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산구는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중 하나로, 한강 북쪽에 위치하며, 용산이라는 지명은 산세가 용의 모습과 닮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과주에 속했다가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에 속했으며, 개항 이후 외국인 거주 지역이자 군사 기지,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1943년 경성부 용산구로 설치되었으며, 1946년 서울특별자유시 용산구로 개칭되었다. 현재는 대한민국 대통령실과 많은 외국 대사관이 위치하고 있으며, 용산 미군기지 이전 부지에 용산공원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용산구는 1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숙명여자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전쟁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 이태원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설치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1943년 설치 - 서대문구
    서대문구는 서울특별시 중서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산과 하천이 어우러진 지형적 특징을 지니며, 대학교와 역사 유적지가 위치하고 신촌 지역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의 문화가 발달한 14개 행정동으로 구성된 지역이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 구역 - 효창동
    효창동은 조선시대 왕실 묘역인 효창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현재는 효창공원과 효창운동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백범 김구 선생을 기리는 백범기념관과 효창종합사회복지관 등도 위치해 있다.
  • 서울 용산구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용산구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용산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용산구 해방촌 언덕 동네
해방촌
용산구 깃발
용산구 깃발
공식 명칭용산구 (龍山區)
로마자 표기Yongsan-gu
유형서울특별시 자치구
위치서울특별시
설립 정보
자치구 설립일1946년
용산방 설치1896년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9개 행정동
면적
전체 면적21.87 제곱킬로미터
인구
총인구205,145 명
인구 조사 기준2024년 9월
시간대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 오프셋+9
우편 번호 및 지역 번호
우편 번호04300 – 04499
지역 번호+82-2-7xx
정치 및 행정
구청장박희영 (무소속)
국회의원권영세 (국민의힘)
구의회용산구의회
상징물
구목소나무
구화장미
구조비둘기
기타 정보
공식 웹사이트용산구청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고려 과주(지금의 과천)에 속했던 용산은 이후 남경에 편입되어 한양부로 불렸다.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에 속했으며, 조선 말에는 용산방 지역이 되었다.

1896년 4월 17일, 한성부 용산방으로 시작하여 1910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한성부경성부로 개칭되면서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1911년 용산방은 용산면으로 변경되었다.

1914년,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가 영등포출장소로 이속되었고, 경성부 용산출장소와 용산면의 일부는 고양군 용강면으로 개편되었다.

1884년 용산은 한국 정부에 의해 "개항 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이후 프랑스, 중국, 일본선교사들로 구성된 외국인 공동체가 정착했다. 1887년 선교 활동 허가가 주어졌다.[9]

조선 시대부터 한성부(현재의 서울)의 교역 거점으로 발전하여 많은 상인들이 모여들었다. 1884년에는 용산항이 개항하여 한국 근대화의 시작을 알렸다.

용산에는 오랫동안 군사기지가 설치되어 있었다. 1882년임오군란 당시 조선에 개입한 청국군의 주둔지가 되었다. 1904년에는 러일 전쟁을 계기로 일본군이 용산에 병영을 설치하였고, 이후 이것이 광대한 용산기지가 되었다. 1945년 태평양 전쟁 패전 후 일본군이 철수한 대신 미군정이 용산기지에 주둔하였고, 이태원(옛 문헌에서는 “리태리”라는 표기가 많다)은 이에 따른 기지 주변 도시가 되었다. 현재 용산기지에는 주한미군 사령부 등이 있으며, 1988년까지 한국군 육군본부가 있던 자리에는 전쟁기념관이 개관되어 있다.


  • 1943년 6월 10일 구제 실시에 따라 경기도 경성부 용산구가 설치되었다.[47]
  • 1944년 11월 1일 새로 설치된 마포구로 일부 지역이 편입되었다.[48]
  • 1945년 10월에 용산구역소의 명칭이 용산구로 개칭되었다.
  • 1946년 9월 28일, 서울특별자유시 용산구로 개칭되었다.
  • 1949년 8월 15일부터 서울특별시 용산구로 다시 개칭되었다.
  • 1955년 4월 시조례에 의거 종전의 동회를 행정동으로 하였다.
  • 1975년 10월 1일 한남동 일부가 중구로 편입되었고, 중구 동자동도동이 용산구로 편입되었다.[49]
  • 1985년 9월 1일에 도동1가를 동자동으로, 도동2가를 후암동으로 병합하였다.[50]

2. 1. 명칭의 기원

증보문헌비고』에는 '용이 나타났다고 해서 용산(龍山)이라 했다'라고 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양화나루 동쪽 언덕의 산형이 용이 있는 형국이라 생긴 이름'이라고 되어 있다. 용산(龍山)이라는 이름은 한자에서 유래하며 "용산(龍山)"을 의미한다.[5]

2. 2. 고려 및 조선 시대

고려 시대에는 과주(지금의 과천시)에 속했다가 이후 남경에 편입되어 한양부로 불렸다.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에 속했으며, 조선 말에는 용산방 지역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 용산은 바닷길로 서울에 들어오는 여행객과 상인들의 입구 역할을 했으며, 한강에 작은 항구 시설이 있었다. 따라서 이 지역은 상업으로 유명해졌으며, 한국에서 최초로 자본주의가 나타난 곳으로 여겨진다.[8] 상업적 중요성과 규모가 커지면서 용산은 서울의 옛 성벽 밖에 위치해 한국 최초의 위성 도시가 되었다.[8]

1884년 용산은 한국 정부에 의해 "개항 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이후 프랑스, 중국, 일본선교사들로 구성된 외국인 공동체가 정착했다. 1887년 선교 활동 허가가 주어졌다.[9]

2. 3. 근대

고려 시대까지 과주(지금의 과천시)에 속했던 용산은 이후 남경에 편입되어 한양부로 불렸다.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에 속했으며, 조선 말에는 용산방 지역이 되었다.

용산 도시 지도 (1927)


1945년 용산


1896년 4월 17일, 한성부 용산방으로 시작하여 1910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한성부경성부로 개칭되면서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1911년 용산방은 용산면으로 변경되었다.

1914년,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영등포출장소 이속, 경성부 용산출장소(치소-신계동, 청엽정1~3정목, 원정1~4정목, 금정, 미생정, 경정, 대도정, 영정, 청수정, 산수정, 암근정, 도화정, 강기정, 삼판통, 한강통, 마포동, 이촌동), 용산면의 일부는 고양군 용강면으로 개편되었다.

조선 시대에 용산은 바닷길로 서울에 들어오는 여행객과 상인들의 입구 역할을 했으며, 한강에 작은 항구 시설이 있었다. 따라서 이 지역은 상업으로 유명해졌으며, 한국에서 최초로 자본주의가 나타난 곳으로 여겨진다. 상업적 중요성과 규모의 성장을 감안할 때, 용산은 서울의 옛 성벽 밖에 위치해 한국 최초의 위성 도시가 되었다.[8]

1884년 용산은 한국 정부에 의해 "개항 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이후 프랑스, 중국, 일본선교사들로 구성된 외국인 공동체가 정착했다. 1887년 선교 활동 허가가 주어졌다.[9]

용산에는 오랫동안 군사기지가 설치되어 있었다. 1882년 임오군란 당시 조선에 개입한 청국군의 주둔지가 되었다. 1904년 러일 전쟁을 계기로 일본군이 용산에 병영을 설치하였고, 이후 이것이 광대한 용산기지가 되었다. 1945년 태평양 전쟁 패전 후 일본군이 철수한 대신 미군정이 용산기지에 주둔하였고, 이태원(옛 문헌에서는 “리태리”라는 표기가 많다)은 이에 따른 기지 주변 도시가 되었다.

  •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이태원정, 삼판통, 용산정, 연병정, 강기정, 서빙고정, 동빙고정, 신계정, 청엽정, 원정, 금정, 미생정, 경정, 대도정, 영정, 청수정, 산수정, 암근정, 도화정, 한강통, 마포정, 이촌정, 용강정, 토정정, 대흥정, 염리정 지역을 포함하여 경기도 경성부 용산구 설치.
  • 1944년 11월 1일 도화정, 마포정, 용강정, 토정정, 대흥정, 염리정을 마포구로 분할.
  • 1946년 구 내의 “정”을 “동”으로 개칭.

2. 4. 일제강점기

고려 과주(지금의 과천)에 속했던 용산은 이후 남경에 편입되어 한양부로 불렸다.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에 속했으며, 조선 말에는 용산방 지역이 되었다.

1896년 4월 17일, 한성부 용산방으로 시작하여 1910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한성부경성부로 개칭되면서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1911년 용산방은 용산면으로 변경되었다.

1914년,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가 영등포출장소로 이속되었고, 경성부 용산출장소(신계동, 청엽정1~3정목, 원정1~4정목, 금정, 미생정, 경정, 대도정, 영정, 청수정, 산수정, 암근정, 도화정, 강기정, 삼판통, 한강통, 마포동, 이촌동)와 용산면의 일부는 고양군 용강면으로 개편되었다.

1884년 용산은 한국 정부에 의해 "개항 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이후 프랑스, 중국, 일본선교사들로 구성된 외국인 공동체가 정착했다. 1887년 선교 활동 허가가 주어졌다.[9]

조선 시대부터 한성부(현재의 서울)의 교역 거점으로 발전하여 많은 상인들이 모여들었다. 1884년에는 용산항이 개항하여 한국 근대화의 시작을 알렸다.

용산에는 오랫동안 군사기지가 설치되어 있었다. 1882년임오군란 당시 조선에 개입한 청국군의 주둔지가 되었다. 1904년에는 러일 전쟁을 계기로 일본군이 용산에 병영을 설치하였고, 이후 이것이 광대한 용산기지가 되었다.

2. 5. 해방 이후


  • 1943년 6월 10일 구제 실시에 따라 경기도 경성부 용산구가 설치되었다. 이때의 행정구역은 삼판통, 연병정, 강기정, 경정, 서빙고정, 용산정1정목~5정목이다.[47]
  • 1944년 11월 1일 새로 설치된 마포구로 도화정 등이 편입되었다.[48]
  • 1945년 10월에 용산구역소의 명칭이 용산구로 개칭되었다.
  • 1946년 9월 28일, 서울특별자유시 용산구로 개칭되었다.
  • 1949년 8월 15일부터 서울특별시 용산구로 다시 개칭되었다.
  • 1955년 4월 시조례에 의거 종전의 동회를 행정동으로 하였다.
  • 1975년 10월 1일 한남동 일부가 중구로 편입되었고, 중구 동자동도동이 용산구로 편입되었다.[49]
  • 1985년 9월 1일에 도동1가를 동자동으로, 도동2가를 후암동으로 병합하였다.[50]


조선 시대부터 한성부(현재의 서울)의 교역 거점으로 발전하여 많은 상인들이 모여들었다. 1884년에는 용산항이 개항하여 한국 근대화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1896년에 용산구의 전신인 용산방이 탄생하였고, 1945년에 용산구가 설치되었다.

용산에는 오랫동안 군사기지가 설치되어 있었다. 1882년임오군란 당시 조선에 개입한 청국군의 주둔지가 되었다. 1904년에는 러일 전쟁을 계기로 일본군이 용산에 병영을 설치하였고, 이후 이것이 광대한 용산기지가 되었다. 1945년, 태평양 전쟁 패전 후 일본군이 철수한 대신 미군정이 용산기지에 주둔하였고, 이태원(옛 문헌에서는 “리태리”라는 표기가 많다)은 이에 따른 기지 주변 도시가 되었다. 현재 용산기지에는 주한미군 사령부 등이 있으며, 1988년까지 한국군 육군본부가 있던 자리에는 전쟁기념관이 개관되어 있다.

3. 지리

용산구는 서울특별시 중앙에 위치하며, 한강 북쪽에 자리잡고 있다. 서울의 역사적 중심지중구 남쪽 남산 바로 아래의 '성저십리' 지역에 속한다. 약 25만 명이 거주하며, 20개의 으로 나뉜다.[51]

한강 옆에 위치하며, 구 서쪽의 평지는 20세기 초부터 교통(철도) 및 상업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동쪽과 북쪽의 지형은 경사가 더 가파르며 북쪽에 있는 남산으로 향해 높아진다. 남산은 해발 243m이며 대부분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3] 구 서쪽 저지대의 해발고도는 약 15m~20m이다. 이 저지대는 폭우 시 침수되기 쉬우며, 이는 서울의 대부분 저지대 강변 지역의 공통적인 문제이다.[4]

4. 행정 구역

용산구의 행정 구역은 16개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면적은 21.87km2이다. 2018년 2분기를 기준으로 인구는 108,516세대, 245,245명이다.

용산구 행정구역도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후암동厚岩洞0.86km28,53218,861
용산2가동龍山洞1.96km25,53912,225
남영동南營洞1.19km25,4458,481
청파동靑坡洞0.91km210,57321,110
원효로1동元曉路洞0.7km27,18015,764
원효로2동元曉路洞0.7km26,01415,149
효창동孝昌洞0.43km23,7349,117
용문동龍門洞0.28km25,33712,834
한강로동漢江路洞2.87km29,34718,927
이촌1동二村洞2.86km210,12729,077
이촌2동二村洞1.22km23,8579,236
이태원1동梨泰院洞0.57km23,8698,789
이태원2동梨泰院洞0.8km24,90610,989
한남동漢南洞2.99km210,91423,964
서빙고동西氷庫洞2.82km25,34514,377
보광동普光洞0.7km27,79716,345
용산구龍山區21.87km2108,516245,245



용산구는 여러 차례의 통합을 거쳐 현재 16개의 행정동을 가지고 있으며, 각 행정동은 법정동을 포함하고 있다.


5. 인구

용산구의 인구는 2018년 2분기를 기준으로 108,516세대, 245,245명이다.[13] 행정동별 인구 및 면적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후암동厚岩洞0.868,53218,861
용산2가동龍山洞1.965,53912,225
남영동南營洞1.195,4458,481
청파동靑坡洞0.9110,57321,110
원효로1동元曉路洞0.77,18015,764
원효로2동元曉路洞0.76,01415,149
효창동孝昌洞0.433,7349,117
용문동龍門洞0.285,33712,834
한강로동漢江路洞2.879,34718,927
이촌1동二村洞2.8610,12729,077
이촌2동二村洞1.223,8579,236
이태원1동梨泰院洞0.573,8698,789
이태원2동梨泰院洞0.84,90610,989
한남동漢南洞2.9910,91423,964
서빙고동西氷庫洞2.825,34514,377
보광동普光洞0.77,79716,345
용산구龍山區21.87108,516245,245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는 다음과 같다.

연도총인구
1966년303,051명
1970년303,583명
1975년334,524명
1980년330,730명
1985년321,791명
1990년300,264명
1995년250,567명
2000년226,540명
2005년211,109명
2010년217,228명
2015년227,282명



19세기 후반 용산에 외국인 커뮤니티가 형성된 이후, 이 지역은 서울에서 가장 다문화적인 지역으로 알려져 왔다. 이태원은 한국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많은 외국인들이 이곳의 쇼핑센터와 유흥가에 모여든다. 용산구청 통계에 따르면, 외국인 주민 수는 2015년 19,078명이었던 이후 매년 증가하여 2020년에는 21,067명에 달했다.[13] 2020년 기준 외국인 주민 현황은 다음과 같다.[14]

외국인 주민 (2020년 기준)
미국(USA)4,719
중국(China)3,202
일본(Japan)1,295
필리핀(Philippines)635
나이지리아(Nigeria)556
독일(Germany)462
영국(UK)331
인도(India)414
대만(Taiwan)352
기타(Other)9,101
총계21,067


6. 정치 및 행정

대한민국 국방부 청사는 용산기지 북쪽과 남쪽 구역 사이, 삼각지역 근처에 있다.[15] 현재 구청장은 박희영이다.

6. 1. 대한민국 대통령실

대한민국 대통령의 공식 관저와 집무실은 현재 용산에 있으며, 이전에는 국방부 청사로 알려진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 그리고 다른 관련 기관들은 종로구청와대에서 2022년 윤석열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이전되었다.[16]

6. 2. 외교 공관

도심에 위치한 용산구에는 수많은 외국 대사관이 있다.[17]


6. 3. 구청

용산구청


용산구청은 녹사평대로 녹사평역 근처에 있다.[10] 구청은 한국인과 한국 거주 외국인에게 서류 발급, 세금, 공공 안전 및 의료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11] 용산체육센터, 이촌 한강공원, 남산, 효창공원, 용산가족공원 등 구내 레저 시설 유지도 담당한다.[12] 현재 구청장은 박희영이다.

6. 4. 경찰

서울 용산경찰서

7. 경제

용산구는 지역에 따라 경제적 특성이 크게 다르다.

서울역용산역 주변은 대기업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코스피 200 기업 중 아모레퍼시픽, 오리온, 제일기획, 하이브, 현대산업개발 등이 용산에 본사를 두고 있다. 특히 아모레퍼시픽은 2017년 신용산역 근처에 새로운 본사를 열었다.[25]

2010년대 중반 이후, 용산 지역은 고급 아파트와 사무실 공간이 들어서면서 크게 발전했다. 용산 서쪽에는 철도 정비창 부지를 재개발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 여러 호텔이 포함된 '서울 드래곤 시티'가 건설되었다. 여기에는 노보텔, 머큐어, 이비스 등 세 호텔 체인이 운영하는 네 개의 호텔이 있다.

한남동은 고급 주거 지역으로, 서울에서 가장 비싼 부동산과 갤러리, 레스토랑들이 위치해 있다.

북쪽에 있는 남산은 주요 관광지이지만, N서울타워 자체는 중구에 있다.

1997년, 용산 미군기지 근처의 이태원 지역은 특별관광지구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미국 군인뿐만 아니라 한국인과 외국인 관광객, 거주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한국 정부 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2만 명의 외국인 거주자가 있다.[26] 이태원의 인기는 1980년대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서울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더욱 커졌다.[27] 이 지역에는 약 2,000개의 상점과 많은 바, 클럽, 레스토랑, 카페가 있다.[28] 이태원의 중심지는 이태원역 위에 있는 해밀턴호텔 앞 교차로이다. 거기에서 여러 지역으로 나뉘는데, 북쪽에는 활기찬 바, 클럽, 식당가가 있고, 남쪽에는 서울 중앙 성원의 영향을 받은 상점과 다양한 민족의 요리들이 있다. 이 지역은 의류, 보석류 등을 판매하는 소규모 상점들이 많고, 역사적으로 미군을 대상으로 해 온 재봉사들도 많다. 매년 10월에는 이태원 글로벌 빌리지 페스티벌이 열리고, 라이브 음악 공연과 국제 음식 시장이 열리는 이태원로가 중심이 된다.[29]

이태원 근처에는 한남동과 한강진이 있다. 두 지역 모두 갤러리, 카페, 레스토랑이 많은 고급 여가 중심 경제로 유명하다. 한남동은 한국에서 가장 비싼 부동산 가격으로도 유명하며, 최근(2020년) 아파트 가격은 6160000USD에 달했다.[30] 이 지역의 주택은 기업 임원과 기타 부유한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다.[31] 갤러리아는 최근 한남동에 VIP 고객과 명품에 중점을 둔 새로운 백화점을 열었다.[32] 이 백화점은 이전에 미군과 정부 직원이 사용하던 주택 자리에 건설된 고급 주택 단지인 '나인원 한남'에 포함되어 있다.[33]

용산역삼각지 사이 한강로2가 골목길에는 아모레퍼시픽 신사옥이 들어선 이후 젊은이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인근 주택을 개조한 카페와 음식점들이 생겨나면서 이 거리는 '용리단길'로 불리기 시작했다. 용산역, 신용산역, 삼각지역 등 다양한 지하철 노선이 가까워 교통이 편리하며 젊은이들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다.[34]

8. 교통

1900년 한강의 첫 교량인 한강철교1917년 한강의 첫 도로 교량인 한강대교가 용산구에 있다.

한강철교한강대교


서울 중심부에 위치한 용산구는 서울의 가장 중요한 두 개의 시외 철도역인 서울역용산역을 보유하고 있다. 두 역 모두 KTX, ITX, 무궁화를 비롯한 관광 서비스를 제공하여 용산구를 전국 대부분 지역과 연결한다.[35] 한국은 북한과의 국경 간 교통 부재로 인해 사실상 내륙국이므로, 서울역은 한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가장 큰 시외 철도역이며, 북쪽에는 소규모의 통근 및 관광 중심 역 몇 곳만 존재한다. 기존 서울역 건물은 1988년에 폐쇄되었고, 현재의 건물은 역사와 대규모 롯데 아울렛 복합단지가 통합된 형태로 대체되었다.

용산역은 서울역과 마찬가지로 다목적 시설로, 현재 면세점 쇼핑몰, 백화점, 영화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4년 KTX 운행 개시와 함께 용산역은 서울역과 이러한 서비스를 공유하기 시작했고, 이는 역의 투자 및 개발 증가로 이어졌다.

용산역(왼쪽)과 래미안 아파트(오른쪽). 사진 오른쪽에는 신용산 지하철역이 있다.


용산역에 정차한 서울 지하철 1호선 열차


용산구는 서울 지하철 1호선, 4호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이 지나간다. 1호선과 4호선은 서울역과 용산역을 경유하며 시외 철도 서비스와 연계된다. 6호선은 삼각지역이태원을 경유하며 구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로지르고, 경의중앙선은 용산역을 경유하며 서울의 서쪽과 동쪽 교외 및 위성 도시로 연결한다.

인천공항 리무진 버스

8. 1. 철도

서울역용산역에서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를 탈 수 있다. 대체로 경부선, 경전선 계통의 열차는 서울역에서, 호남선, 장항선, 전라선 계통의 열차는 용산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강원으로 가는 열차는 용산역ITX-청춘이 있으나, 춘천 이외의 지역으로 가려면 청량리역에서 환승해야 한다.[35]


8. 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서울 수도권 지역의 계획 중인 고속 광역철도 네트워크로, GTX-A, GTX-B, GTX-C 세 개의 노선으로 구성되며, 서울역(GTX-A·B), 용산역(GTX-B)을 경유할 예정이다.[36]

8. 3. 버스

용산에는 서울에서 운행되는 모든 종류의 버스(녹색(시내버스), 파란색(간선버스), 노란색(남산 순환버스), 빨간색(광역버스))가 다닌다. 용산에서 가장 큰 버스 정류장 중 하나는 서울역 앞에 있다.

8. 4. 공항 리무진

공항 리무진 6030번과 6702번은 용산과 김포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이 노선들은 운행이 중단되었다.

9. 교육

용산구에는 숙명여자대학교, 한국폴리텍1대학 (서울정수대학) 등의 대학교와 용산고등학교, 중경고등학교를 비롯한 여러 고등학교, 그리고 서울독일학교, 용산국제학교 등 다양한 국제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9. 1. 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캠퍼스

  • '''사립대학교'''


  • '''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1대학 (서울정수대학)



숙명여자대학교는 용산구에 위치한 사립대학교이다. 1906년에 설립되었으며, 대한민국 최고의 여자대학교 중 하나로 여겨진다. 본교는 미디어, 언론, 정치, 정부 및 학계에서 성공적인 졸업생을 다수 배출하였으며, 대한민국 최초이자 가장 성공적인 여성 전용 ROTC 프로그램 중 하나를 운영하고 있다.[37][38] 숙명여자대학교는 경영학 프로그램으로 유명하며, 르 꼬르동 블루(Le Cordon Bleu)와 협력하여 르 꼬르동 블루 호텔경영 MBA 과정도 제공한다.[39]

9. 2. 고등학교


9. 3. 국제 학교

용산에는 외국인 주민들이 많아 외교관과 외국 전문직 종사자들의 자녀들을 위한 국제학교들이 여러 곳 있다.

서울 프랑스학교는 한남동에 있었다. 1985년에 서초구 반포동 서래마을로 이전했다.[41]

10. 문화 및 관광


국립중앙박물관

해방촌


용산가족공원


전쟁기념관


용산전자상가, 2015년


한미 합동참모본부 (미 사령부 환영식)


용산구는 이태원 상업 지구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많은 외국인들이 이곳의 쇼핑센터와 유흥가에 모여든다. 1997년 용산미군기지 인근의 이태원 지역은 미국 군인뿐만 아니라 한국인과 외국인 관광객 및 거주자들에게 인기가 많아 특별관광지구로 지정되었다. 한국 정부 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2만 명의 외국인 거주자가 있다.[26] 이태원의 인기는 1980년대 서울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중심으로 높아지면서 다양화되고 증가하기 시작했다.[27] 이 지역에는 약 2,000개의 상점과 많은 바, 클럽, 레스토랑, 카페가 있다.[28] 매년 10월에는 이태원 글로벌 빌리지 페스티벌이 이 지역에서 열리며, 라이브 음악 공연과 국제 음식 시장이 열리는 이태원로가 중심이 된다.[29]

이태원 근처에는 한남동과 한강진이 있다. 두 지역 모두 많은 갤러리, 카페, 레스토랑이 있는 고급화된 여가 중심 경제로 유명하다.

국립중앙박물관

11. 용산 미군기지 이전 및 공원 조성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옮겨지면 용산 부지는 2027년까지 국가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이제 용산은 미국 뉴욕센트럴파크와 같은 생태자연공원으로 조성될 것"이라며 "2005년 선포된 국가공원 조성계획을 이제야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53]

남산을 배경으로 한 용산기지


용산구에는 2021년 기준으로 미군이 평택 캠프 험프리스로 점차 이전하면서 축소되고 있는 용산기지가 있다. 19세기 이후 용산 지역은 군사 시설로 사용되었는데,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주로 일본이 이곳에 군사 본부를 설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 육군이 이 지역에 주둔하면서 용산기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60년 이상 미군 장병들에게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해 온 이 기지는 주한 미국 대사관 관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18]

2021년 현재, 대사관 직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용산 주둔 미군은 한국과 미국 정부 간의 오랜 합의에 따라 8군 사령부와 함께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했다. 그러나 용산기지의 전략적 중요성과 미국이 상호 방위 및 안보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하는 상징적 의미를 고려하여, 서울 북쪽에 적어도 하나의 미군 여단이 남아 용산기지 이전으로 인한 손실을 상쇄할 것이다. 또한, 주로 한국을 방문하는 미군, 정부 및 관련 인원을 위한 중요한 시설인 용산 가든 호텔(Dragon Hill Lodge)을 계속 운영하고, 결국 광화문의 현재 위치에서 주한 미국 대사관을 이곳으로 이전하기 위해 용산기지의 일부는 미국의 소유로 남을 것이다.[18]

용산에서 미군 병력과 시설 대부분이 철수하면서 100년 이상 외국군의 통제 아래 있었던 용산구 내 상당한 면적의 토지가 해방될 것이다. 이 부지 재개발에 대한 최초 제안은 2005년 노무현 전 대통령으로부터 나왔다.[21] 그 이후로 한국과 미국 간에 토지 이전을 둘러싼 협상이 진행되었지만, 평택 이전 및 용산 부지의 오염 문제로 계획이 지연되었다.[22] 2019년 말 구상된 바에 따르면, 이 부지는 뉴욕의 센트럴파크보다 약간 작은 약 3030000m2 규모의 생태공원이 될 것이다.[23] 2021년 1월 서울특별시는 이 지역의 이름을 '용산공원'으로 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이름은 2020년 주민들이 9,401건의 이름 제안을 제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선정되었다.[24]

12.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Yongsan https://www.yongsan.[...] 2021-01-25
[2]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3] 웹사이트 Visit Korea: Namsan Seoul Tower (남산서울타워) https://english.visi[...] 2021-01-28
[4] 뉴스 Yonhap News Agency, (LEAD) Major highways in Seoul partly closed, flood alerts issued as downpours raise water level of Han River https://en.yna.co.kr[...] 2020-08-06
[5] 웹사이트 Korea Joongang Daily What's in a name? A lot of history, it turns out. 2011-07-03 https://koreajoongan[...] 2021-01-23
[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Yongsan-gu https://health.yongs[...] 2021-01-24
[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Yongsan-gu https://health.yongs[...] 2021-01-24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Yongsan-gu https://health.yongs[...] 2021-01-24
[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Yongsan District https://health.yongs[...] 2021-01-24
[10] 웹사이트 Yongsan Gu Office Homepage https://www.yongsan.[...] 2021-01-25
[11] 웹사이트 Yongsan Gu Office Homepage https://www.yongsan.[...] 2021-01-25
[12] 웹사이트 Yongsan Gu Office Homepage https://www.yongsan.[...] 2021-01-25
[13] 웹사이트 Yongsan Gu Office: Statistics https://www.yongsan.[...] 2021-01-25
[14] 웹사이트 Yongsan Gu Office: Statistics https://www.yongsan.[...] 2021-01-25
[15]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nd.go.kr[...]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4-01-01
[16] 웹사이트 Yoon says presidential office to relocate to defense ministry compound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2-04-25
[17] 웹사이트 https://www.mofa.go.[...] 외교부 2022-04-25
[18] 뉴스 Andrew Jeong, Wall Street Journal: The end of small town America in the Heart of Seoul. 2019-09-03 https://www.wsj.com/[...] 2019-09-03
[19] 웹사이트 Chan Hee Kim, ''The Cultural Identity of Itaewon'', Situations Vol. 5 (Winter 2011), Yonsei University http://situations.yo[...] 2021-01-25
[20] 웹사이트 Chan Hee Kim, ''The Cultural Identity of Itaewon'', Situations Vol. 5 (Winter 2011), Yonsei University http://situations.yo[...] 2021-01-25
[21] 뉴스 Korea Times, ''Korea to expand size of proposed national park in Yongsan'', 2019-12-23 https://www.koreatim[...] 2019-12-23
[22] 뉴스 Korea Times, ''Korea to expand size of proposed national park in Yongsan'', 2019-12-23 https://www.koreatim[...] 2019-12-23
[23] 뉴스 Korea Times, ''Korea to expand size of proposed national park in Yongsan'', 2019-12-23 https://www.koreatim[...] 2019-12-23
[24] 뉴스 Korea Times, ''Yongsan Park chosen as name for development project for returned US base'', 2021-01-17 https://www.koreatim[...] 2021-01-17
[25] 웹사이트 Amorepacific Headquarters / David Chipperfield Architects https://www.archdail[...] 2021-01-25
[26] 웹사이트 Visit Korea: Itaewon Special Tourist Zone (이태원 관광특구) https://english.visi[...] 2021-01-21
[27] 웹사이트 Visit Korea: Itaewon Special Tourist Zone (이태원 관광특구) https://english.visi[...] 2021-01-21
[28] 웹사이트 Visit Korea: Itaewon Special Tourist Zone (이태원 관광특구) https://english.visi[...] 2021-01-21
[29] 웹사이트 Visit Korea: Itaewon Special Tourist Zone (이태원 관광특구) https://english.visi[...] 2021-01-21
[30] 뉴스 Korea Herald, ''Hannam The Hill holds the fort as top-priced apartment in S. Korea'', 2020-08-14 http://www.koreahera[...] 2020-08-14
[31] 뉴스 Korea Herald, ''Hannam The Hill holds the fort as top-priced apartment in S. Korea'', 2020-08-14 http://www.koreahera[...] 2020-08-14
[32] 뉴스 Korea Times, ''Department stores refurbish, focusing on luxury brands'', 2020-08-14 https://www.koreatim[...] 2020-08-14
[33] 웹사이트 AtSeoul Inc., Nine One Hannam, one of the most luxurious apartments in Korea http://www.atseoul.c[...] 2021-01-26
[34] 웹사이트 Hot place for insiders! #Yongridan-gil https://www.elle.co.[...] 2020-11-25
[35] 웹사이트 Visit Korea: Seoul Station (서울역) https://english.visi[...] 2021-01-26
[36] 웹사이트 Seoul to build high-speed regional rail network https://www.railjour[...] 2017-04-07
[37] 웹사이트 Korea Times, ''Sookmyung picked to run first female ROTC program'' https://www.koreatim[...] 2010-09-15
[38] 웹사이트 Sookmyung University News: ''The history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OTC from the first ever towards becoming the best'' http://e.sookmyung.a[...] 2021-01-18
[39] 웹사이트 Loe Cordon Bleu, Seoul https://www.cordonbl[...]
[40] 웹사이트 Kontakt http://www.dsseoul.o[...] 2014-05-22
[41] 웹사이트 Korea's Little France, Seorae Village http://www.arirang.c[...] 2009-06-23
[4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43] 기타
[44] 기타
[45]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6]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06-09
[4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350호 1944-10-23
[49] 법률 구의 증설 및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75-09-23
[50] 법률 서울특별시조례 제2016호
[51] 웹사이트 위치 및 면적 http://www.yongsan.g[...]
[52] 뉴스 용산의 '용틀임'…뉴타운·재건축 등 개발호재 타고 '들썩' https://www.joongang[...] 2017-06-25
[53] 뉴스 文대통령 '용산 '생태자연공원' 상상하면 가슴 뛴다' http://news1.kr/arti[...] 2018-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