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웃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웃투는 수메르 신화에 등장하는 직조의 여신이다. 이름은 TAG×TÙG로 표기되며, 'tuku'로 발음되는 TAG 기호는 천을 짜는 행위를 의미한다. 웃투는 다양한 신화에서 엔키의 딸로 묘사되며, 엔키와 근친상간을 맺는 이야기, 세계 질서 배정을 기다리는 모습, 그리고 '곡물과 양의 논쟁'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명칭 및 특징

웃투는 직조의 여신으로 여겨졌다. 다양한 재료를 신들과 연결하는 밀교적 설명 텍스트에 따르면, 웃투는 색깔있는 양털과 연관될 수 있었다.

웃투는 거미가 거미줄을 치는 모습으로 상상되었다고 주장되어 왔지만,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할 증거는 제한적이다.

2. 1. 어원

웃투의 이름은 TAG×TÙG로 표기되었으며, TAG 기호(보통 ''tuku''로 발음)는 천을 짜는 행위를 의미한다.[1] ''uttu''라는 단어는 베틀의 일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dTAG.NUN이라는 이름이 웃투로 읽혀질 수 있지만, 조안 굿닉 웨스텐홀츠는 이러한 해석을 거부하고 대신 dTAG.NUN이 비질라의 여러 이름 중 하나이거나, 비질라와 마찬가지로 후기 자료에서 나나야와 연관된 여신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2. 2. 상징

웃투는 직조의 여신으로, 색깔있는 양털과 관련되어 있었다. 웃투의 이름은 TAG×TÙG로 표기되었으며, TAG 기호(보통 ''tuku''로 발음)는 천을 짜는 행위를 의미한다.[1] ''uttu''라는 단어는 베틀의 일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1]

조안 굿닉 웨스텐홀츠는 dTAG.NUN이라는 이름이 웃투로 읽혀질 수 있다는 해석을 거부하고, 대신 dTAG.NUN이 비질라의 여러 이름 중 하나이거나, 비질라와 마찬가지로 후기 자료에서 나나야와 연관된 여신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2. 3. 거미와의 연관성 (논란)

토르킬드 야콥센은 웃투가 거미가 거미줄을 치는 모습으로 그려졌다고 주장했다.[1] 하지만 웃투와 거미, 더 정확히는 웃투의 이름과 아카드어 단어 ''ettūtu''(거미) 사이의 연관성은 단 하나의 텍스트에 국한되며, 이는 "학습된 어원"(서기관의 추측), 민간 어원, 또는 단순히 거의 동음이의어라는 점에 의존할 수 있다. 해당 텍스트의 두 사본에는 "거미(''ettūtu'')의 솜씨는 그의 집에서 안정될 것이다." 또는 "웃투의 솜씨는 그의 집에서 안정될 것이다."와 같이 동일한 구절의 약간 다른 버전이 포함되어 있다. ''Ettūtu''는 아카드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거미를 나타내는 단어 중 하나일 뿐이며, 다른 두 단어는 ''anzūzu''(ŠÈ.GUR4로 표기)와 아마도 ''lummû''였다. 수메르어에서 거미는 ''aš'', ''aš5'', ''lùm'' 또는 ''si14''로 알려져 있었다. 메소포타미아 문학에서 거미는 대부분 속담에 등장한다. 특히 잘 알려진 속담은 거미(ŠÈ.GUR4)가 ''ḫamitu'' 곤충을 족쇄에 채운 다음 ''kuzāzu'' 곤충에 대한 소송에서 증인으로 행동한 후 조각내는 것을 묘사하는데, 아마도 그 의미는 악인은 증인으로 행동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을 것이다. 또 다른 속담에서는 파리를 잡기 위해 그물을 준비했지만 결국 도마뱀의 위협을 받게 된 거미(''ettūtu'')를 언급하는데, 이는 아마도 악행을 저지른 자는 결국 더 큰 세력에 의해 패배할 것이라는 의미일 수 있다. 거미는 또한 여성 직조공과 관련된 초기 왕조 시대의 인장에서도 예술적 모티프로 등장한다.

3. 신앙

웃투는 바빌론의 에사길라 사원 단지에 있는 "일의 배정의 집"(E-ešgar)에서 숭배되었다.

3. 1. 우마에서의 숭배

웃투와 동일시될 수 있는 d|TAG.NUNsux은 초기 왕조 시대 우마에 사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 왕에 의해 지어졌다. d|TAG.NUNsux은 신을 칭하는 이름인 우르-d|TAG.NUNsux에서도 증명된다.

3. 2. 신 아시리아 시대의 주문

신 아시리아 시대에 알려진 두 개의 이중 언어 수메르-아카드 주문에서는 웃투가 이난나와 함께 실을 잣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4. 신화 속 웃투

웃투는 여러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엔키와 닌후르사그'' 신화에서 웃투는 엔키와 그의 딸들 사이의 근친상간 관계의 순환을 끊는 역할을 한다. 엔키는 자신의 자손들과 계속 관계를 맺으려 하지만, 웃투는 닌후르사그의 도움으로 이 순환을 끊는다.[1]

''엔키와 세계 질서'' 신화에서 웃투는 영역 할당을 기다리는 마지막 신으로 등장하며, "성실한 여성", "침묵하는 자"로 불린다. 그녀의 등장은 서사의 전환점을 나타낸다.

토론 시 ''곡물과 양의 논쟁''에서는 웃투가 직조를 시작하기 전의 시대를 묘사하여 문명 이전의 시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후기 신 목록 ''아누 = 아누 샤 아멜리''에서 웃투는 엔키와 동일시되는데, 이는 특정 직업을 담당하는 신들을 엔키의 측면으로 재해석하는 신학적 현상을 반영한다.

4. 1. 엔키와 닌후르사그 신화

신화 ''엔키와 닌후르사그''에 따르면, 웃투의 부모는 엔키와 닌쿠라였다.[1] 후기 전통에서는 닌쿠라가 대신 남성 신이자 웃투의 남편이었다. ''엔키와 닌후르사그''의 다른 판에서는 닌쿠라를 웃투의 할머니, 니님마를 그녀의 어머니로 묘사한다.[1] 엔키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주문에서 웃투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또 다른 후기 문헌에는 그녀의 아버지가 아누였다는 전통이 기록되어 있다.

''엔키와 닌후르사그''에서 웃투는 엔키(그의 수칼 이시무드의 도움을 받음)가 자신의 자손(닌샤르, 닌쿠라, 니님마, 웃투)과 근친상간을 저지르면서 유혹하려 하는 마지막 여신이다.[1] 다른 여신들과 달리 웃투는 닌후르사그에게 조언을 받고,[1] 신선한 농산물을 주는 조건으로 결혼을 약속하는 거짓말로 엔키를 속이려 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녀는 처음에는 성공했지만, 엔키는 농부에게서 요청한 오이, 사과, 포도를 얻는 데 성공한다. 그는 정원사로 변장하여 두 번째로 그녀에게 접근했고, 이번에는 웃투가 임신하게 된다.[1] 닌후르사그는 웃투의 몸에서 엔키의 씨앗을 제거하여 근친상간의 순환을 끊는다. 이 장면은 같은 신화에서 엔키와 그의 딸들 사이의 이전 만남보다 더 자세하다. 흥미롭게도 이 이야기는 웃투와 직조의 연관성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4. 2. 엔키와 세계 질서 신화

신화 ''엔키와 세계 질서''에서 웃투는 영역 할당을 기다리는 마지막 신이다. 그녀는 "성실한 여성"이자 "침묵하는 자"로 불린다. ''엔키와 닌후르사그''와 ''엔키와 세계 질서'' 모두에서 웃투의 등장은 서사의 전환점을 나타낸다. ''엔키와 세계 질서''에서는 그녀의 운명이 선언된 후 이난나와 그녀가 우주의 적절한 몫을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 중심 무대를 차지한다.

4. 3. 양과 곡물의 논쟁

웃투는 토론 시 곡물과 양의 논쟁에 언급되는데, 이 시는 웃투가 직조를 시작하기 전의 시대를 묘사하며, 문명과 기술의 출현 이전 시대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4. 4. 기타 신화

후기 전통에서 닌쿠라는 웃투의 남편으로 등장하며, 니님마는 웃투의 어머니로 묘사되기도 한다. 일부 텍스트에서는 웃투의 아버지가 엔키 또는 아누로 나타난다. 신 목록 ''아누 = 아누 샤 아멜리''에서 웃투는 엔키와 동일시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