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간다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간다의 대통령은 우간다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다. 1962년 우간다 독립 이후, 대통령직은 여러 차례의 변화를 겪었다. 1963년부터 1966년까지는 의회에서 선출된 대통령이 국가 원수였으며, 1966년 헌법 개정 이후 대통령의 권한이 강화되고 직선제가 도입되었다. 현재까지 요웨리 무세베니가 1986년부터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장기 집권과 관련된 비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간다의 대통령 - 티토 오켈로
    티토 오켈로는 우간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85년 쿠데타로 대통령이 되어 6개월간 재임 후 축출, 망명, 사면, 귀국 후 사망했다.
  • 우간다의 대통령 - 요웨리 무세베니
    요웨리 무세베니는 1986년부터 우간다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인 정치인으로, 과거 구국전선과 인민 저항군을 조직하여 이디 아민 정권과 밀턴 오보테 정권에 저항했으며, 대통령 취임 후 경제 성장과 에이즈 퇴치에 기여했으나 장기 집권과 권위주의적인 통치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간다의 대통령
지도 정보
개요
우간다의 국장
우간다의 국장
정치
정치 체제공화국
대통령요웨리 무세베니
역대 대통령
1대에드워드 무테사 2세 (1963년 - 1966년)
2대밀턴 오보테 (1966년 - 1971년)
3대이디 아민 (1971년 - 1979년)
4대유수프 룰레 (1979년)
5대고드프리 비나이사 (1979년 - 1980년)
6대밀턴 오보테 (1980년 - 1985년)
7대바질리오 올라라오켈레 (1985년)
8대티토 오켈로 (1985년 - 1986년)
9대요웨리 무세베니 (1986년 - 현재)
대통령 정보
대통령 관저State House, Entebbe (엔테베 대통령 관저)
관련 정보
관련 목록우간다의 총리 목록

2. 우간다의 대통령 목록

사진이름임기직책정당
취임일퇴임일
1
120px
무테사 2세
무테사 2세/Mutesa Ⅱ영어
1963년 10월 9일1966년 3월 2일카바카 옛카
2
|120px]]
밀턴 오보테
밀턴 오보테/Milton Obote영어
1966년 4월 15일1971년 1월 25일1966년 - 군사 쿠데타우간다인민회의
3
|120px]]
이디 아민
이디 아민/Idi Amin영어
1971년 1월 25일1976년 6월 25일1971년 - 군사 쿠데타군사 정부
1976년 6월 25일1979년 4월 11일1976년 - 군부 추대
4유수프 룰레
유수프 룰레/Yusuf Lule영어
1979년 4월 13일1979년 6월 20일우간다민족해방전선
5고드프리 비나이사
고드프리 비나이사/Godfrey Binaisa영어
1979년 6월 20일1980년 5월 12일1979년 - 30인국민협의회 선출우간다민족해방전선
-파울로 무왕가
파울로 무왕가/Paulo Muwanga영어
1980년 5월 12일1980년 5월 22일군사위원회 위원장우간다민족해방전선
-대통령위원회1980년 5월 22일1980년 12월 15일
6|120px]]밀턴 오보테
밀턴 오보테/Milton Obote영어
1980년 12월 17일1985년 7월 27일1980년 총선 - 47.1%
1,963,679표
우간다인민회의
7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Bazilio Olara-Okello영어
1985년 7월 27일1985년 7월 29일군사의회 의장군사 정부
8티토 오켈로
티토 오켈로/Tito Okello영어
1985년 7월 29일1986년 1월 26일국가원수 겸 군사의회 의장군사 정부
9
|120px]]
요웨리 무세베니
요웨리 무세베니/Yoweri Museveni영어
1986년 1월 26일1986년 1월 29일요웨리무세베니국민저항군 사령관군사 정부
1986년 1월 29일1996년 5월 12일
1996년 5월 12일[4]2001년 5월 12일1996년 대선 - 74.2%
4,428,119표
국가저항운동
2001년 5월 12일[5]2006년 5월 12일2001년 대선 - 69.33%
5,123,360표
국가저항운동
2006년 5월 12일[6]2011년 5월 12일2006년 대선 - 59.26%
4,109,449표
국가저항운동
2011년 5월 12일[7]2016년 5월 12일2011년 대선 - 68.38%
5,428,368표
국가저항운동
2016년 5월 12일[8]2021년 1월 29일2016년 대선 - 60.62%
5,971,872표
국가저항운동
2021년 1월 29일현재2021년 대선 - 58.38%
6,042,898표
국가저항운동


2. 1. 영연방 시절 (1962년 ~ 1963년)

1962년 10월 9일부터 1963년 10월 9일까지 영국의 국왕이 국가 원수였던 시기이다. 실질적인 권한은 총독이 행사했다.

== 총독 ==

월터 쿠츠


총독은 우간다에서 군주를 대표하였으며 군주의 권한 대부분을 행사하였다. 총독은 무기한으로 임명되었으며, 군주의 뜻에 따라 재직하였다. 우간다가 1962년 우간다 독립법에 따라 독립을 획득하였기 때문에, 반자치적인 독립국으로 먼저 설립된 후 1931년 웨스트민스터 법령에 정의된 바와 같이 독립으로 승격된 것이 아니었기에, 총독은 영국 정부의 개입 없이 우간다 내각의 자문에 따라 전적으로 임명되었다. 우간다가 월터 쿠츠(Walter Coutts)가 교체되기 전에 공화국이 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원이 발생하는 경우, 대법원장이 정부 관리 임무 수행자로서 잠정 위임장에 따라 직무를 수행했을 것이다.

번호초상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군주총리
1월터 쿠츠(Walter Coutts)1962년 10월 9일1963년 10월 9일1년엘리자베스 2세밀턴 오보테


2. 1. 1. 총독

(출생–사망)취임퇴임재임 기간군주총리(들)1월터 쿠츠(Walter Coutts)
(1912–1988)1962년 10월 9일1963년 10월 9일1년엘리자베스 2세오보테


2. 2. 선출 군주제 (1963년 ~ 1966년)

1963년 헌법 개정으로 영국 군주를 대신하여 의회에서 선출되는 대통령이 국가 원수가 되었다.[1] 대통령은 우간다의 5개 왕국 국왕들과 비연합체의 군주였던 지역구의 헌법 수장들 중에서 5년 임기로 선출되었다.[1] 초대 대통령은 무테사 2세로, 1963년 10월 9일에 취임하여 1966년 3월 2일까지 재임했다.[1] 그는 쿠데타로 폐위되었다.[1]

2. 3. 공화국 (1966년 ~ 현재)

1966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의 권한이 강화되고, 직선제가 도입되었다.

1966년 밀턴 오보테는 총리직을 폐지하고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1971년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쿠데타를 일으킨 이디 아민 장군은 밀턴 오보테 대통령과 그의 정부를 전복하고 스스로 대통령이 되었다. 이디 아민 정권은 군사 독재였다.

이디 아민은 1971년 1월 25일부터 1979년 4월 11일까지 재임하였으며, 탄자니아 침공에 의해 축출되었다. 이디 아민은 우간다 육군 소속이었다.

이디 아민 축출 이후 우간다는 혼란스러운 정국을 겪었다. 여러 차례의 쿠데타와 정권 교체가 있었다.

1985년 7월 27일,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가 쿠데타를 일으켜 밀턴 오보테 대통령과 그의 정부를 전복시켰다. 이후 오켈로는 군사 정권 하에서 자신을 대통령으로 선포했다.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는 이틀 뒤인 7월 29일 사임하고, 티토 오켈로가 국가원수 겸 군사의회 의장이 되었다. 티토 오켈로1986년 1월 26일까지 집권했다.

1986년 1월 26일, 요웨리 무세베니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초기에는 ''요웨리무세베니국민저항군 사령관'' 직책으로 1986년 1월 29일까지 통치했다. 이후 대통령에 취임하여 현재까지 장기 집권하고 있다.[5][6][7][8] 무세베니는 국가 저항 운동 소속으로, 1996년, 2001년, 2006년, 2011년, 2016년, 2021년 대선에서 승리하며 집권 연장에 성공했다.

요웨리 무세베니


무세베니 정권은 경제 성장과 사회 안정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지만, 장기 집권과 인권 문제, 그리고 언론 탄압 등으로 국내외에서 비판받고 있다. 특히, 무세베니의 장기 집권은 우간다 민주주의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 3. 1. 제1공화국 (1966년 ~ 1971년)

wikitext

1966년 밀턴 오보테는 총리직을 폐지하고 대통령이 되었다.[2] 그러나 1971년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다.[2]

초상화이름
선출임기정당총리
취임퇴임재임 기간
rowspan=2 style="background:; color:white;"| 2|90px]]밀턴 오보테(Milton Obote)
1966 196644일UPC본인
1966 1971
4년 285일직책 폐지


2. 3. 2. 제2공화국 (1971년 ~ 1979년)

쿠데타를 일으킨 이디 아민 장군(원수)은 밀턴 오보테 대통령과 그의 정부를 전복하고 스스로 대통령이 되었다. 이디 아민 정권은 군사 독재였다.[4]

이디 아민


이디 아민은 1971년 1월 25일부터 1979년 4월 11일까지 재임하였으며, 탄자니아 침공에 의해 축출되었다. 이 기간 동안 총리직은 폐지되었다. 이디 아민은 우간다 육군 소속이었다.

2. 3. 3. 제3공화국 (1979년 ~ 1985년)

이디 아민 축출 이후 우간다는 혼란스러운 정국을 겪었다. 여러 차례의 쿠데타와 정권 교체가 있었다.

2. 3. 4. 군정 (1985년 ~ 1986년)

1985년 7월 27일,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가 쿠데타를 일으켜 밀턴 오보테 대통령과 그의 정부를 전복시켰다. 이후 오켈로는 군사 정권 하에서 자신을 대통령으로 선포했다.[4]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는 이틀 뒤인 7월 29일 사임하고, 티토 오켈로가 국가원수 겸 군사의회 의장이 되었다.[4] 티토 오켈로1986년 1월 26일까지 집권했다.

2. 3. 5. 제4공화국 (1986년 ~ 현재)

1986년 1월 26일, 요웨리 무세베니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4] 초기에는 ''요웨리무세베니국민저항군 사령관'' 직책으로 1986년 1월 29일까지 통치했다. 이후 대통령에 취임하여 현재까지 장기 집권하고 있다.[5][6][7][8] 무세베니는 국가 저항 운동 소속으로, 1996년, 2001년, 2006년, 2011년, 2016년, 2021년 대선에서 승리하며 집권 연장에 성공했다.

무세베니 정권은 경제 성장과 사회 안정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지만, 장기 집권과 인권 문제, 그리고 언론 탄압 등으로 국내외에서 비판받고 있다. 특히, 무세베니의 장기 집권은 우간다 민주주의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3. 1963년 이후의 타임라인

wikitext

사진이름임기직책정당
취임일퇴임일
1무테사 2세
무테사 2세/Mutesa Ⅱ영어
1963년 10월 9일1966년 3월 2일카바카 옛카
2밀턴 오보테
밀턴 오보테/Milton Obote영어
1966년 4월 15일1971년 1월 25일1966년 - 군사 쿠데타우간다인민회의
3이디 아민
이디 아민/Idi Amin영어
1971년 1월 25일1976년 6월 25일1971년 - 군사 쿠데타군사 정부
1976년 6월 25일1979년 4월 11일1976년 - 군부 추대
4유수프 룰레
유수프 룰레/Yusuf Lule영어
1979년 4월 13일1979년 6월 20일우간다민족해방전선
5고드프리 비나이사
고드프리 비나이사/Godfrey Binaisa영어
1979년 6월 20일1980년 5월 12일1979년 - 30인국민협의회 선출우간다민족해방전선
-파울로 무왕가
파울로 무왕가/Paulo Muwanga영어
1980년 5월 12일1980년 5월 22일군사위원회 위원장우간다민족해방전선
-대통령위원회1980년 5월 22일1980년 12월 15일
6밀턴 오보테
밀턴 오보테/Milton Obote영어
1980년 12월 17일1985년 7월 27일1980년 총선 - 47.1%
1,963,679표
우간다인민회의
7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Bazilio Olara-Okello영어
1985년 7월 27일1985년 7월 29일군사의회 의장군사 정부
8티토 오켈로
티토 오켈로/Tito Okello영어
1985년 7월 29일1986년 1월 26일국가원수 겸 군사의회 의장군사 정부
9요웨리 무세베니
요웨리 무세베니/Yoweri Museveni영어
1986년 1월 26일1986년 1월 29일요웨리무세베니국민저항군 사령관군사 정부
1986년 1월 29일1996년 5월 12일
1996년 5월 12일[4]2001년 5월 12일1996년 대선 - 74.2%
4,428,119표
국가저항운동
2001년 5월 12일[5]2006년 5월 12일2001년 대선 - 69.33%
5,123,360표
국가저항운동
2006년 5월 12일[6]2011년 5월 12일2006년 대선 - 59.26%
4,109,449표
국가저항운동
2011년 5월 12일[7]2016년 5월 12일2011년 대선 - 68.38%
5,428,368표
국가저항운동
2016년 5월 12일[8]2021년 1월 29일2016년 대선 - 60.62%
5,971,872표
국가저항운동
2021년 1월 29일현재2021년 대선 - 58.38%
6,042,898표
국가저항운동


참조

[1] 웹사이트 Traditional Kings of Uganda and Tribal Kingdoms of Uganda https://theafricanro[...] The African Royal Families 2024-05-29
[2] 논문 The Uganda Constitution, April 1966 1966
[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 State House Uganda https://www.statehou[...] 2022-02-15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observer.[...] 2015-05-21
[5] 웹사이트 http://news.bbc.co.u[...]
[6] 웹사이트 http://www.dfa.gov.z[...]
[7]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8]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