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운낭자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운낭자상(雲娘子像)은 석지(石芝) 채용신(蔡龍臣, 1850~1941)이 1914년에 그린 초상화입니다. 그림의 주인공은 홍경래의 난(1811년) 때 가산군수 정시의 시신을 거두어 의기(義妓)로 알려진 최연홍(崔蓮紅, 1785~1846)으로, 운낭자는 그녀의 초명(醮名)입니다.
작품 설명:


  • 형태: 살구색 저고리에 옥색 치마를 입은 여인이 남자아이를 안고 있는 전신 입상입니다.
  • 특징: 외씨 버선의 한쪽 발이 살짝 나온 모습, 가채를 얹지 않고 빗어 넘긴 머리 모양 등 18~19세기 미인도에 흔히 표현되는 양식적 특징을 보입니다. 부드러운 담채와 간략한 필선으로 표현되었습니다.
  • 화법: 얼굴 표현은 전통 화법을 따르면서도, 담채에 의한 음영법과 옷주름의 입체감 등 서양 화법을 가미하여 근대기 회화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 기록: 그림 오른쪽 위에 '雲娘子二十七世像'(운낭자이십칠세상), 왼쪽 중간쯤에 '甲寅肋月石芝寫'(갑인늑월석지사)라고 적혀 있고, '石芝'(석지), '定山郡守蔡龍臣信章'(정산군수채용신신장)이 날인되어 있습니다. 이는 1914년 윤달에 채용신이 그렸음을 나타냅니다.

역사적 배경:

  • 최연홍(운낭자)은 평안도 가산 관청의 기생이었으나, 27세 때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자 살해된 가산 군수의 장례를 치르고 군수의 아우를 보살폈습니다.
  • 이러한 공로로 기생 신분에서 벗어나 논밭을 하사받는 특혜를 누렸으며, 사후에는 평양 의열사(義烈祠)에 제향되었습니다.

의의:

  • 운낭자상은 우리나라 최초로 '엄마와 아기'를 주제로 그린 그림으로서 미술사적 가치가 큽니다.
  • 조선 말기 및 근대 초상화의 절충 양식을 보여주는 채용신 회화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 2012년 2월 16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8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현재 운낭자상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습니다.

운낭자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운낭자상
유형국가등록문화재
번호486
지정일2012년 2월 16일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5-00
시대일제강점기
소유자국립중앙박물관
수량1점
문화재청79,0486000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