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자 100m 허들 세계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자 100m 허들 세계 기록 추이는 1969년부터 수동 계측, 1977년부터 자동 계측 방식으로 기록된 여자 100m 허들 세계 기록의 변천사를 보여준다. 1969년부터 1976년까지 카린 발처(동독) 등 여러 선수들이 기록을 경신했으며, 1970년에는 청치(대만)가 아시아 선수 최초로 세계 기록을 보유했다. 1977년 이후에는 안넬리 에어하르트(동독), 그라지나 랍스틴(폴란드), 요르단카 돈코바(불가리아), 켄드라 해리슨(미국), 토비 아무산(나이지리아) 등이 세계 기록을 갱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상 경기 기록 - 마라톤 세계 기록 추이
    마라톤 세계 기록은 1896년 시작된 마라톤 경기의 역사를 반영하며, 남자와 여자 모두 여러 선수들이 기록을 경신하며 발전해 왔다.
  • 육상 경기 기록 -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 스포츠에 관한 - 카이트서핑
    카이트서핑은 연과 보드를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물 위를 활강하는 수상 스포츠로,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여자 100m 허들 세계 기록 추이
여자 100m 허들 세계 기록 추이
종목여자 100m 허들
관할국제 육상 경기 연맹
기록 추이
전기 계시 (수동)"13.3초: 카린 발저 (1969년 6월 20일, 바르샤바)"
"12.9초: 아넬리제 야스크 (1970년 6월 7일, 라이프치히)"
"12.8초: 카린 발저 (1971년 7월 25일, 베를린)"
"12.7초: 아넬리제 에르하르트 (1972년 6월 15일, 포츠담)"
"12.6초: 아넬리제 에르하르트 (1972년 7월 20일, 드레스덴)"
"12.5초: 아넬리제 에르하르트 (1972년 7월 22일, 오스트라바)"
"12.3초: 아넬리제 에르하르트 (1973년 6월 15일, 동베를린)"
전자 계시"12.93초: 아넬리제 에르하르트 (1972년 9월 8일, 뮌헨)"
"12.8초: 그라지나 라브루프스카 (1978년 6월 13일, 푸슈치코보)"
"12.77초: 요안나 슈르반 (1978년 6월 13일, 푸슈치코보)"
"12.65초: 요안나 슈르반 (1978년 6월 26일, 동베를린)"
"12.59초: 모니카 뫅친스키 (1980년 5월 29일, 옐가바)"
"12.56초: 그라지나 라브루프스카 (1980년 6월 8일, 바르샤바)"
"12.48초: 베라 시소에바 (1980년 6월 8일, 바르샤바)"
"12.36초: 엘케 뵐징 (1980년 6월 11일, 동베를린)"
"12.35초: 루치나 랑거 (1980년 6월 13일, 프라하)"
"12.29초: 그젤라 얀켈 (1982년 6월 8일, 동베를린)"
"12.23초: 베티나 얀켈 (1983년 6월 8일, 동베를린)"
"12.21초: 베티나 얀켈 (1986년 8월 20일, 슈투트가르트)"
"12.62초: 옐레나 비노그라도바 (1980년 7월 26일, 모스크바)"
"12.28초: 율리아 페초노키나 (1987년 6월 12일, 동베를린)"
"12.26초: 글로리아 시에라 (1987년 9월 8일, 로마)"
"12.25초: 율리아 페초노키나 (1988년 9월 24일, 서울)"
"12.21초: 요르단카 돈코바 (1986년 8월 17일, 쾰른)"
"12.21초: 글린니스 넌 (1986년 8월 20일, 취리히)"
"12.21초: 코르넬리아 오슈케나트 (1987년 6월 5일, 노이브란덴부르크)"
"12.21초: 글로리아 시에라 (1987년 7월 16일, 자그레브)"
"12.21초: 나탈리아 그리고리에바 (1988년 9월 25일, 서울)"
"12.20초: 요르단카 돈코바 (1988년 8월 21일, 스타라자고라)"
"12.20초: 카밀라 스클리모프스카 (2001년 8월 11일, 에드먼턴)"
"12.21초: 브리지트 모저 (2002년 8월 7일, 뮌헨)"
"12.21초: 나데즈다 흐니키나-드발리슈빌리 (1988년 9월 26일, 서울)"
"12.21초: 패트리시아 지라르 (1990년 7월 29일, 로베르빌리에)"
"12.21초: 가비 르시 (1987년 6월 8일, 할레)"
"12.21초: 마르그레트 슈파르 (1988년 8월 11일, 베를린)"
"12.12초: 요르단카 돈코바 (1988년 8월 20일, 스타라자고라)"
"12.21초: 이바 스탄코바 (1988년 9월 2일, 시에라)"
"12.21초: 마르그레트 퇼렌 (1988년 9월 2일, 시에라)"
"12.21초: 클라우디아 차크비츠 (1988년 9월 6일, 포츠담)"
"12.21초: 모니크 에방게-에페 (1991년 8월 7일, 취리히)"
"12.21초: 리카 클링 (1988년 9월 24일, 서울)"
"12.21초: 안케 펨묄러 (1988년 9월 24일, 서울)"
"12.21초: 미셸 프리먼 (1992년 7월 16일, 로잔)"
"12.21초: 코르델리아 부스 (1992년 7월 18일, 로잔)"
"12.21초: 크리스티 오테이 (1993년 6월 18일, 오타와)"
"12.21초: 안젤라 아테네 (1995년 8월 2일, 마르델플라타)"
"12.21초: 미셸 페리 (1996년 8월 1일, 애틀랜타)"
"12.21초: 브리지트 포스터-힐튼 (2003년 8월 7일, 취리히)"
"12.21초: 미셸 던컨 (2004년 6월 11일, 뉴욕)"
"12.21초: 조애나 헤이즈 (2004년 8월 24일, 아테네)"
"12.21초: 퍼디타 펠리시엔 (2004년 10월 2일, 부다페스트)"
"12.21초: 첼시 스키비 (2008년 5월 16일, 린츠)"
"12.21초: 로프 코플랜드 (2011년 6월 25일, 유진)"
"12.21초: 돈 하퍼 (2011년 7월 22일, 모나코)"
"12.21초: 크리스타니아 윌리엄스 (2013년 7월 28일, 런던)"
"12.21초: 퀸 해리슨 (2016년 7월 22일, 런던)"
"12.21초: 나디네 필리프 (2017년 6월 10일, 레겐스부르크)"
"12.21초: 파멜라 두트키에비츠 (2018년 6월 30일, 파리)"
"12.21초: 엘비라 헤르만 (2018년 7월 6일, 라쇼드퐁)"
"12.21초: 메건 태퍼 (2022년 8월 17일, 모나코)"
"12.21초: 데빈 찰턴 (2023년 5월 6일, 로스앤젤레스)"
"12.21초: 니암 맥도널드 (2023년 7월 1일, 라쇼드퐁)"
"12.12초: 타인카 비스비 (1987년 8월 16일, 드라마)"
"12.12초: 가비 르시 (1987년 8월 18일, 베를린)"
"12.12초: 나데즈다 코르슈노바 (1988년 9월 17일, 세울)"
"12.12초: 아테나 코우나키 (1992년 7월 12일, 피레에프스)"
"12.21초: 스베틀라 디미트로바 (1988년 7월 1일, 카잔라크)"
"12.21초: 옌카 안코바 (1988년 7월 9일, 몬트리올)"
"12.21초: 비올레타 돈코바 (1988년 7월 11일, 두프니차)"
"12.21초: 니콜리나 스테레바 (1988년 7월 23일, 플로브디프)"
"12.21초: 스베틀라 발레바 (1988년 7월 30일, 바르나)"
"12.21초: 마르야나 오그렌 (1988년 8월 14일, 크루셰바츠)"
"12.21초: 데스피나 파나요투 (1988년 8월 19일, 아테네)"
"12.21초: 스베틀라 미트코바 (1988년 9월 3일, 슬리벤)"
"12.21초: 루드밀라 닌체바 (1988년 9월 4일, 스몰랸)"
"12.12초: 토르힐 토르프 (1988년 7월 2일, 오슬로)"
"12.12초: 글로리아 알로지 (1996년 8월 29일, 로마)"
"12.21초: 나디아 파티미 (1992년 6월 28일, 라바트)"
"12.21초: 린다 페리 (1993년 7월 9일, 셰르브루크)"
"12.21초: 레티시아 테스타 (1996년 6월 20일, 볼로냐)"
"12.21초: 크로델린 데사르 (1998년 7월 28일, 칼리)"
"12.21초: 다이론 로블레스 (2007년 2월 4일, 슈투트가르트)"
"12.12초: 켄드라 해리슨 (2016년 7월 22일, 런던)"

2. 여자 100m 허들 세계 기록 변천사

2. 1. 수동 계측 기록 (1969–1976)

1969년부터 1976년까지 수동 계측 방식으로 기록된 여자 100m 허들 세계 기록은 다음과 같다.[3]

1969–76년 여자 100m 허들 세계 기록
선수 (국가)시간 (초)풍속 (m/s)자동 계시 (초)장소날짜참고
카린 발처 (GDR)13.3 +1.0바르샤바, 폴란드1969년 6월 20일[3]
테레사 수크니에비츠 (POL)13.3 +1.3바르샤바, 폴란드1969년 6월 20일[3]
카린 발처 (GDR)13.0 +1.6라이프치히, 동독1969년 7월 27일[3]
카린 발처 (GDR)12.9 +0.7동베를린, 동독1969년 9월 5일[3]
테레사 수크니에비츠 (POL)12.8 +1.3바르샤바, 폴란드1970년 6월 20일[3]
청치 (TPE)12.8 +1.112.93뮌헨, 서독1970년 7월 12일[3]
카린 발처 (GDR)12.7 +0.4동베를린, 동독1970년 7월 26일[3]
테레사 수크니에비츠 (POL)12.7 +1.6바르샤바, 폴란드1970년 9월 20일[3]
카린 발처 (GDR)12.7 +1.5동베를린, 동독1971년 7월 25일[3]
카린 발처 (GDR)12.6 +1.9동베를린, 동독1971년 7월 31일[3]
안넬리 에어하르트 (GDR)12.5 +0.7포츠담, 동독1972년 6월 15일[3]
파멜라 라이언 (AUS)12.5 +0.912.93바르샤바, 폴란드1972년 6월 28일[3]
안넬리 에어하르트 (GDR)12.3 +1.512.68드레스덴, 동독1973년 7월 22일[3]



카린 발처(동독)는 1969년에만 세 번이나 세계 기록을 경신했고, 테레사 수크니에비츠(폴란드) 또한 1969년과 1970년에 걸쳐 세 번 세계 기록을 세웠다.[3] 청치(대만)는 1970년 7월 12.8초를 기록하며 아시아 선수 최초로 세계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3] 이후 안넬리 에어하르트(동독)와 파멜라 라이언(호주)이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3]

2. 2. 자동 계측 기록 (1977년 이후)

wikitable

여자 100m 허들 세계 기록 (1977년 이후)
선수 (국가)시간 (초)풍속 (m/s)장소날짜참고
12.59+0.6뮌헨, 서독1972년 9월 8일[3]
12.48+1.9퓌르트, 서독1978년 6월 10일[3]
12.36+1.9바르샤바, 폴란드1980년 6월 13일[3]
12.35+0.1쾰른, 서독1986년 8월 17일[3]
12.29-0.4쾰른, 서독1986년 8월 17일[3]
12.26+1.5류블랴나, 유고슬라비아1986년 9월 7일[3]
12.25+1.4드라마, 그리스1987년 8월 8일[3]
12.21+0.7스타라자고라, 불가리아1988년 8월 20일[3]
12.20+0.3런던, 영국2016년 7월 22일[7]
12.12+0.9유진, 오리건, 미국2022년 7월 24일[8]


3. 한국 여자 100m 허들

3. 1. 한국 여자 허들 육상의 현황

3. 2. 과제 및 전망

참조

[1] 간행물 Competition Rules & Technical Rules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24-01-17
[2] 웹사이트 100 Metres Hurdles https://worldathleti[...] 2024-07-19
[3] 웹사이트 13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Daegu 2011. (Part 5 of 5)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13-03-11
[4] 간행물 Competition Rules & Technical Rules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24-01-17
[5] 웹사이트 13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Daegu 2011. (Part 5 of 5)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13-03-11
[6] 웹사이트 World Record Progression of 100 Metres Hurdles https://worldathleti[...] 2024-07-19
[7] 뉴스 World records ratified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16-09-27
[8] 뉴스 Ratified: world records for Amusan, Duplantis and McLaughlin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22-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