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진안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진안군은 전라북도 동부 산악권에 위치한 군으로, 1896년 전북특별자치도에 속하게 되었다.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이루는 진안고원과 금강, 섬진강 수계를 포함하며, 2024년 1월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2년 기준 24,963명이 거주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마이산, 용담호, 은수사, 탑사 등이 있으며, 익산-포항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안군 -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는 각 군을 중심으로 운행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특히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은 군내 농어촌버스 요금 단일화 정책을 시행하여 거리에 상관없이 동일한 요금이 부과되는 특징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무주군
    무주군은 전라북도 동부에 위치한 소백산맥 서쪽의 산지가 많은 군으로, 금강 상류 지역에 해당하며, 신라의 무풍과 백제의 주계를 합쳐 지명이 유래되었고, 태권도원, 덕유산 국립공원 등의 관광지와 축제가 열린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순창군
    순창군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산지가 많은 군으로, 섬진강 유역의 순창분지에서 생산되는 고추장을 비롯한 장류가 유명하며, 강천산 군립공원과 순창전통고추장민속마을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진안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진안군
한글 표기진안군
한자 표기鎭安郡
로마자 표기Jinan-gun
맥큔-라이샤워 표기Chinan-gun
국가대한민국
지역호남
방언전라 방언
면적788.94 km²
인구 (2021년)24,987명
인구 밀도32 명/km²
행정 구역1읍, 10면
1
10
상징
진안군 휘장
진안군 기
군목느티나무
군화철쭉
군조비둘기
행정
군수전춘성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완주군·진안군·무주군)
군청 소재지진안읍 중앙로 67 (군하리 97-4)
홈페이지진안군청

2. 역사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남원부 진안군이 되었다가, 1896년 8월 4일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이 되었다.[4][5] 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용담군을 진안군으로 통합하였다.[6] 이때 진안면, 용담면, 안천면, 동향면, 상전면, 백운면, 성수면, 마령면, 부귀면, 정천면, 주천면의 11면이 설치되었다.

1973년 7월 1일 상전면 월평리가 정천면으로 편입되었고,[7] 부귀면의 일부가 진안면에 편입되었다. 1979년 5월 1일 진안면이 진안읍으로 승격하였다.[7] 1983년 2월 15일 마령면 연장리가 진안읍에, 정천면 구룡리가 상전면에 편입되었다.[8] 1987년 1월 1일 상전면 운산리가 진안읍에, 정천면 용평리가 상전면에 편입되었다. 1994년 12월 26일 동향면의 일부가 장수군 계북면에 편입되었다.

2024년 1월 18일 법률 제19430호로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으로 개편되었다.

3. 지리

진안군은 전라북도의 동부 산악권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무주군, 장수군, 남쪽으로 장수군, 임실군, 서쪽으로 완주군, 북쪽으로 충청남도 금산군이 인접하고 있다. 소백산맥노령산맥이 형성한 진안고원과 소백산맥이 태백산맥에서 갈라져 삼남지방 이남을 남서로 관통하며, 덕유산 등의 커다란 산이 형성되어 있다. 남으로 지리산으로 이어지고, 충북 영동의 민주지산에서 소백산맥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노령의 주봉인 진안군의 운장산을 이루고 진안의 부귀산을 거쳐 전주의 모악산, 정읍시내장산으로 이어진다. 이 양대산맥이 폭 10∼20km의 서남방향으로 아주 가까이 평행하며 고원을 이루는 양상이고, 해발 200∼400m의 산간 구릉지로서 약 82.4%의 산악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진안고원에서 북으로 흐르는 금강[9]과 남쪽으로 흐르는 섬진강으로 수계가 구분되고 있다.[10]

진안군은 전주-거창간의 간선도로, 익산-장수간 고속도로가 지나고 있으며, 소태정을 통한 4차선이 개통되어 전주와의 교통이 원활하게 되었다. 또한, 국토종합계발계획에 의해 대전-통영간 고속도로가 건설되었으며, 익산-장수간 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전라북도와 경상남도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가 될 전망이다.

용담댐이 완공되어 용담면을 비롯하여 주천면, 정천, 안천, 상전면진안읍 등 진안군 전체 면적의 절반에 해당되는 1000여 만평이 수몰되었지만,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등지에 맑고 깨끗한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3. 1. 기후

진안군의 평균 기온은 10.6~12.9°C이다. 강수량은 1,306~1,732mm로, 전국적으로 3대 다우 지역의 일부인 섬진강 상류에 속한다.[11] 증발량은 5~6월에 144.8~149.1mm, 12~1월에 34.6~35.8mm이다.[11] 일조량은 1,634~2,153시간이며, 다른 지방보다 벚꽃 개화 시기가 5~6일 정도 늦다.[11] 북서풍이 가장 많이 불고, 10월 초순경 첫서리가 내리며, 4월 20일경에 끝서리가 내린다.[11]

4. 행정 구역

진안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안군의 면적은 789.13km2이며, 인구는 2022년 4월 30일을 기준으로 13,594 세대 24,963 명이다.

진안군 행정구역도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km2)
진안읍鎭安邑5,0149,985115.92
용담면龍潭面54785054.67
안천면顔川面5911,34337.10
동향면銅鄕面1,3431,64552.81
상전면上田面48284353.76
백운면白雲面1,1621,95186.08
성수면聖壽面1,0101,75570.72
마령면馬靈面9961,80842.08
부귀면富貴面1,5252,840104.56
정천면程川面5521,03775.51
주천면朱川面9091,48395.92
진안군鎭安郡13,59424,963789.13



각 읍, 면의 법정리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읍·면법정리
진안읍가림리, 가막리, 군상리, 군하리, 구룡리, 단양리, 물곡리, 오천리, 연장리, 반월리, 정곡리, 운산리, 죽산리
용담면송풍리, 수천리, 옥거리, 와룡리, 월계리, 호계리
안천면노성리, 백화리, 삼락리, 신괴리
동향면대량리, 능금리, 학선리, 신송리, 성산리, 자산리
상전면갈현리, 구룡리, 수동리, 용평리, 월포리, 주평리
백운면백암리, 남계리, 루촌리, 덕현리, 동창리, 반송리, 신암리, 운교리, 평장리
성수면구신리, 도통리, 신기리, 외궁리, 용포리, 사산리, 사포리, 중길리
마령면강정리, 계서리, 덕천리, 동촌리, 평지리
부귀면거석리, 궁항리, 두남리, 봉암리, 세동리, 수항리, 신정리, 오룡리, 황금리
정천면갈룡리, 망화리, 모정리, 봉학리, 월평리
주천면대불리, 무릉리, 운봉리, 주양리, 신양리, 용덕리


4. 1. 하위 행정 구역

진안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안군의 면적은 789.13km2이며, 인구는 2022년 4월 30일을 기준으로 13,594 세대 24,963 명이다.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km2)
진안읍鎭安邑5,0149,985115.92
용담면龍潭面54785054.67
안천면顔川面5911,34337.10
동향면銅鄕面1,3431,64552.81
상전면上田面48284353.76
백운면白雲面1,1621,95186.08
성수면聖壽面1,0101,75570.72
마령면馬靈面9961,80842.08
부귀면富貴面1,5252,840104.56
정천면程川面5521,03775.51
주천면朱川面9091,48395.92
진안군鎭安郡13,59424,963789.13



각 읍, 면의 법정리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읍·면법정리
진안읍가림리, 가막리, 군상리, 군하리, 구룡리, 단양리, 물곡리, 오천리, 연장리, 반월리, 정곡리, 운산리, 죽산리
용담면송풍리, 수천리, 옥거리, 와룡리, 월계리, 호계리
안천면노성리, 백화리, 삼락리, 신괴리
동향면대량리, 능금리, 학선리, 신송리, 성산리, 자산리
상전면갈현리, 구룡리, 수동리, 용평리, 월포리, 주평리
백운면백암리, 남계리, 루촌리, 덕현리, 동창리, 반송리, 신암리, 운교리, 평장리
성수면구신리, 도통리, 신기리, 외궁리, 용포리, 사산리, 사포리, 중길리
마령면강정리, 계서리, 덕천리, 동촌리, 평지리
부귀면거석리, 궁항리, 두남리, 봉암리, 세동리, 수항리, 신정리, 오룡리, 황금리
정천면갈룡리, 망화리, 모정리, 봉학리, 월평리
주천면대불리, 무릉리, 운봉리, 주양리, 신양리, 용덕리


5. 교통

익산-포항 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진안 나들목이 있다.

6. 문화·관광

마이산과 은수사


탑사


금당사

  • '''마이산'''은 1979년 10월 16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백두대간에서 호남정맥과 금남정맥으로 이어지는 주능선에 위치하여 금강섬진강의 분수령을 이룬다.[12] 중생대 후기 약 1억년전까지 담수호였으나 대홍수시 모래, 자갈 등이 물의 압력에 의하여 이루어진 수성암으로 약 7,000만년전 지각 변동으로 융기되어 지금의 마이산이 이루어졌으며 지금도 민물고기 화석이 간혹 발견된다.[12] 시대별로 신라때는 서다산, 고려때는 용출산, 조선 초기에는 속금산, 조선 태종 때부터 말의 귀를 닮았다 하여 마이산이라 불렸다.[12]
  • '''용담호'''는 용담댐으로 만들어진 인공호이다. 금강 상류의 물을 하루 135만톤씩 도수터널을 통하여 완주군 고산면 소향리 만경강 상류에 공급함으로써 전라북도 전주권의 생활 용수 해결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13] 댐 주변으로 새롭게 조성된 도로를 따라 정천면, 용담면, 본대암을 잇는 길은 호수의 아름다운 경치와 어우러져 환상적인 드라이브 코스를 제공한다.
  • '''은수사'''는 마이산에 위치한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조선 초기에는 상원사(上院寺)라 했고, 숙종 무렵에는 상원사는 없어지고 절 터만 남아 있었는데 그 뒤 누군가 암자를 지어 정명암이라 했다.[14] 1920년에 이주부가 중창하였고, 이때 은수사로 개칭되었다.
  • '''탑사'''는 마이산 속에 쌓여진 신비한 돌탑무리에 자리잡아 세워진 태고종단에 소속된 사찰이다.[14]
  • '''진안군역사박물관''' 1층에는 고고관, 민속관, 세미나실이 있으며, 2층에는 기록관 기획전시관, 학예자료실이 있다.[15]
  • '''가위박물관''' 국내 유일의 가위박물관으로써 한국과 동양·서양을 망라한 다양한 형태의 세계 희귀 가위 1,651점을 소장하고 있다.
  • '''마이산명인명품관'''
  • '''미로공원'''
  • '''산약초타운'''
  • '''홍삼스파'''
  • '''매봉산''' 1억 년 전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으며, 세계 유일의 쌍봉산으로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 '''구봉산''' 최고봉인 장군봉(919m)에 오르면 전라도의 명산들을 사방으로 조망할 수 있다.
  • '''매봉산 석탑군''' 암매봉 남쪽 절벽 아래에 있는 석탑군은 음양의 조화에 따라 팔진도법을 응용하여 돌을 배치하여 조성되었다.
  • '''운일암·반일암''' 기암절벽과 맑은 물, 푸른 산, 하늘과 땅의 절묘한 조화가 만들어낸 절경을 자랑한다.
  • '''운장산 자연휴양림'''
  • '''운장산''' 금강과 만경강의 분수령을 이루는 산으로, 세 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동쪽과 서쪽 봉우리 사이에 있는 중봉인 상봉이 가장 높다.
  • '''풍혈냉천(풍혈과 냉천)''' 성수면 양화리 대둔산 기슭에 있으며, 여름에도 얼음이 어는 풍혈은 암석 틈새로 차가운 바람이 4℃의 기온을 유지한다.
  • 마이산도립공원

6. 1. 진안 8경

1979년 10월 16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마이산백두대간에서 호남정맥과 금남정맥으로 이어지는 주능선에 위치하여 금강섬진강의 분수령을 이룬다.[12] 산 전체가 수성암으로 이루어진 암마이봉(686m)과 숫마이봉(680m)이 우뚝 서 있으며, 봉우리에 움푹 파여진 타포니 현상과 음양오행의 신비를 간직한 천지탑이 주변에 자리하고 있다.[12] 조선 태종 때부터 말의 귀를 닮았다 하여 마이산이라 불리어 왔다.[12]

용담호용담댐으로 만들어진 인공호이다. 1읍 5개면을 수몰시켜 만든 거대한 담수호로 댐높이 70m에 댐길이 498m의 콘크리트 차수벽형 석괴댐으로 담수 면적이 30km2, 총저수 용량이 8억 1,500만톤에 이른다.[13] 이 댐은 금강 상류의 물을 하루 135만톤씩 길이 21.9km의 도수터널을 통하여 완주군 만경강 상류에 공급함으로써 전라북도 전주권의 생활 용수 해결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13]

은수사는 마이산에 위치한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조선 초기에는 상원사(上院寺)라 했고, 숙종 무렵에는 상원사는 없어지고 절 터만 남아 있었는데 그 뒤 누군가 암자를 지어 정명암이라 했다. 1920년에 이주부가 중창하였고, 이때 은수사로 개칭되었다. 조선 태조가 이곳의 물을 마시고 물이 은같이 맑다고 하였으므로 지어진 것이라 한다.[14]

탑사는 마이산 속에 쌓여진 신비한 돌탑무리에 자리잡아 세워진 사찰이다. 1928년의 기록에 의하면 그때까지도 이갑용(李甲用) 처사는 불교를 표방하지 않은 듯 하다. 그러나 더 후기에 와 마이산을 찾는 치성인들의 수가 불어나자 이처사의 기도처이자 치성처인 토막은 어느때인가 함석지붕으로 새로이 지어지고 자연스럽게 삼신상과 불상이 안치되어 사찰화되었다.[14]

구봉산은 최고봉인 장군봉(919m)에 오르면 전라도의 명산들을 사방으로 조망할 수 있다. 북쪽으로는 운일암·반일암을 이루는 명도봉, 명덕봉, 대둔산이 뚜렷하게 보이고, 서쪽으로는 복두봉과 운장산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으며, 남쪽으로는 옥녀봉, 부귀산, 만덕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운일암·반일암은 기암절벽과 맑은 물, 푸른 산, 하늘과 땅의 절묘한 조화가 절경을 만들어낸다. 운장산 북동쪽 명덕봉(845.5m)과 명도봉(863m) 사이 약 5km의 주천 계곡을 운일암·반일암이라고 부른다.

운장산금강과 만경강의 분수령을 이루는 산이다. 진안고원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해발 1,126m의 고원 지대가 완주군 동상면, 정천, 부귀, 주천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한국 남서부에서 가장 오래된 봉우리이다.

매봉산에서 남서쪽으로 약 10km 가면 성수면 양화리 대둔산 기슭에 풍혈냉천(풍혈과 냉천)이 있다. 풍혈은 암석 틈새로 차가운 바람이 4℃의 기온을 유지하며, 67㎡ 규모의 동굴 내부 온도를 약 4℃로 유지한다.

6. 2. 주요 관광지


  • '''마이산'''은 1979년 10월 16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백두대간에서 호남정맥과 금남정맥으로 이어지는 주능선에 위치하여 금강섬진강의 분수령을 이룬다.[12] 중생대 후기 약 1억년전까지 담수호였으나 대홍수시 모래, 자갈 등이 물의 압력에 의하여 이루어진 수성암으로 약 7,000만년전 지각 변동으로 융기되어 지금의 마이산이 이루어졌으며 지금도 민물고기 화석이 간혹 발견된다.[12] 시대별로 신라때는 서다산, 고려때는 용출산, 조선 초기에는 속금산, 조선 태종 때부터 말의 귀를 닮았다 하여 마이산이라 불렸다.[12]
  • '''용담호'''는 용담댐으로 만들어진 인공호이다. 금강 상류의 물을 하루 135만톤씩 도수터널을 통하여 완주군 고산면 소향리 만경강 상류에 공급함으로써 전라북도 전주권의 생활 용수 해결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13] 댐 주변으로 새롭게 조성된 도로를 따라 정천면, 용담면, 본대암을 잇는 길은 호수의 아름다운 경치와 어우러져 환상적인 드라이브 코스를 제공한다.
  • '''은수사'''는 마이산에 위치한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조선 초기에는 상원사(上院寺)라 했고, 숙종 무렵에는 상원사는 없어지고 절 터만 남아 있었는데 그 뒤 누군가 암자를 지어 정명암이라 했다.[14] 1920년에 이주부가 중창하였고, 이때 은수사로 개칭되었다.
  • '''탑사'''는 마이산 속에 쌓여진 신비한 돌탑무리에 자리잡아 세워진 태고종단에 소속된 사찰이다.[14]
  • '''진안군역사박물관''' 1층에는 고고관, 민속관, 세미나실이 있으며, 2층에는 기록관 기획전시관, 학예자료실이 있다.[15]
  • '''가위박물관''' 국내 유일의 가위박물관으로써 한국과 동양·서양을 망라한 다양한 형태의 세계 희귀 가위 1,651점을 소장하고 있다.
  • '''마이산명인명품관'''
  • '''미로공원'''
  • '''산약초타운'''
  • '''홍삼스파'''
  • '''매봉산''' 1억 년 전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으며, 세계 유일의 쌍봉산으로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 '''구봉산''' 최고봉인 장군봉(919m)에 오르면 전라도의 명산들을 사방으로 조망할 수 있다.
  • '''매봉산 석탑군''' 암매봉 남쪽 절벽 아래에 있는 석탑군은 음양의 조화에 따라 팔진도법을 응용하여 돌을 배치하여 조성되었다.
  • '''운일암·반일암''' 기암절벽과 맑은 물, 푸른 산, 하늘과 땅의 절묘한 조화가 만들어낸 절경을 자랑한다.
  • '''운장산 자연휴양림'''
  • '''운장산''' 금강과 만경강의 분수령을 이루는 산으로, 세 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동쪽과 서쪽 봉우리 사이에 있는 중봉인 상봉이 가장 높다.
  • '''풍혈냉천(풍혈과 냉천)''' 성수면 양화리 대둔산 기슭에 있으며, 여름에도 얼음이 어는 풍혈은 암석 틈새로 차가운 바람이 4℃의 기온을 유지한다.
  • 마이산도립공원

6. 3. 축제

진안군에서는 여러 축제가 열린다. 운장산고로쇠축제, 진안고원 수박축제, 진안홍삼축제, 금지배넘실 유채꽃 축제가 대표적이다.

7. 교육

진안군 지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분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분류:진안군의 초등학교 문서에서는 진안군 내 초등학교 목록을, 분류:진안군의 중학교 문서에서는 중학교 목록을, 분류:진안군의 고등학교 문서에서는 고등학교 목록을 볼 수 있다.

8. 정치

8. 1. 역대 군수



8. 2. 진안군수 선거



진안군의 군수를 선출하는 선거에 대한 내용은 진안군수 선거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9. 자매 도시

서울특별시 은평구와 중화인민공화국 환인이 진안군의 자매 도시이다.

10. 저명한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5]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6]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7] 법령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8]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5조 1983-01-10
[9] 문서 무주군 경계 구역
[10] 웹사이트 진안군의 지리 http://www.jinan.go.[...] 2011-08-06
[11] 웹사이트 진안군의 기후 http://www.jinan.go.[...] 2011-08-06
[12] 웹사이트 마이산 소개 http://www.jinan.go.[...] 2011-08-11
[13] 간행물 진안군 관광 책자 2011-08-06
[14] 웹사이트 진안군 문화관광 - 탑사 소개 http://www.jinan.go.[...] 2012-07-05
[15]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jinanmuseum.k[...] 2018-04-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