를 사용함


점이 있는 문자는 유니코드 5.0부터 사용 가능하다.[115]

현대 스코틀랜드 게일어 알파벳은 18개의 문자(a, b, c, d, e, f, g, h, i, l, m, n, o, p, r, s, t, u)를 가지고 있다. h는 주로 연화자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알파벳 문자들은 전통적으로 나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이 관습은 사라졌다.

장모음은 무덤 악센트(à, è, ì, ò, ù)로 표시되며, 이중자음(예: ao는 [ɯː]를 나타냄)을 통해 표시되거나 특정 자음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예: 자음 사이에 없는 nn 앞에 오는 u는 [uː]임). 전통적으로 예각 악센트는 á, é, ó에 사용되어 긴 중고모음을 나타냈지만, 철자 개혁을 통해 무덤 악센트로 대체되었다.[102]

18세기의 특정 자료들은 아일랜드식으로 예각 악센트만을 사용했는데, 알라스데어 맥 마히스터 알라스데어(1741~1751)의 저술과 던컨 밴 맥인타이어의 초기 판본(1768~1790)에서 볼 수 있다.[116]

언어로는 아일랜드의 게일어(아일랜드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문자, 문법, 용법, 어휘 모두 차이가 있다. 표기에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며, A, À, B, C, D, E, È, F, G, H, I, Ì, L, M, N, O, Ò, P, R, S, T, U, Ù 및 그 소문자가 사용된다.

7. 문법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굴절어이며, 형태론은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사용하고 문법적 성은 두 가지가 있다.[105] 게일어 명사는 주격/목적격, 호격, 소유격, 여격의 4격과 단수, 이중수, 복수의 3수로 어형 변화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남성 또는 여성으로 분류된다. 중성으로 분류되던 소수의 단어는 성에 대한 혼란을 어느 정도 보인다. 예를 들어, 일부 방언에서는 am muirgd "바다"가 주격에서는 남성 명사처럼 행동하지만, 소유격(na maragd)에서는 여성 명사처럼 행동한다.

명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격을 표시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연화, 구개음화, 접미사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한다. 불규칙 동사는 12개가 있다.[105] 대부분의 다른 동사는 예측 가능한 활용 패러다임을 따르지만, 측음으로 끝나는 다음절 동사는 탈락을 보이기 때문에 이 패러다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세 가지 인칭: 1인칭, 2인칭, 3인칭
  • 두 가지 : 단수와 복수
  • 두 가지 : 전통적으로 능동태와 수동태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인칭태와 비인칭태이다.
  • 시제, 상, 법을 나타내는 세 가지의 비합성 복합 시상법 형태: 과거가 아닌 시제(미래 습관적), 조건법(과거의 미래), 과거(과거 시제)
  • 과거완료, 미래완료, 현재완료, 현재진행, 과거진행, 조건법 완료 등 여러 가지 합성 시상법 형태
  • 주어에게 개념적으로 일시적인 상태, 동작 또는 속성을 귀속시키는 데 사용되는 두 개의 동사, bigd와 개념적으로 영구적인 정체성이나 속성을 보여주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형태만 있는 결함 동사인) isgd는 비합성 현재 시제와 과거가 아닌 시제 형태를 갖는다: (bigd) thagd [완료 현재], bidhgd/bithidhgd [미완료 과거가 아닌 시제][102] 및 기타 모든 예상되는 동사 형태를 가지지만, 동사 형용사("과거 분사")는 없다; (isgd) isgd, bugd 과거 및 조건법.
  • 네 가지 법: 독립법(긍정적 주절 동사에 사용), 관계법(긍정적 관계절 동사에 사용), 종속법(종속절, 부정적 관계절 및 부정적 주절에 사용), 그리고 가정법.


어순은 의문문, 부정 의문문, 부정문을 포함하여 엄격하게 서술어-주어-목적어 순서이다. 제한된 집합의 전치사만 동사 앞에 올 수 있다. 아일랜드의 게일어(아일랜드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문자, 문법, 용법, 어휘 모두 차이가 있다. 표기에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며, A, À, B, C, D, E, È, F, G, H, I, Ì, L, M, N, O, Ò, P, R, S, T, U, Ù 및 그 소문자가 사용된다. 명사에는 성(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이 있으며, 부정관사는 없다. 형용사는 비교급과 최상급이 있으며, 명사를 수식할 때는 일반적으로 명사 뒤에 놓인다. 수는 20진법이며, 명사는 주격, 소유격, 호격, 여격을 취하며, 단수형과 복수형이 있지만, 복수형은 3 이상(5 이상인 경우도 있음)에 사용된다. 문장의 기본 구조는 VSO형 또는 VSC형을 취하지만, 주어가 없는 VO형, 동사가 없는 SO형도 문형으로 존재하며 널리 사용된다. 간단한 존경 표현을 가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스코틀랜드 게일어 문법을 참조하십시오.

8. 음운

게일어의 대부분 방언은 모음 음소 목록에 8개 또는 9개의 모음 자질( )을 보이는데, 이들은 장음 또는 단음일 수 있다. 또한 단음으로만 나타나는 두 개의 약모음()이 있다. 일부 모음은 강하게 비음화되지만, 독립적인 비음화는 드물다. 약 9개의 이중모음과 소수의 삼중모음이 있다.

대부분의 자음은 구개음화된 것과 구개음화되지 않은 것의 대응 관계를 가지는데, 매우 풍부한 액체, 비음, 떨림 체계를 포함한다(즉, 세 가지 대조되는 "l" 소리, 세 가지 대조되는 "n" 소리, 세 가지 대조되는 "r" 소리). 역사적으로 유성이었던 파열음()은 유성이 사라졌으므로, 오늘날의 음소 대조는 무기음()과 유기음() 사이이다. 많은 방언에서 이러한 파열음은 앞선 비음을 통한 이차 관절에 의해 유성음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orasgd "문"이지만 an dorasgd "그 문"은 또는 이다.

일부 고정된 구절에서는 기본 단어와의 연결이 상실되어 an-dràstagd "지금" (an tràth-sagd "이 시간/기간"에서 유래)과 같이 이러한 변화가 영구적으로 나타난다.

중간 위치와 어말 위치에서 유기음 파열음은 후기음화가 아니라 전기음화된다.

9. 어휘

스코틀랜드 게일어 어휘의 대부분은 켈트어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게일어는 아일랜드어보다 비고이델릭(비고이델어파) 어원의 단어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 게일어로 유입된 차용어의 주요 출처는 게르만어인 영어, 스코틀랜드어, 노르웨이어이다. 다른 출처로는 라틴어, 프랑스어, 그리고 브리토니아어가 있다.[109]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많은 라틴어 차용어는 고대중세 아일랜드어(600년~1200년) 단계에서 채택되었으며, 종종 기독교와 관련된 용어들이다. 라틴어는 요일 이름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Diluaingd(월요일한국어), Dimàirtgd(화요일한국어), Disathairnegd(토요일한국어), Didòmhnaichgd(일요일한국어) 등이 그 예이다.[109]

초기부터 고대 중세 시대까지 컴브리아어와 피크트어라는 브리토닉어 계열 언어가 스코틀랜드에서 사용되었으며,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많은 브리토닉어의 영향을 받았다. 스코틀랜드 게일어에는 P-켈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많은 단어들이 있지만, P-켈트어와 Q-켈트어 단어들을 항상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dìleabgd (유산한국어), monadhgd (mynyddcy; 산한국어), preasgd (pryscy; 관목한국어)과 같은 일부 일반적인 단어들은 명백하게 브리토닉어 기원임을 알 수 있다.[22]

스코틀랜드 게일어에는 주로 지명 요소에 해당하는 여러 단어들이 있는데, 이 단어들은 아일랜드어와 비교했을 때 브리토닉어와 의미와 용법이 더 가까운 경우가 있다. 이는 브리토닉어 기층의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다.[106][107]

게일어의미브리토닉어의미아일랜드어의미
lios궁전(지명에서)llys궁전, 법원les (고대 아일랜드어)집과 울타리 사이의 땅
srath강 계곡ystrad (웨일스어)강 계곡srath목초지
tom덤불, 언덕, 봉분tom/tomen (웨일스어)거름, 봉분tom관목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현대 개념을 위한 신조어는 일반적으로 그리스어 또는 라틴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종종 영어를 거쳐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은 telebhiseangd이 되고, "컴퓨터"는 coimpiùtargd이 된다. 일부 화자들은 게일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있어도 영어 단어를 사용하며, 게일어 문법 규칙을 적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동사의 경우, 동사 접미사 (-eadhgd, 또는 루이스에서는 -igeadhgd)를 추가하여, "Tha mi a'gd watch eadhgd" (루이스, "watch igeadhgd") "angd telly" (나는 텔레비전을 보고 있다한국어) 와 같이 사용하며, "Tha mi a' coimhead air an telebhiseangd" 대신 사용한다. 이러한 현상은 170년 전에 스코틀랜드의 새로운 통계 조사(New Statistical Account of Scotland)에서 스토노웨이 교구를 다룬 보고서를 편찬한 목사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1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예를 찾아볼 수 있다.[108] 하지만, 게일어 교육이 인기를 얻으면서, 새로운 세대의 게일어 사용자들은 현대 게일어 어휘에 더욱 익숙해지고 있다.

가장 흔한 게일어 성씨는 macgd(“아들”을 뜻하는 게일어한국어)으로 시작하는 성씨들이다. 예를 들어 MacGillEathaingd/MacIllEathaingd[101][102] (맥린(MacLean)한국어)이 있다. 여성형은 nicgd (“딸”을 뜻하는 게일어한국어)이므로, 캐서린 맥피(Catherine MacPhee)는 게일어로 Catrìona Nic a' Phìgd[103]라고 한다(엄밀히 말하면, nicgd은 “아들의 딸”한국어을 의미하는 게일어 구문 nighean mhicgd의 축약형이므로, NicDhòmhnaillgd[102]은 실제로 “도널드의 딸”한국어이라기보다는 “맥도널드의 딸”한국어을 의미한다). MacDhòmhnaillgd의 경우 Dhòmhnaillgd (“도널드의”한국어)은 Dòmhnallgd (“도널드”한국어)의 소유격 형태이다.[104]

몇몇 색깔은 일반적인 스코틀랜드 성씨의 기원이 된다. bàngd (Bain – 흰색한국어), ruadhgd (Roy – 빨간색한국어), dubhgd (Dow, Duff – 검은색한국어), donngd (Dunn – 갈색한국어), buidhegd (Bowie – 노란색한국어) 등이 있다. 하지만 게일어에서는 MacGillegd '∼의 종의 아들한국어'과 같은 더 완전한 형태로 나타난다. 즉, MacGilleBhàin, MacGilleRuaidh, MacGilleDhuibh, MacGilleDhuinn, MacGilleBhuidhegd와 같은 형태이다.

10. 다른 언어에 미친 영향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스코트어영어, 특히 스코틀랜드 표준 영어에 영향을 미쳤다. 외래어로는 위스키(whisky), 슬로건(slogan), 브로그(brogue), 질트(jilt), 클랜(clan), 갈로어(galore), 바지(trousers), 고브(gob)뿐 아니라 벤(beinn), 글렌(gleann), 로크(loch)와 같이 스코틀랜드 지리의 친숙한 요소도 포함된다.[109] 아일랜드어 또한 스코틀랜드 저지대 스코틀랜드어와 영어에 영향을 미쳤지만,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영향과 구분하기는 항상 쉽지 않다.

11. 표기법

스코틀랜드 게일어 표기법은 상당히 규칙적이며, 그 표준은 1767년 신약전서에 의해 설정되었다. 1981년 스코틀랜드 시험 위원회의 스코틀랜드 게일어 권고안인 게일어 표기법 규칙은 대부분의 출판사와 기관에서 채택되었지만, 일부 학자들, 특히 로널드 블랙(Ronald Black) 사이에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110]

자음의 성질(폭넓음 또는 가늘음)은 자음을 둘러싼 모음에 의해 나타난다. 가는( 구개음화된) 자음은 가는 모음(e, i)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은(중립 또는 후설화된) 자음은 넓은 모음(a, o, u)으로 둘러싸여 있다. caol ri caol agus leathann ri leathann|가는 것은 가는 것과, 넓은 것은 넓은 것과gd으로 알려진 철자 규칙은 단어 중간의 자음 또는 자음 그룹 뒤에 e, i가 오면 e, i가 앞서고, a, o, u가 오면 a, o, u가 앞서야 함을 요구한다.

이 규칙은 때때로 묵음으로 쓰인 모음을 삽입하게 한다. 예를 들어, 게일어의 복수는 접미사 -an|gd을 사용하여 종종 형성된다. 예를 들어, bròg|gd ("신발") / brògan|gd ("신발들")이다. 그러나 철자 규칙 때문에, 가는 자음 뒤에는 접미사가 -ean으로 표기된다(하지만 발음은 동일하게 ); muinntir|gd ("[한] 집단의 사람들") / muinntirean|gd ("집단들의 사람들")에서처럼, i가 r 앞에 오기 때문에 e는 철자 규칙을 준수하기 위해 삽입된 순전히 표기상의 모음이다.

말에서 생략되는 무강세 모음은 비공식적인 글쓰기에서 생략될 수 있다. 예: Tha mi an dòchas.|나는 희망한다.gd > Tha mi 'n dòchas.|gd

스코틀랜드 영어 표기법 규칙도 게일어 글쓰기에 여러 번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곡된 게일어 운문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리스모어 학장의 책과 Fernaig이 있다.

현대 스코틀랜드 게일어 알파벳은 18개의 문자를 가지고 있다: a, b, c, d, e, f, g, h, i, l, m, n, o, p, r, s, t, u. h는 주로 연화자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알파벳 문자들은 전통적으로 나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이 관습은 사라졌다.

장모음은 무덤 악센트 (à, è, ì, ò, ù)로 표시되며, 이중자음 (예: ao는 를 나타냄)을 통해 표시되거나 특정 자음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예: 자음 사이에 없는 nn 앞에 오는 u는 임). 전통적으로 예각 악센트는 á, é, ó에 사용되어 긴 중고모음을 나타냈지만, 철자 개혁을 통해 무덤 악센트로 대체되었다.[102]

18세기의 특정 자료들은 아일랜드식으로 예각 악센트만을 사용했는데, 알라스데어 맥 마히스터 알라스데어(1741~1751)의 저술과 던컨 밴 맥인타이어의 초기 판본(1768~1790)에서 볼 수 있다.[116]

12. 예시

Rugadh na h-uile duine saor agus co-ionnan nan urram 's nan còirichean. Tha iad reusanta is cogaiseach, agus bu chòir dhaibh a ghiùlain ris a chèile ann an spiorad bràthaireil.gd[117]

세계인권선언 제1조 영어판: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118]

참조

[1] 웹사이트 Scotland's Census 2022 - Ethnic group, national identity, language and religion https://www.scotland[...]
[2] 간행물 Nova Scotia (Code 12)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2013-06-26
[3] 웹사이트 Background on the Irish Language http://www.udaras.ie[...] 2019-12-24
[4] 서적 The Celt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5] 웹사이트 Scotland's Language Myths: 4. Gaelic has nothing to do with the Lowlands https://newsnet.scot[...] 2011-03-12
[6] 웹사이트 Gaelic History / Highland Council Gaelic Toolkit / The Highland Council / Welcome to Northern Potential https://www.highland[...] HighlandLife 2021-06-19
[7] 뉴스 Census shows decline in Gaelic speakers 'slowed' https://www.bbc.com/[...] 2013-09-26
[8] 웹사이트 Scotland's Census 2022 - Ethnic group, national identity, language and religion https://www.scotland[...] 2024-06-22
[9] 웹사이트 Home https://www.scotland[...] 2024-06-22
[10]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17-02-08
[11]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2-02-09
[12] 웹사이트 Nova Scotia/Alba Nuadh https://gaelic.novas[...] 2020-04-23
[13] 웹사이트 Gaelic https://www.gov.scot[...] 2018-01-04
[14] 웹사이트 Scottish Languages Bill https://www.parliame[...] 2024-07-07
[15] 웹사이트 Definition of Gaelic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2018-08-18
[16] 웹사이트 1350–1450 Early Scots https://www.scotslan[...] Scots Language Centre 2020-08-26
[17] 간행물 Transactions of the Philological Society https://books.google[...] 1872
[18] 서적 Brewer's dictionary of Irish phrase & fable Weidenfeld & Nicolson 2012
[19] 학술지 Were the Scots Irish? http://www.electrics[...] 2001
[20] 간행물 ... and they won land among the Picts by friendly treaty or the sword https://pure.qub.ac.[...]
[21] 문서 Dunkeld, National Identity, Scotland to 1100, Constantine II; Scottish Takeover
[22] 서적 The Companion to Gaelic Scotland 1983
[23] 서적 The Companion to Gaelic Scotland 1983
[24] 서적 Pictish Progress: New Studies on Northern Britain in the Middle Ages 2010
[25] 학술지 Druim Alban, Dorsum Britanniae– 'the Spine of Britain' 2013-10-01
[26] 서적 Edinburgh Companion to the Gaelic Languag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0-06-30
[27] 서적 Clanship to Crofters' War: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the Scottish Highland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4
[28] 뉴스 The decade when Scotland lost half its Gaelic speaking people https://www.scotsman[...] 2022-12-20
[29] 웹사이트 The Gaelic Story at the University of Glasgow https://sgeulnagaidh[...] 2021-11-24
[30] 학술지 The Gaelic Continuum 2000
[31]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Endangered Languages https://www.routledg[...] 2008
[32] 웹사이트 Scottish Gaelic http://www.endangere[...] 2017-10-11
[33] 뉴스 'Endangered' Gaelic on map of world's dead languages http://www.scotsman.[...] 2009-02-19
[34] 웹사이트 Scotland's Census at a glance: Languages https://www.scotland[...] 2024-06-07
[35] 웹사이트 2011: Gaelic report (part 1) https://www.scotland[...] 2024-06-07
[36] 웹사이트 2011 Census of Scotland http://www.scotlands[...] 2014-06-23
[37] 웹사이트 Scotland's Census Results Online (SCROL) https://web.archive.[...] 2014-06-23
[38] 뉴스 Census shows decline in Gaelic speakers 'slowed' https://www.bbc.com/[...] 2013-09-26
[39] 뉴스 Census shows Gaelic declining in its heartlands https://www.bbc.com/[...] 2013-11-15
[40] 웹사이트 Pupil Census Supplementary Data https://web.archive.[...] 2011-12-07
[41] 논문 Lost in transition? Celtic language revitalization in Scotland and Wales: the primary to secondary school stage The University of Edinburgh
[42] 서적 The Edinburgh Companion to the Gaelic Langua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2-03-02
[43] 간행물 Neoliberalism and Minority-Language Planning in the Highlands and Islands of Scotland https://www.degruyte[...] 2005-01-01
[44] 웹사이트 Dachaigh – Sabhal Mòr Ostaig https://www.smo.uhi.[...]
[45] 간행물 Ideology, affect, and socialization in language shift and revitalization: The experiences of adults learning Gaelic in the Western Isles of Scotland https://www.cambridg[...] 2010-01-15
[46] 서적 The Gaelic crisis in the vernacular community : a comprehensive sociolinguistic survey of Scottish Gaelic https://doi.org/10.5[...] Aberdeen University Press 2020
[47] 서적 The Highland Clearances Penguin
[48] 간행물 Language revitalization discourses as metaculture: Gaelic in Scotland from the 18th to 20th centuries https://www.scienced[...] 2011-01-01
[49] 간행물 Reversing Language Shift: The Social Identity and Role of Scottish Gaelic Learners (Belfast Studies in Language, Culture and Politics) by Alasdair MacCaluim https://onlinelibrar[...] 2011-01-05
[50] 웹사이트 SuperWEB2(tm) - Log in https://www.scotland[...]
[51] 서적 Gaelic: A Past and Future Prospect The Saltire Society
[52] 웹사이트 Gaelic Language (Scotland) Act 2005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CHAPTER II – CORE COMMITMENTS http://www.gov.scot/[...]
[54] 문서 Legislative Devolution and Language Regulation in the United Kingdom https://wayback.arch[...] Cardiff University
[55] 웹사이트 Latest News – SHRC https://web.archive.[...] Scottish Human Rights Commission 2008-10-12
[56] 웹사이트 UK Ratification of the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Working Paper 10 – R.Dunbar, 2003 http://www.ciemen.or[...]
[57] 웹사이트 Official Status for Gaelic: Prospects and Problems https://web.archive.[...] 1997
[58] 웹사이트 Gàidhlig http://www.sqa.org.u[...] SQA
[59] 웹사이트 Gaelic (learners) http://www.sqa.org.u[...] SQA
[60] 웹사이트 An Comunn Gàidhealach – Royal National Mod : Royal National Mod http://www.ancomunn.[...]
[61] 뉴스 EU green light for Scots Gaelic http://news.bbc.co.u[...] 2009-10-07
[62] 뉴스 EU green light for Scots Gaelic http://news.bbc.co.u[...] 2009-10-07
[63] 웹사이트 Guide to the Gaelic Origins of Place Names in Britain https://www.north-ha[...] 2005-11
[64] 뉴스 Caithness councillors harden resolve against Gaelic signs http://www.pressandj[...] 2008-10-24
[65] 웹사이트 Ainmean-Àite na h-Alba – Gaelic Place-Names of Scotland – About Us http://www.ainmean-a[...]
[66] 웹사이트 Scots https://web.archive.[...] Multicultural Canada
[67] 서적 Seanchaidh na Coille / Memory-Keeper of the Forest: Anthology of Scottish Gaelic Literature of Canada Cape Breton University Press
[68] 문서 Gaelic in Canada: New Evidence from an Old Census https://www.academia[...] Dunedin Academic Press
[69] 웹사이트 Gaelic Nova Scotia – An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Impact Study https://gaelic.novas[...] Nova Scotia Museum 2002
[70] 웹사이트 Nova Scotia (Code 12)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2013-09-11
[71] 웹사이트 Rebirth of a 'sleeping' language: How N.S. is reviving its Gaelic culture https://atlantic.ctv[...] 2016-02-29
[72] 웹사이트 National Household Survey Profile, Nova Scotia, 2011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2013-05-08
[73] 뉴스 Nova Scotia unveils Gaelic licence plate, as it seeks to expand language https://atlantic.ctv[...] Bell Media 2018-05-01
[74] 웹사이트 Gaelic Medium Education in Nova Scotia https://www.gaidhlig[...] Bòrd na Gàidhlig 2021-09-08
[75] 웹사이트 Gaelic language slowly gaining ground in Canada https://www.rcinet.c[...] 2015-01-28
[76] 웹사이트 Gaelic language slowly gaining ground in Canada https://www.rcinet.c[...] 2015-01-28
[77] 웹사이트 BBC Reception advice https://web.archive.[...]
[78] 웹사이트 About BBC Alba https://www.bbc.co.u[...]
[79] 웹사이트 Pupils in Scotland, 2006 http://www.scotland.[...] Scottish Government 2007-02-00
[80] 웹사이트 Pupils in Scotland, 2008 http://www.scotland.[...] Scottish Government 2009-02-00
[81] 웹사이트 Pupils in Scotland, 2009 http://www.scotland.[...] Scottish Government 2009-11-27
[82] 웹사이트 Scottish Government: Pupils Census, Supplementary Data http://www.scotland.[...] Scotland.gov.uk 2011-06-14
[83] 웹사이트 Pupil Census, Supplementary data 2011 http://www.gov.scot/[...] 2012-02-03
[84] 웹사이트 Pupil Census, Supplementary data 2012 http://www.gov.scot/[...] 2012-12-11
[85] 웹사이트 Pupil Census, Supplementary data 2013 http://www.gov.scot/[...]
[86] 웹사이트 Pupil Census, Supplementary data 2014 http://www.gov.scot/[...]
[87] 웹사이트 Pupil Census, Supplementary data 2015 http://www.gov.scot/[...]
[88] 웹사이트 Pupil Census, Supplementary data 2016 http://www.gov.scot/[...]
[89] 웹사이트 Pupil Census, Supplementary data 2017 http://www.gov.scot/[...]
[90] 웹사이트 Pupil Census, Supplementary data 2018 https://www2.gov.sco[...]
[91] 서적 Europe Phrasebook Lonely Planet
[92] 논문 Lost in transition? Celtic language revitalization in Scotland and Wales: the primary to secondary school stage The University of Edinburgh
[93] 웹사이트 Gael-force wind of change in the classroom http://thescotsman.s[...] 2008-10-29
[94] 뉴스 Thousands sign up for new online Gaelic course https://www.bbc.com/[...] 2019-11-28
[95] 웹사이트 Scottish Gaelic course on Duolingo app has 20,000 signups ahead of launch https://www.scotsman[...] 2019-11-28
[96] 웹사이트 Tens of thousands sign up in matter of hours as Duolingo releases Scottish Gaelic course https://www.thecouri[...] 2019-11-28
[97] 뉴스 Gaelic to be 'default' in Western Isles schools https://www.bbc.com/[...] 2020-01-23
[98] 뉴스 Gaelic core class increasingly popular in Nova Scotia http://www.cbc.ca/ne[...]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5-01-26
[99] 뉴스 Gaelic language slowly gaining ground in Canada http://www.rcinet.ca[...] 2015-01-28
[100] 뉴스 Free Church plans to scrap Gaelic communion service http://news.scotsman[...] 2008-01-06
[101] 웹사이트 Alba air Taghadh – beò à Inbhir Nis https://www.bbc.co.u[...] BBC Radio nan Gàidheal
[102] 웹사이트 Gaelic Orthographic Conventions http://www.sqa.org.u[...] Bòrd na Gàidhlig 2009-10-00
[103] 웹사이트 Catrìona Anna Nic a' Phì https://www.bbc.co.u[...]
[104] 웹사이트 Gaelic Surnames http://www.libraryir[...] Library Ireland
[105] 서적 Brìgh nam Facal Roinn nan Cànan Ceilteach
[106] 서적 Pictish Progress: New Studies on Northern Britain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Brill 2019-06-30
[107] 서적 The Celtic Place-Names of Scotland Birlinn LTD 2011
[108] 웹사이트 Smeòrach Chlann Raghnaill http://www.moidart.o[...] Archaeology Archive Moidart History 2017-04-24
[109]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Gaelic Language BiblioBazaar
[110] 간행물 Computer-Assisted Learning for Gaelic: Towards a Common Teaching Core http://www.sqa.org.u[...] The Board of Celtic Studies Scotland 2005-08
[111] 웹사이트 Celtic languages – Irish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5
[112] 웹사이트 GIGHA/1 https://www.ucl.ac.u[...] 2023-04-25
[113] 서적 Graiméar Gaeilge na mBráithre Críostai. https://www.worldcat[...] An Gúm 2023-04-25
[114] 웹사이트 Irish Orthography http://www.nualearga[...] 2022-10-23
[115] 웹사이트 Latin Extended Additional https://www.unicode.[...]
[116] 서적 Irish Dialects Past and Present Brown and Nolan
[117] 웹사이트 UDHR in Celtic languages https://omniglot.com[...] 2022-05-09
[118]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2-05-09
[119] 뉴스 スコットランドのゲール語、10年以内に消滅か 社会言語学研究 https://www.cnn.co.j[...] CNN 2020-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