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엉치가시인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엉치가시인대는 엉치뼈에 대한 엉덩뼈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인대이다. 엉치결절인대 뒤쪽으로 지나가며, 꼬리근을 덮는다. 큰궁둥패임과 작은궁둥패임에 붙어 각각 큰궁둥구멍과 작은궁둥구멍을 형성한다. 음부동맥, 음부정맥, 음부신경, 아래볼기동맥 등이 엉치가시인대 뒤로 지나간다. 엉치가시인대와 다른 골반 인대의 약화는 여성의 질탈출증이나 자궁탈출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엉치가시인대 고정술이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대 - 십자인대
    십자인대는 무릎, 목, 손가락, 발 등에서 X자 형태로 교차하는 인대로, 무릎의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는 정강이뼈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목의 환추 십자인대는 환추-축추 관절을 형성하며, 손가락에는 굴곡건 지지 십자인대와 도르래 시스템이 존재하고, 개에게는 십자인대 파열이 흔하게 발생한다.
  • 인대 - 앞목말종아리인대
    앞목말종아리인대는 가와무라 마사야 등이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해부학적 구조를 연구한 결과를 발표한 인대이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엉치가시인대
해부학 정보
종류인대
라틴어ligamentum sacrospinosum
영어sacrospinous ligament
시작점궁둥뼈가시
도착점엉치뼈
골반의 관절을 앞에서 본 그림. 큰궁둥구멍과 그 경계가 빨간색으로 표시됨.
골반의 관절을 앞에서 본 그림. 큰궁둥구멍과 그 경계가 빨간색으로 표시됨.

2. 구조

엉치결절인대는 엉치가시인대의 뒤쪽으로 지나간다. 엉치가시인대는 전체 길이에서 삼각형 모양의 꼬리뼈근을 덮고 있으며, 이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1]

2. 1. 엉치가시인대와 구멍

엉치결절인대는 엉치가시인대의 뒤쪽으로 지나간다. 전체 인대는 가까이에 있는 세모꼴의 꼬리근을 덮는다.[5] 큰궁둥패임에 인대가 붙으면서 큰궁둥구멍을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작은궁둥패임에 인대가 붙어 작은궁둥구멍이 된다.[6] 큰궁둥구멍은 엉치가시인대 위에, 작은궁둥구멍은 아래에 위치한다.

음부동맥, 음부정맥, 음부신경은 엉치가시인대 뒤로 지나가 궁둥뼈가시의 바로 아래안쪽으로 주행한다. 속엉덩동맥의 가지인 아래볼기동맥궁둥신경과 엉치가시인대 뒤로 지나간다. 아래볼기동맥의 꼬리가지는 엉치가시인대의 중간 부분 뒤로 지나가다 엉치결절인대를 여러 지점에서 관통한다. 꼬리가지가 갈라져 나가고 남은 아래볼기동맥의 본류는 엉치가시인대 위쪽 경계 뒤쪽에서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떠나며, 궁둥신경의 아래쪽 부분을 따라간다.[7]

2. 2. 엉치가시인대와 혈관 및 신경

큰궁둥패임에 인대가 붙으면서 큰궁둥구멍을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작은궁둥패임에 인대가 붙어 작은궁둥구멍이 된다.[6] 큰궁둥구멍은 엉치가시인대 위에, 작은궁둥구멍은 아래에 위치한다.

음부동맥, 음부정맥, 음부신경은 엉치가시인대 뒤로 지나가 궁둥뼈가시의 바로 아래안쪽으로 주행한다. 속엉덩동맥의 가지인 아래볼기동맥궁둥신경과 엉치가시인대 뒤로 지나간다. 아래볼기동맥의 꼬리가지는 엉치가시인대의 중간 부분 뒤로 지나가다 엉치결절인대를 여러 지점에서 관통한다. 꼬리가지가 갈라져 나가고 남은 아래볼기동맥의 본류는 엉치가시인대 위쪽 경계 뒤쪽에서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떠나며, 궁둥신경의 아래쪽 부분을 따라간다.[7]

3. 기능

큰궁둥패임에 인대가 붙으면서 큰궁둥구멍을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작은궁둥패임에 인대가 붙어 작은궁둥구멍이 된다.[6] 큰궁둥구멍은 엉치가시인대 위에, 작은궁둥구멍은 아래에 위치한다.

음부동맥, 음부정맥, 음부신경은 엉치가시인대 뒤로 지나가 궁둥뼈가시의 바로 아래안쪽으로 주행한다. 속엉덩동맥의 가지인 아래볼기동맥궁둥신경과 엉치가시인대 뒤로 지나간다. 아래볼기동맥의 꼬리가지는 엉치가시인대의 중간 부분 뒤로 지나가다 엉치결절인대를 여러 지점에서 관통한다. 꼬리가지가 갈라져 나가고 남은 아래볼기동맥의 본류는 엉치가시인대 위쪽 경계 뒤쪽에서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떠나며, 궁둥신경의 아래쪽 부분을 따라간다.[7]

엉치가시인대의 주요 기능은 엉치뼈에 대한 엉덩뼈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인대와 엉치결절인대가 느슨해지면 이러한 회전이 발생한다. 이 인대에 대한 부하는 앞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의자에서 일어날 때 자주 발생한다.

4. 임상적 중요성

다른 골반 인대와 지지 구조가 약해지면 여성에게 질탈출증이나 자궁탈출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한 가지 치료법은 엉치가시인대 고정술(sacrospinous fixation)이다. 이 수술에서는 의 끝부분을 엉치가시인대에 봉합하는데, 이를 통해 약해진 골반 인대 대신 더 견고하게 구조물들을 지지하여 이상적으로는 추가적인 탈출증을 예방할 수 있다.[8]

5. 추가 이미지

골반뼈 뒤쪽 그림.


골반의 관절. 뒤에서 본 그림.


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1918
[2] 서적 2004
[3] 논문 1999
[4] 논문 2004
[5] 서적 Gray's Anatomy 1918
[6] 서적 Color atlas and textbook of human anatomy : in three volumes https://www.worldcat[...] Thieme 2003
[7] 웹인용 Obstetrics & Gynecology https://journals.lww[...] 2022-02-17
[8] 서적 Female Urology, Urogynecology, and Voiding Dysfunc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4-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