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이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닷은 SK텔레콤에서 개발한 인공지능(AI) 서비스로, 2022년 안드로이드 및 iOS 운영체제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여 2023년 정식 출시되었다. 주요 기능으로는 통화 녹음 및 요약, 멀티 LLM 에이전트, 다양한 부가 기능 등을 제공한다. 통화 녹음 내용을 분석하여 대화 내용을 요약하고, 여러 LLM 모델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하지만, mVoIP 기술의 한계로 통화 품질 문제와 통화 기록 오류 등의 문제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매 - 온라인 쇼핑
    온라인 쇼핑은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로, 24시간 이용 가능하고 상품 선택의 폭이 넓지만, 상품을 직접 확인할 수 없고 사기 위험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 소매 - 쇼핑
    쇼핑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로, 역사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소비자와 판매자가 참여하여 경제적, 사회문화적 역할을 수행하고 가격 결정 및 협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 챗봇 - 가상 비서
    가상 비서는 음성 또는 텍스트 입력을 해석하여 정보 제공, 일정 관리, 기기 제어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로서, 시리, 알렉사, 구글 어시스턴트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기반 가상 비서의 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지만 개인 정보 보호와 같은 과제도 존재한다.
  • 챗봇 - 챗GPT
    챗GPT는 오픈AI가 개발한 GPT-3.5 기반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인간과 유사한 텍스트 생성, 코드 생성, 보고서 작성, 번역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편향된 정보 생성, 데이터 유출, 윤리 및 저작권 문제 등의 논란도 있으며, 유료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지속적인 모델 개발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 가상 비서 -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어시스턴트는 2016년 구글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음성 비서 서비스로, 양방향 대화 지원, 다양한 기기 및 플랫폼 확장성, 인터넷 검색, 일정 관리, 홈 오토메이션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가상 비서 - 제미니 (챗봇)
    구글이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제미니는 챗GPT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LaMDA에서 PaLM 2를 거쳐 자체 개발한 제미니 모델로 업그레이드되었고, 현재 구글 서비스와 통합되어 정보를 제공하지만 편향성 논란도 있다.
에이닷

2. 역사

2022년 5월 16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1] 2022년 6월 22일에는 iOS 운영체제에서도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2][3]

2022년 7월 27일, 에이닷은 TV 및 게임 서비스를 업데이트했다.[4] 2022년 11월 11일에는 AI 사진 편집 기능 및 루틴 기능이 업데이트되었다.[5]

2023년 9월 26일, 에이닷은 오픈 베타 서비스를 종료하고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 1. 출시

에이닷은 2022년 5월 16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1] 2022년 6월 22일에는 iOS 운영체제에서도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2][3] 2023년 9월 26일, 에이닷은 오픈 베타 서비스를 종료하고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 2. 주요 업데이트

에이닷은 2022년 7월 27일에 TV 및 게임 서비스를 업데이트했다.[4] 2022년 11월 11일에는 AI 사진 편집 기능 및 루틴 기능이 업데이트되었다.[5]

3. 서비스

3. 1. 통화녹음 및 요약

에이닷은 통화 녹음 내용을 분석하여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을 자동으로 정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6] AI가 통화 핵심 내용을 요약하고 제목을 추천하며, 키워드를 추출한다. 통화 내용에 언급된 일정이나 전화번호는 별도로 요약하여 캘린더에 입력할 수 있도록 돕는다.[7]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면 통화 녹음이 자동으로 분석되며, STT(Speech-To-Text) 기술이 적용된다. 또한, 통화 내용에 기반한 Task 추천 기능과 과거 통화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 **

문제점T전화와 통화 기록이 분리되어 저장되며, 전화 수신 및 부재중 전화 기록이 누락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mVoIP 기술의 한계로 보인다.[8] mVoIP 기술의 한계로 전화 끊김과 통화 누락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9] 또한, 통화요약 서비스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통화 이력, 통화 녹음, 통화 요약 데이터가 강제로 삭제된다.

3. 1. 1. 문제점

T전화와 통화 기록이 분리되어 저장되며, 전화 수신/부재중 전화 기록이 누락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mVoIP 기술의 한계로 보인다. 또한, 통화요약 서비스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통화 이력, 통화 녹음, 통화 요약 데이터가 강제로 삭제된다.

3. 2. 멀티 LLM 에이전트

Perplexity, ChatGPT, Claude, A.X 등 7종의 글로벌 LLM을 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엔진을 선택하여 답변을 받을 수 있고, 같은 질문에 대해 다른 모델로부터 답을 받아 비교할 수 있다. 기존에는 각각의 LLM을 중복 결제하거나 여러 서비스를 오가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에이닷을 통해 한 번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매일 새롭게 충전되는 포인트를 통해 한시적으로 무료로 제공된다.

에이닷에서 지원하는 LLM 모델은 퍼플렉시티, A.X, 챗GPT 3.5 터보, 챗GPT 4o, 클로드 하이쿠, 클로드 오퍼스, 클로드 소네트 등이다.

특히 에이닷을 통해 처음 선보이는 퍼플렉시티의 경우 한국어 특화 AI 검색을 개발하고 있어, 보다 고도화된 AI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X는 SK텔레콤에서 자체 개발한 AI로, 한국어에 특히 강한 성능을 자랑한다.

GPT는 3.5 모델과 4o 모델을 제공하며, 고급 모델일수록 속도는 느리지만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며 복잡한 질문일수록 고성능 모델이 유리하다.

Claude는 세 가지 모델을 제공하는데, 경량화된 Haiku 모델, 중간 성능의 Sonnet 모델, 고성능의 Opus 모델이 있다. 간단한 질문은 경량화 모델로도 충분한 답변을 받을 수 있으니, 질문의 난이도에 따라 적절한 모델을 선택 가능하다.

Perplexity는 질문에서 키워드를 추출해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학습하여 답변을 제공한다. 또한, Perplexity는 출처 정보와 이미지를 함께 보여주기 때문에 과제나 발표 자료를 만들 때 매우 유용하며, 한국어 특화 AI 검색을 개발하고 있다.

3. 2. 1. 지원 LLM 모델

A.X는 SKT에서 자체 개발한 AI로, 한국어에 특히 강한 성능을 자랑한다.

GPT는 3.5 모델과 4o 모델을 제공하며, 고급 모델일수록 속도는 느리지만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며 복잡한 질문일수록 고성능 모델이 유리하다.

Claude는 세 가지 모델을 제공하는데, 경량화된 Haiku 모델, 중간 성능의 Sonnet 모델, 고성능의 Opus 모델이 있다. 간단한 질문은 경량화 모델로도 충분한 답변을 받을 수 있으니, 질문의 난이도에 따라 적절한 모델을 선택 가능하다.

Perplexity는 질문에서 키워드를 추출해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학습하여 답변을 제공한다. 또한, Perplexity는 출처 정보와 이미지를 함께 보여주기 때문에 과제나 발표 자료를 만들 때 매우 유용하며, 한국어 특화 AI 검색을 개발하고 있다.

3. 3. 기타 기능

에이닷은 프렌즈[10][11], 캐릭터, 음악 (FLO 연동), 포토[12], AI 모션 프로필[13], 게임[14], 튜터[15][16]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3. 4. 부가 기능

에이닷은 팟캐스트, 라디오, 뉴스, 날씨, 증권, 알람, 프로야구, 지식백과, 어학사전, 운세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4. 논란

4. 1. mVoIP 통화 품질 문제

참조

[1] 뉴스 SKT, 고객과 함께 키우는 성장형 AI 서비스 A.(에이닷) 공개 https://www.boannews[...]
[2] 뉴스 SKT AI 음성인식 비서 '에이닷' iOS 버전 출시 https://www.yna.co.k[...]
[3] 뉴스 SKT, ‘에이닷’ 애플 상륙…200만건 대화 ‘활발’ https://www.inews24.[...]
[4] 뉴스 SKT, TV와 게임까지 즐기는 A.(에이닷) 업데이트 공개 https://www.hankyung[...]
[5] 뉴스 ‘AI로 사진 보정까지’… SKT, 더 똑똑해진 ‘에이닷’ 공개 https://economist.co[...]
[6] 뉴스 미래에는 AI가 전화도 대신 받아줄까... SKT 에이닷 '통화요약' 써보니 https://www.ajunews.[...]
[7] 뉴스 SKT 에이닷, AI전화로 진화...AI 통화요약 출시이어 전화 대신받기 등 개발 https://www.etnews.c[...]
[8] 뉴스 'AI 전화·통화요약' 먹통… 이용자 등돌리는 SKT 에이닷 https://news.mtn.co.[...] MTN뉴스 2024-01-17
[9] 뉴스 SKT 에이닷, 외부 통화 녹음은 AI 통화요약 서비스 중단 https://www.inews24.[...] 아이뉴스 2024-04-29
[10] 뉴스 ‘AI 컴퍼니’ 선언 SKT 대표 서비스…‘에이닷’ 업그레이드 https://m.khan.co.kr[...]
[11] 뉴스 잠실롯데월드 ‘A. 프렌즈 팝업스토어’ 인기몰이 https://www.edaily.c[...]
[12] 뉴스 "AI로 사진 보정하고, 동영상 요약까지" SKT 에이닷, 대규모 업데이트 https://www.ajunews.[...]
[13] 뉴스 AI프로필 시대…셀카 올리면 사진 수십장 쏟아진다 https://www.mk.co.kr[...]
[14] 뉴스 SKT, 에이닷 업데이트 공개…TV·게임 서비스 추가 https://zdnet.co.kr/[...]
[15] 뉴스 "[사용기] 챗GPT에서 영어회화까지...AI 포털로 진화하는 에이닷" https://www.etnews.c[...]
[16] 뉴스 “AI와 영어공부..‘에이닷 튜터’”..SKT https://www.fnnew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