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구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형구멍은 두개골의 구멍 중 하나로, 나비뼈의 앞쪽 및 안쪽에 위치하며 위턱신경(V2)이 지나가는 통로이다. 태아기부터 성장하며, 출생 시 약 2.5mm에서 성인기에는 평균 3.55mm의 직경을 갖는다. 원형구멍은 삼차신경의 가지인 위턱신경 외에도 원형구멍동맥과 이끌정맥이 통과하며, 라틴어 'forare'에서 유래된 용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머리뼈의 구멍 - 목정맥구멍
목정맥구멍은 뒤통수뼈에 위치한 뇌와 목을 연결하는 신경과 혈관의 통로로, 목정맥 가시에 의해 세 구획으로 나뉘며 다양한 구조물이 지나가고, 이곳을 지나는 구조물 관련 병변은 목정맥구멍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 머리뼈의 구멍 - 위눈확틈새
위눈확틈새는 나비뼈 날개 사이에 있는 틈새로 여러 구조물이 지나가며, 손상 시 복시나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상안와열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원형구멍 | |
---|---|
기본 정보 | |
라틴어 | foramen rotundum ossis sphenoidalis |
관련 항목 | 나비뼈 |
상세 정보 | |
위치 | 머리뼈바닥 |
통과 구조 | 위턱신경 (삼차신경 V2) |
연결 부위 | 중두개와에서 날개입천장오목으로 연결됨 |
2. 구조
원형구멍은 나비뼈의 앞쪽과 안쪽에 위치하는 구멍 중 하나로, 두개저를 구성하는 구조물이다. 상악 신경은 이 원형구멍과 익구개와를 통해 두개골 밖으로 나간다.
원형구멍의 평균 면적은 그리 크지 않은데, 이는 두부의 정맥계 혈액 순환에서 원형구멍의 역할이 미미하다는 점을 시사할 수 있다.[8][1][5]
2. 1. 발생
원형구멍은 태아기부터 출생을 거쳐 청소년기까지 점차 발달하며 모양과 크기가 변화한다.[9][10][2][3][6] 태아의 원형구멍은 임신 4개월(임신 중기)이 지나면 완전한 고리 모양을 갖추지만, 태아기 동안에는 대부분 타원형의 형태를 띤다.[9][10][2][3][6]출생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변하며, 이때 길이는 약 2.5mm이다.[9][10][2][3][6] 이후 성장하여 15세에서 17세 사이 청소년기에는 약 3mm가 된다.[9][10][2][3][6][7] 성인이 되었을 때 원형구멍의 평균 직경은 약 3.55mm이다.[9][10][2][3][6][7]
3. 기능
원형구멍은 삼차신경의 두 번째 가지인 위턱신경(V2, 상악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11][4] 상악 신경은 두개저에 위치한 원형구멍과 익구개와를 거쳐 두개골 밖으로 나간다. 또한, 원형구멍으로는 원형구멍동맥과 이끌정맥(교통 정맥)도 통과한다.[11][4]
원형구멍의 면적은 크지 않으며, 이는 원형구멍이 두부의 정맥계 혈액 순환에서 비교적 작은 역할만을 수행함을 시사한다.[5]
4. 어원
Foramenlat은 라틴어로 구멍과 같은 개구(開口, 열린 구멍)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 단어는 "구멍을 뚫다" 또는 "관통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forarelat에서 파생되었다. 원형구멍(Foramen rotundumlat)에서 rotundumlat은 라틴어로 "둥근"을 의미하며, 이는 해당 구멍의 모양이 둥글다는 것을 나타낸다.
5. 추가 이미지
참조
[1]
논문
Th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foramina of the greater wing of the human sphenoid bone
[2]
논문
Developmental studies on the foramen rotundum, foramen ovale and foramen spinosum of the human sphenoid bone
[3]
논문
Postnatal enlargement of the foramina rotundum, ovale et spinosum and their topographical changes
[4]
서적
Manual Therapy for the Cranial Nerves
Churchill Livingstone
2009-01-01
[5]
논문
Th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foramina of the greater wing of the human sphenoid bone
[6]
논문
히토 쵸우케이코츠노 세이엔코우, 란엔코우오요비 쿄쿠코우노 핫세이가쿠테키 켄큐우
[7]
논문
Postnatal enlargement of the foramina rotundum, ovale et spinosum and their topographical changes
[8]
논문
Th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foramina of the greater wing of the human sphenoid bone
[9]
논문
Developmental studies on the foramen rotundum, foramen ovale and foramen spinosum of the human sphenoid bone
[10]
논문
Postnatal enlargement of the foramina rotundum, ovale et spinosum and their topographical changes
[11]
서적
Manual Therapy for the Cranial Nerves
Churchill Livingstone
200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