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는 자유와 평화를 위해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연방 군인들의 희생을 기리고 한-영연방 간의 우호 관계를 증진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하며, 가평 전투에서 영연방 한국 파병군과 대한민국 국군이 중국 인민지원군에게 승리한 것을 기념한다. 기념비는 높이 12m이며,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의 국기와 비문이 새겨져 있다. 매년 4월 가평 전투를 기념하여 추모 행사가 열리며, 2011년에는 가평 전투 60주년 추모식이 거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캐나다 관계 - 주한 캐나다 대사관
주한 캐나다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캐나다의 외교 관계를 대표하며, 1974년 상주 대사관으로 설치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에서 협력을 증진하고, 캐나다 국민 보호 및 사증 발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캐나다 관계 - 주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
주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은 캐나다에 주재하는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1963년부터 23명의 대사가 역임했다. - 뉴질랜드-대한민국 관계 -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은 1971년 뉴질랜드 정부가 서울에 설치한 외교 공관으로, 대한민국과의 외교, 투자 유치, 자국민 보호, 문화 교류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양국은 사증 면제 협정에 따라 90일까지 비자 없이 체류가 가능하다. - 뉴질랜드-대한민국 관계 - 주뉴질랜드 대한민국 대사관
주뉴질랜드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 정부가 뉴질랜드 웰링턴에 설치한 외교 공관이며, 1971년에 설치되어 양국 간의 외교 관계를 담당한다. -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 관계 -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1953년 설치되어 한때 대사관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총영사관으로서, 뉴사우스웨일스주, 퀸즐랜드주, 노던 준주를 관할하며 대한민국과 해당 지역 간의 정치·경제 관계 증진, 영사 업무, 문화 교류, 교육 지원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소재 대한민국 정부의 외교 공관이다. -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 관계 - 6.25 전쟁 기간 오스트레일리아의 군사사
6.25 전쟁 기간 오스트레일리아는 육해공군을 한국 전쟁에 파병하여 가평 전투, 마량산 전투 등의 육상 전투와 해상 봉쇄, 함포 사격 지원, 제공권 확보 등에 기여했으며, 휴전 후에도 한반도 평화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
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대한민국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 654-1 |
좌표 | 37°49′18.5″N 127°30′19.6″E |
기념 정보 | |
종류 | 기념비 |
기공 | 1987년 5월 7일 |
준공 | 1988년 10월 27일 |
조성 | 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 건립 추진 위원회 |
디자인 | |
건축가 | 故 패트리샤, 故 브로디 |
조각가 | 故 잰슨 |
비문 | 자유를 위한 희생, 꺼지지 않는 우정 |
기타 정보 | |
관리 | 가평군 |
google_map | 가평 영연방 참전 기념비 |
2. 건립 배경
1951년 4월 22일부터 4월 25일까지 경기도 가평군에서 벌어진 가평 전투는 영연방 한국 파병군 및 대한민국 국군이 중국 인민지원군에 맞서 승리한 전투이다.[1] 이 기념비는 가평 전투에서 희생된 영연방 참전 용사들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기념비 중앙부에는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의 국기와 함께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 한국어 비문: 세계 평화와 자유 수호를 위해 한국 전쟁 중 이 땅에서 공헌한 호주(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지랜드(뉴질랜드), 영국의 영웅적인 용사들에게 바친다.
- 영어 비문: Dedicated to all ranks of the armed forces from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and the United Kingdom who fought in this soil for the defense of freedom and world peace during the Korean War.
기념비 하단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연방 한국 파병군의 희생자 통계와 참전 비문이 새겨져 있다.
2. 1. 가평 전투
가평 전투는 1951년 4월 22일부터 4월 25일까지 경기도 가평군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로, 영연방 한국 파병군(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4개국의 연합군) 및 대한민국 국군이 중국 인민지원군에 맞서 승리한 전투이다.[1]3. 기념비의 의미
영연방 한국전쟁 참전 기념비는 자유와 평화를 위해 낯선 땅에서 목숨 바쳐 싸운 영연방 참전용사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대한민국-영국,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간의 우호 관계를 증진하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기념비 중앙부에는 이들 국가의 국기와 비문이 새겨져 있으며, 기념비 하단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연방 한국 파병군의 희생자 통계와 참전 비문이 새겨져 있다.
기념비에 새겨진 한국어 비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계 평화와 자유 수호를 위해 한국 전쟁 중 이 땅에서 공헌한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의 영웅적인 용사들에게 바친다.
4. 추모 행사
매년 4월 가평 전투를 기념하여 기념비 앞에서 추모 행사가 열린다.[2]
4. 1. 60주년 추모식 (2011년)
2011년 4월 25일, 가평 전투 60주년을 맞아 영국 연방 참전 기념비 앞에서 추도식이 거행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길라드 총리, 뉴질랜드의 맵 국방부 장관, 대한민국의 김관진 국방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2]참조
[1]
웹사이트
記念碑
https://m.gptour.go.[...]
加平郡
2024-01-01
[2]
웹사이트
朝鮮戦争の加平戦闘から60年、参戦者らが追悼行事(4月25日)
https://jp.yna.co.kr[...]
2023-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