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크움브리아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크움브리아어군은 이탈리아 반도에서 사용되었던 인도유럽어족의 언어군으로, 전통적으로 이탈리아어군의 한 갈래로 여겨져 왔다. 오스크어와 옴브리아어를 비롯하여 볼스키어, 사비니어 등이 포함되며, 기원전 400년부터 서기 1세기 사이에 제작된 비문을 통해 그 존재가 알려져 있다. 이 언어들은 라틴어와 비교하여 음운 및 형태론적 특징에서 차이를 보이며, 로마 공화국 시대에 이탈리아 중부와 남부에 거주했던 민족들의 언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크움브리아어군 - 오스크어
오스크어는 기원전 5세기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 이탈리아 남부에서 사용된 이탈리아어파의 사멸된 언어로, 삼니움족과 동맹 부족들이 사용하다 로마 공화정의 확장으로 라틴어에 흡수되었으며, 비문, 동전, 낙서, 특히 반티아 청동판 등으로 그 흔적이 남아있다.
오스크움브리아어군 | |
---|---|
개요 | |
이름 | 오스크-움브리아어군 |
다른 이름 | 사벨리크어 사벨리아어 |
사용 지역 | 고대 이탈리아 중남부 |
소멸 시기 | 기원전 1천년기 ~ 기원후 1천년기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이탈리아어파 |
조상 언어 | 원시 인도유럽어 원시 이탈리아어 |
하위 언어 | 오스크어† 움브리아어† 볼스키어† 사비네어† 남피케네어† 마르시아어† 파엘리니어† 헤르니키어† 마루키니어† 전-삼니트어† |
언어 코드 | |
글라톨로그 | sabe1249 |
글라톨로그 명칭 | Sabellic |
지도 | |
![]() |
2. 이탈리아어군과의 관계
앙투안 메이에의 독창적인 이론에 따라, 오스크움브리아어군은 전통적으로 이탈리아어군의 한 갈래로 여겨졌는데, 이탈리아어군은 라틴어와 팔리스카어를 비롯한 여러 관련 언어들을 묶은 언어군이다.[2]
오스크어는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전역에 흩어져 있던 오스크어 사용 식민지에서도 사용되었다. 오스크어는 로마의 강력한 적이었던 삼니트 부족의 언어였으며, 로마인들은 삼니트 전쟁(기원전 370년~기원전 290년)을 통해 수년에 걸쳐 이들을 정복했다.[1]
사벨릭어군의 두 주요 분파는 이탈리아반도의 중심부에서 사용되었으며, 남쪽에서는 오스크어, 오스크어 북쪽에서는 옴브리아어가 사용되었다. 사벨릭어군에는 볼스키어, 사빈어, 남피체노어, 마르시어, 펠리니, 헤르니키어, 마루치니아어, 전-삼니트어가 포함된다.
테오도어 몸젠은 그의 저서 ''Unteritalische Dialekte''에서 오스크어나 움브리아어가 아닌 이탈리아 중부의 로마 이전 방언을 설명하기 위해 '사벨릭'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7] 이 용어는 현재 오스코-움브리아어군 전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사벨릭"이라는 단어는 한때 오스코-움브리아어를 포함하여 이러한 소수 언어를 모두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북피체노어는 관련 여부가 불분명함에도 포함되었다.
앙투안 메이에의 독창적인 이론에 따라, 오스크움브리아어군은 전통적으로 이탈리아어군의 한 갈래로 여겨졌다. 이탈리아어군은 라틴어와 팔리스카어를 비롯한 여러 관련 언어들을 묶은 언어군이다.[2] 그러나 이 단일 분류 체계는 알로이스 발데, 비토레 피사니, 그리고 자코모 데보토 등을 포함한 여러 학자들에 의해 비판받았으며, 이들은 이탈리아어군을 두 개의 뚜렷한 인도유럽어파로 분류하는 안을 제시했다.[3]
이 단일 분류 체계는 알로이스 발데, 비토레 피사니, 그리고 자코모 데보토 등을 포함한 여러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으며, 이들은 이탈리아어군을 두 개의 뚜렷한 인도유럽어파로 분류하는 안을 제시했다. 이 견해는 20세기 후반에 어느 정도 지지를 받았지만, 이탈리아 내에서의 정확한 형성 과정과 유입 과정은 여전히 연구 대상이다.[3]
릭스 등과 같은 옹호자들은 나중에 이 아이디어를 거부했으며, 단일 이론(모든 이탈리아어군이 하나의 공통 조상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이 여전히 우세하다.[4] 어쨌든, 이들 언어의 확산은 동쪽 기원의 인도유럽어족의 점진적인 유입을 통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오스키족과 움브리족은 라틴족과 팔리스키족보다 늦게, 이아피기아족과 메사피아족보다 먼저 이탈리아 반도에 도달했다.[5]
3. 역사, 사회, 문화적 측면
이 언어들은 기원전 400년부터 서기 1세기 사이에 제작된 수백 개의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폼페이에는 공공 건물에 새겨진 헌사나 표지판과 같은 수많은 오스크어 비문이 있다.[1]
옴브리아어는 옴브리아인들이 로마에 정복되고 로마화 과정이 진행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모든 오스코-움브리아어 중에서 구비노 비문 때문에 가장 잘 알려져 있다.[1]
4. 분포
에퀴어와 베스티니아어는 전통적으로 오스크어군 또는 옴브리아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증거가 부족하며, 이러한 구분은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이들은 북쪽의 옴브리아어, 남쪽의 오스크어, 그 중간의 '사벨릭' 언어가 모두 특징을 공유하는 방언 연속체의 일부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다.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전역에는 오스크어를 사용한 식민지가 흩어져 있었다. 오스크어는 로마의 강력한 적이었던 삼니트 부족의 언어였으며, 로마인들은 이들을 정복하는 데 수년이 걸렸다. 삼니트 전쟁은 기원전 370년부터 기원전 290년까지 일어났다.
이 언어들은 사мни움과 캄파니아, 일부 아풀리아, 루카니아 및 브루티움에서 사용되었으며, 시칠리아 식민지인 메사나(메시나)의 마메르티니도 사용했다.
5. 과거 용법
6. 분류
이 견해는 20세기 후반에 어느 정도 지지를 받았지만, 이탈리아 내에서의 정확한 형성 과정과 유입 과정은 여전히 연구 대상이다.[3] 릭스 등과 같은 옹호자들은 나중에 이 아이디어를 거부했으며, 단일 이론(모든 이탈리아어군이 하나의 공통 조상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이 여전히 우세하다.[4] 어쨌든, 이들 언어의 확산은 동쪽 기원의 인도유럽어족의 점진적인 유입을 통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오스키족과 움브리족은 라틴족과 팔리스키족보다 늦게, 이아피기아족과 메사피아족보다 먼저 이탈리아 반도에 도달했다.[5]
사벨릭어군은 이탈리아 반도의 중심부에서 사용되었으며, 남쪽에서는 오스크어, 북쪽에서는 움브리아어가 사용되었다. 에퀴어와 베스티니아어는 전통적으로 오스크어군 또는 움브리아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증거가 부족하여 이러한 구분은 뒷받침되지 않는다. 이들은 북쪽의 옴브리아어, 남쪽의 오스크어, 그 중간의 '사벨릭' 언어가 모두 특징을 공유하는 방언 연속체의 일부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다.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전역에는 오스크어를 사용한 식민지가 흩어져 있었다. 오스크어는 로마의 강력한 적이었던 삼니트족의 언어였으며, 로마인들은 이들을 정복하는 데 수년이 걸렸다. (삼니트 전쟁은 기원전 370년부터 기원전 290년까지 일어났다).
이 언어들은 기원전 400년부터 서기 1세기 사이에 제작된 수백 개의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폼페이에는 공공 건물에 새겨진 헌사나 표지판과 같은 수많은 오스크어 비문이 있다. 옴브리아어는 옴브리아인들이 로마에 정복되고 로마화 과정이 진행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모든 오스코-움브리아어 중에서 구비노 비문 때문에 가장 잘 알려져 있다.
6. 1. 오스크어군
오스크어군은 다음과 같은 언어 또는 방언의 증거가 남아 있다.[8]
"사벨릭 방언"으로 통칭되는 거의 기록되지 않은 변종들은 두 주요 그룹에 많은 증거 없이 귀속된다. 일부 저자는 이러한 전통적인 분류에 의문을 제기하며, 예를 들어 에퀴어와 베스티니어를 함께 묶는 대신 서로 다른 분파에 배치한다.[9]
6. 2. 움브리아어군
움브리아어군은 이탈리아반도 중북부 지역에서 사용된 언어이다.[8]
6. 3. 피체노-프레 삼니테어
6. 4. 불명
다음은 증거가 남아있는 오스크움브리아어군 언어 또는 방언이다.[8]
"사벨릭 방언"으로 통칭되는 거의 기록되지 않은 변종들은 두 주요 그룹에 많은 증거 없이 귀속된다. 일부 저자는 이러한 전통적인 분류에 의문을 제기하며, 예를 들어 에퀴어와 베스티니어를 함께 묶는 대신 서로 다른 분파에 배치한다.[9]
7. 언어학적 특징
오스크움브리아어군은 융합어로, 라틴어와 비슷하게 단수에서 약 5개의 다양한 형태론적 격을 가지고 있었다.
7. 1. 라틴어와의 차이점
오스크움브리아어군은 라틴어보다 기록이 훨씬 부족하지만, 수천 단어 분량의 비문 모음 덕분에 언어학자들은 몇 가지 분지 혁신과 유지를 추론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원시 인도유럽어의 유기음은 라틴어에서 모음 사이에서 'b', 'd', 'h/g'로 나타나지만(''medius'' < ''*medʰyos''), 사벨어군에서는 유기음이 모두 'f'로 나타난다(오스크어 ''mefiai'' < ''*medʰyos''). 또한, 라틴어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순음설열 계열("Q-이탈리아어")을 유지했지만, 오스크움브리아어군은 이를 순음("P-이탈리아어")과 병합했다. 라틴어 ''quattuor'', 오스크어 ''petora''.참조
[1]
서적
Sabellische Texte: Die Texte des Oskischen, Umbrischen und Südpikenischen
Carl Winter University Press
2002
[2]
서적
Gli Indoeuropei e le origini dell'Europa
[3]
서적
Gli Indoeuropei e le origini dell'Europa
[4]
간행물
The Documentation of Italic
de Gruyter
2017
[5]
서적
The Foundations of Latin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8
[6]
문서
Sabellian Languages
CUP
2008
[7]
문서
Sabellic
[8]
문서
Vetter, 1953; Adiego-Lajara, 1992; Rix, 2000
[9]
문서
Coleman,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