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시코치노 미쓰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시코치노 미쓰네는 우다 천황부터 다이고 천황 시기에 지방관을 역임한 일본의 가인이다. 그는 36가선 중 한 명으로, 《고킨와카슈》에 60수, 칙찬와카슈에 194수가 수록될 정도로 궁정 가인으로서 명성이 높았다. 미쓰네는 《고킨와카슈》 편찬에 참여했으며, 가집으로 《교우코슈》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사망 - 최치원
최치원은 857년에 태어나 당나라 유학 후 빈공과에 장원 급제하고 황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으며, 신라 개혁 실패 후 해인사에서 은거하다가 고려 시대에 문창후로 추증된 신라 말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이다. - 10세기 사망 -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은 10세기 초 압바스 왕조의 사절단 서기관으로서 볼가 불가르로 파견되어 이슬람 율법을 전파하고 다양한 민족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바이킹 장례식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포함한 그의 기록은 당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이다. - 9세기 출생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9세기 출생 - 랑다르마
랑다르마는 토번의 짼뽀로서 초기에는 무위정치를 펼쳤으나, 839년 이후 재난으로 인한 사회 혼란 속에서 불교 탄압을 단행하여 티베트 불교에 큰 타격을 입혔으며, 승려에 의해 암살된 후 토번 멸망의 원인이 되었고, 폭군이라는 부정적 평가와 혼란 수습을 위한 통치자라는 재평가가 공존한다.
오시코치노 미쓰네 | |
---|---|
기본 정보 | |
칸세이 연간 삼가선 | 선정 |
신분 | 권대목 |
활동 시기 | 9세기 후반 ~ 10세기 초반 |
기타 이름 | 미쓰네 |
인물 정보 | |
성씨 | 오시코치 |
이름 | 미쓰네 |
일본어 표기 | 凡河内 躬恒 (おおしこうち の みつね) |
로마자 표기 | Ōshikōchi no Mitsune |
활동 분야 | 와카 |
관직 정보 | |
관직 | 권소목 아와지 권조 |
기타 관직 | 권대목 |
작품 활동 | |
참여 작품 | 고금와카집 그 이후의 칙찬와카집 |
동료 가인 | 기노 쓰라유키 기노 도모노리 미부노 다다미네 |
2. 생애 및 경력
오시코치노 미쓰네는 우다 천황부터 다이고 천황 시대에 걸쳐 지방관과 가인으로 활약한 인물이다. 36가선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고킨와카슈』를 비롯한 여러 칙찬와카슈에 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4] 히로미네 신사의 사관 가문인 히로미네 씨는 미쓰네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3]
2. 1. 지방관 경력
우다조부터 다이고조에 걸쳐 지방관을 역임했다. 간페이 6년(894년) 가이곤쇼메[1], 엔기 7년(907년) 탄바곤다이메[1], 엔기 11년(911년) 이즈미곤조[1], 엔기 21년(921년) 아와지곤조[1]에 임명되었다. 엔초 3년(925년) 이즈미국에서 귀경한 직후 사망했다고 한다.2. 2. 가인으로서의 활동
간페이 6년(894년) 가이곤쇼메, 엔기 7년(907년) 탄바곤다이메, 엔기 11년(911년) 이즈미곤조, 엔기 21년(921년) 아와지곤조에 임명되는 등 우다조부터 다이고조에 걸쳐 지방관을 역임했다. 엔초 3년(925년) 이즈미국에서 귀경한 직후 사망했다고 한다.가인으로서 우타아와세나 가카, 병풍가에서 활약하여 쇼타이 원년(898년)의 "스자쿠인 여자 억새 합"에 출영한 이후, 엔기 7년(907년) 우다 법황의 오이가와 행행, 엔기 16년(916년) 세키산사 어행, 엔기 21년(921년) 가스가 신사 참배 등에 종사하여 와카를 영진했다. 또한 이 기간 중 엔기 5년(905년)에는 키노 쓰라유키, 키노 도모노리, 미부노 타다미네와 함께 『고킨와카슈』의 선자에 임명되었다.
36가선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고킨와카슈』(60수) 이하의 칙찬와카슈에 194수가 수록되는 등[4], 궁정 가인으로서의 명성은 높다. 가집으로 『교우코슈』가 있다.
2. 3. 고킨와카슈 편찬
엔기 5년(905년), 키노 쓰라유키, 키노 도모노리, 미부노 타다미네와 함께 『고킨와카슈』의 편찬에 참여했다.[4] 가인으로서 우타아와세나 가카, 병풍가 등에서 활약했으며, 쇼타이 원년(898년) "스자쿠인 여자 억새 합"에 참여한 이후, 엔기 7년(907년) 우다 법황의 오이가와 행행, 엔기 16년(916년) 세키산사 어행, 엔기 21년(921년) 가스가 신사 참배 등에 동행하여 와카를 지었다.2. 4. 사망
엔초 3년(925년) 이즈미국에서 귀경한 직후 사망했다.[4]3. 일화
야마토 이야기 132단에 다이고 천황이 "어째서 달을 '유미바리'라고 하는가"라고 묻자, 오시코치노 미쓰네는 "빛나는 달을 유미바리라고 하는 것은, 산의 끝을 향해 쏘아 들어가기 (사) 때문입니다 (= 빛나는 달을 활처럼 굽은 달이라고 하는 것은, 산의 능선으로 향해 화살을 쏘듯이, 달이 져물어가기 때문입니다)"라고 즉흥적으로 대답했다는 이야기가 있다.[1]
무묘쇼에 따르면, 관지・공항의 우열에 대한 질문을 받은 미나모토노 도시요리는 "공항을 얕보지 마십시오 (=공항을 바보 취급하지 마십시오)"라고 말했다고 한다.[2]
4. 대표작
- 첫눈이 내려 헷갈리는 흰 국화꽃을 꺾으려 하네[1]
- 둥근 달을 활이라고만 말하는 것은 산의 가장자리에 걸쳐 있기 때문이네
- 봄밤의 어둠은 알 수 없어 매화꽃 색깔은 보이지 않지만 향기는 어찌 숨기랴[2]
5. 가계
참조
[1]
서적
『三十六人歌仙伝』
[2]
서적
『勅撰作者部類』
[3]
간행물
「広峯氏系図」(『[[続群書類従]]』巻第183所収)
[4]
서적
『[[勅撰作者部類]]』
[5]
간행물
「広峯氏系図」(『広峯系図』東大史料編纂所蔵所収)
[6]
간행물
「源姓広峯氏系図」(『広峯系図』東大史料編纂所蔵所収)
[7]
서적
『勅撰作者部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