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우택은 대한민국의 약학자이자 뇌과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오클라호마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텍사스 대학교 갈베스턴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으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연구소 소장, 파스퇴르 연구소-한국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캡사이신 수용체(TRPV1), 염증성 통증 기전, 기계 자극 감응 이온 채널, Anoctamin 1(TMEM16A) 연구 등 통증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과학기술우수논문상, 남양알로에 생명약학 학술상, 특허기술상 세종대왕상, 대한민국학술원상, 국가과학기술상, 송음 이선규 의약학상, 이달의 과학자상, 대한민국 과학상,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DI학술상, 호암상 의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생리학자 - 윤일선
윤일선은 한국 근대 병리학 및 해부학의 선구자이자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교육자로, 한국 의학 교육과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에서 한국 의학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국내외 학술 활동에도 참여하여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하였다. - 대한민국의 생리학자 - 이우주
대한민국의 의학자이자 교육자인 이우주는 카테콜아민 연구로 고혈압 및 심부전증 연구에 기여하고, 연세대학교 총장으로서 의과대학 교육 혁신을 이끌었으며, 의학대사전 편찬을 통해 의학 용어 표준화에 공헌하여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되었다. - 호암 의학상 수상자 - 김정룡
김정룡은 B형 간염 백신 '헤파박스-B' 개발과 세계 최초 C형 간염 바이러스 혈청 분리 성공으로 국내 간 질환 연구에 크게 기여한 대한민국 의학자이다. - 호암 의학상 수상자 - 정재웅 (미생물학자)
정재웅은 서울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대한민국의 미생물학자로, RIG-I, TRIM25, 자가포식 등에 대한 연구로 2012년 호암상 의학상을 수상했다. - 오클라호마 대학교 동문 - 제임스 가너
미국의 배우이자 제작자인 제임스 가너는 《매버릭》, 《록포드 파일》 등 텔레비전과 영화에서 활약하며 에미상을 수상했고, 한국 전쟁 참전 용사이자 자서전 작가이며, 오프로드 모터스포츠 및 텔레비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오클라호마 대학교 동문 - 에드 해리스
에드 해리스는 미국의 배우, 프로듀서, 감독으로, 다양한 영화와 연극에서 폭넓은 연기력을 선보이며 아카데미상 후보에 네 차례 지명되었고, 폴락과 아팔루사를 감독 및 제작하고 웨스트월드와 같은 TV 시리즈에서도 활약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오우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우택 |
출생일 | 1955년 6월 29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분야 | 생리학 |
직장 | 교수,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모교 | 서울대학교 오클라호마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Robert D. Foreman |
박사 졸업생 | (정보 없음) |
한국어 이름 | |
한글 | 오우택 |
한자 | 吳禹澤 |
로마자 표기 | O Utaek |
매큔-라이샤워 표기 | O Ut'aek |
2. 학력
학력 |
---|
오우택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다양한 연구 활동을 수행했다.[9] 주요 경력으로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9] Federation of Asian Oceanian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Treasurer,[9] WCU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 학과 사업단장, 한국WCU협의회 회장,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이사장 등이 있으며,[9]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9]
3. 경력
연도 경력 및 활동 1987년 - 1988년 텍사스 대학교 갈베스턴 의과대학 해양생명 의학 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1988년 - 2016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9] 1988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조교수, 부교수 1994년 - 1995년 로잘린드 프랭클린 대학교 HSC/시카고 의과대학 생리학과 객원교수 1997년 서울대학교 창의적 연구 사업, 감각 연구 센터 소장 1998년 - 2003년 엘스비어, Neuroscience Letters 부편집장 1999년 - 2000년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편집장 2000년 한국 뇌신경과학회 사무총장 2004년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사무총장 2004년 아시아 통증 학회 연맹 사무총장 2004년 -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5년 - 2007년 제19회 FAOBMB 서울 컨퍼런스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2007년 - 2013년 FAOBMB 재무 2007년 - 현재 아시아 오세아니아 생화학 분자생물학 연맹 (Federation of Asian Oceanian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재무 2008년 - 2013년 WCU 분자 의학 및 바이오 제약 과학과 학과장 2008년 - 현재 WCU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 학과 (제1유형), 사업단장 2011년 - 2013년 교육과학기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 자문위원 2011년 - 2013년 교육과학기술부, 생명공학기술 개발 심의위원회 위원장 2011년 - 현재 한국WCU협의회 회장 2013년 - 현재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이사장 2017년 -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뇌과학연구소 소장[9]
4. 주요 연구 업적
4. 1. 캡사이신 수용체 (TRPV1) 연구
오우택은 캡사이신 수용체(TRPV1) 연구를 진행했다. 1996년 캡사이신이 갓 태어난 쥐의 등쪽 뿌리 신경절 신경 세포에서 비선택적 양이온 채널을 활성화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6] 2000년에는 리폭시제네이스 생성물에 의해 캡사이신 수용체가 직접적으로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5] 이는 내인성 캡사이신 유사 물질의 존재를 시사한다. 2002년에는 브래디키닌-12-리폭시제네이스-VR1 신호 전달 경로가 염증성 과민성 통증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
4. 2. 염증성 통증 기전 연구
오우택은 염증성 통증 기전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4. 3. 기계 자극 감응 이온 채널 연구
오우택은 갓 태어난 쥐의 배아 감각 신경 세포에서 기계 자극 감응 이온 채널을 연구했으며,[4] 캡사이신이 배양된 갓 태어난 쥐의 등쪽 뿌리 신경절 신경 세포에서 비선택적 양이온 채널을 활성화시킨다는 연구를 진행했다.[6]
4. 4. Anoctamin 1 (TMEM16A) 연구
오우택은 2008년에 TMEM16A가 수용체 활성화 칼슘 의존성 염소 전도성을 부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2] 2012년에는 칼슘 활성 염소 채널 단백질 Anoctamin 1이 통각 수용 신경 세포에서 열 감지기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
5. 수상
연도 | 수상 내역 |
---|---|
1997년 | 제7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2005년 | 남양알로에 생명약학 학술상 (생명약학연구회) |
2005년 | 특허기술상 세종대왕상 (특허청) |
2006년 | 대한민국학술원상 |
2006년 | 대한민국 국가과학기술상 |
2008년 | 송음 이선규 의약학상 ((주)동성제약) |
2009년 | 이달의 과학자상 (한국과학재단) |
2009년 | 2009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한국연구재단) |
2009년 | 대한민국 과학상 (대통령상) |
2010년 | 한국과학상 (한국연구재단, 대통령) |
2010년 |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인상 (대통령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7] |
2013년 | DI학술상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
2019년 | 호암상 의학상[8] |
참조
[1]
논문
The Calcium-activated Chloride Channel Anoctamin 1 acts as a Heat Sensor in Nociceptive Neurons
[2]
논문
TMEM16A Confers Receptor Activated Calcium-dependent Chloride Conductance
[3]
논문
Bradykinin-12-lipoxygenase-VR1 signaling pathway for inflammatory hyperalgesia
2002
[4]
논문
Mechano-sensitive Ion Channels in Cultured Sensory Neurons of Neonatal Rats
2002
[5]
논문
Direct activation of capsaicin receptors by products of lipoxygenases: Endogenous capsaicin-like substances
2000
[6]
논문
Capsaicin Activates a Non-selective Cation Channel in Cultured Neonatal Rat Dorsal-root Ganglion Neurons
1996
[7]
웹사이트
'[10.07월] 김광수 교수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https://chem.postech[...]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0-07-02
[8]
웹사이트
Previous Laureates
http://hoamprize.sam[...]
null
2019
[9]
뉴스
KIST 뇌과학연구소장에 오우택 서울대 교수
http://www.yonhapnew[...]
2017-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