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별 2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리별 2호는 1993년 9월 26일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아리안 4 발사체를 통해 궤도에 진입한 대한민국의 소형 위성이다. 과학기술위성 1호 시스템 개선, 국산 부품 사용 확대, 실험 모듈 시험, 국내 우주 기술 개발 역량 강화 등을 임무로 수행했다. VHF UHF 아마추어 무선 중계기를 탑재하여 전 세계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우리별 2호는 1993년 9월 26일 01시 45분(UTC) 아리안 4호 (Ariane-40 H10) 발사체의 59번째 발사를 통해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발사는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 우주센터 (Centre Spatial Guyanais)에서 이루어졌다. 우리별 2호는 프랑스의 지구 관측 위성인 SPOT-3과 함께 발사되었으며, 대한민국의 소형 위성(microsatellite)으로 분류된다. 우리별 2호의 주요 임무는 앞서 발사된 포샛 1호 (1993-061D)와 매우 유사했다.
이 위성의 임무는 과학기술위성 1호 시스템을 개선 및 향상시키고, 국산 부품을 사용하며, 실험 모듈을 시험하고, 국내 우주 산업을 촉진하는 것이었다.[2][3][4][5][6]
우리별 2호는 VHF UHF 아마추어 무선 중계기를 탑재하여 전 세계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었다. 우주에서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자유롭게 교신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곳은 국제우주정거장으로, 시간과 주파수만 맞추면 핸디 무전기로 언제나 국제우주정거장 우주인들과 교신할 수 있다. 우주인 이소연이 아마추어 무선 교신을 하기도 하였는데, 전 세계 사람들과의 아마추어 무선 교신은 국제우주정거장 우주인들의 평상시 활동 중 하나이다.
[1]
웹사이트
Trajectory: KITSAT-2 1993-061F
https://nssdc.gsfc.n[...]
NASA
2021-03-02
2. 발사
3. 임무
4. 아마추어 무선
우리별 2호의 아마추어 무선 주파수는 상향 145.98, 145.87 MHz, 하향 436.50 MHz이며, BBS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참조
[2]
뉴스
KITSAT series - KITSAT-2
http://satrec.kaist.[...]
KITSAT Korea Institute of Technology
2016-07-09
[3]
뉴스
KITSAT-OSCAR 25
http://www.om3ktr.sk[...]
om3ktr.sk
2016-07-09
[4]
뉴스
KITSAT-2
http://www.n2yo.com/[...]
N2YO.com
2021-03-02
[5]
웹사이트
Display: KITSAT-2 1993-061F
https://nssdc.gsfc.n[...]
NASA
2021-03-02
[6]
뉴스
KITSAT-2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16-07-09
[7]
웹사이트
null
http://satrec.kaist.[...]
[8]
논문
On-board computer system for KITSAT-the first Korean satellite
http://dx.doi.org/10[...]
IEEE
[9]
논문
별지기 : 우리별 2호를 위한 실시간 운영체제의 구현
https://www.dbpia.co[...]
한국정보과학회
1993-10-31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image.kari.re[...]
2017-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