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틴 방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틴 방진은 n × n 크기의 정사각 행렬로, 각 행과 열에 Σ의 모든 원소가 정확히 한 번씩 나타나는 특별한 성질을 가진다. 라틴 방진은 순서쌍 집합, 유한 유사군, 직교 배열 표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행, 열, 기호의 순열을 통해 동위 라틴 방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켤레 라틴 방진, 직교성, 횡단 등의 성질을 가지며, 통계학의 실험 설계, 오류 정정 부호, 퍼즐 등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류 검출 정정 - 부호 이론
    부호 이론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오류를 감지 및 수정하는 기술을 연구하며, 소스 부호화, 채널 부호화, 암호 부호화 등으로 발전하여 CD, 모뎀, 휴대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오류 검출 정정 - 비터비 알고리즘
    비터비 알고리즘은 잡음이 있는 통신 링크 상에서 길쌈 부호 해독에 사용되며, 확률과 관련된 극대화 문제에 동적 계획법을 적용하는 표준 용어로, 상태 기계를 기반으로 은닉 마르코프 모델에서 가장 가능성 높은 상태 시퀀스를 찾는 데 활용되어 통신, 자연어 처리, 생물정보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개선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 통계학 용어 - 퍼센트 포인트
    퍼센트포인트는 전체 비율을 나타내는 퍼센트와 달리 두 퍼센트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경제 지표나 여론조사 등에서 명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중요하며 절대적 변화량을 나타낸다.
  • 통계학 용어 - 편차
    편차는 관측값과 참값의 차이인 오차를 의미하며 통계적 분산 측정에 중요하고, 데이터 분석, 과학 실험, 무선 공학 등에서 활용된다.
  • 조합론 - 집합의 분할
    집합의 분할은 주어진 집합을 서로소인 부분 집합들로 나누는 것이며, 동치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벨 수로 표현되며, 플레잉 카드를 나누는 것과 같은 예시가 있다.
  • 조합론 - 계승 (수학)
    계승은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곱한 값으로, 0의 계승은 1로 정의되며, 대칭군의 크기와 같다는 성질을 통해 기수로 확장될 수 있고, 다중 계승, 지수 계승 등으로 확장 및 응용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라틴 방진

2. 정의

라틴 방진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세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 기호들로 구성된 일종의 정사각 행렬로서, 특별한 성질을 갖는다.
  • 순서쌍 집합으로서, 특별한 성질을 만족시킨다. 이 정의는 행렬을 통한 정의보다 더 대칭적이지만, 조금 덜 직관적이다.
  • 유한 유사군으로 볼 수 있다.

2. 1. 행렬을 통한 정의

크기 n의 라틴 방진은 n × n 정사각 행렬로, 각 행과 열에 n개의 서로 다른 원소가 한 번씩만 나타나는 행렬이다. 구체적으로,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자연수 n\in\mathbb N. 이를 라틴 방진의 '''크기'''라고 한다.
  • 크기 n유한 집합 \Sigma. 이를 '''알파벳'''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알파벳 \Sigma에 대한 '''라틴 방진'''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Sigma의 원소를 성분으로 하는, n\times n 정사각 행렬

:L=\begin{pmatrix}

L_{11}&L_{12}&\dotsm&L_{1n}\\

L_{21}&L_{22}&&L_{2n}\\

\vdots&&\ddots&\vdots\\

L_{n1}&L_{n2}&\ddots&L_{nn}

\end{pmatrix}

이다.

  • 각 행은 \Sigma의 모든 원소를 (정확히 하나씩) 포함한다. 즉, 임의의 i\in\{1,\dotsc,n\}에 대하여, \Sigma=\{M_{i1},\dotsc,M_{i n}\}이다.
  • 각 열은 \Sigma의 모든 원소를 (정확히 하나씩) 포함한다. 즉, 임의의 j\in\{1,\dotsc,n\}에 대하여, \Sigma=\{M_{1j},\dotsc,M_{nj}\}이다.


라틴 방진은 첫 번째 행과 첫 번째 열이 자연스러운 순서로 정렬되어 있을 때 ''환원''되었다고 (또는 ''정규화'' 또는 ''표준 형태''라고도 함) 한다.[4] 예를 들어, A, C, B 순서로 배열된 첫 번째 열을 가진 라틴 방진은 환원되지 않은 것이다.

모든 라틴 방진은 행과 열을 순열하여 환원할 수 있다.

2. 2. 순서쌍을 통한 정의

크기 n의 라틴 방진은 n개의 원소를 갖는 집합 \Sigma=\{1,2,3,\dotsc,n\}에서 (행, 열, 값)의 순서쌍 n^2개로 이루어진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집합은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킨다.

  • |L|=|\Sigma|^2이다. 즉, 순서쌍의 개수는 n^2개이다.
  • L의 서로 다른 두 원소는 세 성분 가운데 임의의 두 개 만으로도 구별된다. 즉, 임의의 (a,b,c),(a',b',c')\in L에 대하여, 만약 (a,b,c)\ne(a',b',c')라면, (a,b)\ne (a',b')이며, (b,c)\ne(b',c')이며, (a,c)\ne(a',c')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3 × 3 라틴 방진을 생각해보자.

123
231
312



이 라틴 방진은 다음과 같은 순서쌍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1, 1, 1), (1, 2, 2), (1, 3, 3), (2, 1, 2), (2, 2, 3), (2, 3, 1), (3, 1, 3), (3, 2, 1), (3, 3, 2) }

여기서 (2, 3, 1)은 2행 3열에 값 1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순서쌍 집합은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 순서쌍들은 다음과 같이 표로도 나타낼 수 있다.

rcs
111
122
133
212
223
231
313
321
332


2. 3. 대수적 정의

크기 n의 '''라틴 방진'''은 집합 \Sigma=\{1,2,\dotsc,n\} 위에 정의된, 다음 두 조건을 따르는 이항 연산

:*\colon\Sigma\times\Sigma\to\Sigma

이다.

  • (왼쪽 역원의 존재) 임의의 a,b\in\Sigma에 대하여, a*x=bx\in\Sigma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오른쪽 역원의 존재) 임의의 a,b\in\Sigma에 대하여, x*a=bx\in\Sigma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즉, 라틴 방진의 개념은 유한 유사군의 개념과 사실상 동치이다.

이 경우, (\Sigma,*)에 대응되는 행렬은

:M_{ij}=i*j

이며, 마찬가지로 (\Sigma,*)에 대응되는 순서쌍 집합은

:\{(i,j,i*j)\colon i,j\in\Sigma\}

이다.

대수학에서 라틴 방진은 군론의 일반화와 관련이 있다. 특히 라틴 방진은 준군의 곱셈표(케일리 표)로서 특징지어진다. 값의 표가 라틴 방진을 형성하는 이진 연산은 라틴 방진 속성을 따른다고 한다.[17][18]

3. 성질

주어진 크기의 라틴 방진의 정확한 개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상한과 하한은 알려져 있다. 크기가 n인 라틴 방진의 수를 L_n이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6]

:\frac{(n!)^{2n}}{n^{n^2}}\le L_n\le \prod_{i=1}^n(i!)^{n/i}\qquad\forall n\in\mathbb N

(단, n=0일 경우, 좌변에서 0^0=1로 놓으며, 우변에서 0개의 항의 곱은 1이다.)

또한, L_n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27]

:L_n=n!\sum_{M\in\operatorname{Mat}(n,n;\{0,1\})}(-)^

\binom{\operatorname{perm}M}n

여기서

  • \operatorname{Mat}(n,n;\{0,1\})\{0,1\} 성분을 갖는, n\times n 정사각 행렬들의 집합이다.
  • |\{(i,j)\in\{1,2,\dotsc,n\}^2\colon M_{ij}=0\}|은 행렬 M의 성분 가운데, 값이 0인 것의 수이다.
  • \operatorname{perm}M\in\mathbb N은 행렬 M퍼머넌트이다.
  • \textstyle\binom{-}{-}이항 계수이다.


크기가 2와 6인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크기에 대해 서로 직교하는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n\ge2일 때, 크기 n\times n의 상호 직교 라틴 방진(MOLS) 집합의 크기는 항상 n-1 이하이다. 만약 n소수의 거듭제곱일 때 (즉, 크기 n의 유한체가 존재할 때) 이 상계는 최댓값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크기 n-1n\times n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은 크기 n의 유한 사영 평면의 존재와 동치이다.

3. 1. 동위 라틴 방진

임의의 라틴 방진이 주어졌을 때, 다음 연산을 가하여도 여전히 라틴 방진을 얻을 수 있다.

만약 같은 알파벳 위의 두 라틴 방진에 위 연산들을 적용하여 서로 같게 만들 수 있다면, 이 두 라틴 방진은 서로 동위(同位, isotopic영어) 관계라고 한다.

예를 들어, 라틴 방진의 행을 순열하거나, 열을 순열하거나, 기호의 이름을 순열하면, 원래 라틴 방진과 동위 관계에 있는 새로운 라틴 방진을 얻는다. 동위는 동치 관계이므로, 모든 라틴 방진의 집합은 동위류(isotopy classes)로 나눌 수 있다. 같은 동위류에 속하는 두 방진은 동위 관계이며, 다른 동위류에 속하는 방진은 동위 관계가 아니다.

3. 2. 켤레 라틴 방진

라틴 방진은 순서쌍 (행, 열,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순서쌍의 세 성분을 치환하여 얻을 수 있는 라틴 방진을 켤레 라틴 방진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각 순서쌍 (''r'',''c'',''s'')을 (''c'',''r'',''s'')로 바꾸면 원래 방진을 전치하는 것과 같다. 여기서 r, c, s는 각각 행, 열, 심볼을 의미한다. (''r'',''c'',''s'')를 (''c'',''s'',''r'')로 바꾸는 것과 같이 더 복잡한 연산도 가능하다. 이러한 치환은 "아무것도 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총 6가지 경우가 있으며, 이들을 원래 방진의 켤레(conjugate)라고 부른다.[5]

3. 3. 직교성

같은 크기의 두 라틴 방진 M, N이 주어졌을 때, 각 칸에서 두 라틴 방진의 성분이 각각 다른 순서쌍을 이룬다면, 즉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forall i,j,i',j'\in\{1,2,\dotsc,\}\colon (M_{ij},N_{ij})\ne(M_{i'j'},N_{i'j'})

MN은 서로 '''직교'''(直交, orthogonal영어)한다고 하며, M\perp N으로 표기한다.

같은 크기의 라틴 방진 집합 \mathcal M에 대하여, 임의의 서로 다른 두 라틴 방진 M,N\in\mathcal M이 항상 M\perp N를 만족하면, \mathcal M을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set of mutually orthogonal Latin squares영어, 약자 MOLS)이라고 한다. 특히, 크기가 2인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 즉 직교하는 두 라틴 방진의 순서쌍(M,N)은 '''직교 라틴 방진 (쌍)'''(直交Latin方陣順序雙, (pair of) orthogonal Latin square(s)영어) 또는 '''그레코라틴 방진'''(Greco–Latin square영어)이라고 한다.

3. 4. 횡단 (Transversal)

라틴 방진에서 횡단은 ''n''개의 셀을 선택하는 것으로,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각 행에서 하나의 셀을 포함한다.
  • 각 열에서 하나의 셀을 포함한다.
  • 각 기호를 포함하는 셀이 하나씩 있다.


라틴 방진을 이분 그래프로 표현했을 때, 횡단은 각 모서리가 다른 색상을 갖는 무지개 매칭에 해당한다.[8]

일부 라틴 방진에는 횡단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n''이 짝수일 때, 셀 (''i'',''j'')의 값이 (''i''+''j'') mod ''n''인 ''n''×''n'' 라틴 방진은 횡단을 갖지 않는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begin{bmatrix}

1 & 2 \\

2 & 1

\end{bmatrix}

\quad

\begin{bmatrix}

1 & 2 & 3 & 4 \\

2 & 3 & 4 & 1 \\

3 & 4 & 1 & 2 \\

4 & 1 & 2 & 3

\end{bmatrix}



다음은 횡단과 관련된 추측들이다.

  • 1967년 H. J. Ryser는 ''n''이 홀수일 때 모든 ''n''×''n'' 라틴 방진에는 횡단이 있다고 추측했다.[9]
  • 1975년 S. K. Stein과 Brualdi는 ''n''이 짝수일 때 모든 ''n''×''n'' 라틴 방진에는 크기가 ''n''−1인 부분 횡단이 있다고 추측했다.[10]
  • Stein은 더 나아가 라틴 방진뿐만 아니라 각 기호가 정확히 ''n''번 나타나는 ''n''×''n'' 배열에도 크기가 ''n''−1인 횡단이 존재한다고 추측했다.[9]


이러한 추측들의 일부 약한 버전은 증명되었다.

  • 모든 ''n''×''n'' 라틴 방진에는 크기가 2''n''/3인 부분 횡단이 있다.[11]
  • 모든 ''n''×''n'' 라틴 방진에는 크기가 ''n'' − sqrt(''n'')인 부분 횡단이 있다.[12]
  • 모든 ''n''×''n'' 라틴 방진에는 크기가 ''n'' − 11 log(''n'')인 부분 횡단이 있다.[13]
  • 모든 ''n''×''n'' 라틴 방진에는 크기가 ''n'' − O(log n/loglog n)인 부분 횡단이 있다.[14]
  • 모든 충분히 큰 ''n''×''n'' 라틴 방진에는 크기가 ''n'' −1인 부분 횡단이 있다.[15] (사전 출판)

4. 연산

임의의 라틴 방진이 주어졌을 때, 다음 연산을 가하여도 여전히 라틴 방진을 이룬다.



같은 알파벳 위의 두 라틴 방진에 위와 같은 연산들을 가하여 같게 만들 수 있다면, 이 두 라틴 방진은 서로 '''동위'''(同位, isotopic영어)라고 한다.

알파벳이 전순서 집합일 때, 임의의 라틴 방진에 순열을 가해 첫 행과 첫 열이 둘 다 순서대로 배열되게 놓을 수 있다. 이를 '''표준형 라틴 방진'''(標準型Latin方陣, normal-form/standard-form/reduced Latin square영어)이라고 한다.

라틴 방진의 순서쌍 표현에서, 크기 3의 집합 위의 순열을 취하여도 역시 라틴 방진을 이룬다. 이 경우 원래 라틴 방진과 순열을 취한 라틴 방진은 서로 '''켤레'''(conjugate영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행렬 표현에서 정사각 행렬의 전치 행렬을 취하는 것은 켤레를 취하는 연산에 해당한다.[4]

라틴 방진은 행, 열, 기호를 교환하여 동치인 다른 라틴 방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치 관계를 이소토피(isotopy)라고 한다. 모든 라틴 방진은 이소토피를 통해 동치류(이소토피류, isotopy classes)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직교 배열 표현을 사용하여 각 3-튜플의 문자 순서를 체계적으로 바꾸는 연산을 통해 새로운 라틴 방진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연산으로 얻을 수 있는 라틴 방진을 원래 방진에 대해 공액(conjugate 또는 parastrophe)이라고 한다.

두 라틴 방진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공액에 대해 이소토픽일 때, 이들을 파라토픽(paratopic 또는 main class isotopic)이라고 한다. 이것 역시 동치 관계이며, 이 동치류는 main classes, species, paratopy classes 등으로 부른다. 각 main class는 최대 6개의 이소토피류를 포함한다.

5. 역사

최석정(1646~1715)은 1710년~1715년 경 출판된 것으로 여겨지는 수학서 《구수략[28]에서 세계 최초로 9×9 직교 라틴 방진 쌍을 제시하였다.[29] 최석정은 이 9×9 직교 라틴 방진을 구구모수변궁양도(九九母數變宮陽圖)라고 명명하였다.

프랑스의 수학자 자크 오자낭(Jacques Ozanam프랑스어, 1640~1718)은 1694년에 각종 수학 퍼즐이 수록된 책을 출판하였다.[30] 이후 오자낭 사후 1778년에 장에티엔 몽튀클라(Jean-Étienne Montucla프랑스어, 1725~1799)가 이를 편집하고 새 퍼즐들을 추가하여 재출판하였으며, 이 개정판에는 4×4 직교 라틴 방진에 해당하는 퍼즐이 수록되어 있다.[31] 이 퍼즐은 플레잉카드의 4개의 슈트(◆, ♥, ♠, ♣)에 속하는 킹(K), 퀸(Q), 잭(J), 에이스(A) 카드를 사용하여 직교 라틴 방진을 구성하는 것이었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79년에 집필되고 1782년에 출판된 논문[32]에서 라틴 방진과 그레코라틴 방진을 연구하였다. 오일러는 이 논문에서 "라틴 방진"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는데, 이는 조합론적 구조를 다룰 때 그리스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사용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마찬가지로, "그레코라틴 방진"이라는 용어는 두 라틴 방진의 원소를 각각 라틴 문자와 그리스 문자로 표기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오일러는 이 논문에서 36인의 장교 문제를 언급하며, 6개의 서로 다른 계급과 6개의 서로 다른 연대에 속하는 장교들을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할 때, 각 행과 열에 서로 다른 계급과 연대에 속하는 장교들이 오도록 배열하는 문제의 불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오일러는 n\not\equiv 2\pmod4일 경우 서로 직교하는 n\times n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함을 증명하고, 이것이 직교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일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1901년에 프랑스의 수학자 가스통 타리(Gaston Tarry프랑스어, 1843~1913)는 서로 직교하는 두 6×6 라틴 방진이 존재할 수 없음을 증명하여 오일러의 추측 중 일부를 확인하였다.[33] 그러나 1959년에 라지 찬드라 보스와 샤라드찬드라 샨카르 슈리칸데(शरदचंद्र शंकर श्रीखंडेhi, Sharadchandra Shankar Shrikhande영어)는 서로 직교하는 22×22 라틴 방진을 증명하였다.[34] 곧 보스와 슈리칸데와 어니스트 틸던 파커(Ernest Tilden Parker영어, 1926~1991)는 1960년에 10 이상의 모든 수에 대하여 오일러의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하였다.[35] 즉, 크기가 2와 6인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직교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한다.

6. 응용

라틴 방진은 실험 계획, 오류 정정 부호, 암호학, 조합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실험 계획: 통계학에서 라틴 방진은 실험 설계에 사용되며, 특히 농업 연구에서 실험 오차를 최소화하는 데 활용된다.[23] 두 개의 블로킹 요인에 대한 '행-열 설계'의 특수한 경우이다.[17][18]
  • 오류 정정 부호: 서로 직교하는 라틴 방진 집합은 오류 정정 부호로 응용된다. 전력선을 통해 광대역 인터넷을 전송하는 경우처럼, 단순한 백색 잡음보다 복잡한 잡음 환경에서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19][20][21]
  • 퍼즐: 스도쿠는 라틴 방진의 특수한 경우이며, 켄켄, 스트림코 퍼즐도 라틴 방진을 활용한다. 또한, 라틴 방진은 카미사도와 같은 추상 전략 보드 게임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6. 1. 실험 계획

통계학에서, 라틴 방진은 실험 설계에 사용된다. 실험 설계에서 라틴 방진은 두 개의 블로킹 요인에 대한 '행-열 설계'의 특수한 경우이다.[17][18]

차수 4의 라틴 큐브가 펼쳐진 모습

6. 2. 오류 정정 부호

서로 직교하는 라틴 방진 집합은 오류 정정 부호로 응용되어, 단순한 백색 잡음보다 더 많은 유형의 잡음에 의해 통신이 방해받는 상황, 예를 들어 전력선을 통해 광대역 인터넷을 전송하려는 시도에 사용된다.[19][20][21]

우선, 메시지는 여러 주파수 또는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이는 특정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신호가 덜 취약하도록 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전송할 메시지의 문자는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시간 간격으로 일련의 신호를 전송하여 인코딩된다. 아래 예에서 A부터 L까지의 문자는 네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네 개의 시간 슬롯으로 인코딩된다. 예를 들어 문자 C는 먼저 주파수 3, 다음 4, 1 및 2로 전송하여 인코딩된다.

{| class="wikitable"

|-

|

ABCD



|

1234
2143
3412
4321



|

EFGH



|

1342
2431
3124
4213



|

IJKL



|

1423
2314
3241
4132



|}

열두 문자의 인코딩은 서로 직교하는 세 개의 라틴 방진으로 구성된다. 이제 전체 전송 중에 채널 1과 2에 잡음이 추가되었다고 상상해 보자. 그러면 문자 A는 다음과 같이 수신될 것이다.

:12 12 123 124

다시 말해, 첫 번째 슬롯에서는 주파수 1과 주파수 2에서 신호를 모두 수신한다. 세 번째 슬롯에는 주파수 1, 2 및 3의 신호가 있다. 잡음 때문에 처음 두 개의 슬롯이 1,1인지, 1,2인지, 2,1인지, 2,2인지 더 이상 알 수 없다. 하지만 1,2의 경우만이 위의 표의 문자, 즉 문자 A와 일치하는 시퀀스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세 번째 슬롯의 모든 주파수에 정전기가 발생한다고 상상할 수 있다.

:1 2 1234 4

다시, 인코딩 테이블에서 전송된 문자가 A였음이 추론될 수 있다. 이 코드가 감지할 수 있는 오류 수는 시간 슬롯 수보다 1 적다. 또한 주파수 수가 소수 또는 소수의 거듭제곱인 경우 직교 라틴 방진은 가능한 한 효율적인 오류 감지 코드를 생성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6. 3. 퍼즐

스도쿠 퍼즐은 라틴 방진의 특별한 경우이다. 스도쿠 퍼즐의 모든 해는 라틴 방진이다. 스도쿠는 9개의 특정 3×3 인접 하위 정사각형이 숫자 1–9를 포함해야 한다는 추가적인 제한을 둔다.[22] 스도쿠의 수학도 참조하라.

최근의 켄켄과 스트림코 퍼즐도 라틴 방진의 예이다.

라틴 방진은 여러 보드 게임의 기초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인기 추상 전략 게임인 카미사도에 사용되었다.

6. 4. 농업 연구

통계학에서 라틴 방진은 실험 설계에 사용된다. 라틴 방진은 실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업 연구 실험 설계에 사용된다.[23]

7. 일반화


  • 라틴 사각형은 열과 가능한 값은 ''n''개이지만 행의 수는 ''n''보다 작을 수 있는, 라틴 방진의 일반화된 형태이다. 각 값은 각 행과 열에 최대 한 번 나타난다.
  • 그레코-라틴 방진은 두 개의 라틴 방진 쌍으로, 하나를 다른 것 위에 겹쳐 놓았을 때 각 순서쌍의 기호가 정확히 한 번씩 나타난다.
  • 라틴 하이퍼큐브는 라틴 방진을 2차원에서 다차원으로 일반화한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ambridge college to remove window commemorating eugenicist http://www.theguardi[...] 2020-06-28
[2] 간행물 Introduction to Combinatorics https://books.google[...] CRC Press
[3] 서적 Handbook of Combinatorial Desig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7-03-28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논문 A formula for the number of Latin squares
[8] arXiv Rainbow matchings and partial transversals of Latin squares
[9] 논문 On a conjecture of Stein 2017-01-04
[10] 논문 Transversals of Latin squares and their generalizations 1975-08-01
[11] 논문 A lower bound for the order of a partial transversal in a latin square 1969-07-01
[12] 논문 An n × n Latin square has a transversal with at least n−n distinct symbols 1978-03-01
[13] 논문 A lower bound for the length of a partial transversal in a Latin square 2008-10-01
[14] 논문 New bounds for Ryser's conjecture and related problems https://www.ams.org/[...] 2022-04-15
[15] arXiv A proof of the Ryser-Brualdi-Stein conjecture for large even ''n 2023
[16] 논문 Generating uniformly distributed random latin squares
[17] 간행물 Design of Comparative Experi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간행물 Theory of Optimal Designs Springer-Verlag
[19] 논문 Permutation arrays for powerline communication
[20] 뉴스 Euler's revolution New Scientist 2007-03-24
[21] 논문 Powerline communication and the 36 officers problem
[22] 논문 The complexity of completing partial latin squares
[23] 웹사이트 The application of Latin square in agronomic research http://joas.agrif.bg[...]
[24] 웹사이트 Letters Patent Confering the SSC Arms http://www.ssc.ca/ar[...]
[25]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Biometric Society http://www.tibs.org 2005-05-07
[26] 서적
[27] 저널
[28] 서적
[29] 저널 http://coding.yonsei[...] 2017-06-08
[30] 서적
[31] 서적
[32] 저널 http://www.biodivers[...] 2017-06-09
[33] 저널 http://gallica.bnf.f[...]
[34] 저널
[35]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