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평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양평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여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여주군·양평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류래완, 여운홍, 천세기, 유용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평군의 정치 - 여주시·양평군
경기도 여주시와 양평군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인 여주시·양평군은 20대 총선을 앞두고 여주군·양평군·가평군 선거구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20대 총선부터 김선교 (국민의힘)이 당선되었다. - 양평군의 정치 - 양평군수 선거
양평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현재까지 양평군수를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로, 민병채, 한택수, 김선교 군수를 거쳐 정동균, 전진선 군수가 당선되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양평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양평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기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여주군·양평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양평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여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여주군·양평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wikitable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
선거 | 정당 | 의원 | |
---|---|---|---|
194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무소속 | 류래완 |
195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무소속 | 여운홍 |
1954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무소속 | 천세기 |
195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자유당 | 유용식 |
196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민주당 | 천세기 |
4. 역대 선거 결과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류래완 후보가 6,658표(20.3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양남환 후보는 4,842표(14.82%), 무소속 이장섭 후보는 3,943표(12.07%), 무소속 구필회 후보는 3,550표(10.87%), 무소속 방종천 후보는 3,027표(9.27%), 무소속 이준용 후보는 2,741표(8.39%), 무소속 이경 후보는 2,676표(8.19%), 무소속 장세환 후보는 2,171표(6.64%), 무소속 이중세 후보는 1,930표(5.91%), 무소속 정행진 후보는 1,114표(3.4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2,652표였다.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여운홍 후보가 당선되었다. 여운홍 후보는 5,868표(22.12%)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무소속 강대성 후보가 4,254표(16.04%), 대한국민당 양남환 후보가 3,954표(14.91%), 무소속 천세기 후보가 3,297표(12.43%)를 획득하였다. 이외에도 무소속 이중세(2,499표, 9.42%), 무소속 윤기학(2,377표, 8.96%), 대한국민당 구필회(2,024표, 7.63%), 대한국민당 권병연(1,340표, 5.05%), 무소속 오호영(906표, 3.41%) 후보 등이 출마했다. 무소속 윤강섭, 반병섭, 홍헌원, 이만종 후보와 대한국민당 류래완 후보는 득표수가 0이었다.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천세기 후보가 28.7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자유당 구필회 후보는 27.13%로 2위를 차지하였다. 무소속 이만종 후보는 17.93%, 무소속 여성구 후보는 17.62%를 득표하였다. 무소속 홍건원 후보는 8.52%를 득표하였다. 총 투표수는 31,795표였다.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5월 2일 실시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유용식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유용식 | 자유당 | 20,367 | 46.83 |
천세기 | 민주당 | 14,161 | 32.56 |
이철연 | 무소속 | 3,813 | 8.76 |
구필회 | 무소속 | 2,355 | 5.41 |
최형찬 | 무소속 | 2,012 | 4.62 |
강대성 | 무소속 | 778 | 1.78 |
합계 | 43,486 |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7월 29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천세기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천세기 | 민주당 | 17,136 | 43.64 |
이만종 | 무소속 | 10,125 | 25.78 |
유용식 | 자유당 | 9,050 | 23.04 |
최은성 | 사회대중당 | 1,119 | 2.84 |
이준용 | 무소속 | 951 | 2.42 |
박충홍 | 무소속 | 885 | 2.25 |
총 득표수 | 39,266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