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털루 투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워털루 투구는 1868년 템스 강에서 발견된 철기 시대의 청동 투구이다. 이 투구는 뿔이 달린 형태로, 유럽에서 발견된 유일한 철기 시대 뿔 달린 투구이다. 얇은 청동판으로 제작되어 전투용보다는 의식이나 퍼레이드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워털루 투구는 다른 철기 시대 투구와는 달리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현대 예술 작품에서 철기 시대 사람들을 묘사할 때 뿔 달린 투구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텐 문화 - 오피둠
오피둠은 켈트족 라 텐 문화의 대규모 요새화된 정착지를 지칭하는 용어로, 갈리아 전쟁 당시 경제적,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유럽 각지에서 다양한 특징을 가진 유적이 발견된다. - 켈트 유물 - 콜리니력
콜리니력은 1897년 프랑스에서 발견된 고대 켈트족의 청동판 달력으로, 음력과 태양력을 조화시키기 위해 윤달을 사용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켈트족의 생활과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 1868년 발굴 - 알타미라 동굴
알타미라 동굴은 스페인에 위치한 동굴로, 마들렌기에 제작된 동물 벽화로 유명하며 구석기 시대 미술의 중요한 유적으로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고, 현재는 훼손 방지를 위해 복제품이 전시되고 있다. - 1868년 발굴 - 기브아
기브아는 "언덕"을 뜻하는 히브리어에서 유래한 성경 지명으로, 특히 베냐민 지파의 기브아는 레위인의 첩 강간 사건과 사울 왕의 통치지로 알려져 있으며 예루살렘 북쪽의 텔 엘 풀로 비정되고, 유다와 에브라임 지파에도 동명의 도시가 있었다.
워털루 투구 | |
---|---|
개요 | |
![]() | |
명칭 | 워털루 투구 |
영어 명칭 | Waterloo Helmet |
상세 정보 | |
재료 | 청동 |
크기 | 높이: 24.2 cm, 둘레: 58.5 cm |
제작 시기 | 영국 철기 시대, 기원전 150–50년경 |
발견 장소 | 템스 강, 런던 |
발견 연도 | 1868년 |
소장 위치 | 대영 박물관 50번 전시실, 런던 |
2. 발견
이 투구는 1868년 워털루 다리 근처 템스 강 바닥에서 건져졌으며, 같은 해 3월 템스 보존 위원회에 의해 대영 박물관에 대여되었다.[2] 1988년, 런던 항만청은 이 투구를 대영 박물관에 기증했다.[2]
워털루 투구는 청동판 두 개를 리벳으로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앞면에는 초승달 모양, 상단에는 원추형 뿔 모양의 청동 조각이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다. 장식 스트립은 이음새와 뿔을 감싸고 있으며, 턱끈이나 뺨받이를 위한 링과, 안감 부착을 위한 작은 구멍들이 있다.[2] 투구에는 6개의 청동 스터드가 있었으나, 현재 하나는 유실되었다.[2] 라텐 양식의 부조 장식이 되어 있다.[2]
3. 형태
3. 1. 세부 장식
투구의 주요 부분은 청동판 두 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앞면을, 다른 하나는 뒷면을 형성하며 측면과 상단에서 리벳으로 연결되어 있다. 초승달 모양의 별도 청동 조각은 앞면 시트 하단에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끝부분에 노브가 있는 원추형 청동 뿔 두 개는 투구 상단에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다. 리벳 열이 있는 장식 스트립은 앞면과 뒷면 시트 사이의 이음새 위에 겹쳐져 있으며 뿔의 바닥을 감싸고 있다. 스트립 끝부분, 투구 양쪽에는 턱끈이나 뺨받이를 위한 링 피팅이 있다.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작은 구멍이 여러 개 있는데, 이는 안감을 부착하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2]
투구는 청동 스터드 6개로 장식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현재 누락되었고 3개는 앞면에, 3개는 뒷면에 있다. 이것들은 붉은 유리 에나멜 스터드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십자 모양의 점수를 가지고 있지만,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2]
투구 앞면과 뒷면에는 부조 장식이 라텐 양식으로 되어 있다. 디자인은 스네티샴 대형 토크의 디자인과 유사하다.[2]
4. 용도
얇은 청동판으로 제작된 이 투구는 전투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나 연약했을 것이므로 의식이나 행진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3] 이 점은 철기 시대에 발견된 청동 방패와 유사하며, 당시 무기에 효과적이지 않았고 전시용으로만 사용되었을 것이다. 또는, 이 투구는 대부분의 성인 남성에게 너무 작아, 켈트 신의 나무 조각상에 씌워졌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4]
워털루 투구와 배터시 방패 및 위덤 방패와 같은 의례용 청동 방패가 모두 강에서 발견된 이유는 신에게 바치는 봉납의 의미로 강에 던져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5]
5. 역사적 의의
워털루 투구는 유럽에서 발견된 유일한 철기 시대 뿔 달린 투구이지만,[1] 유럽 다른 지역에서 뿔 달린 투구를 착용한 사람들을 묘사한 철기 시대의 그림들이 몇몇 존재한다. 기원전 55년경으로 추정되는 오렌지 개선문에는 뿔 달린 투구를 쓴 골족 조각상이 있고, 군데스트루프 단지에는 뿔 달린 투구를 쓰고 바퀴를 든 사람이 묘사되어 있다.[6][7]
5. 1.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워털루 투구는 영국에서 발견된 철기 시대 투구 3개 중 하나이며, 유럽 전체에서 유일하게 발견된 뿔 달린 철기 시대 투구이다.[1] 하지만 유럽 다른 지역에서 뿔 달린 투구를 착용한 사람들을 묘사한 철기 시대 그림들이 몇몇 존재한다. 기원전 55년경으로 추정되는 오렌지 개선문에는 뿔 달린 투구를 쓴 골족 조각상이 있지만, 워털루 투구와는 매우 다르다. 워털루 투구는 넓은 밑면을 가진 곧고 원뿔형의 뿔로 동물의 뿔을 양식화하여 표현한 반면, 오렌지 개선문의 조각상에 묘사된 투구는 위로 솟은 바퀴가 달린, 굽은 황소 뿔을 보여준다.[6] 덴마크에서 발견된 군데스트루프 단지에는 오렌지 개선문의 묘사와 유사하게 뿔 달린 투구를 쓰고 바퀴를 들고 있는 뛰어오르는 인물 이미지가 있으며, 기원전 1세기에 제작되었다. 이 투구는 워털루 투구와 모양이 다르고, 뿔이 오렌지에서 묘사된 것과 같이 굽어 있지만, 워털루 투구처럼 투구의 뿔은 날카롭게 뾰족하지 않고 끝에 둥근 장식이 달려 있다.[7] 프랑스 앙티브 근처 브라그에 있는 철기 시대 부조에도 뿔 달린 투구를 착용한 사람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7]
이러한 묘사들에도 불구하고, 워털루 투구는 이 시대의 실제 뿔 달린 투구 중 유일하게 알려진 사례이다. 캔터베리 투구와 북부 브리튼에서 발견된 메릭 투구와 같은 다른 철기 시대 투구는 뿔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워털루 투구의 상징적인 특징 때문에 철기 시대 사람들을 묘사하는 현대 예술 작품들은 뿔 달린 투구를 착용하는 경향이 있다. 카디프 대학교 고고학 교수 미란다 올드하우스-그린은 "영국 전사들의 많은 대중적 재현에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언급했다.[8]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Horned helmet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10-09-15
[2]
웹사이트
The Waterloo Helmet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10-09-14
[3]
서적
The Archaeology of Celtic Ar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7
[4]
서적
Art of the Celts: From 700 BC to the Celtic Revival
Thames & Hudson (World of Art)
1992
[5]
서적
The British Museum and its Collections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Publications
1982
[6]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2
[7]
서적
The Gundestrup cauldron: its archaeological context, the style and iconography of its portrayed motifs, and their narration of a Gaulish version of Táin bó Cúalnge
Latomus
1979
[8]
서적
The Celtic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