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자 스핀 액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자 스핀 액체는 개별 스핀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상자성체와 달리, 스핀 간의 상호 작용으로 무질서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물질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위상학적 질서, 양자 얽힘, 애니온 여기 등의 특징을 가지며, 기하학적 좌절, 공명 원자가 결합(RVB) 등의 원리로 설명된다. 실험적으로는 자기 감수율, NMR, 중성자 산란 등을 통해 특성을 연구하며, 허버트스미사이트, Cs2CuCl4, 유기 모트 절연체 등이 후보 물질로 연구되고 있다. 양자 스핀 액체는 데이터 저장, 위상 양자 계산, 고온 초전도 연구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액체 - 방울
    방울은 액체의 표면 장력으로 인해 형성되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작은 액체 덩어리이며, 크기, 속도, 모양은 표면 장력, 중력, 공기 저항 등에 의해 결정되고 자연 현상에서 흔히 관찰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액체 - 연무질
    연무질은 기체 내에 미세한 고체 또는 액체 입자가 섞여 있는 혼합물로, 대기 중에서는 수증기, 황산염 등 다양한 물질로 구성되어 지구 기후에 영향을 미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준입자 - 양공
    양공은 반도체 내에서 전자가 빠져나간 자리를 의미하며, 마치 양의 전하를 띠는 입자처럼 행동하여 전기 전도에 기여하고, P형 반도체의 특성을 나타낸다.
  • 준입자 - 엑시톤
    엑시톤은 반도체나 절연체에서 전자와 정공이 쿨롱 힘으로 결합된 중성 준입자로, 광여기 등으로 생성되며, 유전 상수에 따라 와니어-모트 엑시톤과 프렌켈 엑시톤으로 나뉘고, 다양한 종류와 차원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며 광학적 특성에 기여하고 저온에서 빛 방출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 물질의 상 - 고체
    고체는 물질의 네 가지 기본 상태 중 하나로, 원자, 분자, 이온들이 강하게 결합하여 일정한 형태와 부피를 가지며, 결합 방식과 전기 전도도, 외부 힘에 대한 반응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특성을 나타낸다.
  • 물질의 상 -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은 특정 물질이 임계 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으로, 마이스너 효과와 자기 선속 양자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BCS 이론으로 일부 설명되지만 고온 초전도체는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고 MRI, 초전도 자석 등에 응용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양자 스핀 액체
개념
유형물질의 상
정의기존의 상전이 없이 절대 영도에서도 스핀의 정렬이 없는 상태
관련 개념양자 얽힘
프랙션화
게이지 장
역사 및 연구
최초 제안필립 앤더슨 (1973년)
주요 연구Kitaev 모델
Hubbard 모델
t-J 모델
실험적 검증2차원 물질에서 새로운 상태 발견 (2016년)
특성
스핀 정렬절대 영도에서도 스핀의 정렬이 없음
바닥 상태높은 퇴행성을 가짐
여기프랙션화된 여기 (스피논 등)
상호 작용장거리 양자 얽힘
응용
양자 컴퓨팅양자 정보 저장 및 처리
고온 초전도고온 초전도 현상 메커니즘 연구
새로운 물질 개발새로운 양자 물질 설계 및 개발

2. 기본 성질

좌절된 자성으로부터 나타나는 스핀 액체의 예


양자 스핀 액체는 강자성체나 반강자성체와 달리 특정한 자기 정렬을 보이지 않는다.[10] 이는 액체처럼 스핀들이 무질서하게 요동치는 상태로, 무질서한 스핀의 "액체"라고 비유할 수 있다.[17] 물이 액체 상태일 때 고체 얼음에 비해 무질서한 것처럼, 양자 스핀 액체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무질서를 유지한다.[11]

양자 스핀 액체의 현대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특징들은 양자 스핀 액체를 기존의 자성체와 구별되는 독특한 상태로 만든다.

2. 1. 좌절된 자기 모멘트

삼각형에서 좌절된 이징 스핀


국소 스핀이 동시에 모두 만족될 수 없는 경쟁적인 교환 상호 작용이 존재하여 시스템의 바닥 상태에서 큰 축퇴를 유발하는 경우 좌절된다. 이징 스핀의 삼각형(스핀의 가능한 유일한 방향이 "위" 또는 "아래"인 경우)은 반강자성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좌절의 간단한 예이다. 바닥 상태에서 스핀 2개는 반평행할 수 있지만 세 번째 스핀은 반평행할 수 없다. 이는 바닥 상태에서 스핀의 가능한 방향(이 경우 6개)을 증가시켜 변동을 강화하고 자기 정렬을 억제한다.[1]

최근 연구에서는 뇌 네트워크를 분석할 때 이 개념을 사용하여 뇌에서 유연한 신경 상호 작용에 해당하는 좌절된 상호 작용을 놀랍게 나타냈다. 이러한 관찰은 좌절 현상의 일반화를 강조하고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그 조사를 제안한다.[1]

2. 2. 공명 원자가 결합 (RVB)

P. W. 앤더슨은 1973년에 스핀 액체의 바닥 상태로 공명 원자가 결합(RVB) 상태를 제안했다.[41] 이 상태는 인접한 스핀들이 단일항(singlet) 쌍을 이루어 결합하는 형태로, 전체 시스템은 비자성을 띤다. 이러한 결합 상태는 양자 역학적으로 중첩되어 공명하는 상태이다. RVB 상태는 고온 초전도체 물리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이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42]

원자가 결합 고체. 결합은 특정 패턴을 형성하며 얽힌 스핀 쌍으로 구성된다.


원자가 결합 상태에서는 두 개의 전자 스핀이 반강자성 상호 작용으로 인해 스핀 0 단일항을 형성한다. 시스템의 모든 스핀이 이와 같이 결합되면 전체 시스템도 스핀 0을 가지며 비자성 상태가 된다. 결합을 형성하는 두 스핀은 최대 얽힘을 가지며, 다른 스핀과는 얽혀 있지 않다. 모든 스핀이 특정 국소화된 정적 결합에 분산되면 이를 '''원자가 결합 고체'''(VBS)라고 한다.

VBS와 스핀 액체를 구별하는 두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VBS에서는 결합이 특정 방식으로 정렬되어 격자 대칭이 깨지는 경우가 일반적인 반면, 스핀 액체는 그렇지 않다. 둘째, VBS 바닥 상태는 장거리 얽힘이 부족하다. 장거리 얽힘을 가지려면 원자가 결합의 양자 역학적 변동이 허용되어야 하며, 이는 스핀을 원자가 결합으로 분할하는 여러 가지 다른 중첩으로 구성된 바닥 상태를 초래한다. 분할이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다면(동일한 양자 진폭으로), 특정 분할에 대한 선호도가 없다("원자가 결합 액체").

RVB 상태에서 스핀의 가능한 단거리 페어링.


스핀의 장거리 페어링.

2. 2. 1. 여기(Excitations)

양자 스핀 액체는 분수 양자수를 갖는 스피논과 같은 특이한 여기(excitation) 상태를 가질 수 있다.[15] 대표적인 예는 전하는 중성이지만 스핀 S=1/2을 갖는 스피논 여기이다. 스핀 액체에서 스핀이 원자가 결합에서 짝을 이루지 않으면 스피논이 생성된다. 스피논은 낮은 에너지 비용으로 근처의 원자가 결합을 재배열하여 이동할 수 있다.

스피논이 스핀 액체에서 움직이는 모습

2. 2. 2. 안정적인 RVB 상태의 실현

P. W. 앤더슨이 1973년에 처음 제안한 공명 원자가 결합(RVB) 상태는 고온 초전도체 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져 이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42] RVB 상태는 모든 가장 가까운 이웃 결합 구성의 동일한 진폭 중첩으로 구성된다. 최초의 RVB 상태는 스피논 등을 가두어 갭리스(gapless) U(1) 게이지장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이는 불안정하여 양자 스핀 위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두 개의 안정적인 위상 사이의 임계 위상 전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46]

이후 안정적이며 비구속 스피논을 포함하는 RVB 상태의 한 버전으로 카이럴 스핀 상태가 제안되었다.[45][47] 또한, 비구속 스피논을 갖는 또 다른 안정적인 RVB 상태인 Z2 스핀 액체가 제안되었는데,[48][49] 이는 가장 단순한 위상 순서인 Z2 위상 순서를 실현한다. 카이럴 스핀 상태와 Z2 스핀 액체 상태는 모두 동일한 부분 격자를 연결하는 긴 RVB 결합을 가지고 있다. 카이럴 스핀 상태에서 서로 다른 결합 구성은 복소 진폭을 가질 수 있지만, Z2 스핀 액체 상태에서는 서로 다른 결합 구성이 실수 진폭만 갖는다. 삼각 격자에서의 RVB 상태 또한 Z2 스핀 액체를 실현하며,[50] 여기서 서로 다른 결합 구성은 실수 진폭만 갖는다. 토릭 코드 모델은 스핀 회전 대칭성을 명시적으로 깨뜨리고 정확하게 풀 수 있는 Z2 스핀 액체(및 Z2 위상 순서)의 또 다른 실현 예이다.[51]

3. 실험적 특징 및 탐침



헤르베르트스미사이트, QSL 거동을 보이는 바닥 상태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광물


양자 스핀 액체(QSL)는 강자성체나 반강자성체와는 달리,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스핀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지 않고 액체처럼 무질서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양자 스핀 액체는 위상학적 질서, 장거리 양자 얽힘, 애니온 여기와 같은 독특한 특성을 갖는다.[16][12][15]

양자 스핀 액체는 단일 실험으로는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실험을 종합하여 판단해야 한다.

3. 1. 자기 감수율

고온의 고전적인 상자성체 위상에서 자기 감수율은 퀴리-바이스 법칙에 의해 주어진다. 실험 데이터를 이 방정식에 맞추면 현상학적 퀴리-바이스 온도 \Theta_{CW}가 결정된다. 물질에 자기적 정렬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두 번째 온도 T_c\chi(T)에서 비해석적 특징으로 나타난다. 이 둘의 비율을 '''좌절 매개변수'''라고 한다.

:f = \frac

{T_{c}}

전형적인 반강자성체에서는 두 온도가 일치하여 f = 1이 된다. 이상적인 양자 스핀 액체는 어떤 온도에서도 자기적 정렬이 발생하지 않으며 (T_c = 0), 따라서 발산하는 좌절 매개변수 f \to \infty를 갖는다. 큰 값 f > 100은 따라서 가능한 스핀 액체 위상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이다.[11]

다음 표에는 서로 다른 격자 구조를 가진 일부 좌절된 물질과 그들의 퀴리-바이스 온도가 나열되어 있다.[11] 이들은 모두 스핀 액체 후보로 제안되었다.

물질격자\Theta_{cw} [\mathrm K]
κ-(BEDT-TTF)2Cu2(CN)3비등방성 삼각-375
ZnCu3(OH)6Cl2 (허버트스미사이트)카고메-241
BaCu3V2O8(OH)2 (베시그나이트)카고메
Na4Ir3O8하이퍼카고메-650
PbCuTe2O6하이퍼카고메-22[2]
Cu-(1,3-벤젠디카르복실레이트)카고메-33[36]
Rb2Cu3SnF12카고메[37]
1T-TaS2삼각


3. 2. 기타 실험 방법

양자 스핀 액체는 자기적 정렬이 없으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실험 방법설명
NMR 또는 μSR 실험국부 자기장의 유무를 측정하여 자기적 정렬 여부를 확인한다. κ-(BEDT-TTF)2Cu2(CN)3에 대한 1H-NMR 측정 결과, 32mK까지 자기적 정렬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인접 스핀 간 결합 상수 J≈250K보다 4자리수나 작은 값이다.
비열 측정저에너지 상태 밀도 정보를 제공하여 이론적 모델과 비교한다.
열 수송 측정여기(excitation)가 국소적인지, 아니면 돌아다니는지(순회하는지) 확인한다.
중성자 산란여기 및 상관 관계(예: 스피논)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반사율 측정가상 게이지 장을 통해 전자기장과 결합하여 전력 법칙 광학 전도도를 발생시키는 스피논을 찾는다.


4. 후보 물질

현재까지 다양한 물질들이 양자 스핀 액체 후보 물질로 제안되고 있다. 아래 표에는 서로 다른 격자 구조를 가진 일부 좌절된 물질과 그들의 퀴리-바이스 온도가 나열되어 있다.[11]

물질격자\Theta _{cw} [\mathrm K]
κ-(BEDT-TTF)2Cu2(CN)3비등방성 삼각-375
ZnCu3(OH)6Cl2카고메-241
BaCu3V2O8(OH)2카고메
Na4Ir3O8하이퍼카고메-650
PbCuTe2O6하이퍼카고메-22[2]
Cu-(1,3-벤젠디카르복실레이트)카고메-33[36]
Rb2Cu3SnF12카고메[37]
1T-TaS2삼각



NMR 또는 μSR 실험은 양자 스핀 액체의 자기적 정렬 부재를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다. κ-(BEDT-TTF)2Cu2(CN)3에 대한 1H-NMR 측정에서는 이 화합물의 인접 스핀 간 결합 상수 J≈250 K보다 훨씬 낮은 32 mK까지 자기적 정렬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외에도 비열, 열 수송, 중성자 산란, 반사율 측정을 통해 양자 스핀 액체의 특성을 연구할 수 있다.

4. 1. RVB 타입

P. W. 앤더슨이 1973년에 처음 제안한 '''공명 원자가 결합'''(Resonating Valence Bond, RVB) 상태는[41] 고온 초전도체 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양자 스핀 액체의 한 종류이다.[42]

RVB 상태는 원자가 결합이 특정 패턴으로 고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결합 방식이 중첩되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마치 공명 구조를 갖는 분자와 유사하다.

  • Cs2CuCl4: 삼각 격자 구조를 갖는 이 물질은 초기 연구에서 RVB 상태의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34] 이후 1차원 스피논에 의한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되었다.[53]
  • κ-(BEDT-TTF)2Cu2(CN)3: 유기 모트 절연체인 이 물질은 갭리스 스핀 액체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0] 이는 스피논 페르미 표면을 가진 균일 RVB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41] 이 물질의 특이한 상 다이어그램은 뮤온 스핀 분광법을 통해 자세히 연구되었다.[35]


정사각형 격자에서 RVB 상태에 대한 초기 논의는 서로 다른 부분 격자를 연결하는 가장 가까운 이웃 결합만을 고려하여 모든 결합 구성의 동일한 진폭 중첩을 다루었다.[46] 이러한 RVB 상태는 갭리스 U(1) 게이지장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안정적인 양자 스핀 위상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비구속 스피논을 갖는 안정적인 RVB 상태로 카이럴 스핀 상태와[45][47] Z2 스핀 액체가 제안되었다.[48][49] 카이럴 스핀 상태는 서로 다른 결합 구성이 복소 진폭을 갖는 반면, Z2 스핀 액체는 실수 진폭을 갖는다. 삼각 격자에서의 RVB 상태는 Z2 스핀 액체를 실현하며,[50] 서로 다른 결합 구성은 실수 진폭을 갖는다. 토릭 코드 모델은 스핀 회전 대칭성을 명시적으로 깨뜨리고 정확하게 풀 수 있는 Z2 스핀 액체의 또 다른 예이다.[51]

4. 2. 허버트스미사이트 (Herbertsmithite)

허버트스미사이트는 화학식 ZnCu3(OH)6Cl2을 갖는 광물로, 삼방정계 결정 구조를 가진다. 구리 이온은 카고메 격자 층을 형성하며, 이 구조에서 초교환 상호작용을 통해 강한 반강자성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허버트스미사이트는 양자 스핀 액체 현상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물질로 여겨진다.[59][58]

2005년, 합성된 허버트스미사이트 분말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는 2K까지 자기적 정렬이 나타나지 않았다.[22] 이후 50mK까지의 연구에서도 자기적 정렬이 발견되지 않았고, 비탄성 중성자 산란 실험을 통해 갭이 없는 스핀 액체 상태임을 보여주는 결과가 나타났다.[23] 이후, 17O 핵자기 공명(NMR),[24] 중성자 분광법[25] 등 추가 실험을 통해 갭이 없는 스핀 액체 물질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2010년까지 정확한 특성은 불분명했다.[26]

2011년에는 밀리미터 크기의 허버트스미사이트 단결정이 성장 및 특성화되면서,[27] 스핀 액체 특성에 대한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해졌다. 비탄성 중성자 산란 실험에서 갭이 없는 분수화된 스피논에 대한 증거가 나타났지만,[28] 이후 연구에서는 0.07–0.09meV의 작은 스핀 갭이 존재함이 밝혀졌다.[29][31]

일부 측정에서는 양자 임계점 행동이 관찰되기도 했다.[43][4] 이 물질의 자기적 응답은 스케일링 관계를 보였으며, 저온 비열은 자기장에 크게 의존했다.[32][33]

2020년, 더불어민주당 소속 연구진들은 기체 확산 전기결정화를 이용하여 허버트스미사이트의 단분산 단결정 나노입자(~10nm)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 나노입자에서도 스핀 액체 특성이 유지됨을 확인했다.[30]

250px


허버트스미사이트는 U(1)-디랙 스핀 액체를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56] ''강하게 상관된 양자 스핀 액체''(SCQSL)는 양자 스핀 액체(QSL)의 한 종류로,[11][43] 중(重)페르미온 금속의 특성을 가지면서도 전하 흐름을 막는 절연체(SCI)이다.[57][44]

4. 3. 키타에프 스핀 액체 (Kitaev spin liquids)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및 독일 드레스덴의 막스 플랑크 복합계 물리 연구소의 물리학자들과 협력하여 2015년 8월, 그래핀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2차원 물질에서 마요라나 페르미온으로 알려진 분수 입자의 첫 번째 징후를 측정했다.[19][38] 이 실험 결과는 양자 스핀 액체에 대한 주요 이론 모델 중 하나인 Kitaev 벌집 모형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38] 이는 키타에프 스핀 액체가 2차원 물질에서 관찰된 증거를 제시한다.

4. 4. 강상관계 양자 스핀 액체 (Strongly correlated quantum spin liquid)

250px


'''강하게 상관된 양자 스핀 액체'''(Strongly correlated quantum spin liquid, ''SCQSL'')는 가능한 양자 스핀 액체(QSL)의 구체적인 실현으로,[11][43] 이는 새로운 유형의 강하게 상관된 전기적 절연체(SCI)를 나타낸다. 이 절연체는 중(重)페르미온 금속의 특성을 가지지만, 전하의 흐름을 저항한다는 예외가 있다.[57][44] 낮은 온도 ''T''에서 이러한 유형의 절연체의 비열은 ''Tn''에 비례하며, 여기서 ''n''은 1보다 작거나 같으며, 열용량이 ''T''3에 비례하는 일반적인 절연체의 경우 ''n''=3인 것과는 다르다. SCI에 자기장 '''B'''가 가해지면, 일반적인 절연체와는 달리 비열은 '''B'''에 크게 의존한다. SCI의 후보는 몇 가지가 있으며, 그중 가장 유망한 것은 화학 구조가 ZnCu3(OH)6Cl2광물인 허버츠미스광이다.[44]

4. 5. 카고메 타입 (Kagome type)

Ca10Cr7O28은 1K 이하에서도 장거리 질서가 형성되지 않고 갭이 없는 여기(勵起)의 확산 스펙트럼을 갖는 좌절된 카고메 2층 자석이다.

4. 6. 토릭 코드 타입 (Toric code type)

2021년 12월, 토릭 코드 유형의 양자 스핀 액체에 대한 직접 측정이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5][6] 두 팀이 이를 수행했다. 한 팀은 양자 프로세서에서 바닥 상태와 애니온 여기를 탐구했고,[7] 다른 팀은 광학 집게로 잡고 있는 루비 격자 위의 원자들을 사용하여 이론적 청사진을 구현했다.[8][9] 이는 양자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였다.

5. 특이 성질: 위상 페르미온 응축 양자 상전이

중(重)페르미온(HF) 금속과 2차원 헬륨-3에 대한 실험에서는 준입자의 유효 질량 ''M''*가 매우 크거나 심지어 발산하는 현상이 나타난다.[54] 위상수학적 페르미온 응축 양자 상전이(FCQPT)는 준입자를 보존하면서 페르미 준위에서 평평한 에너지 띠를 형성하는데, 이 FCQPT의 출현은 유효 질량 ''M''*의 무한정 증가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54] FCQPT 근처에서 M*는 온도 ''T'', 수 밀도 ''x'', 자기장 '''B''', 압력 ''P'' 등과 같은 외부 매개변수에 의존하게 된다. 란다우 패러다임에서는 유효 질량이 대략 일정하다고 가정하지만, FCQPT 이론에서는 새로운 준입자의 유효 질량이 ''T'', ''x'', '''B''' 등에 강하게 의존한다. 따라서 FCQPT를 기반으로 하는 확장된 준입자 패러다임을 도입하여 여러 실험적 사실에 부합하거나 설명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핵심은 잘 정의된 준입자가 강하게 상관된 페르미 시스템의 열역학적, 이완, 스케일링, 수송 특성을 결정하며, M*가 ''T'', ''x'', '''B''', ''P'' 등의 함수가 된다는 것이다.

6. 응용

양자 스핀 액체 상태를 갖는 물질은 데이터 저장 및 메모리에 응용될 수 있다.[2] 특히, 스핀 액체 상태를 통해 위상 양자 계산을 실현할 수 있다.[2] 양자 스핀 액체 연구는 고온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2]

참조

[1] 논문 Pattern of frustration formation in the functional brain network https://direct.mit.e[...] 2022-10
[2] 간행물 Phys. Rev. Lett. 116, 107203 (2016)
[3] 문서 In literature, the value of J is commonly given in units of temperature (J/k_{B}) instead of energy.
[4] 논문 Experimental identification of quantum spin liquids http://www.nature.co[...] 2019-09-12
[5] 논문 Realizing topologically ordered states on a quantum processor https://www.quantama[...] 2021-12-04
[6] 웹사이트 Quantum Simulators Create a Totally New Phase of Matter https://www.quantama[...] 2022-03-11
[7] 논문 Realizing topologically ordered states on a quantum processor https://www.science.[...] 2021-12-03
[8] 논문 Prediction of Toric Code Topological Order from Rydberg Blockade https://link.aps.org[...] 2021-07-08
[9] 논문 Probing topological spin liquids on a programmable quantum simulator https://www.science.[...] 2021-12-03
[10] 서적 Principles of Condensed-Matter Phys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논문 Spin liquids in frustrated magnets 2010
[12] 논문 Quantum spin liquids: a review
[13] 논문 A field guide to spin liquids
[14] 논문 Herbertsmithite and the Search for the Quantum Spin Liquid
[15] 뉴스 Inside the Knotty World of 'Anyon' Particles https://www.quantama[...] 2019-05-05
[16] 뉴스 Physicists Aim to Classify All Possible Phases of Matter https://www.quantama[...] 2019-05-05
[17] 뉴스 A Strange New Quantum State of Matter: Spin Liquids http://io9.com/58311[...] 2011-08-15
[18] 뉴스 A new spin on superconductivity? http://web.mit.edu/n[...] 2011-03-28
[19] 웹사이트 New state of matter detected in a two-dimensional material http://phys.org/news[...] 2016-04-05
[20] 뉴스 This Weird Crystal Demonstrates a New Magnetic Behavior That Works Like Magic https://gizmodo.com/[...] 2012-12-20
[21] 뉴스 New kind of magnetism discovered: Experiments demonstrate 'quantum spin liquid' http://phys.org/news[...] 2012-12-20
[22] 논문 A Structurally Perfect S=1/2 Kagome Antigerromagnet
[23] 논문 Spin Dynamics of the Spin-1/2 Kagome Lattice Antiferromagnet ZnCu3(OH)6Cl2
[24] 논문 "17O NMR Study of the Intrinsic Magnetic Susceptibility and Spin Dynamics of the Quantum Kagome Antiferromagnet ZnCu3(OH)6Cl2 "
[25] 논문 Scale-free antiferromagnetic fluctuations in the S=1/2 kagome antiferromagnet herbertsmithite
[26] 논문 Quantum kagome antiferromagnet: ZnCu3(OH)6Cl2
[27] 논문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ngle crystals of the spin-1/2 kagome-lattice antiferromagnets Znx Cu4-x(OH)6Cl2 http://web.mit.edu/p[...]
[28] 논문 Fractionalized excitations in the spin-liquid state of a kagome-lattice antiferromagnet
[29] 논문 Evidence for a gapped spin-liquid ground state in a kagome Heisenberg antiferromagnet
[30] 논문 Spin transition nanoparticles made electrochemically
[31] 논문 Correlated impurities and intrinsic spin-liquid physics in the kagome material herbertsmithite
[32] 논문 Dynamic Scaling in the Susceptibility of the Spin-1/2 Kagome Lattice Antiferromagnet Herbertsmithite
[33] 논문 The magnetic ground state of an experimental S=1/2 kagomé antiferromagnet 2008
[34] 논문 Experimental realization of a 2D fractional quantum spin liquid 2001-02-12
[35] 논문 Magnetic and non-magnetic phases of a quantum spin liquid 2011
[36] 논문 A Structurally Perfect S = 1/2 Metal−Organic Hybrid Kagome Antiferromagnet
[37] 논문 Pinwheel valence-bond solid and triplet excitations in the two-dimensional deformed kagome lattice 2010
[38] 논문 Proximate Kitaev quantum spin liquid behaviour in a honeycomb magnet
[39] 논문 Power-Law Conductivity inside the Mott Gap: Application to κ-(BEDT-TTF)2Cu2(CN)3 2007
[40] 논문 Spin Liquid State in an Organic Mott Insulator with a Triangular Lattice 2003
[41] 논문 Resonating valence bonds: A new kind of insulator? 1973
[42] 논문 The resonating valence bond state in La2CuO4 and superconductivity 1987
[43] 서적 Theory of Heavy-Fermion Compounds - Theory of Strongly Correlated Fermi-Systems Springer
[44] 논문 Identification of Strongly Correlated Spin Liquid in Herbertsmithite 2012
[45] 논문 Equivalence of the resonating-valence-bond and fractional quantum Hall states https://zenodo.org/r[...] 1987
[46] 논문 Topology of the resonating valence-bond state: Solitons and high-Tc superconductivity 1987
[47] 논문 Chiral Spin States and Superconductivity 1989
[48] 논문 Large-N expansion for frustrated quantum antiferromagnets 1991
[49] 논문 Mean Field Theory of Spin Liquid States with Finite Energy Gaps 1991
[50] 논문 Resonating Valence Bond Liquid Physics on the Triangular Lattice
[51] 논문 Fault-tolerant quantum computation by anyons
[52] 웹사이트 Topological Quantum Computation from non-abelian anyons http://rockpile.phys[...] University of Virginia 2012-12-24
[53] 논문 Spinons and triplons in spatially anisotropic frustrated antiferromagnets 2007
[54] 논문 Scaling Behavior of Heavy Fermion Metals 2010
[55] 논문 High-field phase diagram of the heavy-fermion metal YbRh2Si2 2006
[56] 문서 Projected wavefunction study of Spin-1/2 Heisenberg model on the Kagome lattice https://arxiv.org/ab[...] 2006
[57] 논문 Thermodynamic Properties of Kagome Lattice in ZnCu3(OH)6Cl2 Herbertsmithite 2011
[58] 논문 Spin-liquid ground state of the S=1/2 kagome Heisenberg antiferromagnet
[59] 논문 Nuclear antiferromagnetism in a registered 3He solid
[60] 웹사이트 "量子スピン液体」の神秘性 – 宇宙と物質のあいだにある不思議な対応関係とは" https://academist-cf[...] 2018-02-15
[61] 웹사이트 ハーバード大、「量子スピン液体」と呼ばれる物質の状態を観測 https://engineer.fab[...] 2022-02-12
[62] 뉴스 A Strange New Quantum State of Matter: Spin Liquids http://io9.com/58311[...] io9 2011-08-15
[63] 뉴스 A new spin on superconductivity? http://web.mit.edu/n[...] 2012-12-24
[64] 저널 Magnetic and non-magnetic phases of a quantum spin liquid 2011
[65] 문서 Spin Dynamics of the Spin-1/2 Kagome Lattice Antiferromagnet ZnCu_3(OH)_6Cl_2 https://arxiv.org/ab[...] 2006
[66] 문서 Projected wavefunction study of Spin-1/2 Heisenberg model on the Kagome lattice https://arxiv.org/ab[...] 2006
[67] 웹인용 New state of matter detected in a two-dimensional material http://phys.org/news[...] 2016-04-05
[68] 웹인용 Proximate Kitaev quantum spin liquid behaviour in a honeycomb magnet http://www.nature.co[...] 2016-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