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에르네만 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디에르네만 해전은 1944년 8월,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연합군의 프랑스 진격 과정에서 영국 해군이 프랑스 대서양 연안에서 독일 해군을 소탕하기 위해 수행한 전투이다. 영국 해군은 제27기동대를 투입하여 레이더를 활용, 독일군 함선을 기습 공격하여 다수의 함선을 격침시켰다. 이 전투는 독일 해군의 서부 해역 활동을 위축시키고 연합군의 해상 우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현대 해전에서 정보 획득과 분석 능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이 참가한 해전 - 유틀란트 해전
유틀란트 해전은 1916년 5월 31일부터 6월 1일까지 유틀란트 반도 해역에서 영국 해군과 독일 해군 간에 벌어진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해전으로, 독일의 전술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전략적 승리로 평가받는다. - 독일이 참가한 해전 - 웨상섬 해전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독일 해군의 브레스트 주둔 구축함대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벌어진 웨상섬 해전은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레이더와 전자 장비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베저위붕 작전
1940년 4월 9일 나치 독일이 철광석 수송로 확보와 영국 해군 기지 건설 저지를 목표로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침공한 베저위붕 작전은, 주요 도시 기습 점령, 해상 및 육상 전투, 노르웨이 왕실 망명, 연합군 개입을 야기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전개에 영향을 미쳤고 뉘른베르크 재판의 쟁점이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인도양 공습
인도양 공습은 1942년 4월 일본 해군이 실론과 인근 해역을 공격한 해상 및 항공 작전으로, 일본군은 콜롬보와 트린코말리를 공습하고 영국 함선들을 격침시켰으며, 영국은 이에 대응하여 동양 함대를 재편성했다. - 캐나다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오키나와 전투
오키나와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미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오키나와에서 벌인 격전으로, 일본군의 치열한 저항과 가미카제 공격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으며, 미군 승리로 끝났지만 현재까지 오키나와 미군 기지 존속의 원인이 되었다. - 캐나다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횃불 작전
횃불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에 상륙하여 추축군의 영향력을 제거하고 유럽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감행한 군사 작전으로, 미군과 영국군이 주축이 되어 모로코와 알제리에 상륙하는 과정에서 비시 프랑스군과의 교전과 복잡한 정치적 상황이 있었다.
오디에르네만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 오버로드 작전, 대서양 해전 |
날짜 | 1944년 8월 23일 |
장소 | 프랑스 비스케이만 중 오디에르네만 |
결과 | 영국 해군의 승리 |
관련 전투 | 노르망디 상륙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
지휘관 | |
지휘관 1 | 윌리엄 데이비스 |
지휘관 2 | 불명 |
병력 규모 | |
병력 1 | 순양함 1척, 구축함 2척 |
병력 2 | 10척의 함선 및 상선 |
사상자 규모 | |
사상자 1 | 없음 |
사상자 2 | 8척 격침, 161명 포로 |
시각 자료 | |
![]() |
2. 배경
1944년 8월,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연합군은 프랑스 내륙으로 빠르게 진격하고 있었다. 8월 초 독일군의 뤼티히 작전(모르탱 반격)이 중단되었고,[7][2] 동쪽에서는 미군이 8월 13일 아르장탕을 점령했다.[7][2] 북쪽에서는 영국군과 캐나다군이 팔레즈를 향해 진격하며 팔레즈 포위망(팔레즈 포위전)을 형성, 그 안에 갇힌 독일군 2개 군을 섬멸하려 하고 있었다.[7][2] 브르타뉴 반도의 항구들에 대한 포위는 계속되었지만, 전쟁의 주요 초점은 파리 해방과 북프랑스 주요 도시 탈환을 위해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었다.[7][2]
제27기동대의 지휘관 윌리엄 데비스는 접촉 지점에 가장 가까운 함선인 이로쿼이 함의 함장 제임스 칼커트 히바드에게 공격을 명령했다.[2][7] 이로쿼이 함은 293형 레이더를 활용하여 기습 공격을 준비했고, 조명탄 발사를 통해 연합군 함대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고 독일군에게 접근할 수 있었다.[1][6]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국 해군 사령부는 '키네틱 작전'(''Operation Kinetic'')을 수립했다. 이 작전의 목표는 프랑스 대서양 연안 항구들을 따라 이동하는 독일 해군 함선들을 소탕하는 것이었다.[8][3] 키네틱 작전에는 3개의 기동 부대가 투입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윌리엄 데이비스(William Davis)가 지휘하는 제27기동대(Task Force 27)였다.[9][4] 제27기동대는 경순양함 HMS ''모리셔스''와 구축함 HMS ''우르사'', HMCS ''이로쿼이''로 구성되었다.[9][4] 이들은 8월 13일 플리머스 항구를 떠나 비스케이만 중앙 해역에서 새로운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9][4] 해군집단사령부 서부(Marinegruppenkommando West)의 지휘 아래 독일 해군 함선들이 철수를 시도하면서, 키네틱 작전은 이미 두 차례의 성공을 거두었고, 비스케이만에서의 해상 공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는 단계에 접어들고 있었다.[9][4]
8월 22일에서 23일로 넘어가는 밤, 제27기동대는 해군 정보부의 지시에 따라 브레스트와 로리앙 사이의 오디에르네 만(Audierne Bay)을 정찰하고 있었다.[10][5] 이때 기동대의 레이더는 자신들을 향해 접근하는 다수의 독일군 함선들을 포착했다.[10][5]
3. 전투
02시 13분, 이로쿼이 함이 독일군 대공 함선에 포격을 가해 명중시키며 화재를 일으켰다. 두 번째 대공 함선은 모리셔스 함의 중포에 의해 빠르게 격침되었고, 다른 한 척의 독일 함선은 화재가 발생하여 해안가로 밀려났다. 교전 시작 후 불과 19분 만에 독일 함선 3척이 모두 작전 불능 상태가 되었는데, 2척은 침몰하고 나머지 1척은 해안에 좌초된 채 불탔다.[2][7]
약 2시간 후, 이로쿼이 함은 브레스트 항구를 떠나는 또 다른 독일 호송선단 4척을 탐지했다. 이 호송선단은 M급 기뢰 탐색함 1척, 대공 함선 2척, 그리고 개조된 기뢰 파괴선인 Sperrbrecher|슈페르브레허de 1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4][9] 제27기동대는 04시 08분경 장거리에서 기습적으로 접근하여 조명탄을 발사하며 공격을 시작했다. 영국 해군과 캐나다 해군 함대는 독일 호송선단을 압도하여 2척을 격침시켰다. 나머지 2척의 독일 함선은 혼란 속에서 서로 충돌하여 화염에 휩싸였고, 생존자들은 배를 버리고 해안으로 헤엄쳐 달아났다. 충돌한 함선 중 1척은 전복되어 침몰했고, 다른 1척은 전속력으로 후퇴하다 암초에 부딪혀 폭발했다.[4][9]
새벽이 되자 제27기동대는 독일 호송선단의 완전한 파괴를 확인하기 위해 오디에르네 만 인근을 수색했다.[1][6] 이 과정에서 기뢰 탐색함 1척이 발견되자 기동대는 함포 사격을 가해 포트 오디에르네 근처의 암초로 몰아넣었다. 이로쿼이 함이 어뢰를 발사하여 이 기뢰 탐색함을 격침시켰고, 우르사 함은 좌초된 다른 선박에서 생존자 11명을 포로로 잡았다. 해안으로 탈출한 약 150명의 독일군 생존자들은 이후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 이것으로 제27기동대의 작전은 마무리되었다.[2][7]
3. 1. 전투의 특징: 레이더의 활용
데이비스 제독은 접촉 지점에 가장 가까운 함선인 제임스 칼커트 히바드가 지휘하는 이로쿼이 함에게 293형 레이더를 사용하여 적 정보를 파악하고 다른 함선들에게 전달하라고 명령했다.[2][7] 히바드 함장은 레이더를 매우 신뢰했기 때문에, 함교가 아닌 레이더가 설치된 작전 정보 센터에서 직접 전투를 지휘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조명탄 발사를 명령하여 제27기동부대가 적에게 발각되지 않고 기습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1][6]
이로쿼이 함의 레이더는 전투 내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첫 교전에서 레이더는 세 척으로 구성된 독일 호송선단을 정확히 탐지하여 기습 공격을 가능하게 했다.[1] 02시 13분, 이로쿼이 함의 포격으로 시작된 공격은 19분 만에 독일 함선 3척을 무력화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2][7]
두 시간 뒤 벌어진 두 번째 교전에서도 이로쿼이 함은 레이더를 이용해 브레스트 항구를 떠나는 4척의 독일 함선(M급 기뢰 탐색함, 2척의 대공 함선, Sperrbrecher)을 탐지했다.[4][9] 제27기동부대는 이로쿼이 함의 레이더 정보를 바탕으로 장거리에서 독일 함대를 추격하여 04시 08분경 다시 한번 기습 공격을 감행했고, 이 교전에서도 독일 함선들을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었다.[4][9] 새벽에 이루어진 수색 작전 중에도 레이더는 기뢰 탐색함을 발견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이로쿼이 함은 어뢰로 이를 격침시켰다.[2][6]
이처럼 히바드 함장의 레이더에 대한 신뢰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전술은 오디에르네만 해전에서 연합군 기동부대가 기습의 이점을 살려 큰 성공을 거두는 데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4. 이후
이 전투의 결과 독일 해군은 총 8척의 함선을 잃었다. 기뢰제거함 1척은 해안으로 밀려가 심각한 손상을 입었고, 대공포함 1척, 무장 어선 5척, 그리고 슈페르브레허 1척이 파괴되었다.[6][1] 연합군의 승리에는 ''이로쿼이''함의 활약과 더불어, 울트라 암호 해독을 통한 정보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9][7][4][2]
8월 마지막 주에는 'Operation Assaulteng'라는 새로운 해군 작전이 시작되었다. 영국 해군 소속 경순양함 HMS ''벨로나''가 벨 일에서 아르카숑 곶까지 비스케이만 해안을 순찰하며 독일군에 대한 잠재적인 보급 기지를 제거하려 했다.[9][4] 이 작전에는 영국 해군과 왕립 캐나다 해군이 참여하여 지속적으로 비스케이 만을 순찰하고, 일부 섬에 상륙 부대를 보내 점령하기도 했다.[9][4]
하지만 비스케이 만의 주요 항구들을 봉쇄하는 것은 육상 작전과 별개로 진행되어 즉각적인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웠다.[9][4] 주요 항구인 브레스트는 오버로드 작전 이후인 9월 19일에야 연합군에게 점령되었고, 생나제르와 로리앙은 제2차 세계 대전이 거의 끝나갈 무렵인 1945년 5월 8일, 독일이 항복한 후에야 점령되었다.[8][9]
오디에르네만 해전을 포함한 'Operation Kineticeng'의 성공과 연합군의 지속적인 해군 및 공중 공세는 독일 해군 서부 사령부(Marineoberkommando West)의 작전 방식을 바꾸는 데 영향을 미쳤다.[8][3] 독일 해군은 점차 활동 범위를 축소하여 해안 요새를 중심으로 방어 작전을 펼치게 되었다.[8][3]
참조
[1]
서적
The German Fleet at War
[2]
문서
German
[3]
문서
Paterson
[4]
논문
The Biscay Blockade: Canadian Tribal Class Destroyers in Operation Kinetic
http://www.cnrs-scrn[...]
2014-06-08
[5]
서적
Chronology of the War at Sea, 1939-1945: 1943-1945 Volume 2
https://books.google[...]
Allan
1972
[6]
서적
The German Fleet at War
[7]
문서
German
[8]
문서
Paterson
[9]
간행물
The Biscay Blockade: Canadian Tribal Class Destroyers in Operation Kinetic
http://www.cnrs-scrn[...]
2014-06-08
[10]
서적
Chronology of the War at Sea, 1939-1945: 1943-1945 Volume 2
http://books.google.[...]
Allan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