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눈이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목눈이류는 오목눈이과에 속하는 작은 새들을 통칭하며, 숲, 특히 숲 가장자리나 관목이 우거진 곳에 서식한다.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서부에 주로 분포하며, 일부 종은 좁은 지역에 국한되어 서식하기도 한다. 오목눈이류는 곤충과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고, 겨울에는 열매나 씨앗도 섭취하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습성이 있다. 둥지는 거미줄과 지의류를 엮어 짓고, 일부일처제를 따르지만, 북미덤불오목눈이와 같이 일부다처제를 보이는 종도 있다. 오목눈이과는 3개 속에 13종으로 분류되며, 흰턱딱새소목에 속한다.
오목눈이과의 모든 종은 숲에 서식하며, 특히 숲 가장자리와 하층 식생 서식지를 선호한다. ''Aegithalos'' 속의 종은 활엽수림 또는 혼합 활엽수림을 선호하는 반면, 인도네시아 난쟁이알락꼬리딱새는 주로 산지 침엽수림에서 발견된다. 알락꼬리딱새는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때로는 세이지 관목 스텝과 다른 건조한 관목지에서도 발견되지만, 혼합된 숲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이 과의 대부분의 종은 히말라야 산맥을 포함한 주변의 산악 지대에서 살고 있으며, 아메리카알락꼬리딱새를 제외한 모든 종은 유라시아에서 발견되는데, 아메리카알락꼬리딱새는 북아메리카 서부가 원산지이다. 오색방울새는 오목눈이과 중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며, 영국에서 일본에 이르는 유라시아 전역에 걸쳐 서식한다. 반대로 두 종은 매우 좁은 분포를 보이는데, 버마알락꼬리딱새는 버마의 두 산에만 서식하며, 난쟁이알락꼬리딱새는 서부 자바 섬의 산에만 서식한다. 이 과의 종들은 일반적으로 철새가 아니지만, 오색방울새는 분포 범위의 북쪽 가장자리(특히 시베리아)에서 흩어지는 경향이 있다. 많은 산악 종들은 겨울 동안 더 낮은 지대로 이동한다.[3]
오목눈이류는 주로 곤충과 매미충, 거품벌레, 진딧물, 깍지벌레, 애벌레 같은 기타 무척추동물을 먹는다.[6][11] 겨울에는 열매나 씨앗과 같은 식물성 물질도 가끔 섭취한다.[11] 이들은 나무 위, 대개 관목층이나 수관에서 먹이를 찾으며, 땅에 내려오는 경우는 드물다. 먹이는 보통 나뭇가지, 잎, 싹에서 찾아내며, 드물게 공중에서 먹이를 잡기도 한다. 먹이를 찾을 때, 이 민첩한 종류는 나뭇가지에 거꾸로 매달리기도 하고, 숨겨진 먹이를 찾기 위해 나뭇가지와 잎을 조작하기도 한다.[3]
오목눈이과(Aegithalinae)는 1850년 독일의 박물학자 루드비히 라이헨바흐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13][5] 이 과의 이름은 방언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방언은 고대 그리스어 단어 aigithalos|아이가탈로스grc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동고비를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오목눈이, 큰유럽숲새, 유럽총류의 세 종을 인식했다.[9]
2. 분포 및 서식지
3. 형태
이들은 작은 새로, 비교적 긴 꼬리를 포함하여 길이가 9cm에서 14cm이며, 무게는 4.5g에서 9g에 불과하다. 깃털은 일반적으로 칙칙한 회색 또는 갈색이지만, 일부 종은 흰색 무늬가 있고, 긴꼬리오목눈이는 약간 분홍빛을 띤다.[7] 나머지 과와 대조적으로, ''Leptopoecile'' 속의 두 종은 보라색과 파란색 깃털을 가지고 있어 꽤 밝은 색을 띤다. 볏오목눈이는 이 과에서 볏을 가진 유일한 구성원이다. 이 과의 부리는 작고 짧으며 원뿔 모양이다. 날개는 짧고 둥글며 다리는 비교적 길다.
4. 생태
오목눈이과는 일반적으로 일부일처제로 번식하지만, 북미덤불오목눈이는 일부다처제를 보이기도 하고, 드물게 난혼이나 일부다처의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14][15] 짝을 짓지 못한 개체가 이미 짝을 이룬 새의 육아를 돕는 협동 번식은 최소 4종에서 기록되었으며, 다른 종에서도 나타나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3][12][14][15]
거미줄과 지의류를 엮어 돔이나 주머니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깃털로 안을 깐 둥지는 주로 잎이 무성한 나무에 지어 포식자가 찾기 어렵게 한다.[6] 그러나 북미덤불오목눈이는 둥지를 완전히 노출된 곳에 짓기도 한다.[15] 한 배에 낳는 알의 수는 5~10개이며, 많은 종이 붉은 반점이 있는 흰색 알을 낳는다. 어미 새는 13~14일 동안 알을 품고, 새끼는 16~18일 동안 둥지에 머문다. 긴꼬리할미새, 검은목덤불오목눈이, 은목덤불오목눈이 등 최소 4종에서는 암컷만 알을 품는다.[7][12] 어린 새끼는 곤충과 거미만 먹는다.[3]
4. 1. 행동
이 과의 새들은 4마리에서 50마리 이상으로 구성된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12][15] 무리는 번식기가 끝나자마자 형성되어 다음 번식기가 시작될 때까지 지속된다. 종에 따라 다른 접촉 소리를 내며 서로 연락을 유지하고, 노래는 조용하거나 거의 없다.[7][15] 박새나 휘파람새와 같은 다른 종의 새들이 먹이를 찾기 위해 가끔 무리에 합류하기도 한다.[12]
4. 2. 먹이
오목눈이류는 주로 곤충과 매미충, 거품벌레, 진딧물, 깍지벌레, 애벌레 같은 기타 무척추동물을 먹는다.[6][11] 겨울에는 열매나 씨앗과 같은 식물성 물질도 가끔 섭취한다.[11] 이들은 일반적으로 나무 위, 대개 관목층이나 수관에서 먹이를 찾으며, 땅에 내려오는 경우는 드물다. 먹이는 보통 나뭇가지, 잎, 싹에서 찾아내며, 드물게는 공중에서 먹이를 잡기도 한다. 먹이를 찾을 때, 이 민첩한 종류는 나뭇가지에 거꾸로 매달리기도 하는데(비록 이 행동이 오목눈이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숨겨진 먹이를 찾기 위해 나뭇가지와 잎을 조작하기도 한다.[3]
4. 3. 번식
오목눈이과는 일반적으로 일부일처제로 번식한다. 그러나 북미덤불오목눈이는 일부다처제를 보이기도 하고, 드물게 난혼이나 일부다처의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14][15] 짝을 짓지 못한 개체가 이미 짝을 이룬 새의 육아를 돕는 협동 번식이 최소 4종에서 기록되었으며, 다른 종에서도 나타나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3][12][14][15]
오목눈이류는 거미줄과 지의류를 엮어 돔이나 주머니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깃털로 안을 깐다. 둥지는 주로 잎이 무성한 나무에 지어 포식자가 찾기 어렵게 한다.[6] 그러나 북미덤불오목눈이는 둥지를 완전히 노출된 곳에 짓기도 한다.[15]
한 배에 낳는 알의 수는 5~10개이며, 많은 종이 붉은 반점이 있는 흰색 알을 낳는다. 어미 새는 13~14일 동안 알을 품고, 새끼는 16~18일 동안 둥지에 머문다. 긴꼬리할미새, 검은목덤불오목눈이, 은목덤불오목눈이 등 최소 4종에서는 암컷만 알을 품는다.[7][12] 어린 새끼는 곤충과 거미만 먹는다.[3]
5. 분류
검은머리오목눈이는 무리 지어 다니고 둥지가 오목눈이의 둥지와 유사하기 때문에 이 과에 속하지만, 그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여 분류가 잠정적이다.[7] 버마오목눈이는 때때로 검은눈썹오목눈이와 동일종으로 취급된다.[3] 북미오목눈이는 한때 박새과에 속한다고 생각되었지만, 둥지 틀기와 관련하여 독특한 행동 습관을 가지고 있다.[11]
휘파람새상과 내에서 섬유풀밭새과(Phylloscopidae)·솔새사촌과(Cettidae)와 근연 관계에 있다.[16] 과거 솔새과(Sylviidae)에 속했던 푸른산새속(Leptopoecile)이 되지빠귀과(에나가과)로 옮겨졌다.
5. 1. 하위 속
오목눈이과는 3개 속에 13종이 있다.[10][3][4]
이미지 | 속 | 현존하는 종 |
---|---|---|
![]() | Leptopoecile | |
![]() | Psaltriparus | |
![]() | Aegithalos | |
5.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흰턱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20]{| class="wikitable"
|-
! 흰턱딱새소목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니카토르과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솔새과
|-
|
{| class="wikitable"
|-
| 개개비사촌과
|-
|
{| class="wikitable"
! 섬개개비상과
|-
|
{| class="wikitable"
|-
|
그라우어솔새과 |
개개비과 |
|-
|
{| class="wikitable"
|-
| 섬개개비과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흰턱딱새상과
|-
|
{| class="wikitable"
|-
| 직박구리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동박새과
|-
|
{| class="wikitable"
|-
| 꼬리치레과
|-
|
{| class="wikitable"
|-
|
상사조과 |
알키페과 |
|-
| 땅꼬리치레과
|}
|}
|}
|}
|}
|}
|}
|}
|}
|}
|}
|}
|}
|}
|}
|-
! 오목눈이상과
|-
|
{| class="wikitable"
|-
| 솔새과
|-
|
{| class="wikitable"
|-
| 힐리아과
|-
|
{| class="wikitable"
|-
| 오목눈이과
|-
|
{| class="wikitable"
|-
| Erythrocercidae
|-
|
Scotocercidae |
휘파람새과 |
|}
|}
|}
|}
|}
|}
|}
2019년 칼 올리버로스와 그의 동료들이 발표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1] 종의 수는 프랭크 길, 파멜라 라스무센과 데이비드 돈스커가 국제 조류 학회(IOC)를 대신하여 관리하는 조류 목록에서 가져온 것이다.[2]
{| class="wikitable"
|-
! Aegithaloidea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휘파람새과 – 휘파람새 (80종)
|-
|
{| class="wikitable"
|-
| 힐리아과 – 힐리아 (2종)
|-
|
{| class="wikitable"
|-
| '''오목눈이과''' – 오목눈이 (13종)
|-
|
{| class="wikitable"
|-
| 꼬리치레과 – 꼬리치레 (3종)
|-
|
얼룩수염오목눈이과 – 얼룩수염오목눈이 |
섬개개비과 – 섬개개비 및 근연종 (32종) |
|}
|}
|}
|}
|}
|}
|}
오목눈이과 (아과 Aegithalinae)는 1850년 독일의 박물학자 루드비히 라이헨바흐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13][5] 이름은 방언에서 유래되었으며, 방언은 고대 그리스어 단어 aigithalos|아이가탈로스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동고비를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오목눈이, 큰유럽숲새, 유럽총류의 세 종을 인식했다.[9]
검은머리오목눈이는 무리 지어 다니고 둥지가 오목눈이의 둥지와 유사하기 때문에 이 과에 속하지만, 그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여 분류가 잠정적이다.[7] 버마오목눈이는 때때로 검은눈썹오목눈이와 동일종으로 취급된다.[3] 북미오목눈이는 한때 박새과에 속한다고 생각되었지만, 둥지 틀기와 관련하여 독특한 행동 습관을 가지고 있다.[11]
3개 속에 13종이 있다.[10][3][4]
이미지 | 속 | 현존하는 종 |
---|---|---|
Leptopoecile | ||
Psaltriparus | ||
Aegithalos | ||
휘파람새상과 내에서 섬유풀밭새과(Phylloscopidae)·솔새사촌과(Cettidae)와 근연 관계에 있다.[16]
과거 솔새과(Sylviidae)에 속했던 푸른산새속(Leptopoecile)이 되지빠귀과(에나가과)로 옮겨졌다.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섬유풀밭새과(Phylloscopidae)
|-
|! '''되지빠귀과'''
|-
|
{| class="wikitable"
|-
| ? 자바되지빠귀(Psaltria)
|-
|
{| class="wikitable"
|-
| 푸른산새속(Leptopoecile)
|-
|
되지빠귀속(Aegithalos) |
북미덤불되지빠귀(Psaltriparus) |
|}
|}
|-
| 솔새사촌과(Cettidae)
|}
|}
|}
참조
[1]
논문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2]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1.2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7
[3]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12.1
https://doi.org/10.1[...]
2022-01-29
[4]
논문
Phylogeny of long-tailed tits and allie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markers (Aves: Passeriformes, Aegithalidae)
https://www.scienced[...]
2010-06-01
[5]
서적
History and Nomenclature of Avian Family-Group Names
http://digitallibrar[...]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6]
서적
Encyclopaedia of Animals: Birds
Merehurst Press
[7]
서적
The Firefly Encyclopedia of Birds
Firefly Books
[8]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13, Penduline-tits to Shrikes"
"[[Lynx Edicions]]"
[9]
웹사이트
Key to Scientific Names in Ornithology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2018-03-21
[10]
웹사이트
Bushtits, leaf warblers, reed warbler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8-03-21
[11]
문서
Kaufman, K. (1996). Lives of North American Birds. Houghton Mifflin: Boston.
[12]
논문
Breeding biology of two sympatric ''Aegithalos'' tits with helpers at the nest
https://www.research[...]
[13]
서적
Die vollständigste Naturgeschichte der Vögel
https://biodiversity[...]
Expedition der Vollständigsten Naturgeschichte
[14]
논문
Incidence and origins of nest supernumeraries at Bushtit (''Psaltriparus minimus'') nests
https://sora.unm.edu[...]
1996-10
[15]
문서
"Sloane, S.A. 2001. Bushtit. In ''Birds of North America'', A. Poole, P. Stettenheim, F. Gill, Eds. Philadelphia: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16]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Passerida (Aves: Passeriformes): A review and a new molecular phylogeny based on three nuclear intron markers
http://www.nrm.se/do[...]
[17]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version 2.5)
http://www.worldbird[...]
[18]
문서
Gill, F., Wright, M. & Donsker, D. (2008). IOC World Bird Names (version 1.6). Available at http://www.worldbirdnames.org/
[19]
문서
Li, J., Lv, L., Wang, Y., Xi, B., & Zhang, Z. (2012). Breeding biology of two sympatric Aegithalos tits with helpers at the nest. Journal of Ornithology, 153(2), 273-283.
[20]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