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터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터먼은 로버트 러들럼의 소설을 원작으로, 1983년에 개봉한 샘 페킨파 감독의 스파이 스릴러 영화이다. CIA 국장 맥스웰 댄포스는 요원 로렌스 파셋을 이용해 소련 간첩망 오메가에 연루된 텔레비전 프로듀서 버나드 오스터먼, 성형외과 의사 리처드 트레메인, 주식 거래인 조셉 카돈을 제거하려 한다. 친구들을 오메가 요원으로 의심하게 된 텔레비전 언론인 존 태너는 CIA의 계획에 휘말리고, 배신과 음모 속에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평론가들로부터 줄거리의 허술함과 이해하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샘 페킨파 감독 영화 - 킬러 엘리트 (1975년 영화)
킬러 엘리트는 1975년 샘 페킨파가 감독한 액션 스릴러 영화로, CIA 요원 마이크 로켄이 배신당한 후 복수를 계획하며 닌자 암살단과 대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샘 페킨파 감독 영화 - 와일드 번치 (영화)
샘 페킨파 감독의 1969년 미국 서부 영화 《와일드 번치》는 1913년 텍사스를 배경으로 몰락해가는 무법자 집단이 마지막 강도질을 계획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며, 폭력적인 묘사로 논란을 일으켰지만 무법 시대의 종말과 배신, 명예라는 주제를 다루며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미국 중앙 정보국을 소재로 한 영화 - 더 리포트
《더 리포트》는 CIA의 강화된 심문 기법에 대한 상원 정보위원회의 보고서를 다룬 2019년 미국 정치 스릴러 영화로, 상원 조사팀의 조사 과정, CIA의 고문 행위와 은폐 시도, 보고서 발표 과정의 권력 갈등을 묘사하며, CIA의 고문 실태 폭로와 정부의 책임 회피 문제를 다룬다. - 미국 중앙 정보국을 소재로 한 영화 - 본 슈프리머시 (영화)
2004년 개봉한 첩보 액션 영화 《본 슈프리머시》는 기억상실증에 걸린 전직 CIA 암살자 제이슨 본이 자신의 과거를 추적하며 CIA 내부 배신과 러시아 연방보안청의 추격 속에서 음모를 파헤치는 이야기로,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하며 여러 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정치 스릴러 영화 - 에어 포스 원 (영화)
해리슨 포드 주연의 영화 《에어 포스 원》은 테러리스트에게 납치당한 대통령이 에어포스 원에서 생존을 위해 테러리스트들과 맞서 싸우는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 미국의 정치 스릴러 영화 - 본 슈프리머시 (영화)
2004년 개봉한 첩보 액션 영화 《본 슈프리머시》는 기억상실증에 걸린 전직 CIA 암살자 제이슨 본이 자신의 과거를 추적하며 CIA 내부 배신과 러시아 연방보안청의 추격 속에서 음모를 파헤치는 이야기로,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하며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오스터맨 - [영화]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제목 | 오스터맨 위켄드 |
| 원제 | The Osterman Weekend |
![]() | |
| 감독 | 샘 페킨파 |
| 제작 | 피터 S. 데이비스, 윌리엄 N. 팬저 |
| 각본 | 알란 샤프 |
| 원작 | 로버트 러들럼의 "오스터맨 위켄드" |
| 출연 | 루트거 하우어 존 허트 크레이그 T. 넬슨 데니스 호퍼 버트 랭카스터 |
| 음악 | 랄로 시프린 |
| 촬영 | 존 코키론 |
| 편집 | 에드워드 아브롬스, 데이비드 로우린즈 |
| 제작사 | 데이비스-팬저 프로덕션, 오스터맨 위켄드 어소시에이츠 |
| 배급사 | 20세기 폭스 |
| 개봉일 | 1983년 11월 4일 (미국) |
| 상영 시간 | 103분 (일반판), 105분 (감독판) |
| 제작 국가 | 미국 |
| 언어 | 영어 |
| 흥행 수익 | 6,486,797 미국 달러 |
| 스태프 | |
| 각색 | 이안 매스터스 |
2. 줄거리
CIA 국장 맥스웰 댄포스는 요원 로렌스 파셋과 그의 아내가 성관계를 갖는 영상을 본다. 파셋이 샤워를 하러 간 사이, KGB 암살자들이 그의 아내를 살해하는데, 사실 CIA가 승인한 일이었다. 파셋은 암살자들을 추적하여 '오메가'라는 소련 간첩망을 밝혀낸다.
파셋은 텔레비전 프로듀서 버나드 오스터먼, 성형외과 의사 리처드 트레메인, 주식 거래인 조셉 카돈을 오메가 핵심 요원으로 지목한다. 파셋은 이들 중 한 명을 전향시켜 네트워크를 파헤치자고 제안하고, 이들과 절친한 텔레비전 언론인 존 태너를 이용하기로 한다.
CIA는 태너에게 친구들이 오메가 요원이라고 말하고, 태너는 증거를 본 후 CIA 국장 댄포스가 자신의 쇼에 출연하는 조건으로 동창회에서 그들 중 한 명을 전향시키기로 한다.
태너는 아내 앨리에게 아들을 데리고 떠나달라고 부탁하지만, 이유를 말할 수 없어 앨리는 화를 낸다. 파셋은 가족이 CIA 감시 하에 있는 집이 더 안전하다고 하지만, 태너는 동의하지 않는다. 아내와 아들을 공항에 데려다주는 길에 그들은 납치되지만, 파셋의 개입으로 무사히 구출된다. 오스터먼, 트레메인, 카돈은 주말에 도착하고, CIA가 조작한 어려움으로 분위기는 긴장된다. 파셋은 스위스 은행 계좌와 불법 금융 조작에 초점을 맞춘 클립을 보여주고, 트레메인의 아내 버지니아는 격분하여 앨리에게 뺨을 맞는다.
결국 태너는 손님들에게 떠나라고 요구하고, 파셋은 CIA 경비대에게 오스터먼을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오스터먼은 맨손으로 경비대원을 죽인다. 카돈과 트레메인 부부는 RV를 타고 탈출하고, 태너는 오스터먼을 공격한다. 오스터먼은 그들이 탈세를 위해 불법적으로 돈을 은닉했지만, 반역자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파셋은 오스터먼과 친구들이 탈세자일 뿐임을 알고 있다고 인정하고, RV에 폭발 장치를 터뜨려 트레메인과 카돈을 죽인다. 파셋은 댄포스가 자신의 아내 살해를 승인했다고 폭로하고, 태너에게 댄포스를 폭로하면 가족을 풀어주겠다고 제안한다.
댄포스는 태너와의 원격 인터뷰를 준비하고, 태너는 방송에서 파셋을 소개하며 댄포스를 살인자로 폭로한다. 댄포스는 격분하여 파셋을 암살하겠다고 위협한다. 태너는 오스터먼의 도움을 받아 파셋을 쏘아 죽였고, 댄포스의 위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그 후, 태너는 가족을 구출한다.
2. 1. CIA의 함정
CIA 국장 맥스웰 댄포스(버트 랭카스터)는 요원 로렌스 파셋(존 허트)과 그의 아내가 성관계를 갖는 녹화 영상을 지켜본다. 파셋이 샤워하러 간 사이, 두 명의 KGB 암살자가 그의 아내를 살해한다. 사실 CIA가 그녀의 살해를 승인한 것이다. 슬픔과 분노에 휩싸인 파셋은 암살자들을 추적하여 오메가로 알려진 소련 간첩망을 밝혀낸다.[1]파셋은 오메가 핵심 요원으로 세 명의 남자를 지목한다. 텔레비전 프로듀서 버나드 오스터먼(크레이그 T. 넬슨), 성형외과 의사 리처드 트레메인(데니스 호퍼), 주식 거래인 조셉 카돈(크리스 서랜던)이다. 파셋은 CIA 국장에게 그들 중 한 명을 서방 측으로 전향시켜 네트워크를 파헤치자고 제안하고, 텔레비전 언론인 존 태너(룻거 하우어)를 이용하기로 한다. 태너는 이 세 명과 절친한 사이였기 때문이다.[1]
CIA는 태너에게 연락하고, 파셋은 그에게 가장 친한 친구들이 오메가 요원이라고 말한다. 태너는 증거를 본 후 그들을 전향시키기로 동의하고, 그 주말에 있을 연례 동창회에서 그들 중 한 명을 돌려세우기로 한다. 단, CIA 국장 댄포스가 그의 쇼에 게스트로 출연하는 조건이다.[1]
2. 2. 오스터먼 주말
태너는 아내 앨리(메그 포스터)에게 아들을 데리고 도시를 떠나달라고 부탁하지만, 이유를 말할 수 없어 앨리는 화를 낸다. 파셋은 태너에게 그의 가족은 CIA가 감시할 수 있는 집이 더 안전하다고 하지만, 태너는 동의하지 않는다. 아내와 아들을 공항으로 데려다주는 길에 그들의 차가 기습을 받고, 앨리와 아이는 납치된다. 파셋의 개입으로 그들은 무사히 구출되고 납치범은 사살된다. 오스터먼, 트레메인, 카돈은 주말에 도착하고, 각자 CIA가 조작한 어려움을 겪어 분위기는 긴장된다. 이튿날 밤, 파셋은 태너의 식당 텔레비전에 비디오 피드를 보내 스위스 은행 계좌와 불법 금융 조작에 초점을 맞춘 클립을 보여준다. 트레메인의 아내 버지니아는 격분하고, 앨리는 그녀의 뺨을 때린다.2. 3. 배신과 폭로
태너는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손님들에게 떠나라고 요구한다. 파셋은 CIA 경비대에게 무술의 달인인 오스터먼을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오스터먼은 맨손으로 그들 중 한 명을 죽인다.카돈과 트레메인 부부는 태너의 RV를 타고 탈출한다. 태너는 오스터먼과 대면하여 그를 공격한다. 오스터먼은 쉽게 그를 제압하고 설명을 요구한다. 태너는 오스터먼과 그의 친구들이 소련 요원임을 알고 있다고 말한다. 오스터먼은 그 주장을 일축하고 그들이 세금을 피하기 위해 스위스 은행 계좌에 불법적으로 돈을 은닉해왔지만, 반역자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파셋은 텔레비전에 출연하여 오스터먼과 그의 친구들이 단지 탈세자일 뿐임을 알고 있다고 인정한다. 파셋은 RV에 원격으로 폭발 장치를 터뜨려 트레메인과 카돈을 죽인다. 그는 군인들을 집에 보내 오스터먼과 태너를 죽이도록 한다. 파셋은 집에서 벌어진 공격 동안 태너를 조롱하며 댄포스가 그의 아내 살해를 승인했다고 폭로한다. 파셋은 태너가 텔레비전에서 댄포스를 폭로하면 태너의 가족을 풀어주겠다고 제안한다.
얼마 후, 댄포스는 태너와의 원격 인터뷰를 준비한다. 댄포스는 자신의 사무실에 있으며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고용한 카메라와 마이크에 대고 말할 것이다. 태너는 방송에서 파셋을 소개하고 파셋은 역시 원격으로 촬영되고 있으며, 댄포스를 살인자로 폭로한다. 댄포스는 자신이 속았다는 것을 깨닫고 격분하여 편집증적인 비난을 공개적으로 쏟아내고 파셋을 암살하겠다고 위협한다. 파셋의 원격 위치는 비밀이지만, 누군가가 그를 찾아오고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태너 자신이 오스터먼의 도움을 받아 두 사람을 위한 질문을 미리 녹음했고, 비디오 피드를 사용하여 파셋의 위치를 찾아 그를 쏘아 죽였다는 것이 밝혀진다. 파셋의 죽음이 포착된 각도는 태너의 익명을 보호하여 댄포스의 위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그 후, 태너는 그의 아내, 아들, 그리고 개를 구출한다.
3. 등장인물
메리트 반 캄프는 파셋의 아내로 잠깐 출연하며, 그녀의 살해는 줄거리를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
일본어 더빙은 1989년 5월 30일 일본 TV '특선 시네마' (심야 시간대)에서 방영되었으며, 스팅레이에서 발매된 BD에 수록되어 있다.
3. 1. 주요 인물
| 배우 | 역할 | 일본어 더빙 |
|---|---|---|
| 룻거 하우어 | 존 태너 | 오가와 신지 |
| 존 허트 | 로렌스 파셋 | 반 슈 |
| 크레이그 T. 넬슨 | 버나드 오스터먼 | 겐다 텟쇼 |
| 데니스 호퍼 | 리처드 트레메인 | 센다 미츠오 |
| 크리스 서랜던 | 조셉 카르도네 | 에하라 마사시 |
| 메그 포스터 | 알리 태너 | 코미야 카즈에 |
| 헬렌 셰이버 | 버지니아 트레메인 | 요코오 마리 |
| 캐시 예이츠 | 베티 카르도네 | 아다치 시노부 |
| 샌디 맥피크 | 월터 스테닝스 | 아사토 테츠야 |
| 크리스토퍼 스타 | 스티브 태너 | 이소베 마사코 |
| 버트 랭카스터 | 맥스웰 댄포스 | 오미야 테이지 |
| 메리트 반 캄프 | 파셋 부인 | |
| 마샬 호 | 무술 강사 | 요시미즈 케이 |
| 얀 트리스카 | 안드레이 미카로비치 | 오노 켄이치 |
| 한스포드 로우 | 키버 장군 | 미네 메구미 |
메리트 반 캄프는 파셋의 아내로 잠깐 출연하며, 그녀의 살해는 줄거리를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
일본어 더빙은 1989년 5월 30일 일본 TV '특선 시네마' (심야 시간대)에서 방영되었으며, 스팅레이에서 발매된 BD에 수록되어 있다.
3. 2. 조연
4. 제작진
샘 페킨파 감독, 피터 S. 데이비스와 윌리엄 N. 판저가 제작을 맡았다.[8] 원작은 로버트 러들럼의 소설이며, 각본은 앨런 샤프가 썼다.[8] 촬영 감독은 존 코킬론, 음악 감독은 라로 시프린이다.
처음에 윌리엄 캐슬이 영화 판권을 구입하여 원작자 러들럼에게 각본을 요청했으나, 러들럼은 거절했다.[2] 1972년에는 달튼 트럼보가 시나리오 작가로 발표되기도 했다.[3] 이후 데이비스와 판저가 래리 존스로부터 판권을 구매하여 제작을 시작했다.[4]
이들은 이안 마스터스와 앨런 샤프를 고용하여 각본을 완성했다.[4] 시나리오 완성 후, 와일드 번치, 스트로 독스 등을 연출한 샘 페킨파가 감독으로 합류했다.[4] 알코올 및 약물 중독으로 어려움을 겪던 페킨파는 이 작품을 통해 영화계에 재기하고자 했다.[6]
5. 제작 과정
윌리엄 캐슬은 처음에 영화 판권을 구입하여 작가 로버트 러들럼에게 각본을 써달라고 요청했으나, 러들럼은 "나는 그 오셀롯 무리를 떠나 다시 돌아가지 않을 것입니다."라며 거절했다.[2] 1972년 달튼 트럼보가 시나리오 작가로 발표되었다.[3]
다큐멘터리 ''알파 투 오메가: 오스터먼 위켄드 폭로''에서 피터 S. 데이비스와 윌리엄 N. 판저 프로듀서는 영화 촬영 종료를 축하하다가 래리 존스를 만났다. 존스는 로버트 러들럼의 1972년 소설 ''오스터먼 위켄드''의 영화 판권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만족스러운 각본을 개발할 수 없어 영화 제작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데이비스와 판저는 즉시 판권을 구매하겠다고 제안했고, 이 프로젝트를 통해 B급 영화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러들럼의 복잡한 이야기를 각색하기 위해 이안 마스터스를 고용했다. 마스터스가 각본의 토대를 마련한 후, 앨런 샤프가 캐릭터와 대사를 다듬기 위해 참여했다.
시나리오가 완성된 후, 감독을 찾던 중 우연한 계기로 샘 페킨파가 물망에 올랐다. 알코올 및 약물 중독으로 평판이 손상된 페킨파는 1981년 돈 시겔의 ''Jinxed!''에서 두 번째 유닛 작업을 할 기회를 얻었고, 이 경력을 바탕으로 ''오스터먼 위켄드''의 감독으로 고려되었다.[4] 페킨파는 "좋은 책이고, 좋은 영화가 될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5]
많은 스튜디오가 페킨파와의 관계를 꺼렸지만, 프로듀서들은 독립 자원에서 자금을 조달했다. 페킨파는 소설과 시나리오를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지만, 영화계에서 재기하려는 절박함으로 이 직업을 받아들였다.[6] 그는 각본 작업을 요청하여 허가를 받았으나, 처음 몇 페이지를 제출한 후 프로듀서들은 추가 수정을 금지했다. 시나리오 작가 샤프는 자신이 쓴 시나리오가 마음에 안 들었고, 데이비스와 판저가 자신의 초고를 촬영 대본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에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러들럼은 제이슨 로바즈에게 무료로 다시 쓰기를 제공하겠다고 말했지만, 결국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전 제작 중 프로듀서 헬무트 다닌테가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7]
존 허트, 버트 랭카스터, 데니스 호퍼 등 많은 배우들이 페킨파와 함께 일하기 위해 평소보다 낮은 출연료를 받고 계약했다. 블레이드 러너의 성공으로 주목받던 러트거 하우어가 주연으로 선택되었다.[8] 주요 촬영 장소는 로스앤젤레스 만데빌 캐년 지역에 있는 "로버트 테일러 목장"이었다.
페킨파는 54일간의 촬영 일정을 지켰고, 예산은 700만달러 미만이었지만, 프로듀서들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1983년 1월 촬영이 끝날 무렵, 페킨파와 프로듀서들은 거의 대화하지 않았다. 페킨파는 영화를 제시간에 맞춰 예산 내에서 전달했고, 프로듀서들에게 자신의 편집본을 제출했다.[8]
이 버전은 1983년 5월 25일에 상영되었으나, 시사회 반응은 좋지 않았다. 판저와 데이비스는 페킨파가 영화를 다시 편집해주기를 바랐지만, 감독은 변경을 거부했다. 페킨파는 제품을 조롱하는 풍자적인 장면을 촬영하기도 했다.[9] 결국, 프로듀서들은 페킨파를 해고하고 영화를 직접 다시 편집했다.[10]
프로듀서들은 오프닝 시퀀스를 변경하고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장면을 삭제했다. 페킨파는 프로듀서들이 자신의 영화를 방해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메이저 던디'' (1965)와 ''팻 개릿과 빌리 더 키드'' (1973) 촬영 후에도 제기했던 불만이었다.
6. 평가
비평가들은 영화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줄거리에 허점이 많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했다.[11] 로저 이버트는 "나는 이 영화를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11] 시카고 리더의 데이브 케르는 "구조가 엉망이다"라고 평가했다.[11] 뉴욕 타임스의 빈센트 캔비는 영화가 "이해할 수 없고" "불필요한 성행위와 폭력으로 가득 차 있다"고 썼다.[12] 로튼 토마토에서는 2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45%의 평점을 기록하고 있다.[13]
7. 홈 미디어
쏜 EMI(Thorn EMI)는 초기 비디오 판권을 획득했고, 이미지 엔터테인먼트(Image Entertainment)에서 레이저디스크 에디션을 발매했다.[9] 앵커 베이 엔터테인먼트(Anchor Bay Entertainment)에서 DVD 및 블루레이로 출시되었으며, DVD에는 감독판이 포함되었지만, 저품질 풀 스크린 비디오테이프에서 소스가 제공되었다.
2022년, 호주 배급사 Imprint는 영화 ''오스터먼 주말''(The Osterman Weekend)의 2 디스크 한정판 블루레이를 출시했다. 디스크 1에는 극장판의 1.78:1 화면비의 1080p 고화질 영상과 35mm 독일 프린트에서 스캔한 1.66:1 화면비의 복원되지 않은 대체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 디스크 2에는 샘 페킨파(Sam Peckinpah)의 개인 35mm 네거티브에서 소스를 얻은 감독판의 1080p 고화질, 복원되지 않은 2K 스캔이 포함되어 있다. 이 릴리스에는 두 개의 오디오 코멘터리와 장편 다큐멘터리 ''알파에서 오메가: "오스터먼 주말" 폭로''를 포함한 여러 다큐멘터리도 포함되어 있다.
8. 리메이크
2012년 2월, 로버트 러들럼의 소설을 새롭게 각색하여 영화를 제작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는 보도가 있었다.[14]
9. 다큐멘터리: Alpha to Omega: Exposing The Osterman Weekend
《'''알파 투 오메가: 오스터만 주말 폭로'''》는 2004년에 제작된 오스터만 주말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앵커 베이 엔터테인먼트가 2004년 DVD로 출시한 특별 부록으로 포함되었다. 출연진과 제작진과의 인터뷰를 통해 로버트 러들럼의 소설을 영화화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샘 페킨파 감독의 영화 제작 방식과 수년간의 약물 남용 이후 그의 정신 및 신체 건강에 대한 묘사를 담고 있다. 이 다큐멘터리는 편집자이기도 한 마이클 타우와 공동으로 각본을 쓴 조나단 게인스가 감독했다.
9. 1. 인터뷰 대상
- 윌리엄 N. 팬저
- 피터 S. 데이비스
- 룻거 하우어
- 존 허트
- 크리스 서랜던
- 크레이그 T. 넬슨
- 캐시 예이츠
- 닉 레드먼
- 메그 포스터
- 마틴 바움
- 헬렌 셰이버
- 에드워드 아브롬스
- 랄로 쉬프린
10. 일본어 더빙
스팅레이에서 발매된 BD에 수록된 일본어 더빙 성우는 다음과 같다. (초회 방송: 1989년 5월 30일 일본 TV '특선 시네마' (심야 시간대))
| 배역 | 성우 |
|---|---|
| 존 타너 | 룻거 하우어 (오가와 신지) |
| 로렌스 파셋 | 존 허트 (반 슈) |
| 리처드 트레메인 | 데니스 호퍼 (센다 미츠오) |
| 맥스웰 던포스 | 버트 랭커스터 (오미야 테이지) |
| 버니 오스터먼 | 크레이그 T. 넬슨 (겐다 텟쇼) |
| 알리 타너 | 메그 포스터 (코미야 카즈에) |
| 조셉 카든 | 크리스 서랜던 (에하라 마사시) |
| 버지니아 트레메인 | 헬렌 쉐이버 (요코오 마리) |
| 베티 카든 | 캐시 예이츠 (아다치 시노부) |
| 월터 스테닝스 | 샌디 맥피크 (아사토 테츠야) |
| 스티브 타너 | 크리스토퍼 스타 (이소베 마사코) |
| 무술 강사 | 마샬 호 (요시미즈 케이) |
| 안드레이 미카로비치 | 얀 트리스카 (오노 켄이치) |
| 키버 장군 | 한스포드 로우 (미네 메구미) |
- 연출: 타지마 소조
- 번역: 야마다 유키
- 효과: PAG
- 조정: 콘도 카츠유키
- 제작: 코스모 프로모션
- 프로듀서: 시미즈 아츠시, 후루카와 노리코
참조
[1]
AFI film
58043
[2]
뉴스
Farewell to the Theatre
[3]
뉴스
Trumbo assignment
1972-05-05
[4]
문서
Weddle, pp.534-45
[5]
뉴스
Sam Peckinpah: Back in harness
1982-04-01
[6]
서적
Bloody Sam:The Life and Films of Sam Peckinpah
Donald I. Fine
[7]
뉴스
Helmut Dantine
1982-05-06
[8]
문서
Weddle, p.536
[9]
문서
Weddle, p.537
[10]
서적
Sam Peckinpah's Feature Fil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1]
웹사이트
The Osterman Weekend (R)
https://www.rogerebe[...]
1983-11-03
[12]
뉴스
Screen: 'The Osterman Weekend'
https://movies.nytim[...]
1983-11-04
[13]
웹사이트
The Osterman Weekend
https://www.rottento[...]
Flixster, Inc.
2024-01-11
[14]
뉴스
Brian Kirk In Talks To Helm Robert Ludlum's 'The Osterman Weekend'
https://deadline.com[...]
PMC Network
2012-02-28
[15]
웹사이트
The Osterman Weekend
https://www.boxoffic[...]
Amazon.com
2013-06-02
[16]
문서
角川文庫から出版された日本版は再刊の際に日本での公開タイトルと同じ題に改題された。
[17]
AFI film
580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