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평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평군은 대한민국 경기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 근평군에서 유래하여 신라 경덕왕 때 가평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에 현감, 군을 거쳐 일제강점기, 한국전쟁을 거치며 행정구역 개편을 겪었고, 현재는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면적의 81%가 산지이며, 북한강 지류가 흐르는 지형적 특징을 갖는다. 주요 산업은 농업, 상업, 서비스업이며, 특히 잣 생산량이 많다. 청평댐, 아침고요수목원 등 관광 명소가 많아 관광객이 많이 찾으며,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망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군 - 연천군
    연천군은 경기도 최북단에 위치한 군으로, 임진강과 한탄강이 흐르는 지형적 특징과 역사 유적, 풍부한 자연 생태계를 지니고 있으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 한국 전쟁 이후 행정구역 변화를 거쳐 현재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분단의 아픔과 함께 안보 및 문화관광 자원으로서 발전 가능성을 가진 지역이다.
  • 경기도의 군 - 양평군
    양평군은 경기도 남동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며, 1908년 양근군과 지평군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현재 1읍 11면의 행정구역을 갖춘, 농업과 관광산업이 주요한 지역으로 두물머리, 용문산 등의 관광 명소가 있고 서울특별시와의 근접성으로 주택 개발이 활발하며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으로 개발 제한과의 균형이 과제인 지역이다.
  • 1413년 폐지 - 장성군
    장성군은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 고시이현에서 갑성군을 거쳐 장성현으로, 이후 장성도호부를 거쳐 현재의 장성군이 되었으며, 광주광역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사이에 위치하고 백양사, 필암서원, 장성호 등의 관광지가 있다.
  • 1413년 폐지 - 고려의 행정 구역
    고려는 중앙 집권 강화와 효율적 지방 통치를 위해 12목 설치, 8목 정비, 십도 설치, 5도 양계 확립, 삼경 설치, 4도호부 설치 등 시대에 따라 행정 구역을 변화시켰다.
가평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가평을 흐르는 북한강
북한강이 가평을 흐르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평의 위치
대한민국에서 가평군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가평군
한글 표기가평군
한자 표기
로마자 표기Gapyeong-gun
맥큔-라이샤워 표기Kap'yŏng-gun
국가대한민국
지역수도권
광역자치단체경기도
면적843.26km²
인구 (2024년 9월)62,492명
인구 밀도73.59명/km²
방언경기도 방언
하위 행정 구역1읍 5면
상징
가평군 엠블럼
가평군 엠블럼
가평군 기
가평군 기
군목잣나무
군화개나리
군조
행정 및 정치
군수서태원 (국민의힘)
국회의원김용태 (국민의힘, 포천시·가평군)
기타
홈페이지가평군청

2. 역사

삼국사기에는 "가평군(加平郡)은 원래 고구려의 근평군(斤平郡)이었던 것을 신라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라고 기록되어있다.[21] 고려사에는 “가평(嘉平)을 가평(加平)이라 쓰기도 하며 고구려 근평군을 병평군(並平郡)이라 부르기도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이 지역이 원래는 고구려의 땅이었음을 알 수 있다.[21]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가평군 군내면(郡內面)군내면
가평군 내서면(內西面)
가평군 외서면(外西面)외서면
가평군 상북면(上北面)북면
가평군 하북면(下北面)
가평군 남면(南面)남면
가평군 상면(上面)상면
가평군 하면(下面)하면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남면 이화리, 산유리, 금대리, 복장리가평면 일부
남면 고성리, 호명리외서면 일부
양평군 설악면설악면 일원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가평군 외서면 입석리, 외방리, 내방리양주군 수동면 일부

2. 1. 고대 ~ 조선 초기

삼국사기에 “가평군(加平郡)은 원래 고구려의 근평군(斤平郡)이었던 것을 신라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라고 기록되어있다.[21] 고려사에는 “가평(嘉平)을 가평(加平)이라 쓰기도 하며 고구려 근평군을 병평군(並平郡)이라 부르기도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이 지역이 원래는 고구려의 땅이었음을 알 수 있다.[21]

2. 2. 조선 후기 ~ 일제강점기

고구려 시대에는 근평군(斤平郡)이었다. 당시 가평읍, 청평면 조종천 이북 지역, 북면 일대에 해당하며, 조종면복사매현, 설악면미원현이었다. 신라 경덕왕 때 가평(加平 또는 嘉平)으로 불렸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교주도(현재의 강원 특별자치도 영서 지역) 춘천에 속하였다가 1396년(조선 태조 5년) 감무가 설치되었고, 1413년(조선 태종 13년) 현감을 두고 강원도에서 경기도로 이속하였다. 1707년(숙종 33년) 군으로 복구되었다.

1888년 경기도에서 강원도로 이속되었다가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한성부 가평군,[22] 1896년 8월 4일 경기도 가평군으로 개편되었다.[24] 1895년 9월 7일(음력 7월 19일) 가평군을 폐지하여 포천군에 병합하였으나,[23] 1896년 다시 복설되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는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군내면과 내서면을 합치고, 상북면·하북면을 북면으로 합면하였다.[25] 1938년 1월 1일 군내면을 가평면으로 개칭하였다.[26] 1942년 10월 1일 양평군 설악면을 편입하고, 남면을 분할해 가평면, 외서면에 각각 편입시켜 폐지하였다.[27]

1945년 9월 2일 미군소련군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가평군의 대부분 지역이 미 군정의 관할이 되었다. 같은 해 11월 소련군정이 38선 이북 지역(북면 적목리의 북부)을 춘천군 사내면(현 화천군 사내면)과 함께 강원도 김화군에 편입시켰다.[28]

2. 3. 광복 이후 ~ 현재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가평군의 대부분 지역이 미 군정의 관할이 되었다.[28] 1945년 11월 소련군정이 38선 이북 지역(북면 적목리의 북부)을 춘천군 사내면(현 화천군 사내면)과 함께 강원도 김화군에 편입시켰다.[28]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이 회복되었다.[29] 1963년 1월 1일 양주군 수동면에 가평군 외서면 일부(입석리, 외방리, 내방리)가 이관되었다.[30]

법률 제1175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가평군 외서면 입석리, 외방리, 내방리양주군 수동면 일부



1973년 7월 1일 가평면이 가평읍으로 승격하였고, 양평군 서종면 삼회리를 외서면에, 같은 면의 노문리 일부를 설악면에 각각 편입하였다.[31] 2004년 12월 1일 외서면을 청평면으로 개칭하였다.[32] 2015년 12월 16일 하면을 조종면으로 개칭하고, 같은 면의 하판리(下板里)를 운악리(雲岳里)로 개칭하였다.[33]

3. 지리

가평군은 경기도의 동북부에 있으며 토지가 거의 화강암편마암으로 되어 있다. 전체 면적의 81%가 산지이며 군내를 광주산맥이 달리고 있는데, 매우 삭박(削剝)되어 산맥으로 인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되었지만 고도는 아직도 1,000m 이상을 유지하므로 지형이 전체적으로 높다. 광주산맥의 최고봉인 화악산이 진산이 되어 촛대봉, 매봉, 국망봉, 강씨봉, 명지산, 수덕산, 계관산을 거느리며, 해발 700~800m의 크고 작은 봉우리들을 끼고 웅장한 맥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산들의 계곡을 따라 흐르며 이어지는 가평천과 조종천의 수많은 지류들은 모두 북한강으로 유입되어 흐른다.

남쪽으로는 중미산, 화악산, 장락산이 산맥을 이루어 용문산으로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주금산, 축령산 등이 끝없는 산맥을 이어 나간다. 지역의 경계를 보더라도 동쪽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홍천군이 맞닿아 있고, 서쪽으로는 포천시, 남쪽으로는 양평군남양주시와 경계를 이루어 중부 전선의 요충지이다.

3. 1. 기후

가평군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5] 1993년부터 2020년까지 평균 기온은 10.2°C이며,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24.0°C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5.3°C이다.[5] 연간 총 강수량은 1374.8mm이며, 비가 가장 많이 오는 달은 7월로 417.9mm가 내린다.[5]

4. 행정 구역

가평군의 행정구역은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가평군의 인구는 62,415명, 30,768 가구이며,[34] 면적은 843.6 km2이다.[35] 인구의 31.5%가 가평읍에, 22.7%가 청평면에 거주하고 있어, 이 두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읍면한자면적인구세대행정 지도
가평읍加平邑145.019,6329,228
250px
설악면雪岳面141.539,4264,905
청평면淸平面112.314,1617,264
상면上面100.725,5052,974
조종면朝宗面113.089,7184,161
북면北面230.963,9732,236
가평군加平郡843.662,41530,768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말 기준


읍·면법정리
가평읍읍내리, 조곡리, 달전리, 하색리, 상색리, 두밀리, 경반리, 승안리, 마장리, 개곡리, 이화리, 산유리, 복장리, 금조리
청평면청평리, 상천리, 하천리, 대성리, 호명리, 고성리, 삼회리
북면목동리, 소법리, 화악리, 도대리, 적목리, 잣골리, 제령리, 이곡리
상면연하리, 항사리, 행현리, 임초리, 덕현리, 태봉리, 상동리, 릿길리, 봉수리, 원흥리
조종면현리, 신상리, 상판리, 신하리, 마일리, 대보리, 운악리
설악면신천리, 선촌리, 회곡리, 사룡리, 송산리, 미사리, 위곡리, 창의리, 엄정리, 설곡리, 묵안리, 가일리, 방일리, 천안리, 이천리



2010년 말 기준으로 가평군의 0~14세 인구는 13.8%, 65세 이상 인구는 18.2%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68.0%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0.3%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낮고, 노년인구부양비는 26.7%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높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5.9로 남자가 다소 많다.[36]

2010년 기준 가평군의 상주인구는 49,616명이고 주간인구는 53,495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8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5,614명, 유출인구는 1,741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59명, 유출인구는 453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3,879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 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39]

가평군은 1960년대까지 7만 명이 넘는 인구를 기록했으나, 이후 인구가 감소하여 1995년에는 49,596명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다시 인구가 증가하여 2020년에는 62,262명을 기록하고 있다.

연도총인구
1966년74,708명
1970년69,746명
1975년70,072명
1980년62,005명
1985년57,224명
1990년50,942명
1995년49,596명
2000년52,024명
2005년49,059명
2010년50,272명
2015년58,909명
2020년62,262명


4. 1. 인구

2010년 말 기준으로 가평군의 0~14세 인구는 13.8%, 65세 이상 인구는 18.2%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68.0%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0.3%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낮고, 노년인구부양비는 26.7%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높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5.9로 남자가 다소 많다.[36] 인구가 가장 많았던 때는 1975년으로, 75,444 명의 인구를 기록하였다.

2010년 기준 가평군의 상주인구는 49,616명이고 주간인구는 53,495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8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5,614명, 유출인구는 1,741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59명, 유출인구는 453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3,879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 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39]

가평군은 읍 1개와 면 5개를 관할하며, 2016년 12월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29,212가구, 62,448명이다. 면적은 843.6km²이다.[2] 인구의 약 31.6%는 가평읍에, 23.1%는 청평면에 거주한다.

연도총인구
1966년74,708명
1970년69,746명
1975년70,072명
1980년62,005명
1985년57,224명
1990년50,942명
1995년49,596명
2000년52,024명
2005년49,059명
2010년50,272명
2015년58,909명
2020년62,262명


5. 산업

경기도 내의 3개 군 중에서 가장 농경지가 적은 군으로서 주민들은 농업의 불리한 조건 때문에 과반수가 자유업을 택하고 있다. 그리하여 행상을 비롯한 상업 방면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다. 최근에는 양잠·축산이 성해 가고 있다. 산림은 한국전쟁으로 피폐해져서 용재·신탄의 산출이 많았으나 그 흔적도 쉽게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고 일부에 밤밭이 남아 있어 옛날의 특산물로 명맥을 잇고 있다. 광산물로는 흑연·구리·형석·남정석·홍주석 등이 있으며, 이 지방을 상징하는 청평수력발전소가 있다. 소규모의 한지·도자기 공장이 있다. 전체 수입의 약 20% 정도가 관광수입이다.[37]

가평군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2조 8,548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0.4%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274억원으로 0.1%의 비중을 차지한다.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1,391억원으로 5.48%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조 4,245억원으로 84.93%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전기 가스 서비스업(16.6%), 숙박음식업(9.8%)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7]

2014년 가평군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23,646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0.5%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108명으로 0.5%의 비중을 차지한다.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805명으로 7.6%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1,733명으로 91.9%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숙박 및 음식업(29.0%),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11.8%)과 도소매업(11.8) 보건, 복지 서비스업(8.1%) 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8]

주로 , 돼지, 사슴, 노루, 토끼 등이 사육되고 있다. 청평호를 중심으로 한 축산업이 많으며, 청평 호명리와 설악면의 사통리, 회곡리는 잉어가두리 양식업이 활발하다.

5. 1. 농업 및 특산물

가평군은 총 면적의 대부분(84%)을 임야가 차지하고 있어 농경지는 협소(2.2%)하다. 산간지역이라는 지형 조건 때문에 논농사보다는 밭농사 위주(총경지 면적의 62%)의 농업이 발달하였다. 주요 밭작물로는 콩·조·밀 등이 생산된다. 잣·밤·호두·사과·포도·배·대추·표고버섯·도토리 등의 특산물이 생산되어 농가의 소득원이 되고 있으며, 특히 잣은 전국 생산량의 1/3을 차지한다.

6. 문화·관광

가평군은 청평댐, 현등사, 농추폭, 조종암, 대보단 등이 있으며, 서울에서 불과 50km 떨어진 곳으로 교통이 편리하여 당일 코스 관광지로 발전했다. 경인 지방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동쪽으로는 강원도와 접해 있으며, 한강의 북쪽 지류가 이 지역을 흐른다. 군에는 여러 저수지와 휴양지가 있다.

아침고요수목원


남이섬


가평군은 아침고요수목원, 쁘띠프랑스, 청평댐과 청평호반, 용추계곡, 유명산, 북한강, 월사집목판, 현등사, 명지산, 도마치계곡, 연인산, 자라섬, 설미재미술관, 호명호수, 남송미술관, 가평펜션등의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남이섬 휴양지는 엄밀히 말하면 가평군에 위치하지 않지만, 가평의 남쪽 바로 근처에 있다.

가평은 또한 한국의 여러 막걸리 생산업체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1년부터 매년 전국 막걸리 축제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3][4]

매년 10월경에는 가평읍 일대와 자라섬에서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이 열린다. 5월에는 연인산 축제, 10월에는 북한강 축제가 열리고, 1월에는 자라섬 씽씽 겨울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연인산전국산악자전거대회도 개최된다. 가평군은 또한 한국의 여러 막걸리 생산업체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1년부터 매년 전국 막걸리 축제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3][4]

6. 1. 관광 명소

가평군은 청평댐, 현등사, 농추폭, 조종암, 대보단 등이 있으며, 서울에서 불과 50km 떨어진 곳으로 교통이 편리하여 당일 코스 관광지로 발전했다. 경인 지방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동쪽으로는 강원도와 접해 있으며, 한강의 북쪽 지류가 이 지역을 흐른다. 군에는 여러 저수지와 휴양지가 있다.

가평군은 아침고요수목원, 쁘띠프랑스, 청평댐과 청평호반, 용추계곡, 유명산, 북한강, 월사집목판, 현등사, 명지산, 도마치계곡, 연인산, 자라섬, 설미재미술관, 호명호수, 남송미술관, 가평펜션등의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남이섬 휴양지는 엄밀히 말하면 가평군에 위치하지 않지만, 가평의 남쪽 바로 근처에 있다.

가평은 또한 한국의 여러 막걸리 생산업체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1년부터 매년 전국 막걸리 축제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3][4]

6. 2. 축제

매년 10월경에는 가평읍 일대와 자라섬에서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이 열린다. 5월에는 연인산 축제, 10월에는 북한강 축제가 열리고, 1월에는 자라섬 씽씽 겨울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연인산전국산악자전거대회도 개최된다. 가평군은 또한 한국의 여러 막걸리 생산업체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1년부터 매년 전국 막걸리 축제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3][4]

7. 교통

경춘선이 군의 동남부 한강 연안을 따라 지나가며, 경춘국도도 이와 평행하게 뻗어 있다. 청평에서는 조종천을 따라 포천 일동면까지 국도가 건설되어 있다. 북한강의 수운은 강원 홍천까지 이어져 수륙교통은 편리한 편이다. 서울양양고속도로의 개통으로 특히 청평, 설악면의 서울, 춘천 접근성이 좋아졌다.

가평군에는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설악 나들목을 통해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75호선이 지나간다.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지방도 제352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지방도 제368호선, 지방도 제387호선, 지방도 제391호선도 가평군을 경유한다.

한국철도공사 경춘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가평군을 지난다. 남양주시에서 대성리역을 거쳐 청평역, 상천역, 가평역을 지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로 이어진다.

7. 1. 도로

가평군에는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설악 나들목을 통해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75호선이 지나간다.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지방도 제352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지방도 제368호선, 지방도 제387호선, 지방도 제391호선도 가평군을 경유한다.

7. 2. 철도

한국철도공사 경춘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가평군을 지난다. 남양주시에서 대성리역을 거쳐 청평역, 상천역, 가평역을 지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로 이어진다.

8. 교육

가평군에는 여러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고등학교로는 가평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조종고등학교, 청심국제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로는 가평북중학교, 가평중학교, 설악중학교, 조종중학교, 청심국제중학교, 청평중학교가 있다.

초등학교로는 가평마장초등학교, 가평초등학교, 대성초등학교, 목동초등학교, 목동초등학교 명지분교, 미원초등학교, 미원초등학교 위곡분교, 미원초등학교 장락분교, 방일초등학교, 상면초등학교, 상색초등학교, 상천초등학교, 연하초등학교, 율길초등학교, 조종초등학교, 청평초등학교가 있다.

통일교가 운영하는 청심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는 속초면에 있으며, 2004년 1월 28일에 설립되어 통일교 신학을 가르치는 대학원 과정이다. 청심국제중고등학교 또한 같은 지역에 있다.

9. 자매 도시

지역 & 국가도시
25px
경기도
25px
성남시
25px
서울특별시
25px
강남구
25px
성북구
25px
은평구
25px
유타주
시더군
25px
뉴사우스웨일스주
25px
시드니 스트라스필드
25px
온타리오주
브램턴


  • 코타키나발루, 말레이시아[6][7]
  • 강남구, 대한민국
  • 시더 시티, 유타주, 미국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행정구역 - 가평군청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http://www.gp.go.kr/[...] 2019-06-07
[3] 웹사이트 Makgeolli Festival (막걸리 페스티벌) https://makfe.modoo.[...] 2021-06-14
[4] 웹사이트 Makgeolli Festival to Kick Off Next Week http://world.kbs.co.[...] KBS World 2015-10-20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6] 웹사이트 KK and S. Korean city Gapyeong to be sister cities https://web.archive.[...] 2019-12-07
[7] 웹사이트 김성기 가평군수, 관광 활성화 위해 말레이시아 방문해 가평군 홍보 https://web.archive.[...] Kyeongin 2019-12-08
[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9]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ko: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1895-05-26
[10]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1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42호 1942-09-30
[14] 웹사이트 화천군 연혁 https://www.ihc.go.k[...] 화천군 홈페이지 2017-06-25
[15] 법령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16] 법령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7] 법령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8] 법령 가평군조례 제1818호 가평군 리ㆍ반 설치 및 운영 조례 2004-11-25
[19] 법령 가평군조례 제2337호 가평군 리ㆍ반 설치 및 운영 조례 2015-12-16
[2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1] 웹인용 지명이 품은 경기도 가평 https://ggc.ggcf.kr/[...]
[22]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23] 법령 칙령 제144호 한성부 관할 내 포천군의 가평군 병합에 관한 건 1895-07-22
[24] 법령 칙령 제36호 지방제도관제개정건 1896-08-04
[2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6]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2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42호 1942-09-30
[28] 웹사이트 화천군 연혁 https://www.ihc.go.k[...] 화천군 홈페이지 2017-06-25
[29] 법령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30] 법령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31] 법령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32] 법령 가평군조례 제1818호 가평군 리ㆍ반 설치 및 운영 조례 2004-11-25
[33] 법령 가평군조례 제2337호 가평군 리ㆍ반 설치 및 운영 조례 2015-12-16
[3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2020-08-22
[35] 웹사이트 행정구역 http://www.gp.go.kr/[...] 가평군청 홈페이지 2017-03-31
[36] 간행물 가평군 통계연보
[37]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38]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39]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