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의 단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 단계는 에릭 에릭슨이 제시한 인간 발달 이론으로,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나타나는 8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와 각 단계에서 획득해야 할 덕목을 설명한다. 각 단계는 특정 연령대에 나타나며, 긍정적인 해결(성공)과 부정적인 해결(실패)의 가능성을 모두 포함한다. 1단계 신뢰감 대 불신감을 시작으로, 자율성, 주도성, 근면성, 정체성, 친밀감, 생산성, 자아 통합을 거쳐, 조안 에릭슨이 추가한 9단계에서는 신뢰, 자율성, 유능감, 정체성, 사랑, 돌봄, 지혜의 문제에 직면한다. 이 이론은 개인의 심리사회적 발달 과정을 설명하지만, 서구 중심적이고 단계의 순차성, 해결 과정의 모호성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리학 개념 - 실존적 위기
실존적 위기는 삶의 의미와 목적 상실에서 비롯되는 내적 갈등으로, 개인의 의미 추구와 무의미한 세상 사이의 모순으로 이해되며, 심리 치료뿐 아니라 조직의 존립 위협에도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해결 방안이 모색된다. - 심리학 개념 - 판단
판단은 사물이나 아이디어를 이해하기 위해 판단력을 사용하여 추론하는 행위이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단언과 정의에 대한 사고로, 기독교에서는 타인에 대한 판단에 대한 경고로,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는 최후의 심판이라는 개념으로 다룬다. - 단계 이론 -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을 네 단계로 나누고 '스키마', '동화', '조절' 개념을 통해 인지 발달 과정을 분석한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인식론자로서, 발달심리학, 교육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단계 이론 - 꿈의 해석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은 꿈을 억압된 욕망의 충족 시도로 보고 꿈의 내용이 왜곡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인간의 무의식을 탐구하는 정신분석학의 핵심 이론을 담은 저서이다. - 발달심리학 - 어린이
어린이는 생물학적, 법적, 사회적 정의에 따라 다양한 연령대로 정의되며,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거치며 놀이와 교육을 통해 성장하며, 아동 노동, 아동 학대, 기후 변화 등의 문제에 직면하여 사회적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 - 발달심리학 - 인지 발달
인지 발달은 인간의 정신적 능력이 성장하며 변화하고 발전하는 과정으로, 피아제, 에릭슨 등 다양한 학자들이 연구했으며,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등의 단계를 거치며 언어 습득, 뇌 발달, 문화적 영향 등 다양한 주제가 연구된다.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의 단계 | |
---|---|
개요 | |
이름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
원어 | Erikson's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영어) |
이론가 | 에릭 에릭슨 |
단계 | |
1단계 | 신뢰 vs 불신 (출생 ~ 18개월) |
2단계 | 자율성 vs 수치심 (18개월 ~ 3세) |
3단계 | 주도성 vs 죄책감 (3세 ~ 5세) |
4단계 | 근면성 vs 열등감 (5세 ~ 13세) |
5단계 | 정체성 vs 정체성 혼란 (13세 ~ 21세) |
6단계 | 친밀감 vs 고립감 (21세 ~ 39세) |
7단계 | 생산성 vs 침체감 (40세 ~ 65세) |
8단계 | 자아 통합 vs 절망감 (65세 이상) |
심리사회적 위기 | |
정의 | 발달 과제 또는 갈등 |
특징 | 각 단계마다 독특한 위기 존재 |
중요성 | 성공적인 해결은 건강한 발달로 이어짐 |
관련 개념 | |
발달 과업 | 각 단계에서 개인이 달성해야 할 목표 |
정체성 | 자아 인식 및 역할 정의 |
심리 치료 | 심리사회적 문제 해결에 적용 |
2. 발달 단계
에릭 H. 에릭슨이 제시한 발달 과제의 각 단계와 그 심리적 측면은 다음과 같다. 왼쪽은 성공, 오른쪽은 실패한 경우이다.
에릭슨의 경우, 반드시 성공만 칭찬받는 것은 아니며, 실패도 어느 정도 경험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양자를 통합한 것이 정상적인 성장에 기여한다. 또한, 전 단계의 발달 과제는 다음 단계의 발달 단계의 기초가 되므로, 에릭슨의 발달 과제로 이루어진 라이프 사이클은 피라미드형으로 잘 표현된다.
영아·유아의 구분은 3세 신화·3년 보육의 일반화로 인해, 3세가 구분이며 초등학교 입학은 6세이기도 하다. 아동기의 폭은 크고 저학년은 유아적인 면이 남아 있으며, 초등학교 3~5학년은 갱 에이지라고 하는 동료 의식을 기르는 연령이며, 스포츠에서는 골든 에이지라고 하여 가장 성장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또한 최근 아이들은 성장이 빠르고, 6학년은 사춘기에 접어들어 학급 담임제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청소년기는 십 대(teenager)이지만, 일본에서는 1년 앞당겨 중고등학생이라는 표현이 일반적이다. 성년기에는 결혼·출산 연령이 크게 좌우되며, 최근에는 만혼·미혼·딩크족(DINKs)이 늘어나면서 획일적이지 않게 되었다. 또한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전기 고령자(65~75세)는 건강해지고 있으며, 아직 사회에서 활약하고 싶어 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또한 웰다잉 붐이라고 하여, 죽음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진다는 생각이 나타났다.
2. 1. 제1단계: 신뢰감 대 불신감 (출생 ~ 1세)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의 첫 단계는 출생 후 약 1세까지 지속되며, '신뢰감 대 불신감' 단계로 불린다.[10][57] 이 시기 영아는 생존과 안락을 위해 전적으로 부모, 특히 어머니에게 의존하며, 기본적인 욕구 충족 여부에 따라 세상에 대한 신뢰감 혹은 불신감을 형성한다.[19][60]부모가 따뜻함, 안정감, 그리고 지속적인 애정을 제공하면 영아는 세상을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곳으로 인식하고, 희망이라는 덕목을 얻게 된다.[11][61] 반면, 부모가 불안정하거나 무관심한 양육 태도를 보이면 영아는 세상을 예측 불가능하고 위험한 곳으로 인식하여 불신감을 갖게 되며, 이는 좌절, 의심, 자신감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18][59]
에릭슨은 영아가 약간의 불신을 경험하는 것이 이후 삶에서 위험한 상황을 인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20] 그러나 장기간의 불신 경험은 아이의 적응력을 저해하고 세상을 조심스럽게 바라보게 만들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20][62] 이 단계에서 아이의 가장 중요한 욕구는 안정감, 편안함, 그리고 보호받는다는 느낌이다.[20][62]
이 시기에 형성되는 애착 유형은 존 보울비와 매리 애인스워스의 애착 이론과도 일치하며, 이후의 대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21][63] 영아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상을 신뢰할 수 있는 곳으로 인식하는지, 아니면 불안정하고 예측 불가능한 곳으로 인식하는지에 따라 이후의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기반이 형성된다.
2. 2. 제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 및 의심 (1세 ~ 3세)
2~4세에 해당하는 유아 전기는 의지력을 바탕으로 자율성 대 수치심 및 의혹을 배우는 시기이다.[54][55] 아이는 배설 기능과 운동 능력을 통제하는 능력을 배우면서 주위 환경을 탐색하기 시작한다.[57] 부모는 아이가 자신의 의지를 주장할 수 있는 안전 기지를 제공하며, 부모의 인내와 격려는 아이의 자율성 함양에 도움이 된다.[57] 이 시기의 아이들은 주변 세계를 탐험하며 환경에 대해 끊임없이 배우고, 처음으로 관심사를 갖게 된다.[57] 예를 들어, 음악을 좋아하는 아이는 라디오를 가지고 노는 것을 즐거워하고, 야외 활동을 좋아하는 아이는 동물과 식물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57]유아는 근육 조절과 운동성이 증가하면서 스스로 먹고, 씻고, 옷을 입고, 화장실을 사용하는 등 자기 욕구의 일부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57] 양육자가 자기충족적 행동을 격려하면 아이는 자율성 감각을 발달시키지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거나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과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하거나, 자기충족적인 초기 시도를 비웃으면 아이는 문제를 다루는 능력에 대한 수치심과 의심을 키울 수 있다.[57]
부모가 고도로 제한을 가하면 아이에게 의심과 새로운 도전을 꺼리는 감각을 심어줄 가능성이 높다.[57] 반대로 아이에게 너무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면 규칙이나 제한에 대한 관심이 적은 채로 성장할 수 있고, 너무 많은 통제를 가하면 아이는 더욱 반항적이고 충동적으로 자랄 수 있다.[4][57] 따라서, 유아가 자신에 대한 독립심과 자율성을 갖게 하는 것과 동시에, 스스로를 해치거나 다치지 않도록 돌보는 것 사이에서 세심한 균형이 필요하다.[57]
2. 3. 제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 (3세 ~ 6세)
3세에서 6세 사이의 유아들은 주도성 대 죄책감의 심리적 위기를 겪으며, 이 시기에 용기와 독립심이 발달한다.[20][62] 이 단계에서 아이들은 주도성을 배우고 리더십 역할을 준비하며, 목표를 달성하는 법을 배운다. 계획의 복잡성에 직면하고 판단력을 키우는 방법을 배우는 것 또한 이 시기의 중요한 과제이다.[20]아이들은 주변 세계를 익히고, 기본적인 기술과 물리 법칙을 배우며, 주변 사물에 대한 탐구를 한다.[57] 이들은 물체가 아래로 떨어지고 둥근 물체가 굴러간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퍼를 채우거나 끈을 묶고 수를 세고 말하는 법과 같은 생활에 필요한 여러가지 기술들을 배우게 된다.[57]
이 시기의 아이들은 혼자 길을 건너거나 헬멧 없이 자전거를 타는 등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통해 자기 한계를 시험하기도 한다.[20] 이러한 과정에서 아이들은 주도성을 발휘하여 스스로 과업을 달성하고 새로운 영역을 탐색하는 능력을 키운다. 그러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좌절감을 느끼고, 물건을 던지거나 때리고 소리치는 등의 부정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20]
이때 부모와 교사가 아이들의 노력을 격려하고 지지하며, 현실적이고 적절한 선택을 하도록 돕는다면 아이들은 활동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 필요한 주도성과 독립성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어른들이 아이들의 독립적인 활동을 억제하거나 비난하면,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와 욕망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23][64]
에릭슨은 실패도 어느 정도 경험할 필요가 있으며, 성공과 실패 양자를 통합한 경험이 정상적인 성장에 기여한다고 보았다. 또한, 이전 단계의 발달 과제는 다음 단계의 발달 단계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에릭슨의 발달 과제로 이루어진 라이프 사이클은 피라미드형으로 잘 표현된다고 하였다.
2. 4. 제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 (6세 ~ 12세)
이 단계에서 아이는 한 개체로서 자기 자신을 더 잘 알게 되며, 책임감을 갖고 선해지고 올바로 하고자 노력한다. 공유하고 협동하는 것에 있어 더 합리적인 태도를 보인다.[66] 아이들은 공간 감각과 시간 감각을 더 논리적이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파악하며, 원인과 효과를 더 잘 이해하고, 읽기, 쓰기, 시간 말하기 등 더 복잡한 기술을 배우고 달성하고자 한다.[66] 또한 도덕가치를 형성하고 문화적 개인적 차이를 인지하며, 개인적인 욕구와 최소한의 도움으로 옷매무새 다지기를 다룰 수 있다.[66] 이 단계에서 아이들은 말대답하거나 말을 안 듣거나 반항하는 법을 통하여 독립성을 표현할 수도 있다.에릭 에릭슨은 초등학생 시기를 자신감 발달에 중요하다고 보았다. 초등학교는 그림 그리기, 덧셈 문제 풀기, 문장 쓰기 등 무언가를 생산하는 방식을 통하여 교사, 부모, 또래에게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67] 아이가 무언가를 만들고 행하도록 격려받으면, 아이들은 일이 끝날 때까지 공력을 들여 부지런히 꾸준히 하고 일시적 유흥보다 일을 우선시하는 식으로 근면성을 보인다.[67] 반대로 만약 아이들이 노력에 대해 비웃음 사거나 처벌받는다면, 혹은 교사와 부모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이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열등감을 발달시킨다.[67]
또한 아이들은 주변의 타인과의 관계를 맺기 시작하며, 사회성 배양은 이 단계에서 특히 중요하다. 학령기 아동은 자신과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더 혹은 덜 느끼게 되며, 자신만의 사교집단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아이의 '집단'에 의존함으로써 아이들은 자신감을 더 혹은 덜 갖게 된다.
이 연령에서 아이들은 특별한 재능을 깨닫기 시작하고 교육 수준이 올라가면서 흥미를 계속 발견해 나간다. 그 흥미를 추구하기 위하여 더 많은 활동을 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운동 능력이 있다는 걸 알면 스포츠에 참여하거나 음악을 잘 한다는 것을 알면 밴드에 들어간다. 자기 시간에 재능을 발견하도록 허락되지 못한다면, 아이들은 동기 부족, 낮은 자부심, 무기력감을 발달시킨다. 흥미를 개발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으면 소파에 앉아 감자칩을 먹으며 TV만 보는 사람이 된다.
2. 5. 제5단계: 정체성 대 역할 혼미 (12세 ~ 19세)
청소년기에는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이 될 수 있는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에 직면한다.[57][10] 이 시기 청소년은 타인에게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 새롭게 고민하며, 미래에 대한 전망과 스스로에 대한 인식이 일치하는 '초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한다.[57] 학교나 직업 정체성에 정착하는 능력은 즐거움을 주며, 청소년기 후반에는 성 정체성 감각이 발달한다.[68]청소년은 아동기에서 성년기로 넘어가면서 사회에서 수행할 역할에 대해 고민하며, 초기에는 역할 혼란을 경험하고 다양한 활동을 시도한다.[68] 예를 들어 자동차 수리, 이웃 아기 돌보기, 특정 정치/종교 집단 가입 등의 행동을 보인다.[68] 에릭슨은 결국 대부분의 청소년이 자아 정체성을 확립한다고 보았다.[68]
청소년은 직업, 성 역할, 정치, 종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며, 이는 세상에 기여할 방법을 찾는 과정과 연결된다.[26] 에릭슨은 정체성 위기라는 용어를 고안했는데, 이는 자아감 발달의 중요한 단계로, 신체적 자아, 인격, 잠재적 역할, 직업의 통합을 포함하며 문화와 역사적 추세에 영향을 받는다.[71][29][27]
아동기에서 성년기로의 전환은 '이전의 자신'과 '사회가 기대하는 자신' 사이의 조정을 필요로 하며, 미래에 대한 예측과 과거 경험을 통합하여 새로운 자아감을 형성한다.[70][28] 이 단계는 이전 단계의 종합이자 이후 단계의 예측으로,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 변화, 개인적/타인의 의지 탐색 능력,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 등이 특징이다.[71][29]
청소년은 개인 바운더리를 재확립하려는 욕구에 직면하며,[72][30] 이는 특정 역할에 대한 헌신을 요구받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사회는 청소년에게 '자신을 찾을' 시간을 허용하며, 이를 '모라토리움(the moratorium)'이라고 한다.[72] 역할 혼란은 헌신에 대한 꺼림칙함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충분한 시간과 자유로운 탐색을 통해 굳건한 정체성, 즉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깊은 인식이 형성될 수 있다.[72][30]
개인의 이데올로기는 스스로 선택되며, 이는 종종 종교적/정치적 성향에서 어른들과의 대립을 야기한다. 직업 선택 또한 중요한 결정 영역이며, 사회의 지나친 요구는 청소년의 실험과 자아 탐색을 억압할 수 있다. 에릭슨은 '나는 무엇을 가지고 있나?'와 '그것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두 관점의 균형을 통해 정체성이 확립된다고 보았다.[71][29]
이 단계에 의존하는 자아의 질은 충실(fidelity)이며, 이는 가치 체계의 모순과 혼란에도 불구하고 자유롭게 맹세한 충성을 유지하는 능력이다.[72][30] 청소년기는 성년기가 시작되면서 끝나며, 다음 단계인 친밀(Intimacy)은 결혼을 특징으로 한다. 제5단계는 보통 20년 안에 완료되지만, 정체성 확립에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연령 범위는 유동적이다.[73] 에릭슨은 천재의 정체성 위기는 늦춰지는 경향이 있으며, 산업 사회에서는 기술 습득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정체성 형성 기간이 길어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자아를 찾는 정확한 기한은 없으며, 대략 20대에 끝난다고 본다.[71][29]
2. 6. 제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20세 ~ 40세)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 단계 중 여섯 번째 단계인 친밀감 대 고립감은 20세에서 40세 사이에 나타나며, "나는 사랑할 수 있는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을 던진다.[57][10] 이 시기에는 이전 단계인 정체성 대 역할 혼란이 끝나가지만, 여전히 친밀감 형성의 기반에 영향을 미친다.[74][47]젊은 성인들은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융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74][47] 이 단계는 낭만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의 강력한 유대 형성을 포함한다.[22] 에릭슨은 친밀감과 고립감이 함께 발생하며, 특히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고립감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외부인이 친밀한 관계에 침투할 경우 거리두기(distantiation)가 발생하여 고립 및 파괴 욕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74][47]
정체성이 확립된 후, 개인은 타인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맺을 준비를 한다. 친밀하고 상호적인 관계(예: 친밀한 우정, 결혼)를 형성하고, 관계에 필요한 희생과 타협을 감수한다.[75][32] 정체성 발달이 더 진전된 사람들은 친밀감 형성에서 더 큰 성공을 거두는 경향이 있다.[75][32] 반면, 친밀한 관계 형성에 실패하면 고립감, 어둠, 불안의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
에릭슨은 프로이트의 정신 성적 발달 이론과 달리, 성적 만족보다는 깊은 사회적 유대, 즉 친밀함의 가치를 강조한다.[33] 그는 사회적으로 친밀한 관계 내에서 성관계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두 사람 사이에 공유될 수 있는 깊은 유대감에 더 큰 의미를 부여했다.[33]
2. 7. 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성 (40세 ~ 65세)
에릭 에릭슨에 따르면,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tagnation)은 심리사회 발달의 일곱 번째 단계이다.[57] 이 시기의 존재론적 질문은 "나는 내 삶을 하루하루 소중하게 여길 수 있는가?"이다.[57] 생산성이란 다음 세대를 이끌어 나가는 것에 대한 관심으로, 사회적으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일들과 교육을 통해 표현된다.[76]중년(40세~65세)의 주요 발달 과업은 사회에 공헌하고 미래 세대를 이끌어가는 것을 돕는 것이다.[77] 가족 부양이나 사회 개선을 위한 노력을 통해 생산성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반면, 자기중심적이고 사회에 기여하지 못하면 침체감과 불만족을 느낄 수 있다.[77] 이 단계의 사람들은 인생의 마지막에 가까워지면서 후손과 지역 사회에 무엇을 남길 것인가를 고려하며, 이와 관련된 미덕은 돌봄이다. 반대로, 부적응적 미덕은 거부이다.
에릭슨은 생산성이 다른 사람들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어른들은 아이들을 필요로 하며, 아이들에게 쏟는 노력은 어른이 더 성숙해지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어른이 청소년에게 생산적일 때, 아이들이 자라서 호의를 갚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년기의 핵심 과제는 다음과 같다:[77]
- 성적인 관계 이상으로 사랑을 표현한다.
- 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한다.
- 배우자와의 일체감을 형성한다.
- 성장하는 아이들과 다 자란 아이들이 책임감 있는 어른이 되도록 돕는다.
- 다 자란 아이들의 삶에서 중심 역할을 포기한다.
- 아이들의 배우자와 친구를 받아들인다.
- 편안한 가정을 만든다.
- 자신과 배우자의 성취를 자랑스러워한다.
- 늙어가는 부모와 역할을 바꾼다.
- 성숙하고 시민적이며 사회적 책임을 달성한다.
- 중년기의 신체적 변화에 적응한다.
- 여가 시간을 창의적으로 활용한다.
에릭슨은 각 발달 단계에서 성공뿐 아니라 실패의 경험도 중요하다고 보았다. 양자를 통합한 것이 정상적인 성장에 기여하며, 이전 단계의 발달 과제는 다음 단계의 기초가 된다.
2. 8. 제8단계: 통합성 대 절망감 (65세 이상)
사람이 나이가 들어 노인이 되면서, 창의성은 떨어지고 은퇴한 사람으로서 삶을 탐색한다. 여가 활동과 가족의 돌봄, 경력에 있어 매일 특정한 의무 없이 살아가는 것으로 삶을 맞춰나가는 것은 은퇴자의 삶에 있어 중요하다.[79] 노화와 은퇴는 에릭슨 모델 이전 단계에서 보인 양극적 긴장(bipolar tensions)을 다시 재현하는데, 이는 이전 삶의 단계에서 보인 여러 측면들이 노화와 은퇴가 시작되면서 재활성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80] 이 단계에서의 발전 역시 삶의 만족, 활동적인 활동의 유지,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는 인식을 발달시키는 것에 관하여 재평가를 할 수 있는 시기를 포함한다.[81] 발달 갈등이 이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이전 단계에서의 심리적 성장은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82]이 시기에 사람들은 자신의 업적을 돌아보고 자신이 어떤 사람이었는지를 평가한다. 스스로 성공적인 삶을 이끌어 왔다고 평가하면 자아 통합(ego integrity)을 발달시킬 수 있다. 통합을 발달시킨 사람들은 삶이 의미가 있다고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보통 만족을 느끼고 자기와 타인을 수용한다. 삶의 마지막에 이르면서 이들은 죽음에 대해 평온해진다.[83] 이들이 만약 자신의 삶에 아무 것도 한 것이 없거나(unproductive)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고 느낀다면, 이들은 삶에 불만을 갖게 되고 절망(despair)을 느끼게 된다. 이는 우울과 무기력의 느낌을 가져올 수 있다.[84] 또한 삶은 불공평하고 죽음이 두렵다고 느낄 수 있다.
이 시기에는 많은 것에서의 흥미를 다시 새롭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사람들이 자율적이 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인다. 심신이 악화되기에 균형을 찾으려 한다. 자율성에 집착하여 모든 것에 있어 타인에 의존할 필요가 없도록 할 것이다.[84] 에릭슨은 이 시기가 다른 연령대의 타인과 관계를 유지해서 통합을 발달시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85]
마지막 발달 과업은 회고이다. 자신의 삶과 달성을 되돌아보게 된다. 이야기 치료(narrative therapy)와 같은 훈련은 과거에 관한 마음을 재해석하고 삶의 더 밝은 부분을 주목하게 하는데 있어 도움을 준다.[86] 이들은 행복하고 생산적인 삶을 이끌어왔다고 생각한다면 만족과 통합을 느낄 것이다. 실망과 목표 달성 실패의 삶을 돌아보면 절망감을 발달시킬 것이다.
시한부 진단을 받는 등 임종에 가까워졌다고 생각하면, 이 단계는 순서를 뛰어넘어 나타날 수 있다.[87] 자신의 관점을 바꾸거나 지지하면 자아 통합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33]
에릭슨은 이 발달 단계를 첫 번째 단계인 신뢰 대 불신과 연결시키며, 자신의 정직성은 다른 사람의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인생의 마지막에 있는 사람이 죽음을 두려워하면, 그것은 아이들이 삶을 두려워하게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성인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면, 그것은 아이들이 앞으로의 삶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강화할 수 있다.[33]
3. 제9단계 (조안 에릭슨)
조안 에릭슨(Joan Erikson)은 에릭 에릭슨의 배우자이자 함께 연구한 인물로,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에서 제9단계를 추가하였다.[88] 조안은 8, 90대 노인이 새로운 욕구, 재평가, 일상의 곤경을 맞이하게 되며, 이러한 새로운 도전들을 다루기 위해 제9단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89] 조안이 제9단계를 서술할 당시 에릭슨은 93세였다.[89]
조안 에릭슨은 제9단계에서 모든 여덟 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가 관계를 맺고 재반복되지만, 그 순서는 역순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90] 예를 들어 제1단계(영아)의 '신뢰 대 불신' 위기에서 신뢰는 '동조적인 몫', 불신은 '비협조적인 몫'이다.[91] 조안은 제9단계에서 이러한 심리사회적 위기를 다음과 같이 적용했다.
- 기본적 불신 대 신뢰: 희망: 제9단계의 노인은 몸이 약해져 자신의 능력을 불신하게 되지만, "밝은 빛과 계시로 인해, 빛이 있는 한 희망이 있다"고 보았다.[92]
- 수치심 및 의심 대 자율성: 의지: 제9단계의 노인은 "통제 상실의 수치심"을 느끼고 "신체에 대한 자율성"을 의심하며, "수치심과 의심은 사그러드는 자율성에 도전한다".[93]
- 열등감 대 근면성: 유능: 제9단계에서 "추동력"으로서의 근면은 사라지고, 나이로 인해 무능해진 노인은 스스로를 하찮게 여기며 "나이 많은 불행한 작은 어린 아이 같은" 상태가 된다.[94]
- 정체성 혼란 대 정체성: 충실: 제9단계의 노인은 "존재론적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지위와 역할에 대한 실질적인 불확실성"을 경험한다.[95]
- 고립 대 친밀성: 사랑: 제9단계에서 "친밀감과 사랑의 시기"는 "고립과 박탈"로 대체될 수 있으며, 관계는 "새롭게 나타난 자신의 무능과 타인에의 의존에 의해 무색해지게" 된다.[96]
- 침체 대 생식성: 돌봄: 제7단계의 "직장 및 가족 관계"에서의 생식성은 만족스럽게 지나가면 "살아가기 멋진 시간"이 되지만, 8, 90대에는 생식성이나 타인을 돌볼 에너지가 줄어들어 "침체되었다는 인식이 장악할지도 모른다."[97]
- 절망 및 혐오 대 통합성: 지혜: 통합성은 "노인이 되었다는 것에 대한 심각한 요구"를 부여하며, 지혜는 제9단계 노인들이 "흔히 가지고 있지 않은" 능력을 요구한다. 제8단계는 "어느 정도의 혐오와 절망"을 야기할 수 있는 회상이 수반되지만, 제9단계에서 자기성찰은 "능력 상실과 붕괴"에 대한 관심으로 대체된다.[98]
조안 에릭슨은 제9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가 제1단계에서 '기본적 신뢰'를 통해 충족되는 것처럼 충족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였다.[98]
4. 비판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에 대한 주요 비판 중 하나는 이 이론이 주로 유럽 또는 미국의 남성의 발달을 설명한다는 것이다.[50] 에릭슨의 이론은 그의 단계가 순차적으로 간주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그가 제시한 연령대 내에서만 발생하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사람들은 청소년기에만 정체성을 찾는지, 아니면 다른 단계를 완료하기 전에 한 단계가 먼저 발생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51] 그러나 에릭슨은 이러한 각 과정이 평생 동안 어떤 형태로든 발생한다고 말하며, 이러한 "단계"는 갈등이 가장 두드러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강조한다고 말한다.[52]
에릭슨에 대한 대부분의 실증적 연구는 청소년에 대한 그의 관점과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시도와 관련이 있다. 그의 이론적 접근 방식은 특히 청소년기에 관해 제임스 E. 마르시아에 의해 연구되고 지지받았다.[53] 마르시아의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정체성을 구별했으며, 청소년기에 가장 일관된 자아 개념을 형성하는 사람들이 초기 성인기에 가장 친밀한 애착을 형성할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가 있다.
에릭슨은 각 단계의 발달을 개인의 삶의 어느 순간에나 존재할 수 있는 특정한 긴장의 존재로 돌렸다. 이것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에 대한 또 다른 비판을 야기한다. 에릭슨은 이러한 발달 단계가 무엇 때문에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각 단계에서 사람이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대한 경험에 대해 언급된 정보가 거의 없다. 각 이론의 원인에 대한 모호한 세부 사항이 있는 것처럼, 다음 단계로 들어가기 위해 갈등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단계를 설명하지 않는다.[4]
5.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6. 결론
참조
[1]
뉴스
Joan Erikson Is Dead at 95; Shaped Thought on Life Cycles
https://www.nytimes.[...]
1997-08-08
[2]
간행물
Childhood and of the Society. Erik H. Erikson. New York: Norton, 1950. 397 pp. $4.00
1951-03-02
[3]
간행물
A proposed model of psychodynamic psychotherapy linked to Erik Erikson's eight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2017-09-01
[4]
웹사이트
Erikson's Theory of Psychosocial Development
https://osf.io/zf35d
Center for Open Science
2017-04-24
[5]
웹사이트
Erik Erikson's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Explained
https://psyarxiv.com[...]
2017-04-23
[6]
간행물
Eriksons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1
[7]
서적
Theories of Development: Concepts and Applications
Pearson Education, Inc.
[8]
간행물
Adventures in Identity Development: The Impact of Adventure Recreation on Adolescent Identity Development
http://www.seereduca[...]
[9]
웹사이트
Erik Erikson
https://webspace.shi[...]
Shippensbu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20-12-08
[10]
서적
MCAT Behavioral Science Review
Kaplan Publishing
2014
[11]
간행물
A Review of Measures of Erikson's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Evidence for a General Factor
2017-03-01
[12]
문서
"Human development: a psychological, biolog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life span"
[13]
문서
"Human development: a psychological, biolog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life span"
[14]
문서
"Human development: a psychological, biolog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life span"
[15]
문서
"Intergenerational Programs: Imperatives, Strategies, Impacts, Trends"
[16]
문서
"Intergenerational Programs: Imperatives, Strategies, Impacts, Trends"
[17]
문서
"Intergenerational Programs: Imperatives, Strategies, Impacts, Trends"
[18]
웹사이트
Erik Erikson
http://www.muskingum[...]
Muskingum University
1997-05
[19]
간행물
Infants Learn What They Want to Learn: Responding to Infant Pointing Leads to Superior Learning
2014-10-07
[20]
서적
The Developing Child
Pearson
2009-03
[21]
웹사이트
Erik Erikson's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https://www.simplyps[...]
2024-01-25
[22]
웹사이트
Erik Erikson's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https://www.forbes.c[...]
2023-02-27
[23]
문서
Axia College Materials
2010
[24]
웹사이트
Erik Erikson's Stages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
https://childdevelop[...]
Child Development Institute
2024-04-15
[25]
서적
Developmental Profiles Pre-Birth Through Twelve
Thomson Delmar Learning
[26]
웹사이트
Adolescent Socialization
https://www.coursesi[...]
2024-04-15
[27]
간행물
Autobiographic Notes on the Identity Crisis
1970-Fall
[28]
서적
Erikson: Identity and Religion
https://archive.org/[...]
Seabury Press
[29]
서적
Introducing Erik Erikson: An Invitation to his Thinking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0]
서적
Erik Erikson: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31]
간행물
Reflections on the Dissent of Contemporary Youth
1970
[32]
간행물
Erikson stage resolu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ntimacy
1980-04
[33]
서적
Childhood and Society
W. W. Norton
[34]
간행물
Generativity versus stagnation: An elaboration of erikson's adult stage of human development
[35]
웹사이트
Early and Middle Adulthood
https://www.colleges[...]
2024-04-15
[36]
웹사이트
Psychosocial Development in Late Adulthood {{!}} Lifespan Development
https://www.coursehe[...]
2020-12-07
[37]
논문
Adjustment to Retirement: Integrity or Despair
1975-04
[38]
논문
Commentary on Retirement, Identity, and Erikson's Developmental Stage Model
2009-12
[39]
논문
A Salutogenic Analysis of Developmental Tasks and Ego Integrity vs. Despair
2011
[40]
논문
The Prediction of Ego Integrity in Older Persons
1996
[41]
논문
From Despair to Integrity: Using Narrative Therapy for Older Individuals in Erikson's Last Stage of Identity Development
2017-12
[42]
논문
Applying Erikson's Wisdom to Self-Management Practices of Older Adults: Findings From Two Field Studies
null
2014-03-30
[43]
Review
Vital Involvement in Old Age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 Helen Q. Kivnick New York: Norton (1986) 352pp $20.95 paperback
1995-12
[44]
논문
Developmental tasks of terminally ill patients
1981-09-01
[45]
문서
Erik Erikson
Praeger
2007
[46]
서적
Adult Personality Development
https://archive.org/[...]
Sage Publications, Inc.
[47]
서적
Childhood and Societ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48]
간행물
Freud Developmental Theory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
[49]
서적
Human development: A life-span view
Thomson/Wadsworth
[50]
서적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51]
서적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9-25
[52]
논문
The problem of ego identity
http://www.pep-web.o[...]
2012-01-28
[53]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 identity status
http://www.garfield.[...]
2012-01-28
[54]
웹사이트
http://web.cortland.[...]
[55]
웹사이트
PSY 345 Lecture Notes - Ego Psychologists, Erik Erikson
http://www.psycholog[...]
2009-08-11
[56]
웹사이트
http://web.cortland.[...]
[57]
웹인용
PSY 345 Lecture Notes - Ego Psychologists, Erik Erikson
http://www.psycholog[...]
null
2009-08-11
[58]
서적
MCAT Behavioral Science Review
Kaplan Publishing
2014
[59]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muskingum[...]
2012-04-16
[60]
논문
Infants Learn What They Want to Learn: Responding to Infant Pointing Leads to Superior Learning
2014-10-07
[61]
논문
A Review of Measures of Erikson's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Evidence for a General Factor
https://doi.org/10.1[...]
2017-03-01
[62]
서적
The Developing Child
Pearson
2009-03
[63]
웹인용
Erik Erikson's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 Simply Psychology
https://www.simplyps[...]
2021-03-17
[64]
문서
Axia College Materials
2010
[65]
웹인용
Stages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 – Erik Erikson
http://childdevelopm[...]
Child Development Institute
2015-05-08
[66]
서적
Developmental Profiles Pre-Birth Through Twelve
https://archive.org/[...]
Thomson Delmar Learning
[67]
서적
Theories of Development: Concepts and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Pearson Education, Inc.
[68]
웹인용
Adolescent Socialization {{!}} Introduction to Sociology
https://courses.lume[...]
2022-05-05
[69]
논문
Autobiographic Notes on the Identity Crisis
https://www.jstor.or[...]
1970
[70]
서적
Erikson: Identity and Religion
https://archive.org/[...]
Seabury Press
[71]
서적
Introducing Erik Erikson: An Invitation to his Thinking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America
[72]
서적
Erik Erikson: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73]
저널
Reflections on the Dissent of Contemporary Youth
https://www.jstor.or[...]
1970
[74]
서적
Childhood and Societ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75]
저널
Erikson stage resolu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ntimacy
http://dx.doi.org/10[...]
1980
[76]
간행물
Generativity versus stagnation: An elaboration of erikson's adult stage of human development
[77]
웹인용
Early and Middle Adulthood {{!}} Boundless Psychology
https://courses.lume[...]
2020-12-08
[78]
웹인용
Psychosocial Development in Late Adulthood {{!}} Lifespan Development
https://courses.lume[...]
2020-12-07
[79]
저널
Adjustment to Retirement: Integrity or Despair
http://dx.doi.org/10[...]
1975
[80]
저널
Commentary on Retirement, Identity, and Erikson's Developmental Stage Model
http://dx.doi.org/10[...]
2009
[81]
저널
A Salutogenic Analysis of Developmental Tasks and Ego Integrity vs. Despair
http://dx.doi.org/10[...]
2011
[82]
저널
The Prediction of Ego Integrity in Older Persons
http://dx.doi.org/10[...]
1996
[83]
저널
From Despair to Integrity: Using Narrative Therapy for Older Individuals in Erikson's Last Stage of Identity Development
http://link.springer[...]
2017-12
[84]
저널
Applying Erikson's Wisdom to Self-Management Practices of Older Adults: Findings From Two Field Studies
2014-03-30
[85]
저널
Vital Involvement in Old Age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 Helen Q. Kivnick New York: Norton (1986) 352pp $20.95 paperback
http://dx.doi.org/10[...]
1995-12
[86]
저널
From Despair to Integrity: Using Narrative Therapy for Older Individuals in Erikson's Last Stage of Identity Development
http://dx.doi.org/10[...]
2016-08-17
[87]
저널
Developmental tasks of terminally ill patients
https://doi.org/10.1[...]
1981-09-01
[88]
서적
The Life Cycle Completed
W. W. Norton & Company
[89]
문서
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 W. Norton, 1998), 4, 105.
[90]
문서
James Mooney, "Erik Erikson" in Joe L. Kincheloe, Raymond A. Horn, editors, ''The Praeger Handbook of Education and Psychology, Volume 1'' (Praeger, 2007), 78.
[91]
문서
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 W. Norton, 1998), 106.
[92]
문서
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 W. Norton, 1998), 106–107.
[93]
문서
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 W. Norton, 1998), 107–108.
[94]
문서
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 W. Norton, 1998), 109.
[95]
문서
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 W. Norton, 1998), 109–110.
[96]
문서
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 W. Norton, 1998), 110–111.
[97]
문서
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 W. Norton, 1998), 111–112.
[98]
문서
Erik H. Erikson, Joan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 W. Norton, 1998), 112–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