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전 이분 그래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전 이분 그래프는 정점을 두 개의 부분 집합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동일한 부분 집합 내에 변이 없고, 서로 다른 부분 집합의 정점을 연결하는 모든 변을 포함하는 그래프이다. 완전 이분 그래프는 k분 그래프이며 채색수는 k 이하이다. 완전 이분 그래프는 Km,n으로 표기하며, 평면 그래프가 K3,3을 그래프 마이너로 가질 수 없다는 성질을 갖는다.

2. 정의

집합 Vk조각 분할

:V=V_1\sqcup\dotsb V_k

이 주어졌을 때, 이 분할에 대응하는 '''완전 k분 그래프'''(complete k-partite graph영어)는 위와 같은 분할에 대하여 k분 그래프를 이루는, 가장 변을 많이 갖는 그래프이다. 즉, 그 변의 집합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E=\bigsqcup_{1\le i

완전 이분 그래프는 정점을 두 개의 부분 집합 V_1V_2로 분할할 수 있으며, 같은 부분 집합 내에 양쪽 끝점을 가진 변이 없고, 서로 다른 부분 집합의 정점을 연결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변이 그래프의 일부인 그래프이다.

2. 1. 표기법

집합 Vk조각 분할

:V=V_1\sqcup\dotsb V_k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집합의 분할에 대응하는 '''완전 k분 그래프'''(complete k-partite graph영어)는 위와 같은 분할에 대하여 k분 그래프를 이루는, 가장 변을 많이 갖는 그래프이다.

V_1,\dotsc,V_k집합의 크기가 각각 n_1,\dotsc,n_k일 때, 이에 대응하는 완전 k분 그래프는 K_{n_1,\dotsc,n_k}로 표기한다.

k=1일 경우, 이는 완전 그래프와 같다. k=2일 경우 이를 '''완전 이분 그래프'''(完全二分graph, complete bipartite graph영어), k=3일 경우 이를 '''완전 삼분 그래프'''(完全三分graph, complete tripartite graph영어)라고 한다.[1][2]

3. 성질

완전 k분 그래프는 k분 그래프이며, 그 채색수는 k 이하이다. 특히, 0<\min\{n_1,\dotsc,n_k\}일 경우, 그 채색수는 k이다.


  • 이분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매개변수 i에 대해 완전 이분 부분 그래프 K_{i,i}를 포함하는지 테스트하는 것은 NP-완전 문제이다.[8]
  • 두 부분 그래프에서 변의 수 m\cdot n이 최대가 되는 완전 이분 부분 그래프 K_{m,n}를 구하는 것 또한 NP-완전 문제이다.
  • ''k''-정규 이분 그래프에 결혼 정리를 적용하면, 완전 이분 그래프 K_{n,n}에는 라틴 방진에 대응하는 ''n''색의 변 채색이 존재한다는 따름정리를 얻을 수 있다.

3. 1. 크기

완전 k분 그래프 K_{n_1,\dotsc,n_k}의 꼭짓점의 수는 |V(K_{n_1,\dotsc,n_k})|=\sum_{i=1}^kn_k이며, 변의 수는 |V(K_{n_1,\dotsc,n_k})|=\prod_{i=1}^kn_k이다.

3. 2. 그래프의 평면성

평면 그래프는 톰슨 그래프(K_{3,3})를 그래프 마이너로 가질 수 없다. 반대로, 평면 그래프가 아닌 모든 그래프는 K_{3,3} 또는 K_5를 그래프 마이너로 갖는다. (바그너 정리 Wagner’s theorem영어)[9]

3. 3. 기타 성질


  • 모든 완전 이분 그래프는 무어 그래프이며, -케이지이다.[10]
  • 완전 이분 그래프 및 은 꼭짓점의 수가 같을 때, 모든 삼각형 없는 그래프 중에서 가장 많은 변을 갖는다. 이는 만텔의 정리이다. 만텔의 정리는 -분할 그래프와 더 큰 클리크를 부분 그래프로 갖지 않는 그래프에 대한 튜란의 정리로 일반화되었으며, 이 두 완전 이분 그래프는 이 문제에 대한 튜란 그래프의 예시이다.[11]
  • 완전 이분 그래프 의 최소 정점 덮개 수는 이고, 최소 엣지 덮개 수는 이다.
  • 완전 이분 그래프 은 크기가 인 최대 독립 집합을 갖는다.
  • 완전 이분 그래프 의 인접 행렬은 고윳값 , , 0을 갖는다. 각각 중복도는 1, 1, 이다.[12]
  • 완전 이분 그래프 의 라플라시안 행렬은 고윳값 , , , 0을 갖는다. 각각 중복도는 1, , , 1이다.
  • 완전 이분 그래프 은 개의 신장 트리를 갖는다.[13]
  • 완전 이분 그래프 은 크기가 인 최대 매칭을 갖는다.
  • 완전 이분 그래프 은 라틴 방진에 해당하는 -엣지 채색을 갖는다.[14]
  • 모든 완전 이분 그래프는 모듈러 그래프이다. 즉, 꼭짓점의 모든 삼중항은 각 꼭짓점 쌍 사이의 최단 경로에 속하는 중위수를 갖는다.[15]

4. 예

별 그래프 K1,3, K1,4, K1,5, K1,6


K4,7의 완전 이분 그래프. 4개의 보관 장소(노란 점)와 7개의 가마(파란 점)가 있는 투란의 벽돌 공장 문제는 18개의 교차점(빨간 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임의의 ''k''에 대해, K1,k는 별 그래프라고 불린다.[2] 트리인 모든 완전 이분 그래프는 별 그래프이다.
  • 그래프 K1,3는 클로라고 불리며, 클로-프리 그래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5]
  • 그래프 K3,3은 유틸리티 그래프라고 불린다. 이 용법은 세 개의 유틸리티가 각각 세 개의 건물에 연결되어야 하는 표준 수학적 퍼즐에서 유래한다. K3,3평면 그래프가 아니기 때문에 교차점 없이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6]

5. 역사

아타나시우스 키르허가 1669년에 완전 이분 그래프의 그림을 출판하였다.[16]

6. 응용

완전 이분 그래프는 여러 분야에서 응용된다.

형식 개념 분석에서 관계의 방향 그래프의 부분 그래프로 발견되는 최대 이분 그래프는 '개념'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부분 그래프를 통해 형식 개념 분석을 할 수 있다.[6]

또한, 주어진 이분 그래프에서 완전 이분 부분 그래프를 찾는 문제는 NP-완전 문제이다.[8]

6. 1. 형식 개념 분석

관계의 방향 그래프의 부분 그래프로 발견되는 최대 이분 그래프는 '개념'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부분 그래프의 만남과 결합을 통해 격자가 형성될 때, 관계는 유도된 개념 격자를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관계 분석을 형식 개념 분석이라고 한다.[6]

6. 2. NP-완전 문제

주어진 이분 그래프에서 완전 이분 부분 그래프를 찾는 문제는 NP-완전 문제이다.[8] 매개변수 ''i''가 주어졌을 때, 이분 그래프가 K_{i,i} 완전 이분 부분 그래프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NP-완전 문제에 해당한다. 변의 수가 최대가 되는 완전 이분 부분 그래프 K_{m,n}를 구하는 문제 역시 NP-완전 문제이다.

참조

[1] 서적 Graph Theory with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North-Holland
[2] 서적 Graph Theory http://diestel-graph[...] Springer
[3] 서적 An Atlas of Graphs Clarendon Press
[4] 서적 Combinatorics: Ancient and Modern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Matching theory https://books.google[...] AMS Chelsea
[6] 서적 A Logical Approach to Discrete Math https://books.google[...] Springer
[7] 서적 Regular Complex Polytopes
[8] 서적 Computers and Intractability: A Guide to the Theory of NP-Completeness W. H. Freeman
[9] 서적
[10] 서적 Algebraic Graph The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Modern Graph The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12] 서적
[13] 서적 Graphs, Networks and Algorithms https://books.google[...] Springer
[14] 서적 Graph Coloring Problems https://books.google[...] Wiley
[15] 간행물 Absolute retracts of bipartite graphs
[16] 서적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