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네스코케라톱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네스코케라톱스는 백악기 후기 샹파뉴절에 살았던 렙토케라톱스과의 각룡류 공룡이다. 1995년 캐나다 앨버타주 공룡공원 층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2012년에 마이클 J. 라이언 등에 의해 명명되었다. 속명은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 지에서 발견된 점을 기려 '유네스코 뿔 얼굴'을 의미하며, 종명은 에바 코펠후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우네스코케라톱스는 몸길이가 약 1~2m, 몸무게가 91kg 미만으로 추정되며, 다른 렙토케라톱스과 공룡에 비해 둥근 이빨을 가진 특징이 있다. 분지학적 분석 결과, 그리포케라톱스와 함께 렙토케라톱스과 내에서 가장 진화된 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에로티탄
    아에로티탄은 2012년 팔레오카스트로 지층에서 발견된 멸종된 아즈다르코과 익룡으로, 긴 목과 다리, 둔한 주둥이를 가지며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확실한 아즈다르코과 익룡이다.
  • 201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엘랄티탄
    엘랄티탄은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백악기 후기 티타노사우루스류 용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특이한 형질 조합과 파생 형질을 지닌 부분적으로 연결된 몸통뼈대 골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크기와 무게에 대한 연구 결과는 연구자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 캐나다의 화석 - 틱타알릭
    틱타알릭은 3억 7500만 년 전 육기어류로, 어류와 네발동물 특징을 지닌 "사지형어류"이며, 팔처럼 생긴 지느러미와 자유로운 목을 통해 육상 생활 진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화석 자료이다.
  • 캐나다의 화석 - 다스플레토사우루스
    다스플레토사우루스는 후기 백악기 캄파니아절 북아메리카 서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튼튼한 두개골과 강력한 턱을 가진 대형 포식자이며, 고르고사우루스와 생태적 지위를 놓고 경쟁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현재까지 세 종이 명명되어 진화적 관계와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각룡하목 - 바가케라톱스
    바가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몽골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작은 크기의 원시각룡 공룡으로, 부리와 뿔이 없고 어금니와 비슷한 이빨을 가졌으며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각룡하목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우네스코케라톱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네스코케라톱스 크기 비교
인간과의 크기 비교
학명Unescoceratops koppelhusae
명명자Ryan 외, 2012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아강쌍궁아강
상목공룡상목
조반목
아목주식두아목
하목각룡하목
레프토케라톱스과
유네스코케라톱스속
U. koppelhusae
생물학적 분류
시대백악기 후기
기간7650만년 전 ~ 7500만년 전
발견 및 명명
명명 연도2012년
명명자Ryan 외
논문New leptoceratopsid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학술지Cretaceous Research
35
페이지69–80
DOI10.1016/j.cretres.2011.11.018
Bibcode2012CrRes..35...69R

2. 발견

우네스코케라톱스는 완모식표본인 로열 티렐 고생물학 박물관 소장 TMP 95.12.6으로 알려진 왼쪽 치골 일부만이 발견된 공룡이다.[10][13][11][1][4][2] 이 화석은 1995년 캐나다 앨버타주의 라이팅 온 스톤 주립 공원 근처 블랙쿨리(Black Coulee, 구 데드호스 쿨리)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1][4] 해당 지층은 백악기 후기 캄파니아절(약 7650만 년에서 7500만 년 전)의 공룡공원 층이다.[10][1][4]

2. 1. 초기 연구

우네스코케라톱스는 현재까지 왼쪽 아래턱뼈(치골) 일부로 이루어진 완모식표본인 TMP 95.12.6만이 유일하게 알려져 있다.[10][1][13] 이 화석은 1995년, 캐나다 앨버타주의 라이팅 온 스톤 주립 공원 근처 블랙쿨리(Black Coulee, 이전 명칭 데드호스 쿨리 Deadhorse Coulee) 지역에서 발견되었다.[1][4] 발견된 지층은 백악기 후기 캄파니아절 후기(약 7650만 년에서 7500만 년 전)에 해당하는 공룡공원 층이다.[10][1][4]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 이 표본은 종을 동정하기에는 너무 불완전하다고 여겨져 수년 동안 연구되지 않고 수장고에 보관되었다.[10][1] 당시에는 이 화석을 렙토케라톱스의 것으로 추정했다.[10][1] 이후 클리블랜드 자연사 박물관의 마이클 라이언(Michael J. Ryan)과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의 데이비드 에반스(David C. Evans)가 2012년에 계통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 표본이 기존에 알려진 속이 아니라 가장 진화된 렙토케라톱스과 공룡 중 하나에 속하는 새로운 속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10][13][11][1][4][2]

2. 2. 재분류

우네스코케라톱스의 모식표본인 로열 티렐 고생물학 박물관(TMP) 95.12.6은 왼쪽 치골(하악골의 일부)만 보존되어 있다.[10][1] 이 화석은 1995년 캐나다 앨버타주의 라이팅온스톤 지방공원(Writing-on-Stone Provincial Park) 부근 블랙쿨리(Black Coulee, 예전의 데드호스 쿨리) 지역에 있는 공룡공원 층(Dinosaur Park Formation)에서 발견되었다.[10][1] 이 지층은 백악기 후기 캄파니아절 후기에 해당하며, 약 7650만 년에서 7500만 년 전의 것이다.[10][1]

발견 당시 이 표본은 종을 동정하기에는 너무 불완전하다고 여겨져 수 년 동안 수장고에 보관되었으며, 렙토케라톱스의 화석으로 생각되었다.[10][1] 이후 클리블랜드 자연사박물관의 마이클 라이언(Michael J. Ryan)과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의 데이비드 에반스(David C. Evans)가 계통 분석을 수행하였다.[10][13][11][1][4][2] 2012년에 발표된 이 분석 결과, 해당 표본은 기존의 렙토케라톱스가 아니라 가장 파생적인 렙토케라톱스과 공룡 중 하나임이 밝혀져 새로운 속으로 재분류되었다.[10][13][11][1][4][2]

3. 특징

우네스코케라톱스는 백악기 후기 라라미디아 섬대륙에 서식했던 작은 렙토케라톱스과 조반류 공룡이다.[11][12][2][3][7][8] 구체적인 신체적 특징과 식성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3. 1. 치아

우네스코케라톱스는 몸길이 1m에서 2m 정도, 몸무게는 91kg 미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공룡의 이빨은 모든 렙토케라톱스과 공룡들 중에서 가장 둥근 형태를 가지고 있다.[11][2][7]

2013년 말론(Mallon)과 동료 연구자들은 백악기 후기 라라미디아 섬 대륙에서 초식 공룡들이 어떻게 공존했는지 연구했다. 연구 결과, 우네스코케라톱스와 같은 작은 조반류 공룡들은 주로 키가 1m 이하로 낮게 자라는 식물을 먹었을 것으로 결론지었다.[12][3][8]

3. 2. 식성

우네스코케라톱스는 몸길이 1m에서 2m 정도에 몸무게는 91kg 미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공룡의 이빨은 렙토케라톱스과 공룡들 중 가장 둥근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11][2][7]

2013년 말론(Mallon) 등은 백악기 후기 라라미디아 섬대륙에서 초식공룡들이 어떻게 공존했는지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우네스코케라톱스와 같은 작은 조반류 공룡들은 주로 키가 1m 이하로 낮게 자라는 식물을 먹었을 것으로 결론지었다.[12][3][8]

4. 어원

속명 우네스코케라톱스(''Unescoceratops'')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지정 및 자연사 연구 기여를 기리기 위해, 종명 코펠후사이(''koppelhusae'')는 화분학자 에바 코펠후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1][6][10][3]

4. 1. 속명

우네스코케라톱스 속은 마이클 J. 라이언, 데이비드 C. 에반스, 필립 J. 커리, 케일럽 M. 브라운, 그리고 돈 브링크만에 의해 2012년에 처음 명명되었다. 다만, 1995년에 라이언과 커리가 이름 없이 먼저 발표한 적이 있다.[1][6][10] 모식종은 우네스코케라톱스 코펠후사이(Unescoceratops koppelhusae)이다.[1][6]

속명 우네스코케라톱스는 "유네스코각룡류" 또는 "유네스코 뿔 달린 얼굴"이라는 의미를 가진다.[1][6][10] 이는 화석이 발견된 지역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곳임을 나타내거나,[1] 전 세계 자연사에 대한 이해 증진에 기여한 유네스코의 노력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6][10] 라이언은 "'공룡 주립 공원 세라톱스'(Dinosaurprovincialparkaceratops)라는 이름은 너무 길었다"고 언급하며 속명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4][9][13]

종명 코펠후사이는 필립 커리의 아내이자 화분학자인 에바 코펠후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3]

4. 2. 종명

우네스코케라톱스 속은 마이클 J. 라이언, 데이비드 C. 에반스, 필립 J. 커리, 케일럽 M. 브라운, 그리고 돈 브링크만이 2012년에 처음 기술했다.[1][6] 다만, 1995년에 라이언과 커리가 이름을 붙이지 않은 채 먼저 출판한 적이 있다.[10][1] 모식종은 ''우네스코케라톱스 코펠후사이''(''Unescoceratops koppelhusae'')이다.[10][1][6]

속명 ''우네스코케라톱스''(''Unescoceratops'')는 "유네스코각룡류" 또는 "유네스코 뿔 달린 얼굴"이라는 의미이다.[10][1][6] 이는 화석이 발견된 장소인 공룡 주립 공원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것을 기념하고,[1] 전 세계 자연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한 유네스코의 노력을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10][6] 라이언은 "'공룡 주립 공원 세라톱스'(''Dinosaurprovincialparkaceratops'')는 이름이 너무 길었다"고 언급하며 다른 이름 후보가 있었음을 시사했다.[13][4][9]

종명 ''코펠후사이''(''koppelhusae'')는 커리의 아내이자 화분학자인 에바 코펠후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3]

5. 분류

(내용 없음)

5. 1. 분지학적 관계

''우네스코케라톱스''는 렙토케라톱스과로 분류되며, 같은 논문에서 기술된 ''그리포케라톱스''와 자매 분류군 관계를 형성한다.[1][5] 이 두 속은 알려진 렙토케라톱스과 중에서 가장 분화된(파생된) 그룹에 속하는데, ''그리포케라톱스''가 가장 오래된 렙토케라톱스과임에도 불구하고 그렇다.[1]

계통 발생 분석[1]에 따르면, 렙토케라톱스과 내에서 ''우네스코케라톱스''와 ''그리포케라톱스''는 가장 분화된 자매 그룹을 이룬다. 이 그룹은 ''주청케라톱스'', ''우다노케라톱스'', ''렙토케라톱스'', ''프레노케라톱스''를 포함하는 그룹보다 더 파생적이다. 그보다 더 기초적인 그룹으로는 ''몬타노케라톱스''와 ''이스키오케라톱스''가 있으며, 가장 기초적인 렙토케라톱스과는 ''아시아케라톱스''이다.

참조

[1] 논문 New leptoceratopsid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2012
[2] 웹사이트 Two new dinosaur species fill in evolutionary gaps https://www.wired.co[...] Wired 2012-04-07
[3] 논문 Feeding height stratification among the herbivorous dinosaurs from the Dinosaur Park Formation (upper Campanian) of Alberta, Canada
[4] Youtube New horned dinosarus named https://www.youtube.[...] Cleveland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2-03-30
[5] 웹사이트 Two New Species of Horned Dinosaurs Identified {{!}} Paleontology {{!}} Sci-News.com http://www.sci-news.[...] 2022-01-20
[6] 논문 New leptoceratopsid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http://www.sciencedi[...] 2012
[7] 웹사이트 Two new dinosaur species fill in evolutionary gaps http://www.wired.co.[...] Wired 2012-04-07
[8] 논문 Feeding height stratification among the herbivorous dinosaurs from the Dinosaur Park Formation (upper Campanian) of Alberta, Canada http://link.springer[...]
[9] Youtube New horned dinosarus named https://www.youtube.[...] Cleveland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2-03-30
[10] 저널 New leptoceratopsid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http://www.sciencedi[...]
[11] 웹인용 Two new dinosaur species fill in evolutionary gaps http://www.wired.co.[...] Wired 2012-04-07
[12] 저널 Feeding height stratification among the herbivorous dinosaurs from the Dinosaur Park Formation (upper Campanian) of Alberta, Canada tp://link.springer.c[...]
[13] 영상 New horned dinosarus named https://www.youtube.[...] Cleveland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2-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