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크어는 고대 이탈리아에서 사용된 언어로, 현재 약 800여 점의 기록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기록은 반티아 청동판, 오스크 청동판, 아벨라 석비 등에서 확인된다. 오스크어는 ‘고유’ 오스크어 문자, 그리스 문자, 로마자를 사용하여 기록되었으며, 기원전 400년부터 100년까지 그리스어와 공존했으나 로마 제국 성립 이후 점차 사라졌다. 라틴어와 유사한 점이 많지만, 음운론과 어휘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스크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오스크어 |
지역 | 이탈리아 남부, 중남부 |
사용 국가 | 삼니움, 캄파니아, 루카니아, 칼라브리아, 아브루초 |
사용 시대 | 기원전 5세기 ~ 기원후 1세기 |
사멸 시기 | 기원후 79년 이후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이탈리아어파 |
어군 | 오스크움브리아어군 (사벨리) |
조상 언어 | 인도유럽조어 |
조상 언어2 | 원시 이탈리아어 |
문자 | 고대 이탈리아 문자 |
ISO 639-3 | osc |
Linguist List | osc |
Glottolog | osca1244 |
Glottolog 이름 | Oscan |
![]() | |
![]() | |
방언 | |
방언1 | 헤르니키 |
방언2 | 마루치니아 |
방언3 | 오스크어 본래 |
방언4 | 파엘리니 |
방언5 | 삼니테스 |
방언6 | 시디치니 |
방언7 | 베스티니? |
2. 기록
오스크어로 작성된 기록은 기원전 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현재까지 약 800여 점이 발견되었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록이 나오고 있다.[27][4][31][8] 비문, 동전, 낙서 등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으며, 반티아 청동판, 오스크 청동판, 아벨라 석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27][28][29][30][4][5][6][7] 오스크어는 시기와 지역에 따라 고유의 오스크어 문자를 비롯하여 그리스 문자나 로마자 등 다양한 문자로 기록되었다.[31][8]
2. 1. 주요 기록
오스크어 기록은 기원전 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오스크어로 된 비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반티아 청동판(Tabula Bantina), 오스크 청동판(Tabula Osca),[27] 그리고 아벨라 석비(Cippus Abellanus)이다. 풀리아주 테아눔 아풀룸(Teanum Apulum) 마을 유적에서는 오스크어가 새겨진 기원전 300년경의 동전이 발견되었다.[28][29] 폼페이의 벽에 적힌 오스크어 낙서는 기원후 1세기까지도 도시에서 오스크어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30]2017년까지 총 800점의 오스크어 기록이 발견되었으며, 최근 들어 더 많은 기록이 발견되고 있다.[31] 오스크어는 시기와 장소에 따라 여러 문자로 기록되었는데, ‘고유’ 오스크어 문자, 그리스 문자에 바탕을 둔 남부 오스크어 문자, 그리고 최종적으로 널리 쓰이게 된 로마 오스크어 문자 등이 있다.[31]
2. 2. 사멸
기원전 400년부터 기원전 100년까지 이탈리아 남부 해안 지역에서는 그리스어와 오스크어가 함께 사용되었다. 이는 특정 언어가 다른 언어를 압도하지 않고 약 3세기 동안 안정적으로 공존한 독특한 사회적 이중언어 사용 사례로 평가받는다.[31][8] 그러나 로마 제국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이탈리아 남부에서 그리스어와 오스크어 모두 점차 사용이 줄어들었다.[31][8] (이탈리아에서 그리스어가 살아남아 그리코어가 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31])기원전 80년 이후에는 오스크어가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되는 것이 금지된 것으로 보인다.[33] 특히 동맹시 전쟁 이후 오스크어 사용은 더욱 위축되었다.[32][9]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크어 사용 지역에 남아있는 낙서들은 전쟁 이후에도 오스크어가 일상적인 대화에서 활발히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33][10] 가장 확실한 증거는 기원후 62년 지진 이후 새로 지어진 폼페이의 벽에서 발견된 오스크어 낙서이다.[34][35][11][12] 이 낙서들은 기원후 62년 지진 발생과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 사이의 시기에 작성된 것이 분명하다.[33][10]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로마 식민지화 이후 오스크어로 된 공공 비문이 사라졌다는 점을 들어, 이러한 낙서가 오스크어가 공용어로서 지위를 유지했다는 강력한 증거가 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13] 당시 라틴어는 정치, 종교, 행정 분야에서 중요한 언어로 자리 잡았고, 오스크어는 상대적으로 지위가 낮은 언어로 여겨졌을 가능성이 있다.[14][15] 이러한 상황은 이중 언어 현상(diglossia)으로 설명될 수 있다.[16] 기원후 1세기에도 오스크어 낙서가 일부 발견되기는 하지만, 라틴어를 사용하던 로마 시민들이 자신들의 조상이 라틴어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한 경우는 이탈리아에서 드물게 나타난다.[13]
3. 특징
오스크어는 고대 이탈리아 반도에서 사용된 언어로, 라틴어와 여러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음운, 어휘, 문법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어파 내에서는 가장 보수적인 언어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인도유럽어족의 고대 언어 특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3. 1. 라틴어와의 비교
오스크어는 라틴어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눈에 띄는 차이점도 많다. 라틴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휘가 오스크어에서는 다른 형태로 나타나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원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volō, volle, voluīla는 인도유럽조어 어근 *welh₁- 에서 유래했지만, 오스크어에서는 인도유럽조어 어근 *ǵʰer- ('바라다')에서 파생된 단어를 사용했다. 오스크어 ''herest'' ('그가 원할 것이다, 바랄 것이다')는 라틴어 volentla에 해당한다. 또한, '장소'를 의미하는 라틴어 locusla는 오스크어에는 없으며, 대신 단발어인 ''slaggid''가 사용되었다. 언어학자 알베르토 만코는 이 단어가 오스크어 사용 지역의 특정 지명에 남아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36][18]음운론적인 측면에서도 오스크어는 라틴어와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 라틴어의 ''qu''는 오스크어의 ''p''에 대응한다 (예: 오스크어 ''pis'' ↔ 라틴어 quisla). 이는 켈트어파의 P-켈트어와 Q-켈트어 분화와 유사한 현상이다.
- 라틴어의 ''v''는 오스크어의 ''b''에 대응한다.
- 단어 중간에 오는 라틴어 ''b''나 ''d''는 오스크어에서 ''f''로 나타난다 (예: 오스크어 ''mefiai'' ↔ 라틴어 mediaela).
오스크어는 알려진 이탈리아어파 언어들 가운데 가장 보수적인 언어로 평가받는다. 특히 인도유럽어족 전체에서도 그리스어와 더불어 조상 언어의 모음 체계, 특히 이중모음을 가장 잘 보존한 언어 중 하나로 여겨진다.[17]
3. 2. 보수성
오스크어는 알려진 모든 이탈리아어파 언어들 가운데 가장 보수적인 언어로 여겨진다.[17] 이는 인도유럽어족 전체에서도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그리스어와 함께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물려받은 모음 체계, 특히 이중모음을 잘 보존한 언어 중 하나이다.[17]4. 문자
오스크어는 본디 에트루리아 문자에서 파생된 고대 이탈리아 문자의 하나인 오스크 문자로 기록되었다. 후기에는 그리스 문자와 로마자도 사용되었다.
4. 1. 오스크 문자
오스크인은 기원전 7세기경 에트루리아 문자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이지만, 오스크어의 특징이 명확히 드러나는 문자 자료는 기원전 5세기부터 나타난다. 오스크 문자는 고대 이탈리아 문자 중 하나이며, 후기에는 그리스 문자나 라틴 문자로 쓰인 비문도 발견된다.오스크 문자는 에트루리아 문자에는 없는 두 개의 글자를 추가로 사용했는데, 이는 로마자로 Í와 Ú로 표기된다. 이 글자들은 기원전 3세기 초에 도입된 것으로 보이며, 각각 I와 U보다 낮은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Ú는 오스크어의 /o/ 발음을 나타냈고, U는 /u/ 발음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oː/였으나 음운 변화를 거쳐 [uː]로 발음되게 된 소리도 나타냈다. Í는 중고모음 [ẹ] 발음을 나타낸다. 아주 오래된 기록에는 이 구별 부호가 붙은 글자들이 나타나지 않는다.
오스크 문자의 Z는 [ts] 발음을 나타낸다. 장모음을 표기할 때는 일반적으로 해당 모음 글자를 두 번 반복해서 썼지만, I의 장모음은 예외적으로 IÍ로 표기했다.
4. 2. 그리스 문자
오스크어의 그리스 문자 표기에는 일반적인 그리스 글자에 더해 오스크 고유 문자 ''H''와 ''V''에 대응하는 두 글자가 추가되었다. 문자 ''η''와 ''ω''는 양(모음의 길이)을 나타내지 않는다. 때때로, ''ηι''와 ''ωϝ''는 각각 이중 모음 /ei/와 /ou/를 나타내는 반면, ''ει''와 ''oυ''는 오스크어 고유의 단모음 /iː/와 /uː/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경우에는 ''ει''와 ''oυ''가 이중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이 경우 ''o''는 /uː/ 소리를 나타낸다.
4. 3. 로마자
로마자로 된 기록에서 로마자 Z는 [z] 발음을 나타낸다. 이 소리는 오스크 고유 문자에서는 [s] 발음과 구별 없이 S로 표기되었다. 즉, 라틴 문자로 표기할 때는 Z를 사용하여 [s]와 구별되는 [z] 발음을 명확히 나타냈다.5. 음운론
(내용 없음)
5. 1. 모음
(내용 없음)5. 1. 1. 단모음
모음은 일반적으로 ''ns''와 ''nct'' (후자에서는 ''n''이 사라짐) 앞에서, 그리고 아마도 ''nf''와 ''nx'' 앞에서도 길어진다.아나프틱시스, 즉 유음이나 비음과 다른 자음 사이에서 모음이 발달하는 현상은 오스크어에서 자주 발생한다. 다른 자음(유음/비음이 아닌 자음)이 앞에 오면, 새로운 모음은 앞의 모음과 같다. 다른 자음이 뒤에 오면, 새로운 모음은 뒤의 모음과 같다.
5. 1. 2. 이중모음
오스크어는 다음과 같은 이중 모음을 가지고 있었다./ay/ | /ey/ | /oy/ |
/aw/ | /ew/ | /ow/ |
이중 모음의 음가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한 이후 변하지 않았다.
5. 2. 자음
오스크어의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
오스크어에서 모음 사이의 ''s''는 로타시즘을 겪지 않았으며, 라틴어와 움브리아어와는 달리 유성음화되어 /z/ 소리가 되었다. 하지만 모음 사이에서 원래의 자음군 ''rs''는 앞 모음의 장모음화와 함께 단순 ''r''로, 또는 긴 ''rr''로 (라틴어처럼) 변했다. 단어의 끝에서 원래의 ''rs''는 라틴어와 마찬가지로 ''r''이 된다. 라틴어와는 달리, 오스크어와 움브리아어 모두에서 자음군 ''sm'', ''sn'', ''sl''에서 s가 탈락하지 않았다. (예: 움브리아어 ''`sesna'' "저녁 식사", 오스크어 '''kersnu''' 대 라틴어 ''cēna'')
6. 문법
오스크어는 다른 고대 이탈리아어파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굴절어 체계를 가지고 있다. 명사는 라틴어처럼 여러 격으로 변화하며, 특히 라틴어에는 없는 처격을 포함하여 총 7개의 격을 가진다. 동사 역시 시제, 태, 법, 인칭, 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굴절한다. 상세한 명사 및 동사 굴절 방식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6. 1. 명사 굴절
오스크어 명사는 주격, 호격, 대격, 속격, 여격, 탈격, 그리고 처격까지 총 일곱 개의 격을 가질 수 있다. 이 중 처격은 라틴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격이다. 오스크어 명사는 라틴어와 마찬가지로 여러 활용 패턴으로 나뉜다.6. 1. 1. 제2변화 명사
오스크어의 제2변화 명사는 라틴어의 제2변화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을 가진다.- 남성 단수 주격에서는 원래 어미였던 ''*-os''가 ''-s''로 축약되는 음성적, 철자법적 변화가 나타난다.[19]
- 단수 속격의 어미 '''-eís'''는 ''i'' 어간 명사 변화 방식에서 가져왔다.
- 복수 주격 어미 '''-ús'''는 인도유럽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유정(有情, 살아있는 존재) 명사의 주격 복수 어미 형태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이는 라틴어가 대명사 변화의 영향을 받아 해당 어미를 ''-ī'' (원래 형태 ''*-oi''에서 변화)로 대체한 것과 차이를 보인다.
오스크어 제2변화 명사의 격에 따른 변화 형태는 아래 표와 같다.
격 | 단수 | 복수 |
---|---|---|
주격 | -s (남성)[19] -úm (중성) | -ús (남성) -ú (중성) |
호격 | -e | ? |
대격 | -úm[20] | -úss (남성) -ú (중성) |
속격 | -eís | -úm |
여격 | -úí | -úís |
탈격 | -úd | |
처격 | -eí |
6. 1. 2. 제3변화 명사
라틴어와 마찬가지로, 오스크어의 제3변화 명사는 i-어간 명사와 자음 어간 명사가 합쳐진 형태이다.오스크어에서 이 명사들은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 중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6. 2. 동사 체계
오스크어의 동사는 다음과 같은 범주에 따라 굴절된다.능동태의 현재, 미래 및 미래 완료 형태는 다음과 같은 인칭 어미를 사용한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 -ō | |
2인칭 | -s | |
3인칭 | -t | -nt |
능동태의 미완료, 완료 직설법 및 모든 시제 가정법은 다른 인칭 어미를 사용한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 -m | |
2인칭 | -s | |
3인칭 | -d | -ns |
수동태 어미는 3인칭에서만 나타나며, 단수는 ''-ter'', 복수는 ''-nter''이다.
완료 어간은 현재 어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파생된다. 라틴어의 ''-vī-'' 및 ''-s-'' 완료는 오스크어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대신 오스크어는 다음과 같은 자체 형식을 사용한다.
- 중복 완료: 예) '''deded''' '주었다'
- ''-tt-'' 접미사: 예) '''prúfa-tt-ed''' '승인하다'
- ''-k-'' 접미사: 예) '''kella-k-ed''' '수집하다'
- ''-f-'' 접미사: 예) '''aíkda-f-ed''' '재건하다'
일부 동사는 보충 형태(suppletion)를 사용하기도 한다.
다른 시제는 접미사를 통해 형성된다.
법 | 시제 | 어간 | 접미사 | 예시 |
---|---|---|---|---|
직설법 | 미완료 | 현재 | -fā- | fu-fa-ns '그들은 있었다' |
미래 | 현재 | -(e)s- | deiua-s-t '그는 맹세할 것이다' | |
미래 완료 | 완료 | -us- | tríbarakatt-us-et '그들은 지었을 것이다' | |
가정법 | 현재 | 현재 | -ī- (a-어간), -ā- (다른 어간) | deiua-i-d '그가 맹세하게 하라' |
미완료 | 현재 | -sē- | fu-sí-d '되어야 한다' | |
완료 | 완료 | -ē- | tríbarakatt-í-ns '지어야 한다' |
다음과 같은 비한정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모두 현재 어간을 기반으로 한다.
형태 | 접미사 | 예시 |
---|---|---|
현재 능동 분사 | -nt- | praese-nt-id 곁에 있다 (탈격 단수 여성) |
과거 분사 | -to- | teremna-tu 확대된 (주격 단수 여성) |
현재 능동 부정사 | -om | tríbarakav-úm '짓다' |
현재 수동 부정사 | -fi/-fir | sakara-fír '성별이 되다' |
게런디브 | -nno- | úpsa-nna-m 건설하다 (대격 단수 여성) |
7. 오스크어 텍스트 예시
오스크어로 작성된 다양한 종류의 비문과 기록들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어, 고대 이탈리아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놀라와 아벨라 사이의 협약을 기록한 아벨라 석비, 고대 반티아(Bantia) 지역의 법률을 담은 반티아 평판, 그리고 폼페이에서 발견된 비비우스 아디라누스의 유언 등이 있다. 이러한 텍스트들은 오스크어의 언어적 특징뿐만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 법률 체계, 종교적 관념 등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7. 1. [[아벨라 석비]](Cippus Abellanus)
아벨라 석비는 오스크어로 작성된 중요한 비문 중 하나로, 놀라(Nola)와 아벨라(Abella) 사이의 헤라클레스 신전 부지 사용 및 경계에 관한 협약을 기록하고 있다.- 오스크어 원문:
에쿰 스바이 피드 헤리에세트 트리이바락 아붐 테레이 푸드 리이미투움 페르눔 푸이스 헤레클레이스 피스누 메피우 이스트, 에흐트라드 페이후스 푸스 헤레클레이스 피스남 암프레트, 페르트 비암 푸스스트 이스트 파이 입 이스트, 푸스틴 슬라김 세나테이스 수베이스 탕기누드 트리이바라카붐 리키투드. 이님 이우크 트리이바락키우프 팜 누블라누스 트리이바라캇투세트 이우크 트리이바락키우프 이님 우이티우프 아벨라누움 에스투드. 아브트 푸스트 페이후이스 푸스 피스남 암프레트, 에이세이 테레이 넵 아벨라누스 넵 누블라누스 피둠 트리이바라카틴스. 아브트 테사브룸 푸드 에세이 테레이 이스트, 푼 파텐신스, 무이니카드 탕기누드 파텐신스, 이님 피드 에이세이 테사브레이 푸카피드 에스킷 아이티움 알트람 알트루스 헤린스. 아브트 안테르 슬라김 아벨라남 이님 누블라남 술라드 비우 우루부 이스트. 페두 이스트 에이사 비아이 메피아이 테레멘니우 스타이에트.osc
- 라틴어 번역:
아이템 시 퀴드 볼렌트 에디피카레 인 테리토리오 쿼드 리미티부스 테누스 퀴부스 헤르쿨리스 파눔 미디움 에스트, 엑스트라 무로스, 퀴 헤르쿨리스 파눔 암비운트, [페르] 비암 포시툼 에스트, 퀘 이비 에스트, 프로 피니부스 세나투스 수이 센텐티아, 에디피카레 리체토. 에트 이드 에디피키움 쾀 놀라니 에디피카베린트, 이드 에디피키움 에트 우수스 아벨라노룸 에스토. 앗 포스트 무로스 퀴 파눔 암비운트, 인 에오 테리토리오 넥 아벨라니 넥 놀라니 퀴드꽄 에디피카베린트. 앗 테사우룸 퀴 인 에오 테리토리오 에스트, 쿰 파테렌트, 코무니 센텐티아 파테렌트, 에트 퀴드퀴드 인 에오 테사우로 꽌도케 엑스탓, 포르티오눔 알테람 알테리 카피에렌트. 앗 인테르 피네스 아벨라노스 에트 놀라노스 우비퀘 비아 커르바 에스트, [페데스] 에스트 인 에아 비아 미디아 테르미나 스탄트.lat
석비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만약 누군가 헤라클레스 신전이 있는 경계 안의 땅에 건물을 짓고자 한다면, 원로원은 신전을 둘러싼 벽 바깥, 길 건너편에 건축하는 것을 허가해야 한다. 놀라 사람이 지은 건물은 놀라 사람들의 것이 되고, 아벨라 사람이 지은 건물은 아벨라 사람들의 것이 된다. 그러나 신전 벽 너머의 특정 구역에는 아벨라 사람도, 놀라 사람도 건축할 수 없다. 해당 구역에서 발견되는 보물은 공동의 결정에 따라 개방하고, 그 내용물은 양측이 동등하게 나누어 가진다. 아벨라와 놀라 사이의 길은 공동으로 사용하며, 길의 중앙이 두 도시 사이의 경계가 된다.
7. 2. [[반티아 평판]](Tabula Bantina)
반티아 평판(Tabula Bantina)은 오스크어로 작성된 중요한 금석문 중 하나로, 고대 반티아(Bantia) 지역의 법률 및 규정을 담고 있다. 특히 재판 절차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당시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23][24]평판에 기록된 내용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집회 소집 및 중재 (3-8행): 집회를 열거나 중재하기 위해서는 상원 다수(최소 40명 이상 출석)의 동의를 얻어 맹세해야 한다. 집회를 중재하려는 자는 해당 행위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개인적인 호의나 악의에 기반한 것이 아님을 집회에서 맹세해야 한다. 이 규정을 어기고 집회를 중재한 자는 당일 집회를 열 수 없다.
- 사법 절차 및 벌칙 (8-13행): 사형이나 벌금형과 관련된 재판을 주재하는 치안 판사는 백성(populus)이 판결을 내리도록 해야 한다. 백성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판결할 것을 맹세해야 하며, 치안 판사는 부정한 방법으로 맹세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를 위반하거나 규정에 어긋나게 의회를 개최할 경우, 2000 세스테르티우스의 벌금이 부과된다. 만약 치안 판사가 벌금형을 선고하기를 원할 경우, 유죄 판결을 받은 자의 재산 절반 미만의 금액으로 벌금을 정할 수 있다.
- 재판 절차의 세부 규정 (13-18행): 치안 판사가 사형이나 벌금형 재판의 날짜를 정할 경우, 특정 절차를 따라야 한다. 백성 앞에서 최소 네 번 고발해야 하며, 피고와 최소 네 번(최대 다섯 번) 변론을 진행해야 한다. 마지막 변론 이후 30일 동안은 관련 회의를 열 수 없다. 이 규정을 위반할 경우, 다른 치안 판사가 벌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이때 벌금액은 유죄 판결을 받은 자의 재산 절반 미만으로 제한된다.
오스크어 단어 중 'carn-'("부분, 조각")은 라틴어 'carn-'("고기")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자르다'를 의미하는 인도유럽어 뿌리 '*ker-'에서 유래했다. 오스크어 'tangin-'("판단, 동의")은 영어 'think'와 관련이 있다.[23][24]
7. 3. 비비우스 아디라누스의 유언 (The Testament of Vibius Adiranus)
오스크어 원문:''v(iíbis). aadirans. v(iíbieís). eítiuvam. paam vereiiaí. púmpaiianaí. trístaamentud. deded. eísak. eítiuvad v(iíbis). viínikiís. m(a)r(aheis). kvaísstur. púmpaiians. trííbúm. ekak. kúmbennieís. tanginud. úpsannam deded. ísídum. prúfatted.''[13]
번역문:
비비우스 아디라누스(Vibius Adiranus), 비비우스(Vibius)의 아들은 유언으로 폼페이아 베레이아이(Pompeian vereiia-)에게 돈을 기부했다. 이 돈으로 비비우스 비니키우스(Vibius Vinicius), 마라스(Maras)의 아들이자 폼페이 퀘스토르(quaestor)는 원로원의 결정에 따라 이 건물의 건설을 봉헌했으며, 그가 이를 승인했다.[13]
참조
[1]
웹사이트
Oscan
https://web.archive.[...]
Ancient Scripts
2011-11-04
[2]
웹사이트
Samnites the People
http://www.sanniti.i[...]
2011-11-04
[3]
논문
Phonologie osque et graphie grecque
https://www.persee.f[...]
1970
[4]
웹사이트
Samnites Oscan Tablet of Agnone
http://www.sanniti.i[...]
[5]
웹사이트
Teano Apulo
http://www.treccani.[...]
[6]
서적
Storia della Puglia. Dalle origini al Seicento
https://books.google[...]
Laterza
2014-05
[7]
문서
The Survival of Etruscan
https://scholarworks[...]
1999
[8]
웹사이트
Fragmentary ancient languages as "bad data": towards a methodology for investigating multilingualism in epigraphic sources
https://ore.exeter.a[...]
2017
[9]
문서
The Hellenization of Italy
https://books.google[...]
[10]
논문
Oscan love of Rome
https://www.academia[...]
2016
[11]
문서
The survival of Oscan in Roman Pompeii
Portsmouth (Journal of Roman Archaeology)
2002
[12]
문서
Pompeii and Herculaneum: A Sourcebook
New York – London (Routledge)
2014
[13]
논문
The Testament of Vibius Adiranus
https://www.cambridg[...]
2012
[14]
서적
Becoming Roman, writing Latin? : literacy and epigraphy in the Roman West
Journal of Roman Archaeology
2002
[15]
서적
Le latin vulgaire des inscriptions pompéiennes
http://dx.doi.org/10[...]
De Gruyter
1959-12-31
[16]
간행물
Bilingualism with and without diglossia; diglossia with and without bilingualism
http://dx.doi.org/10[...]
Routledge
2022-04-09
[17]
서적
The Blackwell history of the Latin language
Wiley-Blackwell
2011
[18]
웹사이트
"Sull’osco *slagi-"
http://www.aionlingu[...]
2006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웹사이트
Etymonline: Proto-Indo-European *sker-
https://www.etymonli[...]
[24]
웹사이트
Etymonline: think
https://www.etymonli[...]
[25]
웹인용
Samnites The People
http://www.sanniti.i[...]
Sanniti.info
2011-11-04
[26]
웹인용
Oscan
https://web.archive.[...]
Ancient Scripts
2011-11-04
[27]
URL
http://www.sanniti.i[...]
[28]
웹인용
Teano Apulo
http://www.treccani.[...]
[29]
서적
Storia della Puglia. Dalle origini al Seicento
https://books.google[...]
Laterza
2014-05
[30]
문서
The Survival of Etruscan
https://scholarworks[...]
1999
[31]
문서
"Fragmentary ancient languages as “bad data”: towards a methodology for investigating multilingualism in epigraphic sources."
https://ore.exeter.a[...]
2017
[32]
문서
The Hellenization of Italy
https://books.google[...]
[33]
문서
Oscan love of Rome
https://s3.amazonaws[...]
[34]
문서
The survival of Oscan in Roman Pompeii
Portsmouth (Journal of Roman Archaeology)
2002
[35]
문서
Pompeii and Herculaneum: A Sourcebook
New York – London (Routledge)
2014
[36]
간행물
Sull’osco *slagi-
http://www.aionlingu[...]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