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필화수입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필화수입법은 한자의 획순을 설명하는 방법으로, 가로획, 세로획, 삐침, 파임, 꺾임의 다섯 가지 기본 획을 정의한다. 이 방법은 획의 순서를 규칙화하여 한자를 구성하며,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쓰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획의 교차, 좌우 대칭, 받침의 위치 등 다양한 경우에 따른 세부 규칙을 제시하여 한자 학습에 도움을 준다.

2. 기본 획

오필화수입법은 다음 5가지 기본 획을 사용한다.

번호설명
一 (橫|héngzho)1가로획
丨 (豎|shùzho)2세로 획, 꿰뚫는 획
丿 (撇|piězho)3위에서 왼쪽 아래로 긋는 획, 곡선
丶 (捺|nàzho)4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긋는 획, 점
乛 (拆|chāizho)5꺾이는 획(乙)


2. 1. 가로획 (一, héng)

오필화수입법의 5가지 기본 획 중 첫 번째(번호 1)에 해당하는 획이다. 한자 '一' 모양이며, 橫|헝중국어이라고 부른다. 이름 그대로 가로로 긋는 획을 가리킨다.

2. 2. 세로획 (丨, shù)

오필화수입법의 두 번째 기본 획이다. 丨|shùzho라고 하며, 세로로 긋는 획 또는 꿰뚫는 획을 의미한다.

2. 3. 삐침 (丿, piě)

오필화수입법의 세 번째 획으로, 丿|piězho라고 한다. 위에서 왼쪽 아래로 비스듬히 내려긋는 획이며, 때로는 약간의 곡선 형태를 띠기도 한다.

2. 4. 파임 (丶, nà)

파임은 오필화수입법의 네 번째 필획으로, 한자 '丶'로 나타낸다. 발음은 nà|나zho이다. 이 획은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긋는 형태 또는 점의 형태를 가진다.

2. 5. 꺾음 (乛, chāi)

오필화수입법의 5번째 획으로, 乛중국어(拆|chāi중국어)라고 하며 꺾이는 획(乙)을 의미한다.

3. 필순 규칙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예: 川)

# 위에서 아래로 쓴다. (예: 三, 言, 高)

#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쓴다. (예: , 古)

# 삐침을 먼저 쓰고 파임을 나중에 쓴다. (예: )

# 좌우 모양이 같을 때에는 가운데를 먼저 쓴다. (예: 小, 水)

# 몸과 안으로 된 글자는 몸을 먼저 쓴다. (예: 用, 同, 問)

# 상하로 꿰뚫는 세로획은 맨 나중에 쓴다. (예: 中, 車)

# 오른쪽 위의 점은 맨 나중에 쓴다. (예: 犬)

# 착받침(辶)과 민착받침(⻍)을 제외한 받침은 먼저 쓰고, 착받침과 민착받침은 맨 나중에 쓴다. (예: 道, 起, 勉)

# 가로획이 짧고 왼쪽 삐침이 길면 가로획부터 쓴다. (예: 友)

# 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예: 右, 有)

3. 1. 왼쪽에서 오른쪽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 예) 川

3. 2. 위에서 아래

위에서 아래로 쓴다.

예) 三, 言, 高

3. 3. 가로획 먼저, 세로획 나중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쓴다.

3. 4. 삐침 먼저, 파임 나중

삐침을 먼저 쓰고 파임을 나중에 쓴다.

3. 5. 좌우 대칭일 때 가운데 먼저

한자 필순에서 좌우 모양이 같을 때는 가운데 부분을 먼저 쓴다.

  • 예: 小, 水

3. 6. 몸과 안쪽 글자는 몸 먼저

몸과 안으로 된 글자는 몸을 먼저 쓴다.

  • 예) 用, 同, 問

3. 7. 세로 꿰뚫는 획은 나중

한자에서 상하를 꿰뚫는 세로획은 가장 나중에 쓴다.

  • 예) 中, 車

3. 8. 오른쪽 위 점은 나중

오른쪽 위에 찍는 점은 맨 나중에 쓴다. 예를 들어 한자 '犬'(개 견) 자를 쓸 때, 오른쪽 위의 점은 마지막 획이 된다.

3. 9. 받침은 처음에, 辶, ⻍은 나중

착받침(辶)과 민착받침(⻍)은 해당 한자의 다른 구성 요소를 모두 쓴 뒤 가장 마지막 순서로 쓴다.

  • 예시:
  • 道 (길 도): 首 부분을 먼저 쓰고 마지막에 辶을 쓴다.
  • 起 (일어날 기): 己 부분을 먼저 쓰고 마지막에 走 부분을 쓴다.
  • 勉 (힘쓸 면): 免 부분을 먼저 쓰고 마지막에 부분을 쓴다.

3. 10. 짧은 가로획은 먼저, 긴 가로획은 나중

가로획이 짧고 왼쪽 삐침이 길면 가로획부터 쓴다.

  • 예) 友


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 예) 右, 有

4. 필순 예시

한자오필화수입법 필순
丿+丶
丨+乛+一
一+丨
一+丨+丿+丶
丨+乛+丿+丶
一+丿+乛+丶
丿+丿+乛+丶
丶+丶+一+丶+乛+丿+乛
丶+丶+乛+一+丿+乛+丿+丿+丿+丶
一+丿+丶
一+丨+丨+乛+一+一+一+丨+乛+丨+一+丨+乛+一+一+乛+丨
乛+一+乛+一+乛
丨+乛+一+丨+乛+一+一+乛+丿+丶+一


4. 1. 人 (사람 인)

한자 '人'은 필획 '丿'와 '丶'로 구성된다.

4. 2. 口 (입 구)

丨+乛+一

4. 3. 十 (열 십)

한자 '十'의 오필화수입법상 획 분해는 다음과 같다.

한자획 순서
一+丨


4. 4. 木 (나무 목)

wikitext

한자오필화수입법 획순
一+丨+丿+丶


4. 5. 水 (물 수)

wikitext

丨+乛+丿+丶


4. 6. 友 (벗 우)

友 자의 오필화수 입력 코드는 '一+丿+乛+丶'이다.

4. 7. 反 (돌이킬 반)

wikitext

한자오필화수입법 획 분해
丿+丿+乛+丶


4. 8. 沈 (잠길 침)

한자획순
丶+丶+一+丶+乛+丿+乛


4. 9. 家 (집 가)

丶+丶+乛+一+丿+乛+丿+丿+丿+丶

4. 10. 大 (큰 대)

오필화수입법에서 한자 大는 一, 丿, 丶 순서로 입력한다.

4. 11. 韓 (나라 한)

wikitext

한자오필화수입법 획 순서
一+丨+丨+乛+一+一+一+丨+乛+丨+一+丨+乛+一+一+乛+丨


4. 12. 民 (백성 민)

wikitext

글자오필화수입법 코드
乛+一+乛+一+乛


4. 13. 國 (나라 국)

wikitext

한자오필화수입법 표기
丨+乛+一+丨+乛+一+一+乛+丿+丶+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