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 고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용담 고씨(龍潭 高氏)는 전라북도 진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입니다.
시조 및 유래:
- 시조: 고려 시대에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낸 고여경(高餘慶)입니다.
- 유래: 고여경은 제주 고씨(濟州 高氏)에서 분적(分籍)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전하는 문헌이 없어 본관의 유래나 시조의 사적 등은 자세히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후손들이 고여경을 시조로, 용담(龍潭)을 관향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습니다. 현재는 제주 고씨와 합본(合本)하여 '제주 고씨 중앙종문회'를 만들었습니다.
본관:
- 본관 소재지: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 용담(龍潭): 전라북도 진안군(鎭安郡) 용담면의 지명입니다. 진안군은 옛 진안현(鎭安縣)과 용담현(龍潭縣)이 통합되어 이루어졌습니다. 용담은 백제 때에는 물거현(勿居縣), 통일신라 때에는 청거현(淸渠縣)으로 불렸다가 고려 충선왕 5년(1313년)에 용담으로 개칭되었습니다. 용담의 별호는 옥천(玉川)이었습니다.
인구:
- 1985년: 24가구 108명
- 2000년: 54가구 169명
- 2015년: 446명
주요 인물:
- 고득뢰(高得賚): 무과 출신으로 어란만호(於蘭萬戶)와 사헌부 감찰 등을 역임하고,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평창군수(平昌郡守)에 제수되었으나 진주성(晉州城)에서 순절(殉節)하였습니다.
-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고을생(高乙生), 고곱쇠(高金), 고명진(高明進), 고응명(高應命), 고생수(高生水), 고현(高鉉), 고흡(高洽), 고필원(高必遠), 고일민(高逸民) 등 총 12명 (무과 5명, 생원진사시 3명, 역과 2명, 율과 2명)
참고:
- 용담 고씨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년)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년) 등에도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오래된 성씨입니다.
용담 고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용담 고씨 정보 | |
성씨 | 용담 고씨 |
한자 표기 | 龍潭高氏 |
나라 | 대한민국 |
관향 | 전라남도 진안군 용담면 |
시조 | 고여경(高餘慶) |
원시조 | 고을나(髙乙那) |
인구 (2000년) | 446명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