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트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켈트족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민족으로, 기원전 5세기경부터 유럽 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켈트'라는 명칭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처음 사용했으며, 켈트족은 갈리아, 브리튼, 아일랜드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독특한 언어, 종교, 예술, 사회 구조를 형성했다. 켈트어는 켈트족의 주요 특징 중 하나였으며, 현재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브르타뉴 등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켈트족은 철기 시대를 거치며 할슈타트 문화와 라텐 문화를 발전시켰고, 로마 제국의 확장과 함께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켈트족의 문화는 현대에도 켈트 미술, 언어 부흥 운동 등을 통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켈트족 - 켈티베리아인
켈티베리아인은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이베리아 반도 중부에 거주하며 카스트로 문화 기반 유목 생활을 하다 요새화된 도시를 중심으로 부족 국가를 형성,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었으나 로마에 패배 후 문화에 흡수되었고, 최근 유전자 분석 연구에서 북유럽 및 중앙 유럽계 조상의 비율이 높았음이 밝혀진 켈트족과 이베리아인의 혼혈 민족이다. - 켈트족 - 켈트 국가
켈트 국가는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맨섬, 웨일스, 콘월, 브르타뉴의 켈트 육국을 중심으로 켈트 문화와 언어적 유산을 공유하는 지역들을 지칭하며, 켈트 연맹 및 켈트 의회 등의 국제적인 조직을 통해 문화와 언어 보존 및 발전을 위해 협력한다. - 인도유럽족 - 슬라브족
슬라브족은 중앙 및 동유럽, 남동유럽에 주로 거주하며 슬라브어파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다양한 국가와 문화를 형성하며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해왔고, 현재는 동슬라브족, 서슬라브족, 남슬라브족 등으로 나뉘며 다양한 종교를 가지고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 인도유럽족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유럽의 역사 - 빈 회의
빈 회의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정치 지형을 재편성하기 위해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 회의이며, 정통주의와 세력 균형을 통해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고,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여러 국가의 영토를 조정하고 노예 무역 금지 등을 합의하여 빈 체제를 구축했다. - 유럽의 역사 - 베스트팔렌 조약
베스트팔렌 조약은 1648년 30년 전쟁과 80년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체결된 일련의 조약으로, 프랑스는 알자스 지역을 확보하고 스웨덴은 발트해 지역의 영향력을 강화했으며, 각 제후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신성 로마 제국 내 영방의 주권을 인정하여 유럽의 정치 지형을 변화시켰다.
켈트족 | |
---|---|
개요 | |
![]() | |
민족 정보 | |
민족명 | 켈트족 |
언어 | 켈트어파 |
종교 | 켈트 다신교(과거), 기독교(현재) |
민족 계통 | 인도유럽인 |
분파 | 게일인 브리튼인 갈리아인 |
2. 명칭과 어원
'켈트족'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517년 고대 그리스에서 처음 기록되었다. 그리스 지리학자 밀레토스의 헤카타이오스는 마실리아(현대 마르세유) 인근, 남부 갈리아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Κελτοί|켈토이grc라고 표기했다.[23][24] 기원전 5세기에 헤로도토스는 Κελτοί|켈토이grc가 도나우강의 발원지 주변과 유럽 서쪽 끝에 살았다고 언급했다.
Κελτοί|켈토이grc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인도유럽어족의 *''kʲel'' '숨기다'(고대 아일랜드어 ceilidsga, 현대 웨일스어 celucy에서도 볼 수 있음), *''kʲel'' '가열하다', 또는 *''kel'' '몰아내다' 등이 어원으로 제시되었다. 켈트어족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는 견해도 있다. 일부 학자들은 그리스인들이 만든 이름으로 '키가 큰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보기도 한다.
기원전 1세기에 로마 지도자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인들이 스스로를 '켈트족'()이라고 불렀다고 보고했다. 기원전 1세기 말, 갈리아에 대해 글을 쓴 그리스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갈리아의 또 다른 이름으로 ''켈티카''를 사용했으며, 이베리아 반도에도 켈트족이 있었으며, 그들을 ''켈트이베리''와 ''켈티치''라고 불렀다고 기록했다.
갈리아인에 대한 라틴어 이름 Gallila는 켈트족의 종족명에서 유래했을 수 있는데, 기원전 5세기 초 이탈리아로의 켈트족 확장 동안 라틴어로 차용되었을 것이다. 그리스어 이름 '''Γαλάται''' (Γαλάται|갈라타이grc)도 같은 기원에서 유래하여, 남동 유럽을 침략하여 갈라티아에 정착한 갈리아인들을 지칭했을 가능성이 높다.[34]
'켈트'라는 이름은 1700년경 고대 텍스트에서 재발견된 후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콘월, 브리타니, 맨 섬과 같은 현대 켈트 민족의 독특한 문화, 역사, 전통, 언어에 처음으로 적용되었다.[36] 오늘날 '켈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켈트 민족이라고도 불리는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콘월, 맨 섬, 브리타니의 언어와 문화를 지칭한다.
2. 1. 고대 기록
'켈트족'이라는 이름이 처음 기록된 것은 기원전 517년 고대 그리스에서였다. 그리스 지리학자 밀레토스의 헤카타이오스는 마실리아(현대 마르세유) 인근, 남부 갈리아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Κελτοί|켈토이grc[23][24]라고 표기했다. 기원전 5세기에 헤로도토스는 Κελτοί|켈토이grc가 도나우강의 발원지 주변과 유럽 서쪽 끝에 살았다고 언급했다.Κελτοί|켈토이grc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가능한 어원으로는 인도유럽어족의 *''kʲel'' '숨기다'(고대 아일랜드어 ceilidsga, 현대 웨일스어 celucy에서도 볼 수 있음), *''kʲel'' '가열하다', 또는 *''kel'' '몰아내다' 등이 있다. 켈트어족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는 견해도 있다. 언어학자 킴 맥콘은 베르킨게토릭스의 아버지인 켈틸루스를 포함한 여러 고대 갈리아인들의 이름에서 'Celt-'가 발견된다는 점을 들어 이 견해를 지지한다. 그는 이것이 지하 세계의 신에서 유래했으며(''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게르만족의 ''헬''과 관련지어 '숨겨진 자'의 백성 또는 후손을 의미한다고 제안했다. 다른 학자들은 이를 그리스인들이 만든 이름으로 보는데, 그 중 언어학자 파트리치아 데 베르나르도 스템펠은 '키가 큰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제안한다.
기원전 1세기에 로마 지도자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인들이 스스로를 '켈트족'()이라고 불렀다고 보고했다. 기원전 1세기 말, 갈리아에 대해 글을 쓴 그리스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현재 '갈리아'와 '갈라티아'라고 불리는 종족"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갈리아의 또 다른 이름으로 ''켈티카''를 사용했다. 그는 또한 이베리아 반도에도 켈트족이 있었으며, 그들을 ''켈트이베리''와 ''켈티치''라고 불렀다고 보고한다. 대 플리니우스는 루시타니아에서 ''켈티치''가 부족의 성으로 사용되었다고 언급했으며, 이는 금석학적 발견으로 확인되었다.[32]
갈리아인에 대한 라틴어 이름 Gallila는 켈트족의 종족명에서 유래했을 수 있는데, 기원전 5세기 초 이탈리아로의 켈트족 확장 동안 라틴어로 차용되었을 것이다. 그 어원은 원시 켈트어의 ''*galno''일 수 있는데, 이는 "힘, 강함"을 의미하며 (여기서 고대 아일랜드어 ''gal'' "용기, 맹렬함", 웨일스어 ''gallu'' "할 수 있다, 힘"이 파생됨), 그리스어 이름 '''Γαλάται''' (Γαλάται|갈라타이grc, 라틴어화 ''Galatae'')도 마찬가지로 같은 기원에서 유래하여, 남동 유럽을 침략하여 갈라티아에 정착한 갈리아인들을 지칭했을 가능성이 높다.[34] 접미사 '-atai'는 그리스어 굴절일 수 있다.[35] 언어학자 킴 맥콘은 이것이 원시 켈트어 ''*galatis''("맹렬한, 격노한")에서 유래했으며, 원래 종족명이 아니라 젊은 전사 집단의 이름이었다고 주장한다.
고전 작가들이 브리타니아와 아일랜드의 거주자를 Κελτοί|켈토이grc 또는 Celtaela라고 부르지 않았기 때문에,[5][8][9] 일부 학자들은 그 섬들의 철기 시대 거주자들에게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5][8][9][10] 그러나 그들은 켈트어를 사용했고, 다른 문화적 특징을 공유했으며,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브리튼족이 관습과 종교에서 갈리아인과 유사하다고 말했다.[16]
2. 2. 현대적 용법
'켈트'라는 이름은 적어도 1,000년 동안 사용되지 않다가, 1700년경 고대 텍스트에서 재발견된 후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콘월, 브리타니, 맨 섬과 같은 현대 켈트 민족의 독특한 문화, 역사, 전통, 언어에 처음으로 적용되었다.[36] '켈트'는 1707년 에드워드 루이드의 저술에서 처음 증명된 현대 영어 단어이며, 그의 연구는 다른 17세기 후반 학자들의 연구와 함께 초기 켈트족의 언어와 역사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37]오늘날 '켈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켈트 민족이라고도 불리는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콘월, 맨 섬, 브리타니의 언어와 문화를 지칭한다. 이 지역들은 켈트어가 어느 정도까지 여전히 사용되는 지역이다. 켈트어에는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웨일스어, 브르타뉴어가 있으며, 최근 부흥한 언어로는 콘월어(브리튼어군)와 맨어(고이델어군)가 있다. 또한 북부 브리튼의 브리튼어군 언어인 컴브릭어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도 있다. 유럽 본토의 켈트 지역은 거주자들이 켈트족의 유산을 주장하지만 켈트어가 남아 있지 않은 지역으로, 포르투갈과 북중부 스페인(갈리시아, 아스투리아스, 칸타브리아, 카스티야이레온, 에스트레마두라)이 포함된다.[43]
'''대륙 켈트족'''은 유럽 본토의 켈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고, '''도서 켈트족'''은 영국과 아일랜드 섬, 그리고 그 후손들의 켈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다. 브리타니의 켈트족은 영국에서 이주해온 도서 켈트족에서 언어를 파생했으며, 따라서 이에 따라 분류된다.[44]
3. 기원
켈트족은 프랑스, 독일, 스위스, 알프스 산맥 주변에서 출현한 인도유럽인들의 일파이다. 기원전 1000년경 철기를 사용하는 켈트인이 이베리아 반도에 도래하였고, 이들은 원주민인 이베리아인과 혼혈되었다. 기원전 7세기경 도나우 지방에서 이동해 온 켈트족이 현재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갈리아 지방에 씨족사회를 형성하였다.[205] 스키타이인이 실롱스크, 모라바, 체히를 침입하여 원주민들이 약화되자, 켈트족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체히, 모라바, 실롱스크 일부와 비스와강 상류 유역을 점령하였다. 이로써 켈트족의 '위대한 팽창'이 시작되었고, 이탈리아에서 격렬한 봉기를 야기시켰다. 기원전 390년에 켈트족은 로마를 공략하고, 일부 켈트 부족들은 소아시아에 영구 거주지를 만들었는데, 이들이 후일 파울로스가 서간을 써 보냈던 갈라티아인이 되었다.[206]
로마 제국의 확장은 대륙의 켈트족들이 로마 문화를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기원전 켈트족은 프랑스 알프스 주변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 등으로 이주하였고 프랑크족에 통합되었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에는 순수 켈트족이 많이 거주한다. 웨일스의 켈트족은 자체 문화를 거의 대부분 잃어버리고 잉글랜드에 동화되었다. 켈트족은 고대 영국 제도 이베리아인과 혼혈되었다. 순수 켈트족은 프랑스 북부 브르타뉴 반도에 거주한다.
켈트어파는 인도유럽어족의 한 갈래이다. 켈트족이 기원전 400년경 문헌에 처음 언급될 당시, 이미 여러 언어 집단으로 나뉘어 서유럽 본토, 이베리아 반도, 아일랜드, 브리튼 섬에 널리 퍼져 있었다.
청동기 시대 중앙유럽에 처음 정착한 사람들은 철기 시대 초기에 걸쳐 할슈타트 문화(기원전 1200년 - 기원전 500년)를 발전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유럽 문명의 중심지였던 그리스와 에트루리아의 영향 아래 할슈타트 문화는 라텐 문화(기원전 500년 - 기원전 200년)로 발전한다.
선주민 사회는 철제 무기를 착용하고 전차를 탄 전사 계급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유럽 각지에 분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들은 남유럽 문명 사회와 교역했고, 용병으로 고용되기도 하였으며, 그리스·로마 문헌에 기록이 남아 있다. 기원전 400년경 마케도니아 금화에 영향을 받아 각지에서 금화를 제조하게 되었다. 일부는 발칸 반도로 진출하여 마케도니아, 테살리아 등을 정복하였다. 그리스인은 그들을 갈라티아인이라고 불렀다. 기원전 3세기에는 다르다넬스 해협을 경유하여 소아시아로 침입하여 앙카라 부근을 중심으로 소아시아 각지를 휩쓸었다.
기원전 1세기경 각지의 선주민들은 다른 민족의 지배하에 놓이게 된다. 게르만족의 압박을 받은 사람들은 서쪽의 프랑스와 스페인으로 이동하였고, 기원전 1세기 로마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등에 의해 정복당했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는 갈리아(골) 선주민 사회에 관한 귀중한 문헌이다. 500년에 걸쳐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은 갈리아의 켈트족(골족)은 속 라틴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로마 문화를 따랐으며, 중세에는 게르만 계열의 프랑크족에게 흡수되어 프랑스인으로 변질되어 갔다.
켈트인이 언제 브리튼 제도로 도래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유전자 등의 연구로부터 신석기 시대 선주민(켈트 이전 거석 문화 담당자)이 대륙의 문화적 영향으로 변질되었다는 설도 있다.
서기 1세기 잉글랜드와 웨일스는 로마의 지배를 받았고, 이 지역은 로마화되었지만, 5세기에 게르만족이 갈리아에 침입하자, 로마 제국은 브리타니아 지배를 포기하고 로마 군단을 대륙으로 철수시켰다. 이 틈을 타 앵글로-색슨족이 바다를 건너 잉글랜드에 침입했고, 앵글로색슨족의 지배 아래에서 로마 문명은 흡수되었다.
같은 브리튼 섬에서도 서부 웨일스에는 켈트 언어가 잔존했다.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는 원래 로마의 지배조차 받지 않았던 지역으로 여겨졌지만, 로마와 직접 교류했던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
그리스인과 로마인은 켈트인을 "키가 크고 금발 또는 붉은 기운이 도는 머리카락에 피부가 하얀"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그러나 현대 대륙 켈트인은 키가 작고 검은 피부를 가진 사람이 많다. 이것은 대륙 켈트와 섬 켈트가 같은 문화와 언어를 공유하고 있지만, 생물학적으로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203]。
3. 1. 움베르-할슈타트 이론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주류 학계에서는 켈트족과 원시 켈트어가 기원전 1000년경 중앙 유럽의 움베르 문화에서 시작되어 서쪽과 남쪽으로 퍼져나갔다고 보았다.[12][47][48][49] 움베르 문화는 기원전 1200년에서 기원전 700년경까지 후기 청동기 시대에 중앙 유럽에서 번성했다. 철기 기술의 확산과 함께 움베르 문화는 알프스 산맥 북쪽의 넓은 지역에서 할슈타트 문화(기원전 800년에서 500년경)로 발전했다. 할슈타트 문화는 기원전 450년경부터 켈트 예술과 동일시되는 라텐 문화로 발전했다.
1846년, 요한 게오르크 람사우어는 오스트리아 할슈타트에서 독특한 부장품을 갖춘 고대 묘지를 발굴했다. 람사우어는 매장 시기가 헤로도토스가 다뉴브강 근처에서 켈트족을 언급한 시기와 대략 일치했기 때문에 무덤이 켈트족의 것이라고 결론지었다.[50] 비슷한 유적과 유물이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었고, 이를 '할슈타트 문화'라고 명명했다. 1857년, 스위스에서 라텐의 고고 유적이 발견되었다.[50] 이 유물들은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럽의 다른 지역, 특히 켈트족이 살았고 초기 켈트어가 증명된 곳에서 발견되었다. 그 결과, 이 유물들은 켈트족과 빠르게 연관되었고, 1870년대까지 학자들은 라텐 유적을 '켈트족의 고고학적 표현'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50]
하지만 20세기 후반, 가장 오래된 켈트어 비문이 기원전 6세기의 레폰티아어와 기원전 2세기의 켈트 이베리아어라는 것이 받아들여지면서 움베르-할슈타트 이론은 도전을 받기 시작했다. 이들은 이탈리아 북부와 이베리아에서 발견되었는데, 당시에는 '할슈타트'나 '라텐' 문화의 일부가 아니었다.[16]
움베르-할슈타트 이론은 고대 그리스-로마 세계의 저술, 예를 들어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부분적으로 기반했는데, 이 저술은 켈트족을 다뉴브강의 발원지에 위치시켰다. 그러나 스티븐 오펜하이머는 헤로도토스가 다뉴브강이 피레네 산맥 근처에서 발원한다고 믿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고대 켈트족을 후기 고전 작가와 역사가(예: 골과 이베리아)의 의견과 더 일치하는 지역에 위치시킨다고 주장한다.[51]
이 이론은 또한 동부 할슈타트 지역(노리쿰)에서 켈트족 개인 이름을 담은 비문의 풍부함에 부분적으로 기반했다. 그러나 패트릭 심스-윌리엄스는 이것들이 후기 로마 시대에 속하며, "켈트어를 사용하는 엘리트의 비교적 늦은 정착"을 시사한다고 언급한다.[16]
3. 2. '서쪽 기원의 켈트' 이론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주류적인 견해는 켈트족과 원시 켈트어가 기원전 1000년경 중앙 유럽의 움베르 문화에서 시작되어 그 후 수백 년 동안 서쪽과 남쪽으로 퍼져나갔다는 것이었다.[12][47][48][49] 움베르 문화는 기원전 1200년에서 기원전 700년경까지 후기 청동기 시대에 중앙 유럽에서 우세했다. 철기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알프스 산맥 북쪽의 넓은 지역에서 움베르 문화에서 발전한 할슈타트 문화(기원전 800년에서 500년경)가 등장했다. 할슈타트 문화는 기원전 450년경부터 켈트 예술과 동일시되는 라텐 문화로 발전했다.그러나 20세기 후반, 새로운 고고학적 발견의 영향으로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 움베르-할슈타트 이론이 지지를 잃기 시작했다. '켈트'는 단일 문화나 민족 집단보다는 주로 '켈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게 되었다.[16] 새로운 이론은 켈트어가 고고학에서 '켈트' 문화의 증거가 발견되기 훨씬 이전인 대서양 연안 (영국, 아일랜드, 아르모리카, 이베리아)에서 기원했다는 것을 제시했다.
존 T. 코크[56]와 배리 커니클리프[57]는 이 '서쪽 기원의 켈트'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이론은 원시 켈트어가 대서양 연안에서 기원하여 대서양 청동기 시대 문화 네트워크의 ''공용어''가 되었고, 이후 내륙과 동쪽으로 확산되었다고 주장한다.[16] 최근 커니클리프는 원시 켈트어가 기원전 3000년경에 대서양 지역에서 훨씬 더 일찍 기원하여 이후 1천년 동안 종형 토기 문화와 함께 동쪽으로 확산되었다고 제안한다. 그의 이론은 부분적으로 글로토크로놀로지, 고대 켈트어식 지명의 확산, 그리고 타르테소스어가 켈트어라는 주장에 근거한다.[16] 그러나 타르테소스어가 켈트어라는 주장은 언어학자들에 의해 널리 거부되며, 많은 언어학자들은 이를 분류되지 않은 언어로 간주한다.[58][59]
3. 3. '중심으로부터의 켈트' 이론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주류적인 견해는 켈트족과 원시 켈트어가 기원전 1000년경 중앙 유럽의 움베르 문화에서 시작되어 그 후 수백 년 동안 서쪽과 남쪽으로 퍼져나갔다는 것이었다.[12][47][48][49] 움베르 문화는 기원전 1200년에서 기원전 700년경까지 후기 청동기 시대에 중앙 유럽에서 우세했다. 철기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알프스 산맥 북쪽의 넓은 지역에서 움베르 문화에서 발전한 할슈타트 문화 (기원전 800년에서 500년경)가 등장했다. 할슈타트 문화는 기원전 450년경부터 켈트 예술과 동일시되는 라텐 문화로 발전했다.1846년, 요한 게오르크 람사우어는 오스트리아 할슈타트에서 독특한 부장품을 갖춘 고대 묘지를 발굴했다. 매장이 "대략 켈트족이 헤로도토스에 의해 다뉴브강 근처에서 언급된 시기와 일치했기 때문에, 람사우어는 무덤이 켈트족의 것이라고 결론지었다".[50] 비슷한 유적과 유물이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이것을 '할슈타트 문화'라고 명명했다. 1857년, 라텐의 고고 유적이 스위스에서 발견되었다.[50] 이 유물의 거대한 컬렉션은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 이 '라텐 양식'의 유물은 유럽의 다른 지역, "특히 켈트족이라고 알려진 사람들이 살았고 초기 켈트어가 증명된 곳에서 발견되었다. 그 결과, 이 유물들은 켈트족과 빠르게 연관되었고, 1870년대까지 학자들은 라텐 유적을 '켈트족의 고고학적 표현'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50] 이 문화 네트워크는 로마 제국에 의해 휩쓸렸지만, 라텐 양식의 흔적은 여전히 갈로-로마 문화 유물에서 나타났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라텐 양식이 위태롭게 살아남아 도서 예술에서 다시 나타났다.
움베르-할슈타트 이론은 20세기 후반에 도전을 받기 시작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켈트어 비문이 기원전 6세기의 레폰티아어와 기원전 2세기의 켈트 이베리아어라는 것이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탈리아 북부와 이베리아에서 발견되었으며, 당시에는 '할슈타트'나 '라텐' 문화의 일부가 아니었다.[16] 움베르-할슈타트 이론은 고대 그리스-로마 세계의 저술, 예를 들어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부분적으로 기반했는데, 이 저술은 켈트족을 다뉴브강의 발원지에 위치시켰다. 그러나 스티븐 오펜하이머는 헤로도토스가 다뉴브강이 피레네 산맥 근처에서 발원한다고 믿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고대 켈트족을 후기 고전 작가와 역사가(예: 골과 이베리아)의 의견과 더 일치하는 지역에 위치시킨다고 보여준다.[51] 이 이론은 또한 동부 할슈타트 지역(노리쿰)에서 켈트족 개인 이름을 담은 비문의 풍부함에 부분적으로 기반했다. 그러나 패트릭 심스-윌리엄스는 이것들이 후기 로마 시대에 속하며, "켈트어를 사용하는 엘리트의 비교적 늦은 정착"을 시사한다고 언급한다.[16]
3. 4. 언어학적 증거
켈트학자 패트릭 심스-윌리엄스(2020)는 현재 학계에서 '켈트'는 주로 언어학적 표지라고 언급한다. 그의 '중심으로부터의 켈트' 이론에서 그는 원시 켈트어가 중앙 유럽이나 대서양이 아닌 이 두 지역 사이, 즉 기원전 2천년기 무렵, 아마도 갈리아(오늘날의 프랑스)의 어딘가에서 뚜렷한 인도유럽어족 방언으로 등장하여 기원전 1천년기에 다양한 방향과 속도로 퍼져나갔다고 주장한다.[12] 이는 켈트어가 광대한 지역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음에도 주요 방언 분열을 피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탈리아어와 켈트어가 어떤 방식으로든 연관되어 있다는 견해와도 부합한다.원시 켈트어는 일반적으로 청동기 시대 후기로 추정된다. 켈트어의 가장 초기의 기록은 알프스 북쪽 갈리아(북부 이탈리아)의 레폰티어 비문이며, 가장 오래된 비문은 라텐 문화 시대보다 앞선다. 마르세유 지역에서 초기 라텐 문화 시대부터 나타나는 다른 초기 비문은 골어로, 로마 정복 이전까지 그리스 문자로 표기되었다. 켈트이베리아어 비문은 자체적인 이베리아 문자를 사용하여 기원전 200년경 이후에 나타난다. 도서 켈트어에 대한 증거는 원시 아일랜드어 오검 문자 형태로 기원후 400년경부터 나타난다.
비문 증거 외에도 초기 켈트어에 대한 중요한 정보원은 지명이다.[60]
3. 5. 고고학적 증거
20세기 후반, 새로운 고고학적 발견으로 인해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 우른필드-할슈타트 이론에 대한 지지가 약화되기 시작했다. '켈트'라는 용어는 단일 문화나 민족 집단보다는 주로 '켈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16] 새로운 이론에 따르면 켈트어는 고고학에서 '켈트' 문화의 증거가 발견되기 훨씬 이전인 대서양 연안(영국, 아일랜드, 아르모리카, 이베리아)에서 기원했다. 마일스 딜런과 노라 커쇼 채드윅은 "켈트족의 영국 제도 정착"이 구리와 청동기 시대의 종형 토기 문화(기원전 2750년경부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52][53] 마르틴 알마그로 고르베아는 켈트어가 기원전 3천년기에 기원했으며, 종형 토기 문화의 확산이 켈트족의 서유럽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분산과 켈트 민족의 다양성을 설명한다고 제안했다.[54]존 T. 코크[56]와 배리 커니클리프[57]는 '서쪽 기원의 켈트'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이론은 원시 켈트어가 대서양 연안에서 기원하여 대서양 청동기 시대 문화 네트워크의 ''공용어''가 되었고, 이후 내륙과 동쪽으로 확산되었다고 주장한다.[16] 커니클리프는 원시 켈트어가 기원전 3000년경에 대서양 지역에서 훨씬 더 일찍 기원하여 이후 1천년 동안 종형 토기 문화와 함께 동쪽으로 확산되었다고 본다. 그의 이론은 글로토크로놀로지, 고대 켈트어식 지명의 확산, 그리고 타르테소스어가 켈트어라는 주장에 부분적으로 근거한다.[16] 그러나 타르테소스어가 켈트어라는 주장은 언어학자들에 의해 널리 거부되며, 많은 언어학자들은 이를 분류되지 않은 언어로 간주한다.[58][59]

(기원전 1세기)
19세기 말부터 할슈타트와 라텐 문화를 단순한 연대기적 시기가 아닌, 동일한 민족과 언어를 가진 집단인 "문화 집단"으로 보는 개념이 확산되었다. 20세기 초, 고든 차일드는 이러한 "문화 집단"을 인종적 또는 민족적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그의 이론은 구스타프 코시나의 저작에 영향을 받았다.[65] 20세기가 진행되면서 라텐 문화에 대한 민족적 해석은 더욱 확고해졌고, 라텐 문화와 평장 묘지의 모든 발견은 켈트족 및 켈트어와 연결되었다.[66]
켈트족은 할슈타트와 라텐 문화를 통해 중앙 유럽 철기 시대 현상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베리아, 프랑스 남서부, 영국 북부 및 서부, 아일랜드 남부 및 갈라티아에서는 할슈타트와 라텐 문화의 고고학적 발견이 드물어[67][68] 중앙 유럽과 같은 문화를 뒷받침할 충분한 증거를 제공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원시 켈트' 기질과 켈트화 과정을 도입하는 새로운 이론이 생겨났으며, 그 기원은 청동기 시대 종형 토기 문화에 있다.[69]
라텐 문화는 철기 시대 후기(기원전 450년부터 기원전 1세기의 로마 정복까지) 동안 프랑스 동부, 스위스, 오스트리아, 독일 남서부, 체코, 슬로바키아 및 헝가리에서 발달하고 번성했다. 이 문화는 고대 그리스와 후대의 에트루리아 문명으로부터 상당한 지중해의 영향을 받아 뚜렷한 문화적 단절 없이 할슈타트 문화에서 발전했다. 서부 라텐 문화는 역사적 켈트 골에 해당한다. 고고학자들은 언어와 물질 문화가 반드시 병행하는 것은 아니라고 결론을 내렸다. 프레이는 5세기에 "켈트 세계의 매장 관습은 통일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지역 집단은 자체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었고, 그 결과 뚜렷한 예술적 표현이 나타났다"고 언급했다.[70] 따라서 라텐 문화는 골족과 관련이 있지만, 라텐 유물의 존재는 문화적 접촉 때문일 수 있으며 켈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영구적인 존재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청동기 시대에 중앙유럽에 처음 정착한 사람들은 후기에서 철기 시대 초기에 걸쳐 할슈타트 문화(기원전 1200년 - 기원전 500년)를 발전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유럽 문명의 중심지였던 그리스와 에트루리아의 영향 아래 할슈타트 문화는 라텐 문화(기원전 500년 - 기원전 200년)로 발전한다.
4. 역사
켈트족은 기원전 1000년경 철기를 사용하는 인도유럽인들의 일파로 프랑스, 독일, 스위스, 알프스 산맥 주변에서 출현하였다. 이들은 이베리아 반도에 도래하여 원주민인 이베리아인과 혼혈을 이루었다. 기원전 7세기경 도나우 지방에서 이동해 온 켈트족은 현재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갈리아 지방에 씨족사회를 형성하였다.[205]
기원전 4세기 소아시아의 키메 출신 그리스 역사가 에포로스는 켈트족이 라인강 하구의 섬에서 왔으며, "잦은 전쟁과 격렬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고향에서 쫓겨났다"고 믿었다. 폴리비우스는 기원전 150년경 로마사를 출판하여 이탈리아의 갈리아인과 로마의 갈등을 묘사했다. 2세기 파우사니아스는 갈리아인에 대해 "원래 켈트족이라고 불렸으며, 거대한 조수 해안의 유럽 가장 먼 지역에 살고 있다"고 말했다. 포세이도니오스는 기원전 100년경 남부 갈리아를 묘사했으며, 그의 원본 저작은 유실되었지만 스트라본과 같은 후대 작가들이 이를 활용했다. 스트라본은 서기 1세기 초에 저술하며 브리튼과 갈리아, 히스파니아, 이탈리아, 갈라티아에 대해 다루었다. 카이사르는 기원전 58~51년에 자신의 갈리아 전기에 대해 광범위하게 기록했다. 디오도루스 시쿨루스는 1세기 역사에서 갈리아와 브리튼의 켈트족에 대해 썼다.
스키타이인이 실롱스크, 모라바, 체히를 침입하여 원주민들이 약화되자, 켈트족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체히, 모라바, 실롱스크 일부와 상류 지역의 비스와강 유역을 점령하였다. 이로써 켈트족의 '위대한 팽창'이 시작되었는데, 이 사건은 이탈리아에서 격렬한 봉기를 야기시켰다. 기원전 390년 켈트족은 로마를 공략하고 전 국가를 공략하려고 위협하였다. 이들은 또 소아시아를 뒤흔들었고, 일부 켈트 부족들은 그곳에 영구 거주지를 만들었는데, 이들이 후일 파울로스가 서간을 써 보냈던 갈라티아인이 되기도 하였다.[206]
로마 제국의 확장은 대륙의 켈트족들이 로마 문화를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175년경 영국에 기독교가 상륙하면서 형성된 아일랜드와 그레이트브리튼섬의 켈트 기독교 또는 켈트 교회의 발전은 4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켈트 미술의 초기 중세 문예부흥을 이끌었고, 자연과 일상생활에서 하느님을 경험하는 켈틱 영성이라는 기독교 전통을 만들어냈다. 17세기부터 비롯된 골동품적 흥미는 “켈트”라는 용어가 확대하게 하였고 한창 떠오르던 국민주의는 19세기에 켈트어파 언어를 여전히 사용하던 지역에 켈트족을 재등장시켰다.
4. 1. 대륙 켈트족
켈트족은 프랑스, 독일, 스위스, 알프스 산맥 주변에서 출현한 인도유럽인들의 일파이다. 기원전 1000년경 철기를 사용하는 켈트인이 이베리아 반도에 도래하였고, 이들은 원주민인 이베리아인과 혼혈이 되었다. 기원전 7세기경까지는 도나우 지방에서 이동해 온 켈트족이 현재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갈리아 지방에 씨족사회를 형성하였다.[205] 스키타이인이 실롱스크, 모라바와 체히를 침입하여 원주민들이 약화되자 켈트족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체히, 모라바, 실롱스크 일부와 상류 지역의 비스와강 유역을 점령하였다. 이로써 켈트족의 '위대한 팽창'이 시작되었으며, 이 사건은 이탈리아에서 격렬한 봉기를 야기시켰다. 기원전 390년에 켈트족은 로마를 공략하고 전 국가를 공략하려고 위협하였다. 이들은 또 소아시아를 뒤흔들고, 일부 켈트 부족들은 그곳에 영구 거주지를 만들었는데, 이들이 후일 파울로스가 서간을 써 보냈던 갈라티아인이 되기도 하였다.[206]로마 제국의 확장은 대륙의 켈트족들이 로마 문화를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기원전 400년경에는 마케도니아의 금화에 영향을 받아 각지에서 금화를 제조하였다. 또한, 일부 켈트족은 발칸 반도로 진출하여 마케도니아, 테살리아 등을 정복하였다. 그리스인은 그들을 갈라티아인이라고 불렀다. 기원전 3세기에 들어서면서, 켈트족은 다르다넬스 해협을 경유하여 소아시아로 침입하여, 현재의 앙카라 부근을 중심으로 소아시아 각지를 휩쓸었다.
결국 기원전 1세기경, 켈트족은 다른 민족의 지배하에 놓이게 된다. 게르만족의 압박을 받은 켈트족은 서쪽의 프랑스와 스페인으로 이동하였고, 기원전 1세기에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등에 의해 정복당했다.
4. 1. 1. 갈리아
기원전 7세기경 도나우 지방에서 이동해 온 켈트족은 현재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갈리아 지방에 씨족사회를 형성하였다.[205] 기원전 켈트족은 프랑스 알프스 주변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여 인접한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 등으로 이주하였고 프랑크족에 통합되었다.로마 제국의 확장은 대륙의 켈트족들이 로마 문화를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500년에 걸쳐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은 갈리아의 켈트족(프랑스어로는 골족)은 피지배층으로서 속 라틴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로마 문화를 따랐으며, 중세에는 게르만 계열의 프랑크족에게 흡수되어 프랑스인으로 변질되어 갔다.
4. 1. 2. 이베리아
19세기 말까지 켈트족에 관한 전통적인 학문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켈트족의 존재를 인정했으며[80][81], 고고학적 물질 문화는 할슈타트 문화 및 라텐 문화와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19세기에 철기 시대의 정의에 따르면 이베리아에서 켈트족은 드물었고, 중앙 유럽의 문화적 시나리오와 쉽게 연결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지역의 켈트 문화의 존재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 학문은 켈트족의 존재와 영향력이 오늘날의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가장 실질적이었으며(서유럽에서 정착지가 가장 높았을 가능성이 있음), 특히 중부, 서부 및 북부 지역에서 그러했다는 것을 증명했다.[82][83]
피레네 산맥 북쪽에서 유입된 골족 외에도, 로마 및 그리스 자료는 이베리아 반도의 세 지역에서 켈트족의 존재를 언급한다. 즉, ''메세타''의 동부(켈트이베리아인), 남서부(켈티키, 오늘날의 알렌테주), 북서부(갈라이시아와 아스투리아스)이다.[84] 한 현대 학술 검토[85]는 스페인에서 여러 고고학적 켈트족 집단을 발견했다.
- 켈트이베리아인 집단은 상부 두로 강, 상부 타구스 강, 상부 할론 강 지역에 있었다.[86] 고고학적 자료는 적어도 기원전 6세기부터의 연속성을 시사한다. 이 초기 시대에 켈트이베리아인은 언덕 요새(''카스트로'')에 거주했다. 기원전 3세기 말경 켈트이베리아인은 보다 도시적인 생활 방식을 채택했다. 기원전 2세기부터 그들은 동전을 주조하고 켈트이베리아 문자를 사용하여 비문을 썼다. 이 비문으로 인해 켈트이베리아어는 만장일치로 켈트어로 분류되는 유일한 히스파노-켈트어가 되었다.[87] 로마 정복 이전의 후기 시대에 고고학적 증거와 로마 자료는 켈트이베리아인이 반도의 다른 지역(예: 켈트 바에투리아)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베토네스 집단은 토르메스 강, 두로 강, 타구스 강 사이의 서부 메세타에 있었다. 그들은 화강암으로 조각된 황소와 돼지 조각상인 ''베라코스''를 제작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졌다.
- 바케오이 집단은 중앙 두로 계곡에 있었다. 그들은 이미 기원전 220년에 로마 자료에 언급되었다. 그들의 장례 의식 중 일부는 켈트이베리아인 이웃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 이베리아 북서부, 즉 오늘날의 갈리시아와 북부 포르투갈의 ''카스트로 문화''.[88] 후기 청동기 시대부터 높은 수준의 연속성을 유지했기 때문에 켈트 요소의 도입이 켈트이베리아의 핵심 지역에서 서부 이베리아의 켈트화와 동일한 과정으로 인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는 어렵다. 두 가지 전형적인 요소는 기념비적인 입구가 있는 사우나와 서기 1세기에 건설된 "갈리시아 전사" 석조 조각상이다. 라틴어 비문의 대규모 집단은 켈트어적 특징을 포함하고, 다른 것들은 켈트어가 아닌 루시타니아어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다.[87]
- 아스투레스와 칸타브리. 이 지역은 기원전 29-19년의 칸타브리아 전쟁까지 로마에 정복되지 않아 늦게 로마화되었다.
- 스트라보가 켈티카라고 부른 지역인 남서부의 켈트족[89]
켈트이베리아인의 기원은 반도의 나머지 지역에서 켈트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핵심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켈토이에 의한 반도 남서부 지역의 켈트화 과정과 북서부 지역의 켈트화 과정은 단순한 켈트이베리아 문제가 아니다. 포르투갈 북서부의 갈라이키[90]와 브라카리[91]에 대한 최근의 조사는 서부 이베리아의 켈트 문화(언어, 예술 및 종교)를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92]
애버리스트위스 대학교의 존 T. 코흐는 기원전 8세기의 타르테소스어 비문을 켈트어로 분류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는 타르테소스어가 켈트어의 가장 초기의 증거라는 것을 의미하며, 그 차이는 1세기 이상이다.[93]
4. 1. 3. 독일, 알프스, 이탈리아
켈트족은 프랑스, 독일, 스위스, 알프스 산맥 주변에서 출현한 인도유럽인들의 일파이다. 기원전 7세기경까지는 도나우 지방에서 이동해 온 켈트족이 현재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갈리아 지방에 씨족사회를 형성하였다.[205] 스키타이인이 실롱스크, 모라바와 체히를 침입하여 원주민들이 상당히 약화되자 이들을 시기하던 켈트족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체히, 모라바, 그리고 실롱스크 일부와 상류 지역의 비스와강 유역을 점령하였다. 이로써 켈트족의 '위대한 팽창'이 시작되는데, 이 사건은 이탈리아에서 격렬한 봉기를 야기시켰다. 기원전 390년에 켈트족은 로마를 공략하고 전 국가를 공략하려고 위협하였다.[206]기원전에는 켈트족은 프랑스 알프스 주변에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인접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 등으로 이주하였고 프랑크족으로 통합되었다.
4. 1. 4. 동유럽과 소아시아
켈트족은 프랑스, 독일, 스위스, 알프스 산맥 주변에서 출현한 인도유럽인들의 일파이다. 기원전 7세기경까지는 도나우 지방에서 이동해 온 켈트족이 현재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갈리아 지방에 씨족사회(氏族社會)를 형성하였다.[205] 스키타이인이 실롱스크, 모라바와 체히를 침입하여 원주민들이 상당히 약화되자 이들을 시기하던 켈트족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체히, 모라바, 그리고 실롱스크 일부와 상류 지역의 비스와강 유역을 점령하였다. 이로써 켈트족의 '위대한 팽창'이 시작되는데, 이 사건은 이탈리아에서 격렬한 봉기를 야기시켰다. 기원전 390년에 켈트족은 로마를 공략하고 전 국가를 공략하려고 위협하였다. 이들은 또 소아시아를 뒤흔들고, 일부 켈트 부족들은 그 곳에서 영구 거주지를 만들었는데, 이들이 후일 파울로스가 서간을 써 보냈던 갈라티아인이 되기도 하였다.[206]켈트족은 도나우강과 그 지류를 따라 남쪽으로 확장되었다. 가장 영향력 있는 부족 중 하나인 스코르디스키는 기원전 3세기에 싱기두눔(현재의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 수도를 세웠다. 언덕 요새와 묘지의 집중은 현대 보이보디나 (세르비아), 헝가리, 우크라이나에 걸친 티서강 계곡에 인구 밀도가 높았음을 보여준다.
세르디는 트라키아에 거주하던 켈트족 부족이었다.[119] 그들은 세르디카(, , ), 현재 불가리아의 소피아 주변에 위치했으며 세르디카를 건설했는데,[120] 이는 그들의 민족명을 반영한다. 그들은 기원전 4세기 말 켈트족 이동 시대에 이 지역에 정착했을 것이지만, 기원전 1세기 이전의 그들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 없다. '세르디'는 로마 시대까지 보고된 전통적인 부족 이름 중 하나이다.[121]
더 남쪽으로, 켈트족은 트라키아(불가리아)에 정착하여 1세기 이상 통치했으며, 아나톨리아에서는 갈라티아인으로 정착했다. 갈라티아인들은 나머지 켈트 세계와 지리적 고립에도 불구하고, 켈트어를 최소 700년 동안 유지했다. 서기 373년 앙카라(현대의 앙카라)를 방문한 성 제롬은 그들의 언어를 북부 갈리아의 트레베리의 언어와 비슷하다고 말했다.
보이 부족은 보헤미아, 볼로냐의 지명이 되었으며, 아마도 바이에른의 지명이 되었고, 켈트족 유물과 묘지가 현재 폴란드와 슬로바키아에서 더 동쪽으로 발견되었다. 브라티슬라바 조폐국에서 발행된 켈트족 동전(비아테크)이 슬로바키아 구 5크라운 동전에 전시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복무한 이집트 켈트족 용병에 대한 기록이 있다. 수천 명이 기원전 283–246년에 고용되었으며, 기원전 186년경에도 복무했다. 그들은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푸스를 전복하려 시도했다.[126]
기원전 3세기에 들어서면서, 더욱 다르다넬스 해협을 경유하여 소아시아로 침입하여, 현재의 앙카라 부근을 중심으로 소아시아 각지를 휩쓸었다.
4. 2. 도서 켈트족
오늘날 살아있는 모든 켈트어는 도서 켈트어에 속하며, 이는 철기 시대 브리튼과 아일랜드에서 사용된 켈트어에서 파생되었다.[127] 이들은 초기에 고이델어군과 브리튼어군으로 분화되었다. 서기 1세기 로마의 브리튼 정복 당시 도서 켈트족은 켈트 브리튼족, 게일족(또는 스코티족), 픽트족(또는 칼레도니아인)으로 구성되었다. 도서 켈트족의 명성은 켈트족 씨족이 영국 제도에만 살았다는 대중적인 믿음을 낳았다.[128]언어학자들은 켈트어가 영국 제도에 먼저 도래한 후 분화되었는지, 아니면 두 갈래가 별도로 도래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다. 이전의 견해는 켈트족의 영국 제도 영향이 여러 세기에 걸쳐 다양한 켈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유럽 대륙으로부터의 잇따른 이주 또는 침략의 결과로, P-켈트어군 대 Q-켈트어군 동어선을 설명한다는 것이었다. 이 견해는 섬의 켈트어가 도서 켈트어 방언군을 형성한다는 가설에 의해 도전받았다.[129] 19세기와 20세기에는 학자들이 켈트 문화의 브리튼 "도래"를 (침략 모델을 통해) 기원전 6세기로 추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할슈타트 문화의 영향과 오늘날 잉글랜드에서 전차 매장의 출현과 일치한다. 쿤리프와 코흐는 그들의 새로운 '서부 켈트' 이론에서 켈트어가 벨 비커 문화와 함께 기원전 2500년경, 또는 그 이전에도 섬에 도달했다고 제안한다.[130][131] 최근, 주요 고고유전학 연구는 청동기 시대에 남부 브리튼으로의 이주가 기원전 1300년부터 800년까지 발생했음을 밝혀냈다.[132] 이주민들은 유전적으로 갈리아의 고대 개인과 가장 유사했다.[132] 기원전 1000년부터 그들의 유전자 표지가 남부 브리튼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지만,[133] 북부 브리튼에서는 확산되지 않았다.[132] 저자들은 이를 "초기 켈트어가 브리튼으로 확산되는 그럴듯한 벡터"로 본다.[132] 철기 시대에는 이주가 훨씬 적었으므로 켈트어가 그 전에 브리튼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높다.[132] 쿤리프는 켈트어의 한 분파가 이미 브리튼에서 사용되었고, 청동기 시대의 이주가 브리튼어 분파를 도입했다고 제안한다.[134]
본토의 많은 켈트족과 마찬가지로, 도서 켈트족은 고대 켈트 종교를 따랐으며 드루이드가 이를 감독했다. 남부 브리튼 부족 중 일부는 갈리아 및 벨기카와 강력한 연관성을 맺고 있었으며, 브리튼 켈트 화폐를 주조했다. 로마의 브리튼 점령 기간 동안, 남동부에서 로마-브리튼 문화가 등장했다. 북부의 브리튼족과 픽트족, 그리고 아일랜드의 게일족은 제국 밖에 남아 있었다. 서기 400년대의 브리튼에서의 로마 통치 종말 동안, 동부와 남부 브리튼에는 상당한 앵글로-색슨족의 브리튼 정착이 있었고, 서부 해안에는 일부 게일족의 정착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일부 브리튼족은 아르모리카 반도로 이주하여 그들의 문화가 지배적이 되었다. 한편, 북부 브리튼의 상당 부분(스코틀랜드)은 게일어가 되었다. 서기 10세기까지 도서 켈트족은 브리튼어를 사용하는 웨일스인(웨일스), 콘월인(콘월), 브르타뉴인(브르타뉴) 및 쿰브리아인(올드 노스)과 게일어를 사용하는 아일랜드인(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인(스코틀랜드) 및 맨 섬 사람(맨 섬)으로 다양화되었다.
고전 작가들은 브리튼과 아일랜드의 거주자를 Celtaela 또는 Κελτοί|Keltoigrc라고 부르지 않았으며,[5][8][9] 이로 인해 일부 학자들은 그 섬의 철기 시대 거주자에 대한 '켈트'라는 용어의 사용에 의문을 제기했다.[5][8][9][10] 섬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기록은 기원전 310~306년경 "프레탄니카이 네소이"( "프레탄닉 제도")라고 불리는 지역을 항해한 그리스 지리학자 피테아스에 의해 작성되었다.[135] 일반적으로 고전 작가들은 브리튼인을 ''프레탄노이''(그리스어) 또는 ''브리타니''(라틴어)라고 불렀다.[136] 로마 시대에 글을 쓴 스트라본은 켈트족과 브리튼족을 구별했다.[137] 그러나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브리튼족이 풍습과 종교에서 갈리아의 켈트족과 유사했다고 말한다.[16]
켈트인이 언제 브리튼 제도로 도래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이전에는 철제 무기를 가진 전사 집단에 의해 정복되었다고 여겨졌지만, 유전자 등의 연구로부터 신석기 시대의 선주민(켈트 이전의 거석 문화의 담당자)이 대륙의 문화적 영향으로 변질되었다는 설도 있다. 어쨌든 로마 제국에 정복되기 이전의 브리튼 섬에는 전차를 타고 철제 무기를 가진 부족 사회가 전개되었지만, 이것들을 켈트인이라고 할 수는 없다.
서기 1세기에 잉글랜드와 웨일스는 로마의 지배를 받았고, 이 지역은 로마화되었지만, 5세기에 게르만족이 갈리아에 침입하자, 로마 제국은 브리타니아의 지배를 포기하고 로마 군단을 대륙으로 철수시켰다. 이 틈을 타 앵글로-색슨족이 바다를 건너 잉글랜드에 침입했고, 앵글로색슨족의 지배 아래에서 로마 문명은 흡수되었다.
그러나 같은 브리튼 섬에서도 서부의 웨일스에는 켈트의 언어가 잔존했다.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는 원래 로마의 지배조차 받지 않았던 지역이라고 여겨졌지만, 사실은 로마와 직접 교류했던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
4. 3. 로마화
로마 제국의 확장은 대륙의 켈트족들이 로마 문화를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카이사르 치하에서 로마인들은 켈트족 골을 정복했으며, 클라우디우스부터 로마 제국은 브리튼의 일부를 흡수했다. 이 지역의 로마 지방 정부는 로마 이전의 부족 경계를 면밀히 반영했으며, 고고학적 발견은 지방 정부에 원주민이 참여했음을 시사한다.로마 지배하의 원주민들은 로마화되었고 로마의 방식을 기꺼이 채택하려 했다. 켈트 예술은 이미 고전적인 영향을 통합했고, 살아남은 갈로-로마 작품들은 고전적인 주제를 해석하거나 로마식 표현에도 불구하고 옛 전통을 고수한다.
골과, 정도는 덜하지만 브리튼에 대한 로마 점령은 로마-켈트 종교 혼합으로 이어졌다. 대륙 켈트족의 경우, 이는 결국 통속 라틴어로의 언어 이동으로 이어졌지만, 도서 켈트족은 그들의 언어를 유지했다.
또한 골족이 로마에 상당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했는데, 특히 군사 문제와 기마술에서 골족은 종종 로마 기병대에서 복무했다. 로마인들은 켈트 기병대 검인 스파타와 켈트 말의 여신인 에포나를 받아들였다.[138][139]
서기 1세기에 잉글랜드와 웨일스는 로마의 지배를 받았고, 이 지역은 로마화되었지만, 5세기에 게르만족이 갈리아에 침입하자, 로마 제국은 브리타니아의 지배를 포기하고 로마 군단을 대륙으로 철수시켰다. 이 틈을 타 앵글로-색슨족이 바다를 건너 잉글랜드에 침입했고, 앵글로색슨족의 지배 아래에서 로마 문명은 흡수되었다.

5. 사회
켈트족 사회는 기독교 이전 시대의 철기 시대에 계급과 왕권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켈트 사회의 특정 후기 단계의 조직 형태였을 수도 있다. 기원전 1세기의 골(Gaul)에서 카이사르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로마 사회와 유사한 후원-고객 관계를 묘사하고 있다.
주로 왕이 이끄는 부족에 대한 증거가 있지만, 로마와 긴밀한 접촉을 가졌던 지역에서 과두적 공화주의 정부 형태가 나타났다는 증거도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켈트 사회에 대한 대부분의 설명은 전사 귀족, 드루이드, 시인, 법률가와 같은 지식인 계층, 그리고 나머지 모든 사람들, 이렇게 세 그룹으로 나뉜다고 묘사한다. 역사 시대에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고위 왕과 하위 왕의 직책은 탄니스트리 제도를 통해 선출되었는데, 이는 결국 첫째 아들에게 승계되는 장자 상속의 봉건적 원칙과 충돌하게 되었다.
켈트족의 가족 구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정착 패턴은 분산된 형태에서 도시 형태까지 다양했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유래된, 언덕 요새와 던에 정착한 비도시화된 사회에 대한 일반적인 고정관념(영국에는 약 3,000개의 언덕 요새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은 기원전 1천년 후반의 골의 많은 중요한 ''오피다''와 갈리아 키살피나의 도시들과 더불어, 할슈타트와 라텐 지역의 도시 정착촌과 대조를 이룬다.
켈트족의 노예 제도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켈트어로 기록된 기독교 이전 시대의 기록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는 대부분 로마 문자, 때로는 그리스 문자로 된 비문이다. 오검 문자는 초기 중세 알파벳으로,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웨일스와 잉글랜드에서도)에서 초기 기독교 시대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비석 비문과 같은 의례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었다. 현존하는 증거는 아일랜드의 바드들이 보존하고 결국 수도원에서 기록한 강력한 구전 전통을 보여준다. 켈트 미술은 또한 매우 정교하고 아름다운 금속 세공품을 많이 제작했으며, 그 예는 그들의 독특한 매장 의식으로 보존되었다.
어떤 면에서 대서양 켈트족은 보수적이었다. 예를 들어, 그들은 그리스인과 로마인에 의해 의례적인 역할로 축소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전투에서 전차를 사용했다. 그러나 시대에 뒤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켈트족의 전차 전술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시도한 브리타니아 침공을 격퇴할 수 있었다.
디오도루스 시쿨루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켈트족의 성 역할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자료는 거의 없지만, 일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켈트족의 관점은 평등주의적이지 않은 경향을 보였던 그리스-로마 세계와는 달랐을 수 있다.[155][156]
고대 켈트족에 대한 대부분의 기록은 로마인과 그리스인에 의해 작성되었지만, 이것이 얼마나 정확한지는 불분명하다. 로마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와 타키투스는 켈트 여성들이 전투를 선동하고, 참여하고, 지휘했다고 언급했다.[159] 플루타르코스는 기원전 4세기 포 계곡에서 켈트 족장들 사이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켈트 여성들이 대사로 활동했다고 전한다.[160] 카시우스 디오는 켈트족 브리튼의 여성들 사이에 큰 성적 규범이 있었다고 시사했다.[162]
브레혼 법에 따르면, 기독교로 개종한 후 초기 중세 아일랜드에서 기록되었으며, 여성은 무능력, 비만, 동성애적 성향 또는 다른 여성에 대한 선호로 인해 남편이 부부의 의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남편과 이혼하고 그의 재산을 획득할 권리가 있었다.[168][169]
5. 1. 노예 제도
켈트족의 노예 제도는 기록이 더 잘 되어 있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노예 제도와 매우 유사했을 것으로 보인다. 노예는 전쟁, 약탈, 형벌 및 채무 노역에서 얻었다. 노예 제도는 세습되었지만, 해방이 가능했다. 노예를 뜻하는 고대 아일랜드어와 웨일스어 단어인 'cacht'와 'caeth'는 각각 라틴어 'captus'(포로)와 어원이 같으며, 이는 노예 무역이 라틴 사회와 켈트 사회 간의 초기 접촉 수단이었음을 시사한다. 중세 시대에는 켈트 국가에서 노예 제도가 특히 널리 퍼졌다. 해방은 법으로 금지되었고 '여성 노예'를 뜻하는 단어 'cumal'은 아일랜드에서 일반적인 가치 단위로 사용되었다.5. 2. 의복
철기 시대 후기에 갈리아인들은 일반적으로 긴 소매의 셔츠나 튜닉과 긴 바지(로마인들은 이를 ''브라카에''라고 불렀음)를 입었다.[148] 옷은 모직 또는 린넨으로 만들어졌으며, 부유층은 일부 실크를 사용했다. 겨울에는 망토를 입었다. 브로치[149]와 팔찌를 사용했지만, 가장 유명한 보석은 금속, 때로는 금으로 된 목걸이인 토크였다.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뿔이 달린 워털루 헬멧은 오랫동안 켈트족 전사의 현대적 이미지의 표준을 세웠지만, 사실 독특하게 보존된 유물이며 군사용보다는 의식용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150]5. 3. 무역과 화폐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로마 이전 켈트족 사회는 유라시아를 가로지르는 육상 교역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었다. 고고학자들은 아일랜드와 독일에서 늪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선사 시대의 길을 발견했는데, 그 규모로 보아 무역을 촉진하는 광범위한 도로 시스템의 일부로 바퀴 달린 운송을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151] 켈트족 영토에는 주석, 납, 철, 은, 금이 있었다.[152] 켈트족 대장장이와 금속 세공인들은 특히 로마인과의 국제 무역을 위해 무기와 보석을 제작했다.[153]켈트족의 화폐 제도가 물물 교환으로만 이루어졌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화폐 제도는 복잡하여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많은 수의 동전이 존재하지 않아 "원시 화폐"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기에는 초기 라텐 시대부터 제작된 청동 제품이 포함되며, 도끼 머리, 고리, 종 형태였다. 일부 매장에서 이러한 물건들이 많이 발견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화폐 가치를 지녔으며, "일상적인" 구매에 사용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주석 함량이 높은 청동 합금인 포틴으로 만든 저가 동전은 로마의 정복 이전에 대륙의 대부분 켈트족 지역과 남동부 영국에서 주조되었다. 무역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가 동전은 금, 은, 고품질 청동으로 주조되었다. 금화는 은화보다 훨씬 더 흔했는데, 이는 남부 영국과 중부 프랑스에 약 100개의 광산이 있었던 반면 은은 더 드물게 채굴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광산의 상대적 희소성과 이익에 비해 추출에 필요한 노력의 양 때문이었다. 로마 문명이 중요해지고 켈트 세계와의 무역을 확대함에 따라 은화와 청동화가 더 흔해졌다. 이는 로마인들이 금속에 높은 가치를 부여했기 때문에, 로마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켈트족 지역의 금 생산량의 대폭적인 증가와 일치했다. 프랑스에 많은 금광이 있었던 것이 카이사르가 침략한 주요 이유로 여겨진다.[154] 기원전 400년경에는 마케도니아의 금화에 영향을 받아 각지에서 금화를 제조하게 되었다.
5. 4. 성과 젠더 규범

켈트족의 성 역할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자료는 거의 없지만, 일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켈트족의 관점은 평등주의적이지 않은 경향을 보였던 그리스-로마 세계와는 달랐을 수 있다.[155][156] 일부 북동 갈리아에서 발견된 철기 시대 매장 유적은 여성들이 초기 ''라 테네'' 시대에 전쟁에서 역할을 했을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그 증거는 결정적이지 않다.[157] 여성 장신구와 무기가 함께 묻힌 켈트족 개인(예: 북동 갈리아의 비크스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무기와 함께 매장된 일부 개인의 성별에 대한 의문도 있다. 하지만, 무기는 남성성보다는 높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158]
고대 켈트족에 대한 대부분의 기록은 로마인과 그리스인에 의해 작성되었지만, 이것이 얼마나 정확한지는 불분명하다. 로마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와 타키투스는 켈트 여성들이 전투를 선동하고, 참여하고, 지휘했다고 언급했다.[159] 플루타르코스는 기원전 4세기 포 계곡에서 켈트 족장들 사이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켈트 여성들이 대사로 활동했다고 전한다.[160] 포시도니우스의 켈트족에 대한 인류학적 언급에는 주로 원시주의, 극심한 잔혹성, 잔혹한 희생 의식, 여성의 힘과 용기 등 공통된 주제가 있었다.[161] 카시우스 디오는 켈트족 브리튼의 여성들 사이에 큰 성적 규범이 있었다고 시사했다.[162]
배리 컨리프는 이러한 언급이 켈트족을 괴상한 "야만인"으로 묘사하기 위한 것이며 "관찰이 부족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썼다.[163] 역사학자 리사 비텔은 켈트 여성 전사에 대한 묘사가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일부 로마 및 그리스 작가들이 야만인 켈트족이 "거꾸로 된 세상 ... 그리고 그런 세상의 표준적인 요소는 남성적인 여전사였다"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했다고 말한다.[164]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정치학''에서 동남유럽의 켈트족이 남성 동성애를 용인했다고 썼다. 그리스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그의 저서 ''역사총서''에서 갈리아 여성들이 아름다웠지만, 남자들은 "그들과 거의 관계를 맺지 않았고" 남자들이 두 명의 어린 남자와 함께 동물의 가죽 위에서 잠을 자는 것이 관습이었다고 썼다. 그는 또한 "젊은 남자들이 낯선 사람에게 자신을 제공하고 그 제안이 거절당하면 모욕감을 느낀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나중에 그리스-로마 작가 아테나이오스와 암미아누스에 의해 반복되었다.[165] H. 데이비드 랭킨은 ''켈트족과 고전 세계''에서 이러한 주장의 일부가 전사 집단의 유대 의식을 언급하는 것으로, 특정 시기에 여성과의 관계를 삼가해야 했다고 주장하며, 이는 "켈트족과 그리스인 사이의 초기 접촉의 호전적인 성격을 반영"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166][167]
브레혼 법에 따르면, 기독교로 개종한 후 초기 중세 아일랜드에서 기록되었으며, 여성은 무능력, 비만, 동성애적 성향 또는 다른 여성에 대한 선호로 인해 남편이 부부의 의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남편과 이혼하고 그의 재산을 획득할 권리가 있었다.[168][169]
6. 문화
켈트족의 문화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난다.
켈트 미술은 유럽 전역의 라텐 시기 미술을 지칭하며, 영국과 아일랜드의 중세 초기 미술은 도서 미술이라고 불린다. 켈트 미술은 켈트족이 아닌 출처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인물 묘사보다는 기하학적 장식을 선호했다. 틴티냐크에서 발견된 카르니시스와 같이 발달된 악기를 만들기도 했다.[170] 의식을 행하는 것은 드루이드였을 가능성이 있지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스어나 라틴어를 참고하여 아일랜드 고유의 오검 문자가 생겨났다. 이는 4세기부터 7세기 무렵까지 비문 등에 표기할 때 사용되었지만, 기본적으로 문자를 갖지 않는 문화였다. 후세에 아일랜드가 기독교화되면서 오검 문자는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다.
켈트어파 언어가 사용되는 나라는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맨 섬, 웨일스, 그리고 브르타뉴이다. 하지만 이들 중 켈트계 언어를 사용하여 일상생활을 하는 사람의 수는 30%를 넘지 않는다. 최근에는 다양한 켈트어 부흥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현존하는 켈트어파 언어와 각 언어의 화자 인구는 다음과 같다.
언어 | 모어 화자 수 |
---|---|
아일랜드어 | ~30,000명 (유창하게 구사하는 인원: ~100,000명) |
스코틀랜드 게일어 | ~45,000명 |
웨일스어 | ~200,000명 |
맨어 | 자료 없음 |
콘월어 | 자료 없음 |
브르타뉴어 | ~750,000명 |
6. 1. 켈트 미술
켈트 미술은 일반적으로 미술사학자들이 유럽 전역의 라텐 시기 미술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며, 일반 대중에게 "켈트 미술"이 연상되는 영국과 아일랜드의 중세 초기 미술은 미술사에서 도서 미술이라고 불린다. 두 스타일 모두 켈트족이 아닌 출처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았지만, 인물 묘사보다 기하학적 장식을 선호했으며, 인물 묘사가 등장하는 경우에도 극도로 양식화되었다. 서사적 장면은 외부의 영향 아래서만 나타난다.[170] 역동적인 원형 형태, 삼족보행 및 소용돌이는 특징적이다. 현존하는 자료의 대부분은 귀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분명히 매우 대표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지만, 픽트족 석상과 도서 고대 십자가를 제외하면 장식 조각을 포함한 대규모 기념 조각은 매우 드물다. 아마도 원래는 나무로 흔하게 만들어졌을 것이다. 켈트족은 또한 카르니시스(carnyces)와 같은 발달된 악기를 만들 수 있었는데, 이들은 전투 전에 적을 위협하기 위해 사용된 유명한 전쟁 나팔이었으며, 2004년 틴티냐크(갈리아)에서 발견된 가장 잘 보존된 것으로, 멧돼지 머리나 뱀 머리로 장식되어 있었다.[170]
"켈트 미술"의 전형으로 여겨지는 엮임 패턴은 브리티시 제도 전체의 특징이었으며, 이 스타일은 도서 미술 또는 히베르노-색슨 미술이라고 불린다. 이 예술 스타일은 라텐, 후기 로마,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게르만 동물 양식 II를 게르만 민족 이동 시대 미술의 요소를 통합했다. 이 스타일은 금속 세공과 채색 필사본에서 켈트 예술가들이 훌륭한 기술과 열정으로 받아들였다. 마찬가지로, 가장 훌륭한 도서 미술에 사용된 형태는 모두 로마 세계에서 채택되었다. 켈스 복음서와 린디스판 복음서와 같은 복음서, 아르다 성배와 데리나플란 성배와 같은 성배, 그리고 타라 브로치와 로스크레아 브로치와 같은 반고리 브로치가 그 예시이다.
로마인에게 정복되기 전, 부유한 초기 대륙 켈트족의 미술은 종종 로마, 그리스 및 기타 "외국" 스타일의 요소를 차용(그리고 아마도 수입된 장인을 사용)하여 독특한 켈트족 물건을 장식했는데,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종종 장관을 이루었다. 로마 정복 이후, 켈트족 요소는 인기 있는 미술, 특히 고대 로마 도기에 남아 있었는데, 갈리아는 실제로 가장 큰 생산국이었으며, 대부분 이탈리아 스타일로 제작되었지만, 신의 상과 동물 및 기타 주제로 그려진 식기류를 포함하여 지역적 취향에 맞는 작품도 제작되었다. 로마의 브리타니아는 또한 제국의 다른 지역보다 에나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샹르베 기술의 개발은 아마도 도서 장식의 에너지와 자유가 중요한 요소였던 유럽 전체의 후기 중세 미술에 중요했을 것이다.
6. 2. 갈리아 달력
콜리니 달력은 1897년 프랑스 앵의 콜리니에서 발견되었으며, 원래 너비 1.48m, 높이 0.9m의 청동판에 새겨져 있다. 73개의 조각으로 보존되어 있으며,[171] 글자체와 부속 물건의 양식을 바탕으로 2세기 말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라틴어 비문체 대문자로 기록되었으며, 골어로 작성되었다. 복원된 판에는 16개의 세로 열이 있으며, 5년에 걸쳐 62개월이 분배되어 있다.프랑스 고고학자 J. 모나르는 이 달력이 드루이드들이 율리우스력이 로마 제국 전역에 적용되던 시기에 자신들의 시간 측정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기록한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달력의 일반적인 형태는 그리스와 로마 세계에서 발견되는 공공 핀 달력 (또는 ''파라페그마타'')과 유사하다.[172]
6. 3. 문자
그리스어나 라틴어를 참고하여 아일랜드 고유의 오검 문자가 생겨났다. 이는 4세기부터 7세기 무렵까지 비문 등에 표기할 때 사용되었지만, 기본적으로 문자를 갖지 않는 문화였다. 후세에 아일랜드가 기독교화되면서 오검 문자는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다.6. 4. 현대 켈트어
- 기원전 6세기경 할슈타트 문명으로 번성한 켈트인이 있던 지역
- 기원전 3세기경 켈트인의 최대 분포
- 켈트인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이베리아 반도 중 루시타니아인이 있던 지역
- 근세에 어느 정도의 켈트인이 있었다고 여겨지는 6개 국가로 구성된 켈트 국가군 ()
- 현재 켈트어(계) 언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역
켈트어파 언어가 사용되는 나라는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맨 섬, 웨일스, 그리고 브르타뉴이다(여기에 콘월을 더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5개국 사람들 중 아직 켈트계 언어를 사용하여 일상생활을 하는 사람의 수는 30%를 넘지 않는다. 아일랜드에서의 게일어 부활은 실패로 결론지어졌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켈트어 부흥 운동이 이러한 언어의 쇠퇴를 막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이 부흥 운동의 유효한 예로 웨일스에서 웨일스어를 가르치는 학교가 정부로부터 공금을 지원받고, 그 학교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현존하는 켈트어파 언어와 각 언어의 화자 인구는 다음과 같다.
언어 | 모어 화자 수 |
---|---|
아일랜드어 | ~30,000명 (유창하게 구사하는 인원: ~100,000명) |
스코틀랜드 게일어 | ~45,000명 |
웨일스어 | ~200,000명 |
맨어 | 자료 없음 |
콘월어 | 자료 없음 |
브르타뉴어 | ~750,000명 |
7. 종교
초기 켈트족의 종교는 자연 숭배를 바탕으로 한 다신교였으며, 드루이드라는 사제 계급이 종교 의식을 주관했다. 하지만 드루이드의 정확한 역할과 성격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현재 알려진 드루이드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근대에 각색된 것이다.[204]
초기 드루이드는 제사뿐만 아니라 정치, 사법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했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드루이드의 예언 의식에는 인신 공희가 행해졌다고 한다. 켈트족은 현세와 내세가 이어진다고 믿었으며, 윤회와 영혼 불멸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폼포니우스 멜라와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켈트족의 용맹함과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가 이러한 사생관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미래에 하늘이 무너지는 것을 두려워했다는 기록을 통해 켈트족 사회에 종교적 관념이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204]
아일랜드에는 사람 머리를 숭배하는 풍습이 있었다. 사람의 머리는 영혼이 머무는 신성한 곳으로 여겨졌으며,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믿었다. 켈트족은 적의 참수된 머리를 소유하면 그 사람의 인격과 영혼을 지배할 수 있다고 믿었다. 전쟁에서 얻은 머리는 문과 같은 장소에 장식하거나 신전에 바치는 공물, 혹은 가보로 소중히 여겨졌다. 아일랜드 예술 작품에는 사람 머리를 모티프로 한 경우가 많으며, 기독교로 개종한 이후에도 교회나 성소 장식에 사람 머리 조각이 사용되었다.
브리튼 섬에서는 4세기경 기독교가 뿌리내렸다. 이후 바이킹의 침입과 노르만 정복의 영향으로 기독교 이전의 종교는 점차 쇠퇴하였다. 아일랜드는 6세기 말에서 8세기 초에 기독교화되었으나, 9~10세기 바이킹의 침입으로 인해 쇠퇴기를 겪었다.
7. 1. 고대 켈트 종교
다른 유럽 철기 시대 사회와 마찬가지로 켈트족은 다신교를 믿었고 사후 세계를 믿었다.[188][189] 켈트 종교는 지역과 시간에 따라 다양했지만 "광범위한 구조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었고,[188] 켈트 민족 사이에는 "기본적인 종교적 동질성"이 존재했다.[190] 고대 켈트족은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의 종교에 대한 증거는 고고학, 그리스-로마 기록, 초기 기독교 시대의 문학에서 수집된다.[191]200명 이상의 켈트 신의 이름이 전해져 내려오지만(켈트 신 목록 참조), 이들 중 다수는 동일한 신의 다른 이름, 지역 이름 또는 칭호일 가능성이 높다.[188] 일부 신은 한 지역에서만 숭배되었지만, 다른 신들은 더 널리 알려졌다.[188] 미란다 알드하우스-그린에 따르면 켈트족은 또한 자연계의 모든 부분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애니미즘 신봉자들이었다.[191]
켈트족은 부족과 죽음의 신(아마도 그 이름 중 하나는 토우타티스)인 아버지 신과 땅, 대지, 다산과 관련된 어머니 여신을 숭배했던 것으로 보인다.[192](데아 마트로나가 그 이름 중 하나였을 것이다). 어머니 여신은 또한 부족과 그 땅의 수호자로서 전쟁 여신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었다.[192] 타라니스와 관련된 천상의 남성 신, 즉 천둥, 바퀴, 황소와 관련된 신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92] 루구스와 같이 범지역적인 기술과 공예의 신과 대장장이 신 고바노스가 있었다.[192] 켈트 치유 신들은 종종 성스러운 샘과 관련이 있었는데,[192] 예를 들어 시로나와 보르보가 있다. 다른 범지역적 신으로는 뿔 달린 신 체르눈노스, 말과 다산의 여신 에포나, 신성한 아들 마포노스와 벨레노스, 오그미오스, 수켈로스가 있다.[188][191] 카이사르는 갈리아인들이 모두 죽음과 지하 세계의 신에서 유래되었다고 믿었다고 말한다.[188] 삼위일체는 켈트 우주론의 일반적인 주제이며, 많은 신이 세 겹으로 여겨졌다.[193] 예를 들어 세 어머니가 있다.[194]
켈트 종교 의식은 드루이드로 알려진 사제들이 감독했는데, 그들은 또한 판사, 교사, 지식 보관자 역할을 했다. 다른 드루이드 계급은 공동체의 인식된 이익을 위해 희생을 수행했다.[195] 고대 켈트 민족이 거의 항상 가축 또는 역축인 동물 희생을 했다는 증거가 있다. 일부는 신에게 완전히 바쳐졌고(묻거나 불태움으로써), 일부는 신과 인간이 공유했다(일부는 먹고 일부는 바쳤다).[196] 고대 켈트족이 인신 제사를 했다는 증거도 있으며, 일부 그리스-로마 자료에서는 갈리아인들이 범죄자를 화형으로 불태워 죽이는 형벌로 희생했다고 주장한다.[197]
로마인들은 켈트족이 신성한 숲과 다른 자연 신사인 네메톤에서 의식을 거행했다고 말했다.[188] 일부 켈트 민족은 다양한 모양의 사원이나 의식 구역을 건설했지만(로마-켈트 사원과 비어에크스산체 등), 자연 장소에도 신사를 유지했다.[188] 켈트 민족은 종종 제물을 바쳤는데, 물과 습지 또는 의식용 통로와 우물에 소중한 물건을 수세대에 걸쳐 같은 장소에 보관했다.[188] 현대의 클루티 우물이 이것의 연장일 수 있다.[198]
7. 2. 도서 켈트 신화
현존하는 대부분의 켈트 신화는 도서 켈트족에 속한다. 아일랜드 신화는 가장 방대한 분량의 신화가 기록되어 있으며, 그 뒤를 웨일스 신화가 따른다. 이들은 중세 초기에 주로 기독교 필사생에 의해 기록되었다.투아하 데 다난이라고 불리는 초자연적인 종족은 아일랜드의 주요 켈트 신들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들의 전통적인 라이벌은 ''마그 투이레드 전투''에서 그들에게 패배하는 포모르이다.[199] 배리 컨리프는 아일랜드 신화의 기본 구조는 남성 부족 신과 땅의 여성 여신 사이의 이원론이었다고 말한다.[188] 다그다는 최고 신이었고 모리안은 그의 배우자였던 것으로 보이며, 각자 다른 이름들을 가지고 있었다.[188] 흔한 모티프 중 하나는 땅을 대표하고 왕과 결혼함으로써 주권을 부여하는 주권 여신이다. 여신 브리깃은 시, 치유, 대장장이 기술뿐만 아니라 자연과도 연관되었다.[193]
중세 도서 켈트 신화의 몇몇 인물들은 고대 대륙과의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아일랜드의 루와 웨일스의 레우는 루구스, 고이브니우와 고파논은 고반노스, 마칸과 마본은 마포노스, 마하와 리아논은 에포나의 대응일 수 있다.[200]
도서 켈트 신화에서 저승은 신들이 거주하는 평행 영역이다. 몇몇 신화 속 영웅들은 고대 무덤이나 동굴에 들어가거나, 물속으로 들어가거나 서쪽 바다를 건너거나, 저승 거주자로부터 은 사과 가지를 받은 후 그곳을 방문한다.[201] 아일랜드 신화는 죽은 자의 영혼이 전설적인 조상 돈의 집(''테크 두인'')으로 간다고 말한다. 이는 갈리아인들이 자신들이 모두 죽음과 저승의 신에서 유래했다고 믿었다는 카이사르의 언급과 일치한다.[188]
도서 켈트족은 벨테인 (5월 1일), 루나사 (8월 1일), 사윈 (11월 1일), 임볼크 (2월 1일)로 알려진 네 개의 계절 축제를 기념했다.[188]
아일랜드에는 사람 머리 숭배 풍습이 있었다. 사람의 머리는 영혼의 거처가 되는 신성을 띤 부위이며,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적의 참수된 머리를 소유함으로써 그 인물의 인격과 영혼을 지배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전쟁에서 얻은 머리는 문 등 화려한 장소에 장식되거나, 신전에 바치는 공물이나 가보로 취급되었다. 아일랜드 예술에는 사람 머리 모티프가 많이 나타나며, 아일랜드에서는 기독교 개종 후에도 교회나 성소의 장식에 많은 사람 머리가 새겨져 있다.
7. 3. 켈트 기독교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던 켈트족 지역들이 로마와 함께 기독교를 받아들인 반면,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정복되지 않은 지역들은 5세기에 켈트 다신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하기 시작했다. 아일랜드는 성 파트리치오와 같은 브리튼 출신 선교사들에 의해 개종했다. 이후 아일랜드 출신 선교사들은 스코틀랜드, 앵글로색슨족이 거주하는 브리튼 지역, 그리고 중앙 유럽에서 선교 활동을 하였다.[206] 이 시기에 브리튼과 아일랜드에서 자리 잡은 켈트 기독교는 수 세기 동안 로마 및 유럽 대륙 기독교와 제한적이고 간헐적인 접촉을 가졌으며, 콥트 정교회와도 일부 접촉이 있었다. 켈트 기독교는 부활절 날짜를 계산하는 보수적인 방식을 포함하여 서방 기독교의 다른 부분들과 구별되는 특징들을 발전시키거나 유지했다. 664년, 위트비 종교회의는 그레고리 선교가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에 도입한 로마 관습을 채택함으로써 이러한 차이점들을 해결하기 시작했다.8. 전쟁
부족 간 전쟁은 켈트 사회에서 자주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서사 문학에서는 전쟁을 조직적인 영토 정복보다는 약탈과 사냥에 초점을 맞춘 스포츠처럼 묘사하지만,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켈트 부족들은 정치적 통제를 하고 경쟁자를 괴롭히며, 경제적 이점을 얻고, 때로는 영토를 정복하기 위해 전쟁을 했다.
스트라보, 리비우스, 파우사니아스, 플로루스와 같은 고전 작가들은 켈트족을 "사나운 짐승"이나 떼거리처럼 싸우는 자들로 묘사했다. 디오니시우스는 그들의 전투 방식에 대해 "야수적이고 광적인 면이 많아 군사 과학이 전혀 없었다. 그래서 한순간에는 칼을 높이 쳐들고 멧돼지처럼 내려치며, 통나무를 찍거나 괭이로 땅을 파는 사람처럼 온몸의 무게를 실어 공격하고, 또다시 아무런 목표도 없이 십자 모양으로 공격하여 상대의 갑옷을 포함한 온몸을 베어 버릴 듯했다."라고 묘사했다.
폴리비우스(2.33)는 켈트족의 주요 무기가 찌르기보다는 베는 데 사용되는 긴 칼날 검이었다고 말한다. 폴리비우스와 플루타르크는 켈트 전사들이 칼날을 곧게 펴기 위해 자주 싸움을 멈춰야 했다고 묘사한다. 그러나 일부 고고학자들은 켈트족 노리쿰에서 생산된 강철인 노리 강철이 로마 제국 시대에 유명했고 로마 군대를 무장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점을 들어 이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175][176] 하지만 라도미르 플라이너는 "켈트 검"(1993)에서 "야금 증거는 폴리비우스가 어느 정도 옳았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하며, 이 시대에 살아남은 검의 약 3분의 1은 그가 묘사한 대로 휘어졌을 수 있다고 말한다.[177] 이러한 긴 칼날 외에도 창과 특수 투창도 사용되었다.[178]
폴리비우스는 또한 켈트족 중 일부가 나체로 싸웠다고 주장한다. "이 나체 전사들의 모습은 끔찍했는데, 그들은 모두 훌륭한 체격을 가진 젊은이들이었기 때문이다."[179] 리비우스에 따르면, 이것은 소아시아의 켈트족에게도 해당되었다.[180]
8. 1. 머리 사냥
켈트족은 머리 사냥으로 유명했다.[181] 파울 야콥스탈은 "켈트족에게 인간의 머리는 영혼이자 감정의 중심이었고, 삶 그 자체이자 신성함과 다른 세상의 힘을 상징했다"라고 말했다.[182] 기원전 1세기경 그리스 역사가 포세이도니오스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켈트 전사들이 전투에서 죽인 적의 머리를 잘라 말 목에 걸고 집 밖에 못 박아 전시했다고 기록했다.[181] 스트라본은 켈트족이 가장 존경하는 적들의 머리를 방부 처리하여 삼나무 기름에 담가 전시했다고 썼다.[181]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는 보이족이 실바 리타나 전투에서 패배한 로마 장군의 머리를 잘라 금으로 덮어 의식용 잔으로 사용했다고 기록했다.[181] 고고학자들은 남부 갈리아에서 머리를 방부 처리하여 전시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183][184]
남부 갈리아의 앙트르몽 유적지에는 해골 조각이 새겨진 기둥이 있었고, 그 안에는 인간 해골을 못으로 고정하여 보관하는 틈새가 있었다.[185] 근처의 로크페르튀즈에도 유사한 조각 머리와 해골 틈새가 있다. 켈트 지역에서 많은 단독 조각 머리가 발견되었으며, 일부는 두세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다.[186] 예시로는 므셰츠케 제흐로비체 머리와 코를렉 머리가 있다.
잘린 머리는 켈트 신화에서 흔히 등장하며, '살아있는 머리'가 연회를 주재하거나 예언을 하는 이야기가 많이 있다.[181][186] 참수 게임은 아일랜드 신화와 아서 왕 전설의 모티프이며, 가장 유명한 예는 가웨인 경과 녹색 기사 이야기로, 녹색 기사가 가웨인이 머리를 벤 후 자신의 잘린 머리를 집어 든다. 켈트 지역에는 성자들이 자신의 잘린 머리를 들고 다니는 전설도 많이 있다. 아일랜드 신화에서 전사들의 잘린 머리는 여신 마하의 마스트 또는 열매라고 불린다.[187]
아일랜드에는 사람 머리 숭배 풍습이 있었다. 사람의 머리는 영혼의 거처가 되는 신성한 부위이며,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적의 참수된 머리를 소유함으로써 그 인물의 인격과 영혼을 지배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전쟁에서 얻은 머리는 문 등 화려한 장소에 장식되거나, 신전에 바치는 공물이나 가보로 취급되었다. 아일랜드 예술에는 사람 머리 모티프가 많이 나타나며, 아일랜드에서는 기독교 개종 후에도 교회나 성소의 장식에 많은 사람 머리가 새겨져 있다.
9. 유전학
아르나이즈-비예나 등(2017)은 유럽 대서양의 켈트 관련 집단(오크니 제도, 스코틀랜드인, 아일랜드인, 영국인, 브르타뉴인, 바스크인, 갈리시아인)이 공통 HLA 시스템을 공유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그러나 다른 유전적 연구들은 이들 집단 사이에 서유럽인이라는 사실 외에 유의미한 유전적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다. 초기 유럽 농부들이 신석기 시대에 영국(및 모든 북유럽)에 정착했지만, 최근의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24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영국 DNA의 90% 이상이 서부 스텝 유목민의 이주로 인해 대체되었다. 이들은 서유럽에 대량의 스텝 DNA( R1b 하플로그룹 포함)를 가져왔다.[62] 현대의 자가체 유전자 클러스터링은 이러한 사실을 증명하는데, 현대 및 철기 시대의 영국 및 아일랜드 샘플은 다른 북유럽인과 유전적으로 매우 가깝게 클러스터링되며, 갈리시아인, 바스크인 또는 프랑스 남부 출신과는 덜 가깝게 클러스터링된다.[63][64]
제한적인 유전 물질에 대한 연구는 켈트족으로 여겨지는 지역의 철기 시대 사람들과 청동기 시대 서유럽의 초기 종형 토기 문화 사이의 연속성을 시사한다. 종형 토기 문화와 마찬가지로, 고대 켈트족은 서부 스텝 유목민의 상당한 조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후기 신석기 시대와 초기 청동기 시대에 폰토스-카스피 스텝에서 서쪽으로 확장된 얌나야 문화 유목민에서 유래되었으며, 인도유럽어족의 초기 확산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조상은 북서유럽의 켈트족 사이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조사된 개인은 압도적으로 부계 하플로그룹 R-M269의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모계 하플로그룹 H와 U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계통은 스텝 조상과 관련이 있다. 켈트족의 이베리아 반도 진출과 켈티베리아인의 등장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북유럽-중앙유럽 조상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urnfield 문화의 확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부계 하플로그룹 I2a1a1a가 켈티베리아인에게서 발견되었다. 철기 시대 동안 서유럽의 켈트족 사이에서 상당한 유전자 흐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남부 프랑스의 골족은 켈티베리아인과 유전적 연관성을 보이지만, 북부 프랑스의 골족은 영국과 스웨덴과 연관성을 보인다. 현대 서유럽 인구, 특히 여전히 켈트어파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같은 지역의 철기 시대 인구와 상당한 유전적 연속성을 보인다.
켈트인과 관련된 유전자로는 R-S116 하플로그룹이 있다. R-S116 하플로그룹은 이탈리아어파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탈리아-켈트어파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다.
참조
[5]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06-09
[6]
간행물
Pueblo Celtas y no Celtas de la Galicia antigua:: Fuentes literarias frente a fuentes epigráficas
http://www.racv.es/f[...]
2021-07-16
[7]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ABC-CLIO
2006
[8]
서적
The Atlantic Celts – Ancient People or Modern Inventi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9
[9]
서적
The Celts: Origins, Myths and Inventions
Tempus Publishing
2003
[10]
서적
Britain BC
Harper Perennial
2004
[11]
PhD
Breaking and making the ancestors. Piecing together the urnfield mortuary process in the Lower-Rhine-Basin, ca. 1300 – 400 BC
https://www.academia[...]
Leiden University
2023-01-13
[12]
서적
The Celts
Penguin Books
1970
[13]
서적
The Ancient Celts
Penguin Books
1997
[14]
서적
Celtic from the West Chapter 9: Paradigm Shift? Interpreting Tartessian as Celtic – see map 9.3 The Ancient Celtic Languages c. 440/430 BC – see third map in PDF at URL provided which is essentially the same map
http://www.wales.ac.[...]
Oxbow Books
2010
[15]
서적
Celtic from the West Chapter 9: Paradigm Shift? Interpreting Tartessian as Celtic – see map 9.2 Celtic expansion from Hallstatt/La Tene central Europe – see second map in PDF at URL provided which is essentially the same map
http://www.wales.ac.[...]
Oxbow Books
2010
[16]
간행물
An Alternative to 'Celtic from the East' and 'Celtic from the West'
2020-08
[17]
서적
Old Celtic Languages
http://www.univie.ac[...]
2008
[18]
서적
The Celts –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9]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8-07-11
[20]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8-07-11
[22]
간행물
Mythologizing Identity and History: a look at the Celtic past of Galicia
http://www4.uwm.edu/[...]
2011-04-08
[23]
서적
European prehistory: a surve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0-06-07
[24]
서적
Celts and the Classical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6-07
[32]
웹사이트
España
http://revistas.ucm.[...]
2013-06-09
[34]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ABC-CLIO
2006
[35]
서적
The handbook of morphology
Blackwell Publishers
1998
[36]
뉴스
Who were the Celts? It's complicated
https://www.irishtim[...]
Irish Times
2015-10-20
[37]
서적
Archaeologia Britannica; An account of the languages, histories, and customs of the original inhabitants of Great Britain.
Irish University Press
1971
[38]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ABC-CLIO
2006
[39]
서적
The Celtic Encyclopedia
uPublish
1998
[40]
서적
The Celts
Thames & Hudson
1991
[41]
서적
Cultural Identity and Archaeology: The Construction of European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6
[42]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Celtic Wisdom
https://books.google[...]
Alpha Books
2003
[43]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Facts on File Inc.
2008
[44]
서적
The Celts with an introductory chapter by J.X.W.P. Corcoran
Penguin Books
1970
[45]
웹사이트
Celtic language Branch - Origins & Classification - MustGo
https://www.mustgo.c[...]
2022-08-25
[46]
서적
Celtic culture :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www.worldcat[...]
ABC-CLIO
2006
[47]
서적
The Celts
1970
[48]
서적
The Celts
Thames & Hudson
1991
[49]
서적
Old Celtic Languages - Addenda
2008
[50]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51]
서적
The Origins of the British
Robinson
2007
[52]
서적
The Celtic Realms
1967
[53]
서적
Celtic from the West Chapter 1: Celticization from the West – The Contribution of Archaeology
Oxbow Books
2010
[54]
간행물
La lengua de los Celtas y otros pueblos indoeuropeos de la península ibérica
2001
[55]
논문
The Celts in Iberia: An Overview
http://www4.uwm.edu/[...]
2005
[56]
논문
Tartessian: Celtic from the Southwest at the Dawn of History in Acta Palaeohispanica X Palaeohispanica 9
http://ifc.dpz.es/re[...]
2009
[57]
서적
A Race Apart: Insularity and Connectivity in Proceedings of the Prehistoric Society 75
Prehistoric Society
2008
[58]
논문
An Alternative to 'Celtic from the East' and 'Celtic from the West'
2020-04-02
[59]
Citation
Method and methods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2-28
[60]
웹사이트
Fox—The P-Celtic Place-Names of North-East England and South-East Scotland
http://www.heroicage[...]
2006, 2007
[61]
간행물
HLA Genes in Atlantic Celtic populations: Are Celts Iberians?
2017
[62]
bioRxiv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2017-05
[63]
Citation
Genes mirror geography within Europe
2008-11
[64]
Citation
Correlation between genetic and geographic structure in Europe
2008-08
[65]
서적
Milestones in Archaeology: A Chronolog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7
[66]
서적
Prehistoric Europe: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
[67]
서적
pg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
[68]
서적
Celtic Culture: A-Celti
https://books.google[...]
ABC-CLIO
2006
[69]
웹사이트
Center for Celtic Studies | UW-Milwaukee
http://www.uwm.edu/D[...]
[70]
간행물
A new approach to early Celtic art
https://web.archive.[...]
Royal Irish Academy
2004
[71]
웹사이트
Arrival of Celts - France - SpottingHistory.com
https://www.spotting[...]
2022-10-14
[72]
서적
Archaeologies of Colonialism: Consumption, Entanglement, and Violence in Ancient Mediterranean Fra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73]
서적
Consumption and Colonial Encounters in the Rhône Basin of France: A Study of Early Iron Age Political Economy
French National Centre for Scientific Research
2005
[74]
웹사이트
'Gallia Comata {{!}} Gaul, Celtic Tribes, Julius Caesar'
https://www.britanni[...]
[75]
웹사이트
'Vercingetorix {{!}} Gallic chieftai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0-22
[76]
서적
The Cel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77]
서적
'Roman Gaul (Routledge Revivals): The Three Provinces, 58 BC-AD 26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08
[78]
서적
The Cel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79]
서적
Archaeologies of Colonialism: Consumption, Entanglement, and Violence in Ancient Mediterranean Fra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80]
서적
Chambers's information for the people
https://books.google[...]
2010-10-02
[81]
서적
Brownson's Quarterly Review
https://books.google[...]
2010-10-02
[82]
간행물
Celtic Elements in Northwestern Spain in Pre-Roman times
https://web.archive.[...]
Center for Celtic Studies,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2010-05-12
[83]
간행물
Celtic Gods of the Iberian Peninsula
https://web.archive.[...]
2010-05-12
[84]
서적
Researches into the Physical History of Mankind
https://books.google[...]
2010-10-02
[85]
간행물
The Celts in Iberia: An Overview
https://web.archive.[...]
2010-08-12
[86]
간행물
Celtiberians: Problems and Debates
https://web.archive.[...]
2009-05-18
[87]
간행물
Celtiberian
https://web.archive.[...]
2017-03-29
[88]
간행물
Celtic Legacy in Galicia
https://web.archive.[...]
2009-05-18
[89]
간행물
The Celts of the Southwestern Iberian Peninsula
http://www.uwm.edu/D[...]
2005
[90]
간행물
The Language(s) of the Callaeci
https://web.archive.[...]
2009-05-18
[91]
문서
'Coutinhas, José Manuel (2006), Aproximação à identidade etno-cultural dos Callaici Bracari, Porto.'
[92]
웹사이트
Archeological site of Tavira
http://arkeotavira.c[...]
[93]
문서
'John T. Koch, Tartessian: Celtic From the South-west at the Dawn of History, Celtic Studies Publications, (2009)'
[94]
웹사이트
Celtic City: Staatliche Schlösser und Gärten Baden-Württemberg
https://www.heunebur[...]
2023-03-08
[95]
문서
Penguin Atlas of World History
Penguin Books
1988
[96]
간행물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Nature Portfolio
2018-03-08
[97]
웹사이트
Heuneburg – Celtic city of Pyrene
https://www.heunebur[...]
[98]
웹사이트
Heuneburg (Herbertingen-Hundersingen)
http://www.landeskun[...]
2020-04-17
[99]
서적
Herodoti Musae
https://books.google[...]
Lipsiae in Bibliopolio Hahniano
1857
[100]
서적
Herodoti historiarum libri IX
https://books.google[...]
G. Fr. Meyer
1829
[101]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8-25
[102]
서적
European Prehistory: A Surve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2-06-30
[103]
서적
Celts and the Classical World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6
[104]
문서
'Alfons Semler, Überlingen: Bilder aus der Geschichte einer kleinen Reichsstadt,Oberbadische Verlag, Singen, 1949, pp. 11–17, specifically 15.'
[105]
문서
'Kruta, Venceslas; La grande storia dei celti: La nascita, l''affermazione e la decadenza, Newton & Compton, 2003, ISBN|88-8289-851-2|978-88-8289-851-9.'
[106]
문서
[107]
논문
Manufatti in ferro di tipo La Tène in area italiana: le potenzialità non-sfruttate
1996
[108]
서적
Early Celtic Art From Its Origins to its Aftermath
http://www.transacti[...]
Transaction Publishers
2017-02-18
[109]
서적
Die keltischen Primärverben. Ein vergleichendes, etymologisches und morphologisches Lexikon
Institut für Sprachen und Kulturen, University of Innsbruck
2004
[110]
서적
I Celti: una civiltà europea
Giunti Editore
2003
[111]
서적
The Celts
Thames & Hudson
1991
[112]
서적
Old Celtic Languages
http://www.univie.ac[...]
2016-04-25
[113]
문서
[114]
문서
[115]
서적
Adriatico tra 4. e 3. sec. a.C.
L'Erma di Bretschneider
2000
[116]
서적
The Celts –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17]
문서
[118]
웹사이트
Battle of Telamon, 225 BC
http://www.historyof[...]
2022-12-01
[119]
문서
[120]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SE´RDICA
https://www.perseus.[...]
2021-02-20
[121]
문서
[122]
문서
Britannica
[123]
서적
The Celt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24]
논문
Re-approaching Celts: Origins, Society, and Social Change
2022-03-01
[125]
웹사이트
The Celtic Invasion of Greece
https://www.worldhis[...]
2023-12-01
[126]
웹사이트
Ancient Celts
https://www.worldhis[...]
2022-08-06
[127]
문서
[128]
뉴스
Twelve Fascinating Finds Revealed in 2019
https://www.smithson[...]
2024-06-25
[129]
문서
[130]
문서
[131]
문서
[132]
논문
Large-scale migration into Britain during the Middle to Late Bronze Age
2021
[133]
뉴스
Ancient DNA study reveals large scale migrations into Bronze Age Britain
https://www.york.ac.[...]
University of York
2022-01-21
[134]
뉴스
Ancient mass migration transformed Britons' DNA
https://www.bbc.co.u[...]
2022-01-21
[135]
서적
The Celts: Origins, Myths and Inventions
Tempus Publishing
2003
[136]
서적
The Celts: Origins, Myths and Inventions
Tempus Publishing
2003
[137]
서적
The Celts: Origins, Myths and Inventions
Tempus Publishing
2003
[138]
서적
The Celtic languages in contact
https://books.google[...]
Potsdam University Press
2007
[139]
웹사이트
The Horse Amongst the Celts
http://www.cyberpict[...]
[140]
웹사이트
The Iron Age
http://www.smr.heref[...]
[141]
서적
The Landscape of Britain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7
[142]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143]
학술지
Holy Spirit - Gifts of the Holy Spirit
http://dx.doi.org/10[...]
2021-10-22
[144]
문서
Simmons, op. cit., citing: Davies, Wendy; Wales in the Early Middle Ages; p. 64.
[145]
문서
Simmons, op. cit., p. 1616, citing: Kelly; Guide to Early Irish Law; p. 96.
[146]
서적
The Ancient Celts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147]
서적
The Conquest of Gaul
https://www.worldcat[...]
Penguin Books
1983
[148]
문서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149]
웹사이트
BBC - Wales - Education - Iron Age Celts - Factfile
https://www.bbc.co.u[...]
2023-02-22
[150]
웹사이트
helmet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4-03-17
[151]
학술지
Neolithic wooden trackways and bog hydrolog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994-01
[152]
웹사이트
Regional Reviews: Wales
https://web.archive.[...]
[153]
웹사이트
The Scope and Influence of The Ancient Celts
https://reginajeffer[...]
2024-06-26
[154]
웹사이트
The Gallic Wars: How Julius Caesar Conquered Gaul (Modern France)
https://www.thecolle[...]
2024-06-26
[155]
서적
The Religion of the Ancient Celts
Morrison & Gibb
1911
[156]
서적
Quantified Identities: A Statistical Summary and Analysis of Iron Age Cemeteries in North-Eastern France 600–130 BC, BAR International Series 1226
Archaeopress
2004
[157]
서적
Quantified Identities: A Statistical Summary and Analysis of Iron Age Cemeteries in North-Eastern France 600–130 BC, BAR International Series 1226
Archaeopress
2004
[158]
서적
Gender in archaeology: analyzing power and prestige: Volume 9 of Gender and archaeology series
Rowman Altamira
2004
[159]
서적
The Celtic Ethnography of Posidonius
[160]
서적
The Celts: A History
Caroll & Graf
1998
[161]
서적
Celts and the Classical World
Routledge
1996
[162]
문서
Roman History Volume IX Books 71–80, Dio Cassiuss and Earnest Carry translator (1927), Loeb Classical Library
[163]
서적
The Ancient Cel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164]
서적
Land of Women: Tales of Sex and Gender from Early Ireland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165]
서적
Pederasty and Pedagogy in Archaic Greec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9-09-18
[166]
문서
Rankin, p. 78.
[167]
문서
Rankin, p. 55.
[16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aw in Ireland {{!}} The Courts Service of Ireland
https://www.courts.i[...]
2024-06-26
[169]
웹사이트
Cáin Lánamna
http://www.ucc.ie/ce[...]
University College, Cork
2007-11-20
[170]
웹사이트
Accueil
http://tintignac.wix[...]
[171]
서적
La langue gauloise
Paris, Editions Errance
2003
[172]
문서
Parapegmata: or Astrology, Weather, and Calendars in the Ancient World
http://www.collectio[...]
[173]
문서
Roman Antiquities
[174]
서적
The Celts: A History
Caroll & Graf
1998
[175]
문서
Noricus ensis
[176]
서적
Iron and steel in Ancient history
2005
[177]
논문
The Celtic Sword
Clarendon Press
1993
[178]
서적
Uniforms of the Roman world
2013
[179]
문서
Histories
[180]
문서
History
[181]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182]
문서
Early Celtic Art
[183]
간행물
Embalmed heads of the Celtic Iron Age in the south of France
https://www.scienced[...]
2019
[184]
뉴스
The Gauls really did embalm the severed heads of enemies, research shows
https://www.theguard[...]
2022-05-19
[185]
서적
The Ancient Cel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86]
서적
Myths and Symbols in Pagan Europe: Early Scandinavian and Celtic Religions
Syracuse University Press
1988
[187]
서적
Celtic Influences in Germanic Religion
Utz
2013
[188]
서적
The Ancient Cel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189]
간행물
Death and the Afterlife in Ancient Celtic Culture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Georgia
[190]
서적
The Pagan Celts
B.T. Batsford
1986
[191]
간행물
The Celtic World
Routledge
2012
[192]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193]
서적
Gods and Heroes of the Celts
Turtle Island Foundation
1982
[194]
서적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1995
[195]
문서
1982
[196]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Routledge
2002
[197]
서적
The Celts: History, Life, and Culture
ABC-CLIO
2012
[198]
웹사이트
'It''s upset a lot of people': outrage after tidy-up of Scottish sacred well
https://www.theguard[...]
2022-01-30
[199]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200]
문서
1940
[201]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202]
서적
ワールドミステリーツァー13
(株)同朋社
2000-03-10
[203]
서적
図説ケルト
東京書籍
2000-06-01
[204]
웹사이트
ケルトあれこれ
http://hmpiano.net/s[...]
もりわきピアノクリニック
2024-06-19
[205]
백과사전
프랑스의 역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6]
서적
동유럽사
대한교과서(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