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엠퍼러 (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엠퍼러는 이샤한과 사모스를 중심으로 결성된 노르웨이의 블랙 메탈 밴드이다. 1991년 결성 이후 초기 블랙 메탈 씬 형성에 기여했으며, 멜로디컬한 기타 리프와 키보드를 결합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2집부터는 클래식 음악의 영향을 받아 웅장하고 프로그레시브한 스타일을 추구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990년대 초반 멤버들의 사건 사고와 수감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1994년 앨범 'In the Nightside Eclipse'를 발매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2001년 해체 후 여러 차례 재결합하여 활동을 이어갔으며, 현재까지도 일본에서 여러 차례 공연을 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블랙 메탈 밴드 - 버줌
    버줌은 바르그 비케르네스가 1991년부터 시작한 블랙 메탈 프로젝트로,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이며 유로니무스 살해 사건과 교회 방화 혐의로 수감된 기간에도 활동을 이어갔고, 석방 후 메탈 음악으로 복귀했으나 2024년 음악 활동 중단을 선언하며 블랙 메탈 역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노르웨이의 블랙 메탈 밴드 - 메이헴
    메이헴은 1983년 노르웨이에서 결성된 블랙 메탈 밴드로서, 극단적인 무대 연출, 보컬 데드의 자살, 기타리스트 유로니무스 살해 사건으로 블랙 메탈 씬에 큰 파장을 일으켰으며, 데뷔 앨범은 블랙 메탈 역사에 중요한 앨범으로 평가받고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 2016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THE YELLOW MONKEY
    THE YELLOW MONKEY는 요시이 가즈야를 중심으로 결성된 일본의 록 밴드로, 글램록과 하드록 기반의 음악과 화려한 비주얼로 인기를 얻었으며 해체 후 재결합하여 활발히 활동 중이다.
  • 2016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S.E.S.
    S.E.S.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바다, 유진, 슈 세 멤버로 구성된 1997년 데뷔한 3인조 걸그룹으로, 뛰어난 가창력과 히트곡으로 1세대 아이돌로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해체 후 20주년 기념 재결합 앨범 발매 및 콘서트 개최, 후배 걸그룹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한국 걸그룹 역사에 중요한 획을 그은 그룹으로 평가받는다.
  • 2001년 해체된 음악 그룹 - JUDY AND MARY
    JUDY AND MARY는 YUKI, 엔타, 후지모토 야스지가 1992년 결성하여 "そばかす (주근깨)" 등의 히트곡으로 1990년대 후반 일본을 대표하는 인기 록 밴드로 자리매김했으며, 7장의 정규 앨범 발매, NHK 홍백가합전 2회 출연 후 2001년 해산하였다.
  • 2001년 해체된 음악 그룹 - 플라잉 부리토 브라더스
    플라잉 부리토 브라더스는 그램 퍼슨스와 크리스 힐먼이 1968년 결성한 미국의 컨트리 록 밴드로, 초기에는 스니키 피트 클라이노우와 크리스 에쓰리지가 멤버였으며 데뷔 앨범 『죄악의 황금 궁전』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멤버 교체와 재결성을 거쳐 현재는 "더 부리토 브라더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엠퍼러 (밴드)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엠퍼러, 바켄 오픈 에어 2014
엠퍼러, 바켄 오픈 에어 2014
장르블랙 메탈
심포닉 블랙 메탈
프로그레시브 메탈
활동 기간1991년–2001년
2005년–2007년
2013년–2014년
2016년–현재
레이블데스라이크 사일런스 프로덕션스
센추리 미디어 레코드
캔들라이트 레코드
뉴클리어 블래스트
스핀오프지클론
페카툼
모르티스
스핀오프 대상토우 섈트 서퍼
웹사이트emperorhorde.com
출신지노르웨이, 텔레마르크주, 노토덴
현재 구성원
이전 구성원

2. 역사

청년 시절, 이샤한(Ihsahn)과 사모스(Samoth)는 록 음악 세미나에서 만났다.[5] 두 젊은이는 다크 디바이스(Dark Device), 제라시아(Xerasia), 엠브리오닉(Embryonic) 등 다양한 이름으로 함께 연주를 시작했다. 곧 이 그룹은 현재 잘 알려진 밴드인 Thou Shalt Suffer로 발전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모스는 Thou Shalt Suffer 밖에서 음악을 쓰기 시작했고, 이샤한, 그리고 새로운 베이시스트인 모르티스(자신의 이름을 딴 밴드인 Mortiis)와 함께 엠페러가 결성되었다. 잠시 함께한 후, 밴드는 ''Wrath of the Tyrant''라는 데모를 발표했다. 이 데모는 언더그라운드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고, 당시 신생 레이블이었던 Candlelight의 주목을 받았다. 곧 음반 계약이 체결되었고, 사모스는 리듬 기타로, 이샤한은 보컬과 리드 기타를 계속 맡았으며, 파우스트가 드러머로 영입되었다. 엠페러는 Candlelight Records에서 데뷔 EP인 Emperor를 발매했다. 그 후 밴드는 악명 높은 최초의 블랙 메탈 레이블인 Deathlike Silence Productions과 계약을 맺고 다음 앨범을 곧 발매할 계획이었지만, DSP와 계약하는 동안 어떤 자료도 발매하지 못했다.

1992년 여름, 블랙 메탈 내부 서클에 의해 일련의 사건들이 시작되었다. 사모스는 다른 여러 블랙 메탈 밴드 멤버들과 함께 노르웨이의 오래된 교회를 불태우기 시작했다. 또한 1992년, 파우스트는 릴레함메르에 살고 있었고, 새로 건설된 올림픽 공원에서 마그네 안드레아센이라는 남자가 그에게 다가와 근처 숲으로 산책을 가자고 제안했다. 파우스트는 동의했고, 숲에 들어가자 그 남자가 그에게 강한 성적 접근을 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파우스트는 그 남자를 칼로 찔러 죽였고, 그가 확실히 죽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머리를 발로 찼다.[6] 그는 2년 후에 유죄 판결을 받았다. 파우스트가 살인을 저지른 다음 날, 그는 메이헴의 Euronymous와 Burzum의 Varg Vikernes와 함께 오슬로의 Holmenkollen Chapel을 불태웠다.[7] 1993년 여름, 밴드는 첫 정규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 엠페러는 시체 분장을 그만두었는데, 그것이 유행이 되면서 원래의 의미와 상징성을 잃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해 가을, 경찰은 메이헴의 Euronymous 살인 사건을 조사하기 시작했고, Varg Vikernes를 용의자로 지목했다. 이 수사로 인해 결국 사모스는 방화 혐의로, 파우스트는 마그네 안드레아센 살인 혐의로 수감되었다.

1994년, 사모스는 빈다포르의 스홀드 교회를 방화한 혐의로 바르그 비케르네스와 함께 1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8][9] 이 방화는 Burzum EP ''Aske''(‘Ashes’) 녹음 중 잠시 중단된 시기에 일어났다. 1994년, ''In the Nightside Eclipse''가 발매되었고, 엠페러는 광범위한 찬사와 많은 팬층을 얻었다.

사모스가 가석방된 후, 밴드는 드럼에 트림, 베이스에 알버를 영입했고, 1996년 말, 엠페러는 스튜디오에 들어가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를 녹음했다.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는 영국 ''Terrorizer''와 미국 ''Metal Maniacs''를 포함하여 전 세계 많은 메탈 잡지에서 '올해의 앨범'으로 선정되었다. 베이시스트 알버는 곧 밴드를 떠났다.

유럽 공연 외에도, 밴드는 1999년 7월 24일 멕시코 시티에서 공연했다.

현재 이샤한이 키보드, 보컬, 기타 및 베이스를 담당하며 트리오로 활동을 이어가던 밴드는 세 번째 앨범 ''IX Equilibrium''을 녹음하고 유럽과 북미를 순회했다. 사모스와 트림이 데스 메탈에 더 기울어지고, 이샤한이 자신의 사이드 프로젝트인 Peccatum으로 음악적 탐구를 진행하면서 2000년경이 되었다. 따라서 2001년, 엠페러는 이샤한이 작곡한 마지막 앨범 ''Prometheus: The Discipline of Fire & Demise''를 발매한 후 해산을 결정했다. 이샤한은 나중에 "2001년에 해체를 발표했을 때, 우리는 엠페러로 더 이상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이 결정은 또한 엠페러가 많은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고, 우리가 끝을 낼 것이라면, 여전히 훌륭한 음악을 만들 때 끝내야 한다는 느낌에 기초했습니다. 우리에게 이 결정은 블랙 메탈 정신으로 내려졌습니다. 사모스와 내가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기 때문에, 계속할 이유를 찾지 못했습니다."[10] 사모스는 이샤한의 입장에 동의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 시점에서, 우리 둘 다 추구하고 싶었던 다른 우선순위가 있었고, 엠페러를 해체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느꼈습니다. 우리는 정말 다른 것에 집중하고 싶었고, 그것이 유일하게 올바른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10]

2005년 9월 30일, 오슬로의 콘서트 홀 "Rockefeller"에서, 불과 몇 명만이 사정을 알고 있던 극비의 서프라이즈 라이브 출연으로, 해산 당시 멤버 그대로 재결성을 이루었다(이때 연주한 것은 3곡뿐이었다). 이후 미국과 유럽에서 콘서트 투어를 한 외에, 바켄 오픈 에어 등의 페스티벌에도 출연하고 있다.

2013년 8월 2일, 2014년의 바켄 오픈 에어의 헤드라이너로 재시동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이 재결성에 대해, 탈림은 참가하지 않고 전 멤버 파우스트가 참가하게 되었다.

2014년 7월, 밴드 최초의 내한 공연. 파우스트에게 비자가 나오지 않아, 일본 공연만 탈림이 참가했다. 17일에 도쿄, 18일에 오사카에서 라이브가 열렸지만, 오사카에서는 사모스가 급병으로 인해, 그가 없는 상태에서의 라이브가 되었다.

2017년 10월, "LOUD PARK 17" 페스티벌 출연을 위해 재내한하여, 14일에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 앨범의 재현을 포함한 무대를 선보였다.

2019년 11월, 데프헤븐 (Deafheaven)을 게스트로 맞아, 세 번째 내한 공연을 했다.

미국 시카고 공연 (2007년 5월)


2017년 공연하는 엠페러

2. 1. 결성 초기 (1991-1992)

1988년, 13세였던 이샤안은 음악 학교에서 사모스를 만나 밴드를 시작했다. 밴드 이름은 여러 번 바뀌었고, 1991년 마침내 '''Thou Shalt Suffer'''가 되었다. 그러나 사모스는 메이헴의 유로니무스의 영향을 받아 이 밴드를 해체한다. 그는 이 무렵부터 자신이 드럼을 맡는 밴드를 위해 곡을 쓰기 시작했고, 새롭게 베이시스트 몰티스를 더하여 이샤안과 함께 밴드 '''엠페러''' ('''Emperor''')를 결성했다.

1992년, 엠페러는 EP 『Call From the Grave』, 『Wrath of the Tyrant』를 녹음하고 캔들라이트 레코드와 계약했다.

2. 2. 초기 활동과 사건사고 (1993-1996)

1991년 이샤안과 사모스를 중심으로 결성된 엠페러는 초기 노르웨이 블랙 메탈 씬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7] 밴드는 1992년 EP 『Call From the Grave』, 『Wrath of the Tyrant』를 녹음하고 캔들라이트 레코드와 계약했다. 1993년에는 EP 『Emperor』와 엔슬레이브드와의 스플릿 앨범 『Hordanes Land』를 발매했다.

하지만, 바줌의 바르그 비케르네스가 체포되면서 시작된 "블랙 메탈 이너 서클" 멤버들의 연쇄 체포로 인해 사모스, 파우스트, 조오트가 징역형을 선고받아, 이샤안만이 밴드에 남게 되었다.[17] 1994년,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엠페러는 EP 『As the Shadows Rise』와 1집 앨범 『In the Nightside Eclipse』를 발매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5년 이사한은 인터뷰에서 방화를 옹호하는 발언을 하여 논란을 일으켰다.[17] 그는 스욜드 교회 방화 사건을 "반기독교적 전쟁의 상징적인 행위"이자 "이교적 야만주의"의 부상이라고 표현했다.[17]

1993년에는 Varg Vikernes에 의한 살인이 일어났지만, Emperor의 멤버들은 그와 친했던 것으로 알려저있다.

2014년, 엠페러는 살인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던 파우스트를 라이브 공연에 참여시켜 논란을 일으켰다.[18]

2. 3. 전성기와 변화 (1997-2001)

1997년, 엠페러는 EP 『Reverence』와 2집 앨범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를 발매했다. 전작보다 프로그레시브함을 더한 이 작품은 전 세계의 메탈 잡지에서 "올해의 앨범" 투표에서 여러 번 선정되었다. 그 후 알바가 탈퇴하면서 이샤안이 베이스를 겸임하게 되었다. 이 무렵부터 이샤안은 더 예술적이고 프로그레시브한 음악성을 추구했고, 그의 아내 이리엘과 함께 Peccatum이라는 밴드를 결성했다. 한편 사모스와 트림은 데스 메탈 방향으로 전환하여 자이클론을 결성하여 활동하기 시작했다.

1999년, 엠페러는 3집 앨범 『IX Equilibrium』를 발매했다. 2001년에는 이샤안이 주도하여 제작한 4집 앨범 『Prometheus: The Discipline of Fire & Demise』를 발매하고 밴드는 해산했다. 2003년에는 엠페러의 베스트 앨범인 『Scattered Ashes: A Decade of Emperial Wrath』가 발매되었다.

2. 4. 해체와 재결합 (2001-현재)

2001년 4집 앨범 ''Prometheus: The Discipline of Fire and Demise'' 발매 이후 밴드는 해체했다. 해체 이후, 사모스와 트림은 Zyklon에서 블랙/데스 메탈을 연주했고, Ihsahn은 가족 프로젝트 Peccatum에 집중했다. 이후 Ihsahn은 솔로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2005년 9월 30일, 밴드는 오슬로에서 깜짝 공연을 펼치고, 2006년 미국과 유럽에서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2006년에는 인페르노 페스티벌과 Wacken Open Air에서 공연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사모스는 1992년 방화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비자 발급이 지연되어 미국 투어에 참여할 수 없었고, 엠퍼러는 그 없이 공연을 진행했다. 2006년 10월 7일, 엠퍼러는 노토덴에서 Motstøy 페스티벌에서 공연했다. 2006년 10월 28일, 런던 아스토리아 공연장에서 공연했다. 2007년, 엠퍼러는 미국에서 단독 공연을 펼치고, 프랑스와 핀란드에서 페스티벌 공연을 했다.

2007년 10월 31일, Candlelight Records를 통해 엠퍼러의 컴필레이션 앨범 ''Scattered Ashes: A Decade of Emperial Wrath''의 tablature 책이 발매되었다. 2007년 8월 21일에는 엠퍼러의 앨범이 보너스 포스터와 함께 특별 박스 버전으로 재발매되었다.

2007년 10월 23일, 사모스는 엠퍼러가 두 번째 공식 DVD를 준비한다고 발표했다.[11] 2008년 12월 8일, ''Live Inferno''라는 제목의 라이브 앨범과 DVD가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2] 2009년 4월 16일 유럽에서, 4월 21일 북미에서 발매되었다.

2013년 8월 2일, 엠퍼러가 2014년 Wacken Open Air의 헤드라이너로 재결합한다고 발표되었다.[13] 이후 Bloodstock Open Air 및 헬페스트 페스티벌의 헤드라이너로도 발표되었다. 2014년 4월, 파우스트의 비자 문제로 트림이 드럼을 맡아 도쿄와 오사카에서 공연을 발표했다.

2016년 8월 12일, 엠퍼러가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 20주년 기념 공연을 위해 2017년에 재결합한다고 발표했다.[14] 2017년 10월, "LOUD PARK 17" 페스티벌 출연을 위해 재내한하여, 14일에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 앨범의 재현을 포함한 무대를 선보였다.

2018년 12월 27일, 2019년 멕시코 몬테레이에서 열리는 Mexico Metal Fest에 출연한다고 발표했다.[15] 2019년 11월, 데프헤븐 (Deafheaven)을 게스트로 맞아, 세 번째 내한 공연을 했다.

Ihsahn은 엠퍼러가 새 앨범을 낼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16] 그는 "블랙 메탈의 요점은 사람들이 진실되고 본질을 가진 것을 원한다는 것이다. 지금 시점에서, 우리 중 누구도 이미 하고 있는 것 이상으로 그렇게 할 이유를 찾을 수 없다."라고 말했다.[16]

3. 구성원

현재 구성원
이름역할활동 기간
이산보컬, 기타, 키보드1991년-현재
사모스기타1991년-현재
트림 토르손드럼1996년-2001년, 2005년-2007년, 2014년, 2016년-현재
이전 구성원
이름역할활동 기간
Mortiis영어 Håvard "Mortiis" Ellefsenno베이스1991년-1992년
Faust영어 Bård "Faust" Eithunno드럼1992년-1994년, 2013년-2014년
Tchort영어 Terje "Tchort" Scheino베이스1993년-1994년
Alver영어 Jonas "Alver" Alverno베이스1995년-1998년
얀 에릭 "튀르" 토르게르센베이스1998년–2001년
세션/라이브 구성원
이름역할활동 기간
토니 "섹담몬" 잉게브릭트센베이스, 백 보컬2005년–2007년, 2013년–2014년, 2016년–현재
요르겐 뭉케비키보드, 백 보컬2018년-현재
Mortiis영어 Håvard "Mortiis" Ellefsenno베이스1991년-1992년
Faust영어 Bård "Faust" Eithunno드럼1992년-1994년, 2013년-2014년
Tchort영어 Terje "Tchort" Scheino베이스1993년-1994년
비다르 "일드야른" 보에르베이스1993년
스테이나르 "스베르드" 요한센키보드1994년–1995년
Alver영어 Jonas "Alver" Alverno베이스1995년-1998년
요아킴 "샤르만드 그림로흐" 뤼그키보드1996년–1999년
얀 에릭 "튀르" 토르게르센베이스1998년–2001년
에이나르 솔베르그키보드, 백 보컬2005년–2007년, 2013년–2014년, 2016년–2017년
게를리오즈키보드2018년
올레 비스트네스베이스2019년, 2022년–현재


3. 1. 현재 구성원

이산(Vegard Sverre "Ihsahn" Tveitan)은 보컬, 기타, 키보드를 담당하며 1975년에 출생, 1991년부터 활동하고 있다. 솔로 명의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밴드의 중심 인물이다.

사모스(Tomas Thormodsæter "Samoth" Haugen)는 기타를 담당하며 1974년 6월 9일에 출생, 1991년부터 활동하고 있다.

트림 (Kai Johnny "Trym Torson" Mosaker)은 드럼을 담당하며 1996년부터 2007년까지, 그리고 2016년부터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서포트 멤버로는 섹트데몬 (Tony "Secthdamon" Ingebrigtsen)이 베이스를 담당하고 있으며(2005-), 에이나르 솔베르그 (Einar Solberg)는 키보드를 담당하고 있다(2005-).

3. 2. 이전 구성원


  • Mortiis영어 Håvard "Mortiis" Ellefsenno - 베이스 (1991-1992)
  • Faust영어 Bård "Faust" Eithunno - 드럼 (1992-1994, 2013-2014, 라이브 멤버) 1992년에 일어난 사건으로 체포, 살인 및 방화 혐의로 징역 14년형을 선고받았으나, 9년 4개월의 수감 생활을 거쳐 2003년에 석방되었다.
  • Tchort영어 Terje "Tchort" Scheino - 베이스 (1993-1994)
  • Alver영어 Jonas "Alver" Alverno - 베이스 (1995-1998)

3. 3. 라이브 구성원


  • 토니 "섹담몬" 잉게브릭트센 – 베이스, 백 보컬 (2005–2007, 2013–2014, 2016–현재)
  • 요르겐 뭉케비 - 키보드, 백 보컬 (2018-현재)
  • 모르티스(Håvard "Mortiis" Ellefsen) - 베이스 (1991-1992)
  • 파우스트(Bård "Faust" Eithun) - 드럼 1974년 4월 21일 출생 (1992-1994, 2013-2014)
  • 츠오르트(Terje "Tchort" Schei) - 베이스 1974년 출생 (1993-1994)
  • 비다르 "일드야른" 보에르 – 베이스 (1993)
  • 스테이나르 "스베르드" 요한센 – 키보드 (1994–1995)
  • 알버(Jonas "Alver" Alver) - 베이스 (1995-1998)
  • 요아킴 "샤르만드 그림로흐" 뤼그 – 키보드 (1996–1999)
  • 얀 에릭 "튀르" 토르게르센 – 베이스 (1998–2001)
  • 에이나르 솔베르그 – 키보드, 백 보컬 (2005–2007, 2013–2014, 2016–2017)
  • 게를리오즈 – 키보드 (2018)
  • 올레 비스트네스 – 베이스 (2019, 2022–현재)

3. 4. 타임라인

엠퍼러 밴드의 멤버 변화는 다음과 같이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원본 소스에서 제공된 타임라인 코드는 위키텍스트에서 지원되지 않는 `` 태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표 형태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멤버역할기간
Ihsahn리드 보컬, 리드 기타1991년 1월 1일 ~ 2001년 12월 20일, 2005년 12월 1일 ~ 2007년 6월 30일, 2013년 10월 1일 ~ 2014년 9월 1일, 2016년 8월 12일 ~ 현재
리듬 기타1991년 1월 1일 ~ 1992년 8월 1일
키보드1991년 1월 1일 ~ 2001년 12월 20일, 2005년 12월 1일 ~ 2007년 6월 30일, 2013년 10월 1일 ~ 2014년 9월 1일, 2016년 8월 12일 ~ 현재
Samoth드럼1991년 1월 1일 ~ 1992년 8월 1일
리듬 기타1992년 8월 1일 ~ 2001년 12월 20일, 2005년 12월 1일 ~ 2007년 6월 30일, 2013년 10월 1일 ~ 2014년 9월 1일, 2016년 8월 12일 ~ 현재
Mortiis베이스1991년 1월 1일 ~ 1992년 12월 31일
Tchort베이스1993년 1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Alver베이스1995년 1월 1일 ~ 1998년 8월 1일
Tyr베이스1998년 8월 1일 ~ 2001년 12월 20일
라이브 멤버1998년 8월 1일 ~ 2001년 12월 20일
Secthdamon베이스2005년 12월 1일 ~ 2007년 6월 30일, 2013년 10월 1일 ~ 2014년 9월 1일, 2016년 8월 12일 ~ 현재
라이브 멤버, 백 보컬2005년 12월 1일 ~ 2007년 6월 30일, 2013년 10월 1일 ~ 2014년 9월 1일, 2016년 8월 12일 ~ 현재
Einar Solberg키보드, 백 보컬2005년 12월 1일 ~ 2007년 6월 30일, 2013년 10월 1일 ~ 2014년 9월 1일, 2016년 8월 12일 ~ 2017년 12월 31일
라이브 멤버2005년 12월 1일 ~ 2007년 6월 30일, 2013년 10월 1일 ~ 2014년 9월 1일, 2016년 8월 12일 ~ 2017년 12월 31일
Jørgen Munkeby키보드, 백 보컬2018년 1월 1일 ~ 현재
라이브 멤버2018년 1월 1일 ~ 현재
Faust드럼1992년 8월 1일 ~ 1996년 9월 30일, 2013년 10월 1일 ~ 2014년 9월 1일
라이브 멤버2013년 10월 1일 ~ 2014년 9월 1일
Trym드럼1996년 10월 1일 ~ 2001년 12월 20일, 2005년 12월 1일 ~ 2007년 6월 30일, 2014년 7월 10일 ~ 2014년 7월 20일, 2016년 8월 12일 ~ 현재


참고:


  • 위 표는 원본 소스의 `PlotData` 섹션에 있는 멤버별 역할 및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 원본 소스의 `LineData` 섹션은 앨범 발매 정보를 나타내지만, 타임라인 표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4. 음악 스타일

엠퍼러는 초기에는 블랙 메탈 특유의 차갑고 무거운 사운드에 멜로디컬한 기타 리프와 키보드를 결합한 음악성을 보였다. 2집부터 4집까지는 클래식 음악의 영향을 받아 웅장하고 프로그레시브한 새로운 블랙 메탈 스타일을 추구했다. 이러한 변화는 찬반 양론이 있었지만, 엠퍼러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 시기부터 블랙 메탈 밴드에서 많이 보이는 장발이나 "시체 분장"을 하지 않았다. 블라스트 비트를 다용한 드럼 비트를 주체로 하면서도, 이전과는 달리 기타스타카토로 연주하게 되었으며, 키보드의 사용법도 종래보다 대담해졌다.

5. 음반 목록

5. 1. 정규 앨범


  • 1994년 In the Nightside Eclipse - 어둠의 황제
  • 1997년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 - 어둠의 찬가
  • 1999년 IX Equilibrium - 어둠의 묵시록
  • 2001년 Prometheus: The Discipline of Fire and Demise - 어둠의 종말 ~라스트 엠페러~


오리지널 음반 발매 후, 현재까지 몇몇 리마스터반이 발매되었다. 2007년에는 박스 세트(인터뷰 · 가사 포함 포스터 포함)도 발매되었다. 일본어판 제목이 적혀있는 작품 중, 어둠의 부활제를 제외한 작품은 모두 토이즈 팩토리에서 일본반이 발매되었지만, 토이즈 팩토리 반은 모두 절판되었다.

6. 한국과의 관계

엠퍼러는 현재까지 한국에서 내한 공연을 한 기록은 없다. 하지만, 엠퍼러는 여러 차례 일본에서 공연을 가졌는데, 이웃나라 일본에서의 잦은 공연은 한국 팬들에게도 엠퍼러의 공연을 직,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엠퍼러의 한국 내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2014년 7월 17일 도쿄 TSUTAYA O-EAST와 7월 18일 오사카 UMEDA CLUB QUATTRO에서 In the Nightside Eclipse 20주년 기념 투어를 진행했고, 2017년 10월 14일에는 사이타마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에서 열린 LOUD PARK 17에 참가했다.

2019년에는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 - Final Japan Tour의 일환으로 11월 13일 오사카 난바 Hatch, 11월 14일과 15일 양일간 도쿄 TSUTAYA O-EAST에서 공연을 펼쳤으며, 2023년 3월 1일에는 오사카 BIGCAT, 3월 2일에는 도쿄 EX THEATER ROPPONGI에서 Emperial Darkness Japan Tour를 개최하여 일본 팬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특히 2019년, 2023년 투어는 엠퍼러의 명반으로 꼽히는 앨범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엠퍼러의 음악을 사랑하는 많은 한국 팬들에게도 큰 관심을 받았다.

6. 1. 내한 공연

엠퍼러는 여러 차례 일본에서 공연을 가졌다. 2014년 7월 17일 도쿄 TSUTAYA O-EAST와 7월 18일 오사카 UMEDA CLUB QUATTRO에서 In the Nightside Eclipse 20주년 기념 투어를 진행했다. 2017년 10월 14일에는 사이타마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에서 열린 LOUD PARK 17에 참가했다.

2019년에는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 - Final Japan Tour의 일환으로 11월 13일 오사카 난바 Hatch, 11월 14일과 15일 양일간 도쿄 TSUTAYA O-EAST에서 공연을 펼쳤다. 2023년 3월 1일에는 오사카 BIGCAT, 3월 2일에는 도쿄 EX THEATER ROPPONGI에서 Emperial Darkness Japan Tour를 개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rometheus: The Discipline of Fire & Demise - Emperor - Songs, Reviews, Credits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9-11-15
[2] 웹사이트 In the Nightside Eclipse – Emperor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2014-02-28
[3] 웹사이트 Emperor » Nordische Musik http://www.nordische[...] 2014-02-28
[4] 서적 Extreme Metal II – Joel McIver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Omnibus Press 2005
[5] 웹사이트 Emperor: Symphony of Destruction http://www.guitarwor[...] 2009-08-14
[6] 웹사이트 Faust Interview http://heavymetal.ab[...] 2014-02-18
[7] 서적 Lords of Chaos: The Bloody Rise of the Satanic Metal Underground Feral House
[8] 웹사이트 Top 10 Worst Crimes Committed by Black Metal Musicians http://www.metalinje[...] 2011-02-17
[9] 잡지 Satan's Cheerleaders https://books.google[...] 1996-02
[10] 간행물 MMV Equilibrium 2005-12
[11] 웹사이트 ZYKLON 'Taking A Break', EMPEROR DVD On The Way http://www.roadrunne[...]
[12] 웹사이트 News > EMPEROR's Live Inferno Confirmed For Worldwide Release http://www.braveword[...]
[13] 웹사이트 Emperor To Reunite For Wacken Open Air – in Metal News http://www.metalunde[...]
[14] 잡지 Emperor to Reunite in 2017 for 20th Anniversary of 'Anthems to the Welkin at Dusk' http://loudwire.com/[...] 2016-08-13
[15] 웹사이트 Emperor – de regreso a México | the House of Rock https://thehouseofro[...]
[16] 웹사이트 IHSAHN Rules Out New EMPEROR Album: 'What Could We Possibly Do? It's Kind Of A Lose-Lose Thing' http://www.blabbermo[...] 2019-06-30
[17] 웹사이트 Ihshan interview in EsoTerra #6 1995 http://www.esoterra.[...]
[18] 웹사이트 Why Is The Convicted Murderer Of A Gay Man Being Celebrated At A Major Metal Festival? http://www.vh1.com/n[...]
[19] 웹사이트 Emperor reviews, music, news http://www.sputnikmu[...] null
[20] Facebook EMPEROR will be celebrating the 20th... https://www.facebook[...] 2013-08-19
[21] 웹사이트 LOUD PARK 17の初日をレポート! http://rockinf.net/e[...] WeROCK EYES
[22] 뉴스 「LOUD PARK 17」第2弾発表!エンペラー、メシュガーの出演が決定 https://andmore-fes.[...] And Mo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